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0646A - 농작물 받침대 - Google Patents

농작물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0646A
KR20200000646A KR1020180072701A KR20180072701A KR20200000646A KR 20200000646 A KR20200000646 A KR 20200000646A KR 1020180072701 A KR1020180072701 A KR 1020180072701A KR 20180072701 A KR20180072701 A KR 20180072701A KR 20200000646 A KR20200000646 A KR 202000006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rop
supporting
holes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2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가영
Original Assignee
박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가영 filed Critical 박가영
Priority to KR1020180072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0646A/ko
Publication of KR20200000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6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2Supports for plants; Trellis for strawberri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2Supports for plants; Trellis for strawberries or the like
    • A01G9/122Stak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upports For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작물이 생육되는 이랑에 수평 및/또는 복층으로 설치되는 받침대에 의해 농작물의 줄기와 가지와 과실 성장하는 상태로 받침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이들이 꺾이거나 찢어지거나 낙과하는 것이 방지됨은 물론 자연재해와 같은 외부 요인에 의해 농작물이 쓰러지지 않도록 한 농작물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소정 크기의 받침부(2)와, 농작물이 자라는 상태로 지지할 수 있도록 받침부(2)에 형성되는 복수의 지지공(3)과, 지지공(3) 사이에 형성되는 보조 지지공(4)과, 받침부(2)의 전후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되는 전후 보강부(5)(6)와, 받침부(2)의 중앙부를 보강하는 중앙 보강부(7)와, 받침부(2)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에 형성되는 반원형의 지지공(3a) 및 암수 결합구조의 연결부(8)(9)와, 받침부(2)의 전후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복수의 삽입공(10)과, 삽입공(10)에 결합되어 농작물 받침대(1)를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봉(11)을 포함한다. 상기 받침부(2)는 복수의 삽입공(10)을 기준으로 완만하게 상승된 만곡형일 수 있다.

Description

농작물 받침대{Supporting frame of the crops}
본 발명은 농작물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농작물이 생육되는 이랑에 수평 및/또는 복층으로 설치되는 받침대에 의해 농작물의 줄기와 가지와 과실 등이 자연스럽게 받침 지지되면서 성장하도록 함으로써 이들이 꺾이거나 찢어지거나 낙과하는 것이 방지됨은 물론, 자연재해와 같은 외부 요인에 의해 농작물의 쓰러짐이 방지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추나 가지, 토마토 등의 각종 농작물에 사용되는 지주(지지봉)는 농작물이 과실의 무게 또는 외력에 의해 꺽이거나 찢어지거나, 또는 비바람 등에 의해 넘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수단으로, 농작물 부근에 세운 다음 노끈 등으로 농작물을 묶어 지지(결속)하게 된다.
상기 지주는 나무 막대나 플라스틱, 철재파이프 등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농작물마다 개별적으로 각각 설치한 다음 해당 농작물을 직접 묶어 지지하거나, 또는 몇 개의 지주를 이용하되 지주 끼리 유인줄 등으로 연결시켜 지주 사이에 위치하는 농작물이 지지되도록 하고 있으며, 이러한 작업은 많은 비용과 노동력이 소요되는 반면 정작 그 효과는 미미한 실정이다.
예컨대, 농작물은 지주 하나에 의존하여 지지되므로, 성장하는 농작물의 무게를 지탱하지 못하면서 지주가 쉽게 흔들리거나 바람 등에 의해 노끈 등이 풀리거나, 농작물이 밑으로 흘러내리면서 원활하게 지지되지 않아 사용 수명이 짧고, 농작물이 성장함에 따라 노끈 등으로 계속 묶어 지지상태를 보충해 주어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상기 지주는 농작물의 가운데에 위치하는 줄기부분만 주로 지지하고 있어서 과실이 열리는 외측의 가지 부분은 제대로 지지하거나 받쳐주지 못하게 되며, 과실의 성장에 따른 자체 하중 또한 제대로 지탱하지 못하게 된다. 이에 따라 과실이 많이 열린 가지부분이 쉽게 꺽이거나, 찢어지거나, 낙과하는 등의 현상이 발생할 뿐 아니라, 비바람 등에 의해 농작물이 쉽게 넘어지거나 기울어지면서 뿌리가 드러나 고사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가지, 잎, 과실 등이 지면에 닿으면서 병충해, 고사, 생육부진 등의 피해를 입게 되며, 또한 농작물의 성장에 따라 지주의 높이를 상승 또는 증가시킬 수 없어서 농작물의 충분한 받침과 지지가 이루어지지 않는 등의 여러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56449호(발명의 명칭: 농작물용 다기능 생육 보호대, 2016. 09. 09. 특허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42345호(발명의 명칭: 줄기작물의 성장안내장치, 2013. 03. 11. 특허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22330호(발명의 명칭: 농작물 재배용 베드 받침대, 2015. 03. 04. 특허공개)
본 발명은 농작물이 심어진 이랑을 따라 수평 및/또는 복층으로 설치되는 받침 지지수단에 의해 농작물의 줄기뿐 아니라 가지와 곁가지 및 과실 등이 성장 상태로 자연스럽게 받침 지지되는 농작물 받침대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농작물의 성장에 따라 입체구조, 이를테면 수평으로 연결 가능하고 지지봉을 이용하여 복층으로 설치할 수 있는 농작물 받침대를 제공함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지봉 대신 기존의 농작물 지주를 이용하되 지주의 외주연을 감싸는 테이프형 지지구를 이용하여 경작지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농작물 받침대를 제공함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농작물 받침대는, 소정 크기의 받침부와, 농작물이 자라는 상태로 지지할 수 있도록 받침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지지공과, 지지공 사이에 형성되는 보조 지지공과, 받침부의 전후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되는 전후 보강부와, 받침부의 중앙부를 보강하는 중앙 보강부와, 받침부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에 형성되는 반원형 지지공 및 암수 결합구조의 연결부와, 받침부의 전후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복수의 삽입공과, 삽입공에 결합되어 농작물 받침대를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봉을 포함한다.
상기 받침부에 형성되는 만곡부를 포함하되, 상기 만곡부는 받침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삽입공을 기준으로 완만하게 상승된다.
상기 만곡부의 높이는 받침부 두께의 2 ~ 10배 일 수 있다.
상기 받침부의 전후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보조 지지공을 더 포함한다.
상기 지지봉은, 길이가 긴 봉체 외주연에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보강돌부와, 봉체 하부에 형성되는 매입부와, 봉체 상부에 형성되고 삽입공이 끼워지는 삽지부와, 삽지부 하부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테와, 삽지부에 형성되고 다른 지지봉의 매입부가 결합되는 결합홈과, 봉체 하부에 형성되고 봉체보다 큰 외경의 돌출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농작물 받침대는, 소정 크기의 받침부와, 농작물이 자라는 상태로 지지할 수 있도록 받침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지지공과, 지지공 사이에 형성되는 보조 지지공과, 받침부의 전후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되는 전후 보강부와, 받침부의 중앙부를 보강하는 중앙 보강부와, 받침부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에 형성되는 반원형 지지공 및 암수 결합구조의 연결부와, 받침부의 전후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복수의 삽입공과, 삽입공에 결합되는 테이프형 지지구와, 테이프형 지지구에 압지되는 지주를 포함한다.
상기 테이프형 지지구는, 몸체 중앙에 수직으로 형성되고 지주의 외주연을 감싸 압지하는 압지공과, 몸체 일측에 형성되는 개방부를 포함하되, 몸체의 상부 외경은 삽입공 내경보다 작고 몸체의 하부 외경은 삽입공의 내경보다 크게 구성된다.
본 발명은 농작물이 생육되는 이랑을 따라 수평 및/또는 복층으로 설치되는 농작물 받침대(1)에 의해 농작물의 줄기와 가지가 곁가지 및 과실 등이 성장하는 상태에서 자연스럽게 받침 지지되므로, 이들이 늘어지거나, 꺽이거나, 찢어지거나, 낙과하지 않아 보호됨은 물론 자연재해와 같은 외부요인에 의한 농작물의 쓰러짐도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구성이 간단하여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조립 및 설치할 수 있어서 별도의 설치비가 필요없으며, 성장하는 농작물이 복수의 지지공으로 자연스럽게 유입 및 상승하면서 받침 지지되므로 농작물 수확이 끝날때까지 별도의 유지 보수가 거의 불필요하며, 다년간 반복 사용할 수 있어서 매년 구입할 필요가 없으므로 추가 구입 비용이 들지 않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농작물이 성장함에 따라 농작물 받침대(1)를 아파트처럼 수평으로 연결하고 수직으로는 복층이 되게 조립하여 농작물이 자라는 형태로 자연스럽게 받침 지지 및 보호할 수 있어서, 노끈으로 농작물을 묶어 지지하는 기존 방법에 비해 생육 상태가 양호하여 수확량이 향상될 뿐 아니라, 우수한 상품의 과실을 수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농작물 받침대(1)의 받침부(2)는 상향 만곡형으로 구성한 경우 성장하는 과실 등에 의해 무게가 증가하면서 받침부(2)로 큰 하중이 작용되더라도 농작물 받침대(1)가 하부로 쳐지는 현상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지지봉(11)의 돌출테(118)에 의해 지지봉(11)이 지면(40) 아래로 과도하게 유입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농작물 받침대(1)는 복수의 지지봉(11) 위에 수평 및 복층으로 설치되는 입체 구조이므로 유인줄, 유인끈, 유인망, 유인집게, 거치대 등이 필요없으며, 농작물의 줄기, 가지, 잎, 과실 등이 땅(지면)에 닿지 않아 병충해, 고사(썩거나 말라죽는 상태), 생육부진 등이 방지되고 농작물이 썩거나 마르지 않아 수확량 증대로 이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농작물의 줄기와 가지와 곁가지와 과실과 잎 등을 함께 받침 지지하여 농작물이 정열되므로 과실을 수확하기 좋을 뿐 아니라, 수확에 따른 작업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농작물의 성장 상태를 고려한 입체적인 지지구조에 의해 통풍이 잘 이루어지며 강풍이나 비바람에도 농작물이 쉽게 쓰러지지 않아 지면(40)에 닿아 발생하는 병충해, 고사, 생육부진 등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농작물 받침대(1)는 한번 설치로 유지보수 비용이 거의 들지 않아 농작물 재배에 부담이 없다.
본 발명은 수박, 참외, 토마토, 딸기, 완두콩, 메론, 박, 오이, 고추, 가지 등의 넝쿨 식물의 받침 지지에도 매우 효과적이다.
본 발명은 노끈을 이용하여 농작물을 지주에 묶어 지지하는 종래 방식에 비하여 인건비, 자재비, 설치비, 유지보수비 등 전체 비용이 1/10 정도로 크게 절감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평면도.
도 2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평면 사시도.
도 3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 4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5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도 1의 B-B`선 단면도.
도 6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도 1의 C-C`선 단면도.
도 7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도 1의 D-D`선 단면도.
도 8 : 본 발명 다른 예로 도시한 정면도.
도 9 : 본 발명 다른 예로 도시한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10 : 본 발명 다른 예로 도시한 도 1의 B-B`선 단면도.
도 11 : 본 발명 다른 예로 도시한 도 1의 C-C`선 단면도.
도 12 : 본 발명 다른 예로 도시한 도 1의 D-D`선 단면도.
도 13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지지봉의 사시도.
도 14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지지봉의 정면도.
도 15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지지봉의 단면도.
도 16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지지봉의 사용 상태 단면도.
도 17 : 본 발명 다른 예로 도시한 지지봉의 복층 사용 상태 단면도.
도 18 : 본 발명 또 다른 예로 도시한 사시도.
도 19 : 본 발명 또 다른 예로 도시한 사용 상태 단면도.
도 20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농작물 받침대를 길이방향으로 연결한 상태의 평면도.
도 21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폭방향 사용 상태도.
도 22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길이방향 사용 상태도.
도 23 : 본 발명에서 지주와 테이프형 지지구를 이용하여 농작물 받침대를 복층으로 설치한 상태도.
도 24 : 본 발명 다른 예로 도시한 폭방향 사용 상태도.
도 25 : 본 발명 다른 예로 도시한 길이방향 사용 상태도.
도 26 : 본 발명에서 지주와 테이프형 지지구를 이용하여 농작물 받침대를 복층으로 설치한 상태도.
도 27 : 본 발명에서 농작물 받침대를 2중으로 겹쳐 설치한 상태의 참고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 부호로 기재하고, 관련된 공지구성이나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가 모호해지지 않도록 생략하며, 또한,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농작물 받침대(1)의 평면도이고, 도 2는 일 예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일 예의 저면 사시도, 농작물을 받침 및/또는 지지하는 소정 크기의 받침부(2)와, 받침부(2)에 균등하게 형성되고 농작물의 줄기와 가지 및 곁가지 등을 받침 및/또는 지지하는 복수의 원형 지지공(3)과, 원형 지지공(3) 사이에 형성되는 보조 지지공(4)과, 받침부(2)의 전후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되는 전후 보강부(5)(6)와, 받침부(2)의 중앙부를 보강하는 중앙 보강부(7)와, 받침부(2)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에 형성되는 반원형의 지지공(3a) 및 암수 결합구조의 연결부(8)(9)와, 받침부(2)의 전후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복수의 삽입공(10)과, 삽입공(10)에 결합되어 농작물 받침대(1)를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봉(11)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받침부(2)의 양측에 형성되는 반원형 지지공(3a) 및, 이웃하는 농작물 받침대(1a)의 반원형 지지공(3a)을 연결하는 암수 결합구조의 연결부(8)(9)를 더 포함한다.
상기 지지공(3)(3a)은 복수의 열과 줄로 배열되며, 성장하는 농작물이 자라는 상태로 자연스럽게 유입되어 받침 지지될 수 있도록 다소 큰 내경의 원형 또는 반원형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하나의 지지공(3)(3a)으로 하나의 줄기(42) 또는 가지(43) 또는 곁가지(46)가 유입되어 받침 지지되면서 자랄 수 있으며, 때로는 하나의 지지공(3)으로 줄기(42)와 가지(43)가 한꺼번에 유입되어 받침 지지되면서 자랄 수 있으며, 때때로는 줄기(42)와 가지(43)와 곁가지(46)가 한꺼번에 유입되어 받침 지지되면서 자랄 수 있으며, 줄기(42)와 가지(43) 및 곁가지(46)가 자라는 상태로 자연스럽게 받침 지지되므로 과실(45) 또한 제자리에 달려 우수한 품질의 과실로 성장하게 된다.
상기 지지공(3)(3a)은 원형 이외에도 타원형, 다각형, 사각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공(3)(3a)은 노끈으로 농작물을 묶어주는 기존 방식에 비하여 충분한 여유공간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줄기(42)와 가지(43)와 곁가지(46) 등이 벌어진 상태에서 폐쇄형 원형테(17)에 의해 마치 포획된 상태에서 효과적으로 받침 지지되므로, 통풍이 우수하여 병충해 발생이 격감되고 농작물의 생육이 촉진된다.
본 발명에서 지지공(3)(3a) 사이에 위치하는 보조 지지공(4)으로도 성장하는 농작물의 줄기(42)나 곁가지(46) 등이 유입 및 상승되면서 받침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받침부(2)의 전후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보조 지지공(15)(16)을 더 포함한다. 상기 보조 지지공(15)(16)은 전후 보강부(5)(6)의 측면에 연결되되 바깥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돌출부(28)(29)와, 돌출부(28)(29)를 연결하는 연결부(30)(31)에 의해 대체로 사각형의 보조 지지공(15)(16)이 형성되어 농작물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가지(43)나 곁가지(46) 등이 수용 및 지지되거나 받침 및 보호된다.
상기 보조 지지공(15)(16)은 농작물 받침대(1)의 변부(가장자리 부분)에 위치하므로 과실(44)이 많이 열리는 외측(바깥측) 가지(43)와 곁가지(46) 등이 자연스럽게 유입되어 받침 지지되므로 이들 가지(43)(46)가 꺾이거나 찢어지는 현상들이 방지되며, 양호한 통풍이 달성되어 병충해를 줄일 수 있으며, 또한 생육이 촉진되어 수확량이 증대 된다.
상기 삽입공(10)의 하부로 돌출 형성되는 일체형 보강테(10a)에 의해 삽입공(10)이 보강된다.
상기 지지공(3)은 소정 폭(W1)과 소정 두께(t1)의 원형 테두리부 또는 원형테(17)에 의해 그 형상이 유지되며, 원형테(17)의 저부 양측에는 하향 돌출형 보강부(18)(19)가 형성되어 지지공(3)의 강도가 보강된다.
상기 원형테(17)보다 다소 넓은 폭(W2)과 소정 두께(t2)의 중앙 보강부(7)에도 하향 돌출형 보강부(24)(25)가 형성되어 중앙 보강부(7)의 강도가 보강되며, 상기 원형테(17)보다 다소 넓은 폭과 두께를 가진 중앙 보강부(7)의 저부 양측에도 하향 돌출형 보강부(20)(21)(22)(23)가 형성되어 전후 보강부(5)(6)의 강도가 보강된다.
본 발명의 농작물 받침대(1)는 도 2 내지 도 7과 같이 평면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농작물 받침대(1)는 도 8 내지 도 12와 같이 받침부(2)의 중앙부분 또는 중앙부는 받침부(2)의 삽입공(10)을 기준으로 완만하게 상승 또는 상향된 만곡형일 수 있다.
즉, 도 8 내지 도 12와 같이 농작물 받침대(1)의 받침부(2)는 받침부(2)의 삽입공(10)을 기준으로 완만하게 상승 또는 상향된 만곡부(52)를 구성함으로써 성장하는 농작물 및 과실(53) 등에 의해 받침부(2)로 큰 하중이 작용되거나, 점차 하중이 증가되는 경우에도, 받침부(2)를 포함한 농작물 받침대(1)의 중앙부가 하부로 쳐지는 현상이 방지된다.
상기 만곡부(52)는 완만한 만곡형이며, 만곡 정도, 또는 높이(h3)는, 농작물 받침대(1)의 평면적에 따라 상이하지만 대체로 농작물 받침대(1)의 최하부면에 해당하는 가상 수평선(H)을 기준으로 받침부(2) 두께(t)의 2 ~ 10배 범위이다. 따라서 만곡부(52)로 하중이 증가하더라도 농작물 받침대(1)의 중앙부분이 다소간 하강할 수 있으나 도 11의 가상 수평선(H) 이하로 쳐지지 않게된다.
상기 만곡부(52)는 받침부(2)의 전후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복수의 삽입공(10)을 기준으로 완만하게 상승하면서 만곡되게 구성함으로써 받침부(2)로 전달되는 대부분의 하중이 복수의 지지봉(11)을 통하여 지면(40)으로 전달되며, 따라서 받침부(2)는 복수의 지지봉(11)에 의해 견고히 지지된다.
상기 지지봉(11)이 결합되는 삽입공(10) 부분이 가장 낮은 부분이며, 복수의 지지봉(11) 중앙에 위치하는 만곡부(52)는 가장 높은 부분이다. 또한 받침부(2)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에 형성되는 반원형의 지지공(3a)의 끝 부분에 위치하는 만곡부(52) 또한 가장 높은 부분에 해당한다.
본 발명에서 전후 삽입공(10) 사이의 받침부(2) 부분은 같은 높이의 직선형일 수 있으나, 도 10과 같이 중앙으로 향할수록 다소 높아지는 만곡형으로 구성하여 농작물 성장에 의해 받침부(2)로 하중이 증가하더라도 지지력이 보강되므로 바람직하다.
상기 원형테(17)의 두께(t1)와, 중앙 보강부(7)의 두께(t2) 및 전후 보강부(5)(6)의 두께는 받침부(2)의 두께(t)와 같도록 구성함으로써 농작물 받침대(1)를 보관 및 적재할 때 가지런히 정열되는 효과가 있다.
받침부(2)의 양측에 형성되는 반원형 지지공(3a)은 도 4, 도 17과 같이 일측 연결부(8)에 형성되는 연결공(26)과 타측 연결부(9)에 형성되는 결합돌부(27)가 암수 결합되면서 지지공(3)과 같은 형상의 원형 지지공이 만들어지고, 농작물 받침대(1)가 길이방향, 예컨대 농작물이 심어진 이랑(40)을 따라 이웃하거나 1열로 연결되면서 복수의 농작물을 받침 지지하게 된다. 상기 결합돌부(27)는 연결공(26)에 억지 결합되어 쉽게 분리되지 않으며, 물론 강제로 분리시킬 수 있어서 농작물 받침대(1)를 철거할 수 있다.
상기 지지봉(11)은 도 8 내지 도 10과 같이 길이가 긴 봉체(111)의 외주연에 복수의 보강돌부(117)가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봉체(111)의 하부에는 농작물이 심어진 경작지의 지면(40)에 꽂아 지지되도록 하는 매입부(112)가 형성되고, 봉체(111)의 상부에는 농작물 받침대(1)의 삽입공(10)에 끼워지는 삽지부(114)가 형성되고, 삽지부(114)의 하부에는 농작물 받침대(1)의 하강을 방지하는 걸림테(115)가 돌출 형성되고, 삽지부(114)에는 다른 지지봉(11)의 매입부(112)가 결합될 수 있도록 상향 개방형의 결합홈(116)이 형성되고, 봉체(11)의 하부에는 봉체(111) 외경보다 2~5배 큰 외경의 돌출테(118)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테(118)에 의해 지지봉(11)이 지면(40) 아래로 과도하게 유입되지 않는다. 즉, 단층 또는 복층 구조의 농작물 받침대(1)에 의해 최하부에 위치하는 지지봉(11)으로 농작물에 의한 중량이나 하중이 많이 실리게 되더라도 상기 돌출테(118)에 의해 지지봉(11)이 지면(40) 아래로 더 이상 유입되지 않게 된다.
상기 매입부(112)의 외주연에는 복수의 요입홈(113)이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지지봉(11)을 지면(40)에 삽입시킨 경우 요입홈(113)으로 지면(40)의 흙이 매입되면서 지지봉(11)의 매입부(112)가 지면(40)에 견고하게 고정되며, 또한 쉽게 뽑히지 않게 된다.
상기 지지봉(11)의 상부에는 봉체(11) 외경보다 큰 외경의 확장부(120)를 형성하여 삽지부(114)의 외경과 삽입홈(116)의 내경을 확장할 수 있어서 농작물 받침대(1)를 복층(다층)으로 설치할 때 도 17과 같이 매입부(112)가 결합되더라도 삽지부(114)의 구조 약화가 방지된다.
도 16은 지지봉(11)의 사용 상태 단면도로, 받침부(2)의 전후 양측에 형성되는 복수의 삽입공(10) 위치를 감안하여 복수 지지봉(11)의 매입부(112)를 지면(40)의 이랑에 같은 높이로 꽂아 수직으로 지지되도록 한 다음, 지지봉(11)의 삽지부(114)에 받침부(2)의 삽입공(10)을 끼우면 삽입공(10)을 보강하는 보강테(10a) 부분이 걸림테(115)의 상부면에 접촉 및 걸림되면서 결합되어 받침부(2)의 하강이 방지된다.
상기 받침부(2)는 복수의 지지봉(11)에 의해 소정 높이의 공중에 위치하면서 성장 상태의 농작물을 받침 지지하게 되며, 상기 복수의 지지봉(11)들은 같거나 비슷한 높이이므로 농작물 받침대(1)는 수평 또는 수평에 가까운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지지봉(11)의 봉체(11) 외주연에는 복수의 보강돌부(117)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지지봉(11)이 보강된다. 상기 지지봉(11)의 하단부에는 침상부(119)가 형성되어 있어서 지면(40)에 효과적으로 삽입되며, 지면(40) 아래로 위치하는 매입부(112)의 외주연에는 요입홈(113)이 소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요입홈(113)으로 흙이 매입되므로 지면(40)으로 삽입된 매입부(112)가 견고하게 고정되면서 지지봉(11)이 지면(40)으로부터 쉽게 뽑히지 않게 된다.
도 17은 지지봉(11)을 이용하여 농작물 받침대(1)를 복층으로 설치한 상태의 단면도로, 지지봉(11)의 삽입홈(116)에 다른 지지봉(11)의 매입부(112)를 수직으로 끼운 다음 다른 지지봉(11)의 삽지부(114)에 다른 받침부(2)의 삽입공(10)을 끼워 삽입공(10)의 보강테(10a) 부분이 걸림테(115)의 상부면에 접촉 및 걸림되도록 하면 도 21, 도 22, 도 24, 도 25와 같이 농작물 받침대(1)가 2층으로 설치되며, 이러한 과정으로 농작물 받침대(1)를 3층, 4층 등의 복층으로 구성할 수 있어서 농작물의 성장 키(높이)에 맞춰 적절한 수의 복층으로 농작물 받침대(1)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농작물의 성장에 맞춰 농작물 받침대(1)를 복층으로 설치하는 방법으로 농작물이 자라는 상태로 받침 지지 및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도 27은 본 발명에서 농작물 받침대(1)와 농작물 받침대(1b)를 2중으로 겹쳐 설치한 사용 상태도로, 수박, 참외, 메론 등과 같이 성장하면서 무게가 증가되는 과실(53)을 받쳐 지지할 수 있도록 농작물 받침대(1)(1b)를 2중으로 겹쳐 보강할 수 있다. 따라서 만곡부(52)로 과실(53)에 의한 큰 하중(F1)이 작용되더라도 농작물 받침대(1)의 중앙부분이 다소간 하강할 수 있으나 가상 수평선(H) 이하로 쳐지지 않는다.
상기 과실(53)들은 상부에 위치하는 농작물 받침대(1b)의 상부면에 엊혀 지지되거나, 지지공(3)이나 보조 지지공(4)(15)(16)으로 일부 유입되어 지지된다.
상기 농작물 받침대(1)(1b)를 2중 이상으로 겹쳐 설치하더라도 지지봉(11)의 삽지부(114)가 상부로 길게 돌출되어 있어서 겹쳐 설치된 농작물 받침대(1)(1b)의 이탈이 방지된다.
상기 도 27에서 농작물 받침대(1)를 상하 2중으로 겹쳐 사용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받침부(2)에 작용되는 하중이 큰 경우, 이를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농작물 받침대(1)를 3중 이상으로 겹쳐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8, 도 19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도면으로, 지지봉(11) 대신 기존에 사용되는 지주(47)에 본 발명의 농작물 받침대(1)를 설치하여 농작물을 지지할 수 있음을 도시한 것이고, 도 23, 도 26은 지지봉(11)을 대신하는 복수의 지주(47)와, 지주(47) 외주연에 감싸 결합되는 결합 테이프형 지지구(48)를 이용하여 농작물 받침대(1)를 복층으로 설치한 상태도이다. 도 23, 도 26에서는 농작물 받침대(1)를 3층으로 설치한 상태의 예시도이다.
즉, 길이가 긴 기존 지주(47)의 외주연에 고무 및/또는 합성수지로 구성되고 상부 외경보다 하부 외경이 휠씬 큰 테이프형 지지구(48)를 감싼 다음 농작물 받침대(1)의 삽입공(10)을 테이프형 지지구(48)의 외주연에 끼워 농작물 받침대(1)가 밑으로 처짐없이 지지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농작물이 받침 지지 및 보호된다.
상기 테이프형 지지구(48)는 몸체(49) 중앙에 지주(47)의 외주연을 감싸 가압 지지하는 압지공(50)이 수직으로 형성되고, 몸체(49) 일측에는 지주(47)가 결합될 수 있도록 수직 또는 세로 개방부(51)가 형성된다.
상기 몸체(49)의 상부 외경은 삽입공(10)의 내경보다 작고, 하부 외경은 삽입공(10)의 내경보다 휠씬 크게 구성되어 결합되는 농작물 받침대(1)의 처짐이나 하강이 방지되면서 지지봉(11)과 같은 기능이 달성된다.
또한 농작물 받침대(1)에 하중이 증가하면 삽입공(10)은 고무 및/또는 합성수지로 구성된 테이프형 지지구(48)를 더욱 가압하게되고, 가압되는 테이프형 지지구(48)는 지주(47)의 외주연을 더욱 가압하게 되므로 농작물 받침대(1)로 작용되는 하중이 증가하더라도 농작물 받침대(1)의 쳐짐이 방지된다.
본 발명에서 받침부(2)에 형성되는 복수의 삽입공(10) 바깥측에 보조 삽입공(101)을 각각 형성하여 상기 지주(47) 및 테이프형 지지구(48)가 결합되게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최하부에 위치하는 농작물 받침대(1)의 삽입공(10)에는 지지봉(11)을 결합시켜 받침부(2)가 지지되도록 하고, 보조 삽입공(101)에는 지주(47) 및 테이프형 지지구(48)를 결합시켜 농작물 받침대(1)의 지지력을 더욱 보강할 수 있다.
도 21, 도 22는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농작물 받침대(1)의 사용 상태도로, 복수의 지지봉(11)에 의해 소정 높이의 공간에 위치하는 받침부(2)에 복수의 지지공(3)이 형성되어 있어서 성장하는 농작물의 줄기(42)와 가지(43)와 곁가지(46) 등이 자연스럽게 자라는 상태에서 해당 지지공(3) 및/또는 보조 지지공(4)(15)(16) 또는 가까운 지지공(3) 및/또는 보조 지지공(4)(15)(16)으로 유입되어 지지되며, 농작물 받침대(1)가 복층으로 설치된 경우 성장에 의해 계속 상승하는 줄기(42)와 가지(43)와 곁가지(46) 등이 상부층에 설치된 농작물 받침대(1)의 지지공(3) 및/또는 보조 지지공(4)(15)(16)을 지나 상승하면서 받침 지지 및 보호된다.
따라서, 이랑에 심어진 농작물의 좌우 외측으로 벌어지는 가지(43)나 곁가지(46) 등이 폐쇄 구조의 지지공(3) 및/또는 보조 지지공(4)(15)(16)에 포획된 상태로 안정되게 걸침 및 지지되므로 과실(44)이 많이 열리는 외측 가지나 곁가지가 밑으로(하방으로) 쳐지거나 늘어지거나 꺽이거나 찢어지는 현상이 방지되며, 일부 무거운 과실(44)은 받침부(23)의 상부면에 얹히거나 걸쳐 받침되므로 과실(44)의 무게를 이기지 못하고 가지(43)나 곁가지(46)가 꺽어지거나 찢어지는 현상이 방지되며 낙과 또한 방지되며, 과실(44)이나 잎(45) 및 가지(43)나 곁가지(46) 등이 지면(40)에 닿아 발생되는 병충해, 고사, 생육부진 등의 현상도 방지된다.
본 발명에서 농작물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가지(43)나 곁가지(46) 및 잎(45) 등은 받침부(2)의 전후 단부에 형성되는 보조 지지공(15)(16)으로도 유입되어 받침 지지되면서 성장하고 보호된다.
상기 보조 지지공(15)(16)은 전후 보강부(5)(6)의 측면에 연결되되 바깥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돌출부(28)(29)와, 돌출부(28)(29)를 연결하는 연결부(30)(31)에 의해 대체로 사각형의 보조 지지공(15)(16)이 형성되어 농작물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줄기(42)나 가지(43) 또는 잎(45)과 과실(44) 등이 유입 및 지지되거나 받침되도록 함으로써 이들이 받침 지지 및 보호된다.
본 발명에서 받침부(2)의 양측에 형성되는 반원형 지지공(3a)은 일측 연결부(8)에 형성되는 연결공(26)과 타측 연결부(9)에 형성되는 결합돌부(27)가 암수 결합되면서 지지공(3)과 같은 형상의 원형 지지공이 만들어지므로 가까이 있는 농작물의 줄기(42), 가지(43), 곁가지(46) 등이 유입되어 받침 지지 및 보호된다.
본 발명에서 삽입공(10)의 상부 또는 하부로 돌출되는 일체형 보강테(10a)에 의해 삽입공(10)이 보강되며, 원형테(17)의 저부 양측에도 하향 돌출형 보강부(18)(19)에 의해 원형테(17)가 보강되며, 전후 보강부(5)(6)의 저부 양측에도 하향 돌출형 보강부(20)(21)(22)(23)가 형성되어 있어서 전후 보강부(5)(6)의 강도가 보강되며, 중앙 보강부(7)에도 하향 돌출형 보강부(24)(25)가 형성되어 있어서 중앙 보강부(7)의 강도가 보강된다.
한편, 농작물은 대부분 이랑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심어져 생육되므로 본 발명의 농작물 받침대(1)를 도 17과 같이 수평으로 연결시켜 이랑에 심어진 농작물의 줄기(42)와 가지(43) 및 과실(44) 등이 받침 지지되게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지면(40)에 꽂아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봉(11)을 이용하여 농작물 받침대(1)를 설치하되, 받침부(2)의 일측 단부에 복수로 형성되는 연결부(8)의 연결공(26)과 상기 농작물 받침대(1)에 이웃하여 설치되는 농작물 받침대(1a)의 타측 단부에 복수로 형성되는 연결부(9)의 결합돌부(27)를 암수 결합구조로 억지 결합시키면 도 17과 같이 농작물 받침대(1)와 이웃의 농작물 받침대(1a)가 수평으로 연결되면서 이랑에 심어진 농작물들이 받침 지지 및 보호된다.
따라서 농작물들의 줄기(42)나 가지(43), 곁가지(46) 등이 꺾이거나 찢어지는 현상이 방지됨은 물론 자연재해와 같은 외부 요인에 의해서도 농작물이 쓰러지지 않아 생육기간 동안 보호된다.
본 발명의 농작물 받침대(1)는 구성이 간단하여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조립할 수 있어서 설치비가 필요 없으며, 다년간 재사용할 수 있어서 매년 재구입할 필요가 없으며, 그에 따른 추가 비용이 들지 않는다.
본 발명의 농작물 받침대(1)는 이랑에 심어진 농작물을 따라 수평 및/또는 복층으로 설치되고 복수의 지지공(3)과 보조 지지공(4)(15)(16)을 통하여 농작물이 자라는 상태로 받침 지지 및 보호할 수 있어서 통풍이 잘 이루어지며 병충해 등을 크게 줄일 수 있고 생육이 촉진되어 고품질의 과실을 수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지지봉(11)에 의해 지지되는 받침부(2)에 의해 농작물이 받침 지지되므로 유인줄, 유인끈, 유인망, 유인집게, 거치대 등이 필요없다.
본 발명은 농작물의 줄기와 가지와 과실 등이 성장 상태로 자연스럽게 받침 지지되고, 농작물이 정열되므로 과실을 수확하기 좋을 뿐 아니라, 작업성도 우수하다.
본 발명은 수평 및 복층의 입체 구조에 의해 통풍이 잘 이루어지며 강풍이나 비바람에도 농작물이 쉽게 쓰러지지 않아 지면(40) 등에 닿아 발생하는 병충해, 고사, 생육부진 등이 방지되고 농작물이 썩거나 마르지 않는다.
본 발명은 한번 설치로 유지보수 비용이 거의 들지 않아 농작물 재배에 부담이 거의 없으며, 수박, 참외, 토마토, 딸기, 완두콩, 메론, 박, 오이, 고추, 가지, 등등의 넝쿨 식물의 받침 지지에도 매우 효과적이다.
본 발명은 종래 지주를 사용하는 방식에 비하여 인건비와 자재비와 설치비 및 유지보수비 등 전체 비용의 1/10 정도로 크게 절감되는 매우 유익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농작물 받침대(1)는 이와 같이 농작물이 자연재해에 의해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 뿐만 아니라 농작물이 위로 성장함에 따라 다수의 층으로 설치할 수 있어서 그 성장을 도와주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농작물 받침대(1)는 받침부(2)의 일측단부와 타측단부에 형성되는 암수 결합구조의 연결부(8)(9)를 이용하여 얼마든지 연결할 수 있어서 용이하게 조립 및 해체가 가능하며, 전체 두께가 얇아 적층 보관시 많은 공간을 차지 않는 장점이 있다.
도면부호 (41)은 이랑에 피복되는 멀칭비닐 또는 부직포 등이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본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다.
(1)--농작물 받침대 (2)--받침부
(3)--지지공 (4)--보조 지지공
(5)(6)--전후 보강부 (7)--중앙 보강부
(8)(9)--연결부 (10)--삽입공
(11)--지지봉 (15)(16)--보조 지지공
(17)--원형테 (18)(19)(20)(21)(22)(23)(24)(25)--보강부
(26)--연결공 (27)--결합돌부
(28)(29)--돌출부 (30)(31)--연결부
(40)--지면 (41)--멀칭비닐
(42)--줄기 (43)--가지
(44)--잎 (45)--실과(열매)
(46)--곁가지 (47)--지주
(48)--테이프형 지지구 (49)--몸체
(50)--압지공 (51)--수직 개방부
(52)--만곡부 (53)--과실
(111)--봉체 (112)--매입부
(113)--요입홈 (114)--삽지부
(115)--걸림테 (116)--삽입홈
(117)--보강돌부 (118)--돌출테
(119)--침상부 (120)--확장부
(t)(t1)(t2)--두께 (W1)(W2)--폭

Claims (7)

  1. 소정 크기의 받침부(2);
    받침부(2)에 형성되는 복수의 지지공(3);
    지지공(3) 사이에 형성되는 보조 지지공(4);
    받침부(2)의 전후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되는 전후 보강부(5)(6);
    받침부(2)의 중앙부를 보강하는 중앙 보강부(7);
    받침부(2)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에 형성되는 반원형 지지공(3a) 및 암수 결합구조의 연결부(8)(9);
    받침부(2)의 전후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복수의 삽입공(10);
    삽입공(10)에 결합되어 농작물 받침대(1)를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봉(11);
    을 포함하는 농작물 받침대.
  2.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받침부(2)에 형성되는 만곡부(52)를 포함하되,
    상기 만곡부(52)는 받침부(2)의 삽입공(10)을 기준으로 완만하게 상승됨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받침대.
  3. 청구항 제2항에 있어서;
    만곡부(52)의 높이(h3)는 받침부(2) 두께(t)의 2 ~ 10배 임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받침대.
  4. 청구항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받침부(2)의 전후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보조 지지공(15)(16);
    을 더 포함하는 농작물 받침대.
  5. 청구항 제1항 또는 청구항 제2항에 있어서;
    지지봉(11)은,
    길이가 긴 봉체(111) 외주연에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보강돌부(117);
    봉체(111) 하부에 형성되는 매입부(112);
    봉체(111) 상부에 형성되고 삽입공(10)이 끼워지는 삽지부(114);
    삽지부(114) 하부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테(115);
    삽지부(114)에 형성되고 다른 지지봉(11)의 매입부(112)가 결합되는 결합홈(116);
    봉체(11) 하부에 형성되고 봉체(11)보다 큰 외경의 돌출테(118);
    를 포함하는 농작물 받침대.
  6. 소정 크기의 받침부(2);
    받침부(2)에 형성되는 복수의 지지공(3);
    지지공(3) 사이에 형성되는 보조 지지공(4);
    받침부(2)의 전후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되는 전후 보강부(5)(6);
    받침부(2)의 중앙부를 보강하는 중앙 보강부(7);
    받침부(2)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에 형성되는 반원형의 지지공(3a) 및 암수 결합구조의 연결부(8)(9);
    받침부(2)의 전후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복수의 삽입공(10);
    삽입공(10)에 결합되는 테이프형 지지구(48);
    테이프형 지지구(48)에 압지되는 지주(47);
    를 포함하는 농작물 받침대.
  7. 청구항 제6항에 있어서;
    테이프형 지지구(48)는,
    몸체(49) 중앙에 수직으로 형성되고 지주(47)의 외주연을 감싸 압지하는 압지공(50);
    몸체(49) 일측에 형성되는 개방부(51);
    를 포함하고, 몸체(49)의 상부 외경은 삽입공(10) 내경보다 작고 몸체(49)의 하부 외경은 삽입공(10)의 내경보다 크게 구성된 농작물 받침대.
KR1020180072701A 2018-06-25 2018-06-25 농작물 받침대 KR202000006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2701A KR20200000646A (ko) 2018-06-25 2018-06-25 농작물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2701A KR20200000646A (ko) 2018-06-25 2018-06-25 농작물 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646A true KR20200000646A (ko) 2020-01-03

Family

ID=69155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2701A KR20200000646A (ko) 2018-06-25 2018-06-25 농작물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064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1003662S1 (en) * 2022-12-01 2023-11-07 Jack Chiu Tumbl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2345B1 (ko) 2011-06-27 2013-03-11 최순호 줄기작물의 성장안내장치
KR20150022330A (ko) 2013-08-23 2015-03-04 태광에이텍 주식회사 농작물 재배용 베드 받침대
KR101656449B1 (ko) 2015-06-26 2016-09-09 김순배 농작물용 다기능 생육 보호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2345B1 (ko) 2011-06-27 2013-03-11 최순호 줄기작물의 성장안내장치
KR20150022330A (ko) 2013-08-23 2015-03-04 태광에이텍 주식회사 농작물 재배용 베드 받침대
KR101656449B1 (ko) 2015-06-26 2016-09-09 김순배 농작물용 다기능 생육 보호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1003662S1 (en) * 2022-12-01 2023-11-07 Jack Chiu Tumbl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190019A1 (en) Plant support system and method
US20190029190A1 (en) Shield for protecting plants
KR101103038B1 (ko) 덩굴 식물 재배용 지지대
US20110036005A1 (en) String trellis apparatus
US20170339849A1 (en) Shield for protecting plants
KR100489434B1 (ko) 자동 개폐식 과수 비가림 하우스
JP2753977B2 (ja) 蔓性果樹棚の新梢支持方法およびその構造
KR20200000646A (ko) 농작물 받침대
JP2014076039A (ja) 自然薯の生産方法
KR101881100B1 (ko) 조립식 화분
Rigden et al. To net or not to net
CN106258445B (zh) 一种防台风豇豆田间栽培方法及其防台风栽培架
JP4163882B2 (ja) 櫓網床装置
JP5100698B2 (ja) 植物栽培用吊りフックおよび植物栽培方法
KR100749013B1 (ko) 농작물 지주대
KR102067357B1 (ko) 노지(露地) 비가림 고추나무 지지장치
JP5207160B1 (ja) 自然薯の栽培装置
KR200410894Y1 (ko) 오이 지주대
US2227818A (en) Process of raising and means for harvesting sesame
KR20190003193U (ko) 농작물용 다기능 지주대
JP3132058U (ja) 櫓網床装置
JP2002335750A (ja) 山芋栽培器
JP4441827B2 (ja) 立体栽培用のシステム・タワー
CN217850456U (zh) 一种简易抗风大棚
JPH0965771A (ja) 植物栽培用鉄筋支持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