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6734Y1 - 농작물용보호망장치 - Google Patents

농작물용보호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6734Y1
KR200166734Y1 KR2019990012902U KR19990012902U KR200166734Y1 KR 200166734 Y1 KR200166734 Y1 KR 200166734Y1 KR 2019990012902 U KR2019990012902 U KR 2019990012902U KR 19990012902 U KR19990012902 U KR 19990012902U KR 200166734 Y1 KR200166734 Y1 KR 2001667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ps
rope
net
fixed pipe
me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29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민
Original Assignee
김기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민 filed Critical 김기민
Priority to KR20199900129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67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67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673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Protec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농작물용 보호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격자형태로 짜여져 농작물을 포기별로 수용하는 그물망(1)과; 상기 그물망(1)의 길이방향 양단에 연결 설치되는 고정파이프(2)와; 상기 고정파이프(2)의 일단 측에 각각 연결 설치되는 소정길이의 로프(3)와; 상기 로프(3)의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그물망(1)의 장력을 조정하는 턴버클(4)과; 상기 로프(3)의 일단에 연결 설치되어 그물망(1) 및 고정파이프(2)의 높이를 조정하거나 고정시키는 조정구(5)와; 조정구(5)에 관통 설치되어 지면에 일정깊이 꽂아 세우기 위한 지지폴대(6)로 구성된 것인 바, 침수가 잦거나 바람이 잦은 지역의 농경지에 일정간격을 두고 재배되는 농작물을 단위별로 수용할 수 있는 보호망 장치를 설치함으로써 비바람, 태풍 및 홍수에 따른 농작물을 지탱시켜 농작물의 수확량을 대량 얻을 수 있게 되고, 적은 인원으로 일손을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어 재해발생 후 농작물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농작물용 보호망 장치{Protection netting apparatus for crops}
본 고안은 농작물용 보호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논이나 밭에서 작물 재배되는 농작물을 단위별로 각각 보호할 수 있도록 하여 홍수 또는 태풍에 의한 재해 발생시 농작물의 쓰러짐을 방지하여 농작물의 피해를 줄일 수 있도록 하고, 재해로 인한 많은 일손을 도울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토에 걸쳐 지방의 크고 작은 농경지에서는 벼농사를 비롯하여 각종 밭작물을 재배하는 농사가 오래 전부터 이루어져 왔고, 또 농작물의 재배는 농작물의 파종부터 각종의 재배공법에 의해 농작물의 병충해등을 방지할 수 있는 병충해퇴치방법과 수확량을 늘이는 재배공법으로 농작물을 재배하여 왔다. 재배조건은 기후 및 토양에 따라 그 지방의 독특한 재배공법이나 품종변이의 발전을 거듭하여 왔지만, 농경지의 위치에 따라 작물의 수확량, 작물의 품질, 품질에 따른 가격차이 등이 그 농작물의 재배조건을 말해주는 시발점을 감안한다면 그 만큼 토양 및 기후조건을 최고로 손꼽고 있음이 과언이 아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품종의 발전상에 따른 농작물을 재배함에 있어, 가장 악 영향을 받는 기후 및 지형조건은 재해로부터 농작물의 수확성을 가늠할 수 있는 척도인 것인 만큼 기후가 주는 조건은 작물의 수확량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피해에 대한 손상을 최대로 줄일 수 있는 점이 강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농작물의 피해에 따른 경우는 대부분 지형이 낮은 농경지의 경우 장마철 홍수로 인하여 농작물이 수장되는 사례가 빈번하였고, 지대가 높은 지역에서는 태풍을 동반하는 비바람에 의해 농작물이 꺽여 지거나 쓰러지는 피해로 추수기에는 수확량이 현저히 낮아져 그 해에 따른 농작물의 가격이 폭등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홍수로 인해 침수되었던 농작물은 대부분 배수되는 시점에서 물의 배수압력으로 물이 빠져나가는 방향으로 대다수 쓰러지게 되는데, 벼농사의 경우 쓰러진 벼를 빨리 일으켜 주지 않으면 벼이삭에서 싹이 트는 사례가 나타나게 되어 벼농사를 망치게 된다. 이러한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쓰러진 벼를 신속한 기일내에 세워주어야 하는데 이로 인한 일손이 매우 모자라는 형편이어서 결국 벼농사의 수확을 기대하기란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벼농사뿐만 아니라 고추, 가지, 콩 등의 밭작물의 경우에도 이에 모두 해당되며 일년에 적어도 한번 또는 두 번 발생하는 홍수 및 태풍에 대한 농작물을 보호할 수 있는 해결방안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일률적으로 파종되는 재배되는 농작물의 높이에 따라 자라나는 적정위치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농작물을 각 단위별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 재해발생시 농작물의 쓰러짐을 방지하여 농작물의 수확량을 보존하면서 일손을 도울 수 있는 농작물 보호망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하면, 격자형태로 짜여져 농작물을 포기별로 수용하는 그물망과; 그물망의 길이방향 양단에 연결 설치되는 고정파이프와; 고정파이프의 일단 측에 각각 연결 설치되는 소정길이의 로프와; 로프의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그물망의 장력을 조정하는 턴버클과; 로프의 일단에 연결 설치되어 그물망 및 연결파이프의 높이를 조정하거나 고정시키는 조정구와; 조정구에 관통 설치되어 지면에 일정깊이 꽂아 세우기 위한 지지폴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용 보호망 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고안인 보호망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보호망 장치를 이용하여 농작물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따른 그물망에 농작물이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분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그물망의 사용상태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그물망 2: 고정파이프
3: 로프 4: 턴버클
5: 조정구 6: 지지폴대
이하, 본 고안을 일 실시예로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인 보호망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보호망 장치를 이용하여 농작물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따른 그물망에 농작물이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분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그물망의 사용상태 평면도이다.
본 고안의 보호망 장치 구성은 격자형태로 짜여진 그물망(1)을 일정범위(농작물을 포기별로 수용할 수 있는 정도)로 형성시켜 구비하고, 구비된 그물망(1)의 길이방향 일단은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제작된 고정파이프(2)에 각각 연결 설치된다.
상기 그물망(1)은 pp(폴리프로필렌) 또는 나일론 재질로 짜여지거나 연질의 합성수지계열로 사출 성형하여 필요로 하는 넓이만큼 절단하거나 각 일단부분을 연결하여 상기 고정파이프(2)에 연결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격자형태로 다수의 그물눈을 갖는 그물망(1)은 일정간격 범위로 그물망(1)이 하나 또는 두 개정도의 그물눈으로만 형성한다. 여기서 그물망(1) 중에 하나 또는 두 개정도로 형성되는 부위는 밭작물에서 농작물을 재배하는 이가 넘어 다니기에 용이하게 하면서 작물을 재배하거나 수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파이프(2)의 일단 측에는 소정 길이를 갖는 로프(3)를 연결 설치하되, 로프(3)의 소정부분에는 상기 그물망(1)의 장력을 조정하는 턴버클(4)이 각각 연결 설치된다.
또한, 상기 로프(3)의 일단은 그물망(1) 및 연결파이프(2)의 높이를 조정하거나 고정시키는 조정구(5)에 연결 설치되며, 조정구(5)는 지면에 일정깊이 꽂아 세우기 위한 지지폴대(6)로 관통 설치되어 소정부분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 조정구(5)는 원통형의 링 형상으로 일측에 연결 로프(3)를 연결 고정하기 위한 연결공(5a)이 형성되고 일측에 체결보울트(5b)가 관통 설치되어 지지폴대(6)의 소정위치에서 고정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지지폴대(6)는 일단부터 길이방향으로 갈수록 뾰족하게 일부분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몸통 소정위치에 체결보울트(5b)의 일단을 걸어 지지할 수 있는 고정공(6a)이 일정간격으로 배열 형성되고 일단에는 지지폴대(6)를 지면에 박기 위한 타격부(6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농작물 보호망 장치의 설치에 다른 그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보호망 장치의 설치는 농경지에 파종된 작물이 30Cm 내외로 자라는 상태에서 설치시켜 주는데, 농작물이 재배되는 농경지의 일정범위 내에서 그물망(1)을 펼쳐 소정높이가 되도록 로프(3)를 연결하고 있는 지지폴대(6)를 적당한 지면에 위치시킨 후 별도의 장비를 이용하여 지지폴대(6)의 타격부(6b)를 타격시켜 일정깊이로 박아 그물망(1)이 가지는 하나의 그물눈 내에 작물이 수용되도록 한다.
보호망의 설치는 농격지의 크기에 따라 다수로 설치되거나 재해로 인한 취약지구만을 선택하여 설치하여 준다.
논에 설치하는 경우는 벼포기가 대략 4포기 또는 6포기정도가 한 그물눈 내에서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그물눈은 작물의 종류에 따라 그 크기가 변경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보호망 장치는 만일, 그물망(1)이 거의 수직으로 자라는 농작물에 대해 평행하게 설치되도록 고정파이프(2)와 지지폴대(6) 사이의 로프(3)에 설치된 턴버클(4)을 이용하여 고정파이프(2)를 포함하는 그물망(1)이 처지는 형태의 장력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보호망 설치가 있은 후 농작물이 일정높이 이상으로 자라게 되면, 상기 지지폴대(6)에 설치된 조정구(5)를 지지폴대(6) 상에서 위치 이동시켜 다시 견고히 고정시켜 그물망(1)의 위치는 작물의 높이에 절반정도의 높이로 일치시켜 작물의 쓰러짐에 대한 지탱이 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조정구(5)의 고정은 조정구(5)측에 구비된 체결보울트(5b)를 풀어 지지폴대(6)상에서 유동되도록 한 후 지지폴대(6)의 소정구간에 걸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고정공(6a)에 체결보울트(5b)를 위치시켜 체결 고정시키는 방법으로 그만큼의 그물망(1)의 높이 이동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보호망 장치는 하절기의 장마로 인한 홍수발생시 침수된 농경지로부터 재배되고 있던 농작물은 침수시에는 침수된 물의 유동에 따라 배수되는 시점부터 배수압력에 의해 견디지 못하고 쓰러지게 되는데 이때 농작물은 그물망(1)의 그물눈 내에서 기대어져 쓰러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태풍을 동반하는 비바람 발생에 있어, 농작물의 쓰러짐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재해로 인한 농경지의 후처리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는 만약의 경우 일부의 지지폴대(6)가 뽑혀져 쓰러진 경우라 할 지라도 지지폴대(6)를 다시 세우면서 로프(3)에 의해 고정파이프(2)를 당겨주면, 일률적으로 고정파이프(2)에 연결 설치된 그물망(1)은 쓰러진 농작물을 바로 세울 수 있어 많은 인원의 작업자를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도 신속하게 농작물을 세워 수확물의 탈락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보호망 장치는 특히 장마시 침수가 잘되는 지역에 배치시켜 설치하여 재해로 인한 농작물의 피해를 최저로 줄 일 수 있는 잇점이 있고, 이와 같이 농작물의 보호에 따라 농작물의 수확량을 대폭 늘릴 수 있어 농촌 진흥에 부응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보호망 장치는 농작물 외에 수목을 키우는 수목장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며, 이에 한정하지 않고 사용이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침수가 잦거나 바람이 잦은 지역의 농경지에 일정간격을 두고 재배되는 농작물을 단위별로 수용할 수 있는 보호망 장치를 설치함으로써 비바람, 태풍 및 홍수에 따른 농작물을 지탱시켜 농작물의 수확량을 대량 얻을 수 있게 되고, 적은 인원으로 일손을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어 재해발생 후 농작물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Claims (5)

  1. 격자형태로 짜여져 농작물을 포기별로 수용하는 그물망(1)과;
    상기 그물망(1)의 길이방향 양단에 연결 설치되는 고정파이프(2)와;
    상기 고정파이프(2)의 일단 측에 각각 연결 설치되는 소정길이의 로프(3)와;
    상기 로프(3)의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그물망(1)의 장력을 조정하는 턴버클(4)과;
    상기 로프(3)의 일단에 연결 설치되어 그물망(1) 및 고정파이프(2)의 높이를 조정하거나 고정시키는 조정구(5)와;
    조정구(5)에 관통 설치되어 지면에 일정깊이 꽂아 세우기 위한 지지폴대(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용 보호망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그물망(1)은 pp(폴리프로필렌) 또는 나일론 재질로 짜여지거나 연질재질을 갖는 합성수지계열로 사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용 보호망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격자형태로 다수의 그물눈을 갖는 그물망(1)은 일정간격 범위로 그물망 부위중 하나 또는 두 개정도의 그물눈으로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용 보호망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조정구(5)는 원통형의 링 형상으로 일측에 연결 로프(3)를 연결 고정하기 위한 연결공(5a)이 형성되고 일측에 체결보울트(5b)가 관통 설치되어 지지폴대(6)의 소정위치에서 고정 설치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용 보호망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지지폴대(6)는 일단부터 길이방향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몸통 소정위치에 체결보울트(5b)의 일단을 걸어 지지할 수 있는 고정공(6a)이 일정간격으로 배열 형성되며, 일측에는 지면에 지지폴대를 때려 박기 위한 타격부(6b)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용 보호망 장치.
KR2019990012902U 1999-07-02 1999-07-02 농작물용보호망장치 KR2001667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2902U KR200166734Y1 (ko) 1999-07-02 1999-07-02 농작물용보호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2902U KR200166734Y1 (ko) 1999-07-02 1999-07-02 농작물용보호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6734Y1 true KR200166734Y1 (ko) 2000-02-15

Family

ID=19579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2902U KR200166734Y1 (ko) 1999-07-02 1999-07-02 농작물용보호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673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5783B1 (ko) * 2020-07-07 2021-06-17 충청북도 (관리부서:충청북도 농업기술원) 고설베드 재배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5783B1 (ko) * 2020-07-07 2021-06-17 충청북도 (관리부서:충청북도 농업기술원) 고설베드 재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855230B (zh) 一种火龙果a型管架式矮化密植栽培的方法
KR101178837B1 (ko) 잡초제거장치
KR200166734Y1 (ko) 농작물용보호망장치
CN105993743A (zh) 果园用抑制杂草生长的地布及其使用方法
US20020050095A1 (en) Garden hot house
Schweitzer et al. Methods to improve establishment and growth of bottomland hardwood artificial regeneration
Zollner Sand dune stabilization in Central Somalia
JPH11137094A (ja) 稲倒れ防止方法
CN211210774U (zh) 一种烟草除草、保肥、保水用草帘装置
JP2001275502A (ja) 水面浮き床式農法
KR20100015267A (ko) 사전적응형 식생매트를 이용한 친환경 경사면 시공방법
KR20200000106U (ko) 인삼밭 차광 구조물
CN109362413A (zh) 一种蔓生无限生长型番茄栽培支撑架及栽培方法
KR20190003193U (ko) 농작물용 다기능 지주대
KR101393713B1 (ko) 속성 녹화용 마삭줄 및 이를 이용한 대면적 속성 녹화방법
KR20230070570A (ko) 식물 및 각종 모종 성장 보호구
CN213204156U (zh) 边坡垂直绿化防护结构
CN109042035B (zh) 桃园省力化网式栽培的方法
JP2717368B2 (ja) 法面植栽工法
JP3040956B2 (ja) 木が植生されたのり面
EP0473438B1 (en) Promoting germination of seed
KR200174583Y1 (ko) 농작물 지지 보호 장치
SU1079212A1 (ru) Способ выращивани растений
JP2003313873A (ja) 法面被覆用植込みマットと、それによる法面被覆方法
CN112997831A (zh) 百合田间杂草绿色防控新技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9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