KR200197459Y1 - 돌풍이나 홍수에 의한 벼의 쓰러짐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돌풍이나 홍수에 의한 벼의 쓰러짐 방지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97459Y1 KR200197459Y1 KR2020000004992U KR20000004992U KR200197459Y1 KR 200197459 Y1 KR200197459 Y1 KR 200197459Y1 KR 2020000004992 U KR2020000004992 U KR 2020000004992U KR 20000004992 U KR20000004992 U KR 20000004992U KR 200197459 Y1 KR200197459 Y1 KR 20019745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ice
- plant
- tension
- prevention device
- support means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06—Trellis-work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06—Trellis-work
- A01G2017/065—Trellis-work for supporting vines having wire-tension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upports For Pla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벼를 포괄하여 작물의 이삭이 여물어가는 동안에 태풍등으로 인한 돌풍에 의한 풍압 또는 홍수로 인한 수압으로 인한 벼 등의 쓰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식물의 쓰러짐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태풍등으로 인한 벼의 쓰러짐을 막을 수 있는 방안이 전무하였으나 본 고안은 하단부가 논바닥을 파고 들어갈 수 있는 형상을 한 2 개 이상의 장력지지수단, 그리고 전기 장력지지수단들중의 어느 하나와 다른 하나의 상부를 각각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포괄하는 구성을 갖는 식물의 쓰러짐 방지장치로서, 전기 장력지지수단들의 각각을 전기 하단부를 논바닥이나 밭쪽으로 향하여 일정 거리를 두고 식물의 포기사이의 땅에 드문 드문 박아 꽂은 후 이를 섬유질의 끈이나, 새끼줄, 또는 금속제의 줄로 장력이 형성되도록 서로 연결하여 놓으면, 논바닥위에서 자라고 있는 벼 등이 풍압이나 수압에 휘어졌을 때 벼의 중상부가 전기 연결수단에 걸려 최대 벤딩 모우먼트(Bending Moment)가 벼의 뿌리부위의 직상부에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여 식물이 쓰러질 때 인접 식물의 쓰러짐의 도미노현상을 방지하는 식물의 쓰러짐 방지장치에 관한 고안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수확기의 벼를 포괄하여 각종 식물의 태풍등으로 인한 돌풍이나 장마로 인한 홍수로 인한 횡방향으로의 분포하중 상태하에 놓이게 될 때에 도미노현상에 의한 식물의 쓰러짐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속수무책으로 수확기의 벼, 고춧대 등을 포괄하는 식물군이 전기 분포하중 상태하에 놓이게 될 경우 도미노현상을 일으키며 연쇄적으로 쓰러져 한 해 농사를 망치는 것을 망연자실하게 바라보고 발만 동동 구를 수 밖에 없었으며 이에 대한 종래기술은 전무하다.
전술한 벼를 포괄하여 각종 작물의 농사에 있어 태풍이나 홍수에 대한 대비책으로 식물의 쓰러짐의 도미노현상을 차단하기 위한 기술적 과제는 우선 수확기의 한포기의 벼를 고려하여 볼 때 태풍에 의한 돌풍에 노출될 경우, 고체역학적으로 고려하여 볼 때 외팔보(Cantilever Beam)에 횡방향으로의 분포하중이 걸리는 것으로 이상화할 수 있다. 벼의 뿌리부위는 고정단(Built-in End)이 되고 벼의 이삭이 달린 부위는 자유단(Free End)으로 볼 수 있는데 수직으로 서 있는 벼의 줄기 및 나락에 돌풍에 의한 풍압에 의하여 횡방향, 즉 수평방향으로 분포하중상태하에 놓이게 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분포하중에 의하여 한포기의 벼가 횡방향으로 쓰러질 때 인접하고 있는 벼의 포기는 전기 횡방향으로의 분포하중에 부가하여 집중하중이 추가적으로 걸려 연쇄적으로 쓰러지는, 소위 도미노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벼포기가 연쇄적으로 쓰러지게 되어 한 필지의 벼포기가 모두 쓰러지게 된다. 이러한 하중상태하에서 최대 벤딩 모우먼트 (Bending Moment)는 고정단, 즉 벼의 뿌리의 직상부에 형성되는 바, 이 최대 벤딩 모우먼트를 줄여주어 벼의 뿌리의 직상부의 꺾어짐을 막는 방지장치의 창출을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로 삼고 있다.
도 1은 본원 고안에 따른 식물의 쓰러짐 방지장치의 실시예로서 전기 방지장치의 장력지지수단이 나무로 된 실시예로서, 논에 설치하는 모습을 도시한 벼의 쓰러짐 방지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원 고안에 따른 식물의 쓰러짐 방지장치의 3 가지 실시예의 사시도로서 원형파이프가 장력지지수단의 구비요소가 되는 것;
도 3은 본원 고안에 따른 식물의 쓰러짐 방지장치의 3 가지 실시예의 사시도로서 4각 파이프가 장력지지수단의 구비요소가 되는 것;
도 4는 본원 고안에 따른 식물의 쓰러짐 방지장치의 3 가지 실시예의 사시도로서 환봉이 장력지지수단의 구비요소가 되는 것;
도 5는 본원 고안에 따른 식물의 쓰러짐 방지장치의 3 가지 실시예의 사시도로서 장력지지수단이 플라스틱 재질로되어 일체형으로 사출성형된 것; 그리고
도 6은 본원 고안에 따른 식물의 쓰러짐 방지장치의 실시예로서 종방향으로 2 개의 나선형 안정판이 착설되어 있는 장력지지수단의 실시예 2 개와 장력형성 줄과 전기 장력형성 줄의 중간에 연결되는 장력형성 줄 및 전기 줄에 끼워놓은 스타이러폼 튜브로 그물형으로 형성한 연결수단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a,31b: 4각목; 31a',31b': 4각목 꼬챙이부;
31b': 4각목 걸이구멍; 32: 원형목;
32': 원형목 꼬챙이부; 33: 장력형성 줄;
33a,33b: 스타이러폼 튜브(Styrofoam Tube);
40: 원형파이프; 40': 원형파이프 걸이구멍;
41: 원형파이프 꼬챙이; 42a,42b: 고리 걸이;
42c: 후크(Hook) 걸이; 43: 원형파이프 걸이머리(Head);
44a,44b,44c,44d,44e: 평판형 안정판;
44f: T형 안정판; 44g: 나선형 안정판;
50: 4각파이프; 50': 4각파이프 걸이구멍;
51: 4각파이프 걸이머리; 52: 4각파이프 꼬챙이;
60a,60b,60c: 쏠리드로드(Solid Rod);
60a',60b',60c': 쏠리드로드 꼬챙이부;
61: 쏠리드로드 걸이머리; 62: 쏠리드로드 판형 걸이머리; 그리고
70a,70b,70c: 플라스틱 지지로드(Rod).
본 고안의 벼를 포괄하는 식물의 쓰러짐 방지장치를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원 고안에 따른 식물의 쓰러짐 방지장치의 실시예로서 전기 방지장치의 장력지지수단이 나무로 된 실시예로서 논에 설치하는 모습을 도시한 벼 쓰러짐 방지장치의 사시도이다. 우선, 모내기를 할 때 각각의 벼포기는 바둑판형상으로 논바닥에 심기 때문에 인접 벼 두포기의 중간점의 논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4각목(31a)을 벼포기사이의 간격보다도 더욱 간격이 넓은 형태로 논바닥의 땅에 때려 박은 후 서로 인접하는 두 4각목(31a,31b), 원형목(32)의 상부를 본 방지장치의 두 구성요소의 하나인 연결수단의 실시예인 장력형성 줄(33)로 장력을 주어 연결하여 놓을 경우 돌풍이나 홍수에 의하여 벼의 줄기, 잎, 그리고 이삭에 횡방향으로 분포되는 분포하중에 의하여 벼의 포기가 쓰러지게 되는데, 이때 장력을 형성하여 전기 두 장력지지수단의 상부를 연결하여 놓은 장력형성 줄(33)에 벼포기의 중상부가 얹히게 되어 최대 벤딩모우먼트가 벼 줄기의 최하단부에 형성됨을 방지하여 각각의 벼포기의 쓰러짐을 막아주게 되고 또한 장력형성 줄(33) 건너에 식재되어 있는 벼포기로의 집중하중의 전파를 막아주어 도미노현상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가장 이상적인 벼의 쓰러짐 방지장치는 벼의 모종한 형태와 같은 메쉬(Mesh)로 전기 방지장치를 설치하면 전체 벼포기의 쓰러짐을 100 % 방지할 수 있겠으나 현실적으로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그물형의 연결수단으로 실시할 경우 경제성이 있는 벼의 쓰러짐 방지장치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전기한 그물형의 연결수단을 실시하기 번거로은 경우, 예를 들어 가로 세로 각 10 포기의 벼( 총 100 포기의 벼 )에 대하여 본원의 쓰러짐 방지장치를 설치할 경우 최소한도 한 구역내의 벼의 쓰러짐이 다른 구역내의 벼의 쓰러짐으로 전파되지는 않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는 본원 고안의 두 구성요소의 하나인 장력지지수단의 실시예에 관하여 4각목, 6각목, 원형목등 임의의 단면형상으로 실시할 수 있으며 논 한 필지에 도2, 도3,...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조합하여 쓰러짐 방지장치를 구성하는 것도 본원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또한 4각목(31a)의 4각목 꼬챙이부(31a') 및 원형목(32)의 원형목 꼬챙이부(32')처럼 칼로 깎아서 뾰족하게 실시할 수도 있고 별도의 금속제의 꼬챙이를 각목의 하단부에 부착하여 전기 장력지지수단의 상단부를 해머(Hammer)로 때릴 때 논바닥을 원활하게 파고 들어갈 수 있도록 한 장력지지수단도 본원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또한 각 장력지지수단의 상단에는 횡방향으로 서로 90 도가 되도록 4각목 걸이구멍(31b')을 천공하여 장력형성 줄(33)을 끼워서 장력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전기 장력지지수단의 상단에 도 2C나 도3C의 실시예와 같이 4각목의 상단에는 원형파이프 걸이머리(Head)(43)와 원형목의 상단에는 4각 파이프 걸이머리(51)를 각각 때려박아서 이에 장력형성 줄(33)을 걸어매어 장력을 형성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원 고안에 따른 식물의 쓰러짐 방지장치의 3 가지 실시예의 사시도로서 원형파이프가 장력지지수단의 구비요소가 되는 것이다. 도 2A는 원형파이프(40)의 상단부에 4 개의 고리 걸이(42a)를 용접부착한 실시예이고, 도2B는 원형파이프(40)의 하단에 원형파이프 꼬챙이(41)를 착설하고 상단부에 각기 높이가 서로 다르도록 2 단으로 장력형성 줄(33)을 얽어놓은 실시예이다. 또한 원형파이프(40)의 하단부인 원형파이프 꼬챙이(41)을 논바닥에 때려박은 후 장력형성 줄(33)에 장력을 형성하여 놓을 경우 원형파이프(40)와 논바닥면과의 수직도가 이루어지지 않을 수가 있기 때문에 논바닥에 묻히게 되는 부위에 쓰러짐방지를 위하여 평판형 안정판(44a) 2 개를 용접부착하여 횡방향 하중에 대한 수직도의 보존을 도모하도록 하였다. 또한 원형파이프(40)의 상단부의 상위에는 원형파이프 걸이구멍(40') 4 개를 90 도의 각간격으로 천공하였으며 하위에는 고리 걸이(42a) 4개를 90 도의 각간격으로 용접부착하여 장력을 지지하도록 한 실시예이다. 도 2C는 1 개의 원형파이프(40), 그 하단에 착설되는 원형파이프 꼬챙이(41), 전기 원형파이프의 상단에 착설되는 원형파이프 걸이머리(43), 그리고 원형파이프(40)의 하부에 90 도의 각간격으로 용접부착되는 4개의 평판형 안정판(44b)으로 구비되는 장력지지수단의 실시예를 도시하였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식물의 쓰러짐 방지장치의 3 가지 실시예의 사시도로서 4각 파이프가 장력지지수단의 구비요소가 되는 것이다. 도 3A는 4각 파이프(50)의 상단부의 4 면에 각기 1 개의 4각 파이프 걸이구멍(50')을 천공하여 장력형성 줄(33)을 걸어맬 수 있도록 실시한 실시예이고, 도3B는 4각 파이프(50)의 하단에 4각 파이프 꼬챙이(52)를 착설하고 상단부에 4 개의 고리 걸이(42a)를 용접부착하여 이에 장력형성 줄(33)을 얽어놓은 실시예이다. 또한 4각 파이프(50)의 하단부에는 역시 4각 파이프(50)의 중심선과 논바닥과의 수직도의 보존을 위하여 평판형 안정판(44c) 4 개를 4각 파이프의 4면에 용접부착한 실시예이다. 도 3C는 1 개의 4각 파이프(50), 그 하단에 착설되는 4각 파이프 꼬챙이(52), 전기 4각파이프의 상단에 착설되는 4각 파이프 걸이머리(51), 그리고 4각 파이프(50)의 하부에 180 도의 각간격으로 용접부착되는 2 조의 각 2 개의 평판형 안정판(44d,44e)으로 구비되는 장력지지수단의 실시예를 도시하였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식물의 쓰러짐 방지장치의 3 가지 실시예의 사시도로서 환봉이 장력지지수단의 구비요소가 되는 것이다. 도 4A는 쏠리드로드(60a), 그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쏠리드로드 꼬챙이부(60a'), 상단에 착설되는 4 개의 구멍이 천공되어 있는 쏠리드로드 판형 걸이머리(62), 그리고 하부에 90 도의 각간격으로 4 개의 평판형 안정판(44b)이 용접부착되어 구비되는 장력지지수단의 실시예이다. 도 4B는 쏠리드로드(60b), 그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쏠리드로드 꼬챙이부(60b'), 상단에 90 도의 각간격으로 배설되어 용접되어 있는 4 개의 고리 걸이(42b), 그리고 하부에 180 도의 각간격으로 2 개의 T형 안정판(44f)이 용접부착되어 구비되는 장력지지수단의 실시예이다. 도 4C는 쏠리드로드(60c), 그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쏠리드로드 꼬챙이부(60c'), 상단에 착설되는 쏠리드로드 걸이머리(61), 그리고 하부에 90 도의 각간격으로 4 개의 평판형 안정판(44b)이 용접부착되어 구비되는 장력지지수단의 실시예로서 쏠리드로드 걸이머리(61)에 추가하여 2 단으로 장력형성줄(33)을 얽을 수 있도록 전기 쏠리드로드 걸이머리(61)의 하위에 90 도의 각간격으로 4 개의 후크(Hook) 걸이(42c)를 용접부착하여 장력을 지지하도록 한 실시예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식물의 쓰러짐 방지장치의 3 가지 실시예의 사시도로서 장력지지수단이 플라스틱재질로 일체형으로 사출성형된 것이다. 도 5A는 4개의 평판형 안정판이 형성되어 있는 장력지지수단(70a)의 실시예; 도 5B는 2개의 'ㄱ'자형 안정판이 180 도 각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장력지지수단(70b)의 실시예; 그리고 도 5C는 열십자형의 단면을 갖는 부위의 하단부에 꼬챙이가 형성되어 있는 장력지지수단(70c)의 실시예이다 본 실시예들은 도 2 내지 도 4의 실시예들에 비하여 제조원가가 절감되는 장점이 있으나 금형비가 들어가는 단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도 6은 본원 고안에 따른 식물의 쓰러짐 방지장치의 실시예로서 종방향으로 2 개의 나선형 안정판(44g)이 착설되어 있는 장력지지수단의 실시예 2 개, 그리고 도 2C 및 도 3C의 실시예 각 1 개씩; 그리고 장력형성 줄(33)과 전기 장력형성 줄의 중간에 연결되는 장력형성 줄(33) 및 전기 줄에 끼워놓은 스타이러폼 튜브(Styrofoam Tube)(33a,33b)로 그물형으로 형성한 연결수단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4 개의 장력지지수단의 세가지 실시예에 의하여 형성되는 정방형의 내부의 작물의 쓰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그물형의 연결수단에 스타이러폼 튜브(33a,33b)를 끼워 강풍에 작물의 상부가 전기 장력형성 줄(33)에 부딪칠 때 과도한 집중하중을 피하게 되어 작물의 줄기의 꺾어짐을 막을 수 있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전술한 연결수단으로는 짚으로 꼬아 만든 새기줄, 노끈, 철사, 나이론 줄등으로 실시할 수 있다. 본 나선형 안정판이 착설되어 있는 두 장력지지수단의 실시예는 상단을 해머로 타격하여 땅에 박을 경우 스스로 돌면서 박히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2 개만의 나선형 안정판(44g)이 착설되어 있으나 가로세로 양방향으로의 장력지지수단의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는 실시예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식물의 쓰러짐 방지장치를 수확기의 논이나 밭에 설치하게 되면, 기존의 태풍기의 벼농사의 돌풍으로 인한 쓰러짐으로 인하여 이삭이 물에 잠겨 벼이삭이 패어 한 해 농사를 망치거나, 일일이 일꾼을 사서 쓰러진 벼를 일으켜 세워 두세 포기씩 서로 의지하도록 묶어주거나, 아니면 조기수확을 하여 일반미가격으로 판매하지 못하고 정부미가격으로 판매하게 되는 등 벼농사의 수익성에의 결정적인 타격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일단 쓰러진 벼포기는 일으켜 세워놓지 않는 한 수확할 때에도 콤바인으로 수확할 수 없을 뿐 아니라 일일이 사람이 낫으로 수확을 하여야 하는 비경제성이 있는 바 본 고안의 식물 쓰러짐 방지장치를 수확기의 논에 드문 드문 박아서 전기 연결수단에 장력을 가해 놓으면 벼의 쓰러짐의 도미노현상을 차단할 수 있게 되어 태풍이 불거나 홍수가 나도 걱정이 없게 된다. 또한 본 방지장치는 벼를 수확하기 이전에 논에서 회수하여 다음해의 태풍기에 또 다시 설치할 수 있어 제품의 보급에 경제성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식물의 쓰러짐 방지장치의 몇가지 실시예를 서술함으로써 당업자가 전기 실시예들을 인지한 후에 개조 및 변형을 하여 본 실용신안출원에 제시된 특정 실시예로 부터 자명하게 변경할 수 있는 것들을 포괄하여 다음에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로 한다.
Claims (6)
- (a) 각각의 하단이 식물이 자라고 있는 땅을 파고 들어갈 수 있는 형상을 한 2 개 이상의 장력지지수단, 그리고 (b) 전기 장력지지수단들중 어느 2 개 이상의 상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포괄하는 장치에 있어서, 전기 장력지지수단들의 각각의 하단을 선단으로 하여 전기 식물포기 사이의 땅에 일정거리를 두고 수직으로 때려 박은 후 서로 인접하는 2 개의 전기 장력지지수단의 상단부위를 전기 연결수단의 중간과 한쪽 끝 중의 어느 하나를 각기 장력이 형성되도록 서로 연결하여, 전기 땅에서 자라고 있는 식물의 줄기의 최하단부 이상의 어느 부분에 횡방향으로 분포하중이 걸려 전기 횡방향으로 휘어졌을 때, 전기 식물의 상부가 전기 연결수단에 걸려 최대 벤딩 모우먼트(Bending Moment)가 전기 줄기의 최하단부에 형성됨을 방지하여 전기 식물의 쓰러짐을 막아주는 작용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의 쓰러짐 방지장치.
- 청구항 1의 방지장치에 있어서, 전기 장력지지수단의 상부에 (1) 1 개 이상의 걸이구멍의 천공, (2) 1 개 이상의 고리 걸이의 부착, 그리고 (3) 1 개 이상의 걸이머리(Head)의 부착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되어 있어서 전기 연결수단의 중간과 한쪽 끝중의 어느 하나를 걸어 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의 쓰러짐 방지장치.
- 청구항 1의 방지장치에 있어서, 전기 장력지지수단이 나무, 플라스틱, 비철금속재료, 그리고 금속재료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포괄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의 쓰러짐 방지장치.
- 청구항 3의 방지장치에 있어서, 전기 장력지지수단의 상부에 (1) 1 개 이상의 걸이구멍의 천공, (2) 1 개 이상의 고리 걸이의 부착, 그리고 (3) 1 개 이상의 걸이머리(Head)의 부착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되어 있어서 전기 연결수단의 중간과 한쪽 끝중의 어느 하나를 걸어 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의 쓰러짐 방지장치.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중의 어느 한 항의 방지장치에 있어서, 전기 연결수단에 걸리는 장력에 의한 전기 장력지지수단의 상부에 작용하는 횡방향하중에 대하여 전기 장력지지수단의 중심축과 전기 장력지지수단이 박히는 지면과의 수직도의 보전수단이 전기 장력지지수단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의 쓰러짐 방지장치.
- 청구항 5의 방지장치에 있어서, 전기 연결수단들 중 대체적으로 서로 나란한 두 연결수단의 각각의 중간을 전기 두 연결수단에 대체적으로 수직하게 연결수단으로 장력이 걸리게 연결하여 그 평면도가 그물망의 형상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의 쓰러짐 방지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04992U KR200197459Y1 (ko) | 2000-02-23 | 2000-02-23 | 돌풍이나 홍수에 의한 벼의 쓰러짐 방지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04992U KR200197459Y1 (ko) | 2000-02-23 | 2000-02-23 | 돌풍이나 홍수에 의한 벼의 쓰러짐 방지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97459Y1 true KR200197459Y1 (ko) | 2000-09-15 |
Family
ID=19643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00004992U KR200197459Y1 (ko) | 2000-02-23 | 2000-02-23 | 돌풍이나 홍수에 의한 벼의 쓰러짐 방지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197459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32371B1 (ko) * | 2000-03-22 | 2002-04-12 | 박준일 | 벼 쓰러짐 방지용 장치 |
CN104115726A (zh) * | 2013-04-26 | 2014-10-29 | 广西大学 | 一种增强香蕉植株抵御强风和抗倒伏力的蕉架一体化装置 |
-
2000
- 2000-02-23 KR KR2020000004992U patent/KR200197459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32371B1 (ko) * | 2000-03-22 | 2002-04-12 | 박준일 | 벼 쓰러짐 방지용 장치 |
CN104115726A (zh) * | 2013-04-26 | 2014-10-29 | 广西大学 | 一种增强香蕉植株抵御强风和抗倒伏力的蕉架一体化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964126B1 (en) | Tree stabilizing assembly | |
US20080190019A1 (en) | Plant support system and method | |
US20200146223A1 (en) | Stackable trellis support system | |
US6578318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raising vine plants | |
KR100489434B1 (ko) | 자동 개폐식 과수 비가림 하우스 | |
KR200197459Y1 (ko) | 돌풍이나 홍수에 의한 벼의 쓰러짐 방지장치 | |
CN219087970U (zh) | 植物防护栅栏 | |
JP2004229618A (ja) | 果樹栽培方法 | |
KR200496864Y1 (ko) | 위치조절이 용이한 가지지지부를 갖는 과실수용 지주대 | |
US11483984B2 (en) | Trellis | |
KR100749013B1 (ko) | 농작물 지주대 | |
US5373660A (en) | Trellis support system | |
JP4687213B2 (ja) | 法面緑化構造物 | |
KR200410894Y1 (ko) | 오이 지주대 | |
KR20190003193U (ko) | 농작물용 다기능 지주대 | |
JP4982774B2 (ja) | 可変式電気牧柵 | |
KR20200000646A (ko) | 농작물 받침대 | |
JP3233778U (ja) | 防風柵 | |
KR200251433Y1 (ko) | 농작물 지지용 끈 | |
JP3239918U (ja) | 植物支持具 | |
KR200166734Y1 (ko) | 농작물용보호망장치 | |
KR200186077Y1 (ko) | 벼 쓰러짐 방지용 망 | |
RU2362297C1 (ru) | Способ ведения виноградных кустов | |
JPH0965771A (ja) | 植物栽培用鉄筋支持具 | |
CN109042035B (zh) | 桃园省力化网式栽培的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T601 |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