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0106U - 인삼밭 차광 구조물 - Google Patents

인삼밭 차광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0106U
KR20200000106U KR2020180003077U KR20180003077U KR20200000106U KR 20200000106 U KR20200000106 U KR 20200000106U KR 2020180003077 U KR2020180003077 U KR 2020180003077U KR 20180003077 U KR20180003077 U KR 20180003077U KR 20200000106 U KR20200000106 U KR 2020000010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aper
shading
ginseng field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30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천교
Original Assignee
신천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천교 filed Critical 신천교
Priority to KR20201800030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0106U/ko
Publication of KR2020000010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10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06Canopies, i.e. devices providing a roof above the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plant cover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광지가 바람에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차광지의 상면에 복수 개의 구속로프를 설치함으로써, 별도의 보강 자재(나무 쫄대)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자재비를 절약할 수 있으며, 작업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는 인삼밭 차광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인삼밭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서로 이격하여 일렬로 정렬되는 복수 개의 제1지주목; 인삼밭을 두고 상기 제1지주목의 맞은편에 설치되어, 서로 이격하여 일렬로 정렬되는 복수 개의 제2지주목; 상기 제1지주목과 상기 제2지주목의 각 상부를 연결하기 위한 복수 개의 연결지주목; 상기 연결지주목의 상측에 거치되어, 인삼밭의 상측을 덮어 가리기 위한 차광지; 상기 연결지주목의 각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차광지의 일측을 걸어 고정시켜 주기 위한 제1고정후크; 및 상기 연결지주목의 다른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차광지의 다른 일측을 걸어 고정시켜 주기 위한 제2고정후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인삼밭 차광 구조물{The sunblind structure for ginseng fields}
본 고안은 차광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인삼밭에 조사되는 직사광선을 차광하여, 인삼에 적합한 생장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인삼밭 차광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예 작물, 인삼 및 버섯 등은, 재배 환경에 따라 그린 하우스 또는 옥외 재배지에서 경작되어 진다. 이러한 농작물은 생장환경이 수확량과 품질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어, 농작물의 수확 향상을 위하여 각 작물에게 적합한 생장 환경을 조성해주는 것이 필수적이다.
특히, 인삼은 특용작물로서 생태환경이 다른 식물보다 매우 까다롭게 이루어지고 있다. 인삼 재배를 위한 적정 환경은 평균기온이 연간 0.9~13.9℃이고, 하절에는 20~25℃를 유지하여야 하며 35℃가 넘으면 생리적 장해가 생기게 된다. 강우량은 연간 700~2,000㎜이나, 적당량은 1,100~1,300㎜가 적절하며, 강설량이 비교적 적은 곳이 좋다. 일조량에 있어 인삼은 반양반음을 좋아하는 반음지성 식물로서 직사광선은 좋지 않고, 광학적으로는 산란광이 좋으며, 옥외광선의 1/8~1/13정도의 조도가 알맞다.
지세는 평탄지 또는 북향이나 동북향의 완경사지로서 북쪽에 높은 산이나 방풍물이 없이 넓게 트인 곳이 적지이다. 토양의 경우 표토는 사양토 또는 식양토이고, 심토는 점토질이 다소 많은 식양토로서 토층의 구분이 명료한 곳으로 특히 배수가 잘 되는 곳이 좋다. 초작지가 좋으며 연작할 때에는 밭은 10년 이상, 논은 6년 이상 경과해야 한다. 예정지는 최소한 1~2년간 휴한해야 하며 휴한 중에는 연중 15회 이상, 15㎝ 이상 깊이로 갈고 기비를 시여하는 동시에 일광 또는 약제 살포로 토양소독을 하여 병충해 예방을 한다.
인삼은 직사광선을 기피하므로 해가림 시설에 차광막을 더하여 재배하는데, 따라서, 상기와 같은 재배조건을 인위적으로 조성하기 위해 인삼재배 밭에는 차광막 시설을 하여 직사광선은 회피시키고 산란광을 받도록 광량에 대한 조절과 온도조건 등을 맞춰주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차광막 재배법은 산삼의 종자나 어린 묘를 산림 속에 파종하거나 심어서 재배하는 방법에서 시작하여, 그 후 산간지역에서부터 점차 평탄지로 옮겨져 오늘날의 밭에서 재배하는 차광막 재배법으로 발달되었다. 종래 인삼 재배를 위한 차광막 시설물을 간략히 살펴보면, 전방과 후방에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는 전방지주 및 후방지주와, 전방지주와 전방지주, 후방지주와 후방지주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구비되는 수평부재와, 전방지주와 후방지주를 경사지도록 연결하는 연결부재, 전방지주 및 후방지주의 상단에 구비되어, 수평부재와 연결부재를 연결하는 조인트로 구성된 차광막 지지대와, 상기 치광막 지지대에얹혀져서 태양광의 직사광선을 반사하는 차광막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한국등록 실용신안 제20-0383280호(2005.04.25. 등록)는 필름사가 조밀하고 두껍게 제작되어 차광효과를 높히고 복사열을 차단하여 보온효과를 높일 수 있는 인삼밭 지붕용 차광막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는데, 상기 차광막은, 다수개의 폴리에치렌 필름사가 지그재그로 배치되어 폴리에치렌 모노사를 엮음모노사로 사용하여 다중입체조직으로 제직 형성한 인삼밭 지붕용 차광막에 있어서, 다수의 제1,2,3,4,5,6 필름사가 다수 개 엮음모노사에 연결되어 통과하고, 감아 도는 지그재그 방식으로 편직 되어 6중직으로 완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등록 실용신안 제20-019-2043호(2000.05.31. 등록)는 세로대와 가로대의 연결 설치를 클립으로 하여 간편하게 설치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인삼밭 차광망 지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차광망을 지지하여 주는 세로대와 가로대의 연결 설치시 단위적으로 형성된 클립을 이용 하여 간편하게 연결을 시켜 가면서 작업을 하게 되어 설치작업(1)이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되고, 그에 따른 인건비가 절감되게 되며, 상기 세로대나 가로대가 고가인 목재로 되어 있지 않음에 따라서 제조원가가 절감되게 되며, 상기 세로대와 가로대의 재질이 합성수지로 되어 있어서 눈이나 비 등에 의해 변형이나 부식이 이루어지지 않음에 따라 반영구적으로 사용을 하게 되고, 그에 따른 세로대나 가로대의 교체작업에 빈번하게 발생되지 않게 되어 자재구입비나 인건비 등이 소비되는 것이 방지가 되며,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세로대나 가로대에 의해 차광망을 덮을 때 차광망을 견고하게 지지하여 주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차광막(또는, 차광지)은, 차광막의 가장자리를 지지구조에 못질하여 고정하는 구조로서, 광량을 늘이기 위하여 차광막을 걷는 경우, 못질한 부위가 훼손되어 재사용하지 못하는 한계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차광막(또는, 차광지)은, 바람에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면에 보강자재(나무쫄대)를 덧붙이는데, 차광막에 보강자재를 덧붙이는 과정에서 상당의 자재비가 소요되며 과도한 작업 노동력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 실용신안 제20-0383280호 한국등록 실용신안 제20-019-2043호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한계점 및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광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차광지를 설치하거나 걷어 보관하는 것이 간편하고, 바람에 대한 차광막의 고정 구조를 간소화 하여 구현한 인삼밭 차광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한 특징에 따르면, 인삼밭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서로 이격하여 일렬로 정렬되는 복수 개의 제1지주목; 인삼밭을 두고 상기 제1지주목의 맞은편에 설치되어, 서로 이격하여 일렬로 정렬되는 복수 개의 제2지주목; 상기 제1지주목과 상기 제2지주목의 각 상부를 연결하기 위한 복수 개의 연결지주목; 상기 연결지주목의 상측에 거치되어, 인삼밭의 상측을 덮어 가리기 위한 차광지; 상기 연결지주목의 각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차광지의 일측을 걸어 고정시켜 주기 위한 제1고정후크; 및 상기 연결지주목의 다른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차광지의 다른 일측을 걸어 고정시켜 주기 위한 제2고정후크를 포함하는 인삼밭 차광 구조물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인삼밭 차광 구조물은, 일측은 상기 제1고정후크의 상부와 연결되고, 다른 일측은 상기 제2고정후크의 상부와 연결되어, 상기 차광지의 상면에 덧붙여져, 상기 차광지의 상향 움직임을 구속하기 위한 구속로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구속로프는, 상부에 형성되어 제1고정후크를 걸어 고정하기 위한 고리를 형성하는 제1매듭부; 상기 제1매듭부와 이격되어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2고정후크를 걸어 고정하기 위한 고리를 형성하는 제2매듭부; 상기 제1매듭부와 제2매듭부를 연결시켜 주기 위한 연결부; 및 상기 제1매듭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고정후크는, 상기 차광지의 일측을 걸어 고정시켜 주기 위한 제1걸림부재; 상기 제1걸림부재의 상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연결지주목의 일측에 고정되는 제1고정부재; 및 상기 제1고정부재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구속로프의 일측과 연결되기 위한 제1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고정후크는, 상기 차광지의 다른 일측을 걸어 고정시켜 주기 위한 제2걸림부재; 상기 제2걸림부재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연결지주목(300)의 다른 일측에 고정되는 제2고정부재; 및 상기 제2고정부재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구속로프의 다른 일측과 연결되기 위한 제2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인삼밭 차광 구조물에 의하면, 차광지가 바람에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차광지의 상면에 복수 개의 구속로프를 설치함으로써, 별도의 보강 자재(나무 쫄대)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자재비를 절약할 수 있으며, 작업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다.
더불어, 본 고안에 따른 인삼밭 차광 구조물에 의하면, 폭설이 내리는 경우 차광지를 걷어 올린 상태에서 묶어 고정시킴으로써, 눈의 무게에 의하여 차광지가 내려 앉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인삼밭 차광 구조물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나타낸 연결지주목, 차광막, 제1고정후크, 제2고정후크 및 구속로프의 연결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나타낸 제1고정후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 나타낸 제2고정후크의 사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고안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인삼밭 차광 구조물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인삼밭 차광 구조물(이하, "차광 구조물" 이라함.)은, 광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차광지를 설치하거나 걷어 보관하는 것이 간편하고, 바람에 대한 차광막의 고정 구조를 간소화 하여 구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차광 구조물은, 인삼밭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예시되었으나, 다른 농작물의 경작지에 이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차광 구조물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차광 구조물은, 제1지주목(100), 제2지주목(200), 연결지주목(300), 차광지(400), 제1고정후크(500), 제2고정후크(600) 및 구속로프(700)를 포함한다.
상기 제1지주목(100)은, 복수 개로 구비되며, 인삼밭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서로 이격하여 일렬로 정렬된다.
상기 제1지주목(100)은, 소정의 수직 길이를 가지어, 상기 인삼밭을 기준으로 북쪽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지주목(200)은, 복수 개로 구비되며, 인삼밭을 두고 상기 제1지주목(100)의 맞은편에 설치되어, 서로 이격하여 일렬로 정렬된다.
상기 제2지주목(200)은, 상기 제1지주목(100)의 수직 길이보다 짧은 수직 길이를 가지며, 상기 인삼밭을 기준으로 남쪽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 지주목(300)은, 상기 제1지주목(100)과 상기 제2지주목(200)의 각 상부를 연결한다.
상기 연결 지주목(300)은, 남쪽으로 갈수록 하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광지(400)은, 상기 연결지주목(300)의 상측에 거치되어, 인삼밭의 상측을 덮어 가린다.
상기 제1고정후크(500)는, 상기 연결지주목(300)의 각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차광지(400)의 일측을 걸어 고정시켜 준다.
도 2는 도 1에서 나타낸 연결지주목(300), 차광막(400), 제1고정후크(500), 제2고정후크(600) 및 구속로프(700)의 연결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나타낸 제1고정후크의 사시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1고정후크(500)는, 상기 연결지주목(300)의 측벽에 타카 핀(P)에 의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고정후크(500)는, 제1걸림부재(510), 제1고정부재(520) 및 제1연결부재(5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걸림부재(510)는, 상기 차광지(400)의 일측을 걸어 고정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걸림부재(510)는, 도 3과 같이 '??' 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하부에 상기 차광지(400)이 걸려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고정부재(520)는, 상기 제1걸림부재(510)의 상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연결지주목(300)의 일측에 고정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고정부재(520)는, 도 3과 같이 '??'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연결부재(530)는, 상기 제1고정부재(520)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구속로프(700)의 일측과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부재(530)는, '??'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후크(500)는, 상기 연결부재(530)의 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차광지(400)의 상측에 이격 설치되는 이중직(미도시)이 걸림 고정되기 위한 보조 걸림부재(5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고정후크(600)는, 상기 연결지주목(300)의 다른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차광지(400)의 다른 일측을 걸어 고정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2고정후크(600)는, 상기 연결지주목(300)의 상면에 타카 핀(P)에 의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는 도 2에서 나타낸 제2고정후크(600)의 사시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고정후크(600)는, 도 4를 참조하면, 제2걸림부재(610), 제2고정부재(620) 및 제2연결부재(6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걸림부재(610)는, '1'자 형상으로 상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걸림부재(610)는, '/'자 형상으로 수평에 비스듬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2걸림부재(610)에 걸려지 차광막(40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고정부재(620)는, 눕혀진'∩'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절곡된 부위에 타카 핀(P)이 꼽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연결부재(630)는, 상기 제2고정부재(620)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어, '/'자 형상으로 수평에 비스듬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2연결부재(630)는, 상기 제2걸리부재(610)의 기울기보다 완만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속로프(700)는, 일측은 상기 제1고정후크(500)의 상부와 연결되고, 다른 일측은 상기 제2고정후크(600)의 상부와 연결된다.
상기 구속로프(700)는, 상기 차광지(400)의 상면에 덧붙여져, 상기 차광지(400)의 상향 움직임을 구속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구속로프(700)는, 제1매듭부(710), 제2매듭부(720), 연결부(730) 및 연장부(7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매듭부(710)는, 상기 구속로프(700)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고정후크(500)에 걸림 고정되기 위한 고리를 형성한다.
상기 제2매듭부(720)는, 상기 제1매듭부(710)와 이격되어, 상기 구속로프(700)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2고정후크(600)에 걸림 고정되기 위한 고리를 형성한다.
상기 연결부(730)는, 상기 제1매듭부(710)와 제2매듭부(720)를 연결시켜 준다.
상기 연장부(740)는, 상기 제1매듭부(710)로부터 연장 형성된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차광지(400)을 인삼밭으로부터 겉어내는 경우, 상기 차광지(400)을 상기 제2고정후크(600)로부터 분리하여 말아 감은 후, 상기 연장부(740)를 상기 말려진 차광지(400)의 외주를 둘러싸서 매듭 지어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차광 구조물에 의하면, 광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차광지를 설치하거나 걷어 보관하기에 용이하며, 차광지를 반복하여 재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차광 구조물에 의하면, 차광지가 바람에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차광지의 상면에 복수 개의 구속로프를 설치함으로써, 별도의 보강 자재(나무 쫄대)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자재비를 절약할 수 있으며, 작업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고안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제1지주목
200: 제2지주목
300: 연결지주목
400: 차광지
500: 제1고정후크
510: 제1걸림부재
520: 제1고정부재
530: 제1연결부재
540: 보조 걸림부재
600: 제2고정후크
610: 제1걸림부재
620: 제1고정부재
630: 제1연결부재
700: 구속로프

Claims (5)

  1. 인삼밭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서로 이격하여 일렬로 정렬되는 복수 개의 제1지주목(100);
    인삼밭을 두고 상기 제1지주목(100)의 맞은편에 설치되어, 서로 이격하여 일렬로 정렬되는 복수 개의 제2지주목(200);
    상기 제1지주목(100)과 상기 제2지주목(200)의 각 상부를 연결하기 위한 복수 개의 연결지주목(300);
    상기 연결지주목(300)의 상측에 거치되어, 인삼밭의 상측을 덮어 가리기 위한 차광지(400);
    상기 연결지주목(300)의 각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차광지(400)의 일측을 걸어 고정시켜 주기 위한 제1고정후크(500); 및
    상기 연결지주목(300)의 다른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차광지(400)의 다른 일측을 걸어 고정시켜 주기 위한 제2고정후크(600)를 포함하는 인삼밭 차광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일측은 상기 제1고정후크(500)의 상부와 연결되고, 다른 일측은 상기 제2고정후크(600)의 상부와 연결되어, 상기 차광지(400)의 상면에 덧붙여져, 상기 차광지(400)의 상향 움직임을 구속하기 위한 구속로프(7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밭 차광 구조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로프(700)는,
    상기 구속로프(700)는,
    상부에 형성되어 제1고정후크(500)를 걸어 고정하기 위한 고리를 형성하는 제1매듭부(710);
    상기 제1매듭부(710)와 이격되어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2고정후크(600)를 걸어 고정하기 위한 고리를 형성하는 제2매듭부(720);
    상기 제1매듭부(710)와 제2매듭부(720)를 연결시켜 주기 위한 연결부(730); 및
    상기 제1매듭부(710)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740)를 포함하는 인삼밭 차광 구조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후크(500)는,
    상기 차광지(400)의 일측을 걸어 고정시켜 주기 위한 제1걸림부재(510);
    상기 제1걸림부재(510)의 상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연결지주목(300)의 일측에 고정되는 제1고정부재(520); 및
    상기 제1고정부재(520)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구속로프(700)의 일측과 연결되기 위한 제1연결부재(530)를 포함하는 인삼밭 차광 구조물.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후크(600)는,
    상기 차광지(400)의 다른 일측을 걸어 고정시켜 주기 위한 제2걸림부재(610);
    상기 제2걸림부재(620)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연결지주목(300)의 다른 일측에 고정되는 제2고정부재(620); 및
    상기 제2고정부재(620)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구속로프(700)의 다른 일측과 연결되기 위한 제2연결부재(630)를 포함하는 인삼밭 차광 구조물.
KR2020180003077U 2018-07-04 2018-07-04 인삼밭 차광 구조물 KR2020000010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077U KR20200000106U (ko) 2018-07-04 2018-07-04 인삼밭 차광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077U KR20200000106U (ko) 2018-07-04 2018-07-04 인삼밭 차광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106U true KR20200000106U (ko) 2020-01-14

Family

ID=69155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3077U KR20200000106U (ko) 2018-07-04 2018-07-04 인삼밭 차광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0106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3672B1 (ko) 2020-07-27 2020-12-22 홍성로 인삼밭 차양막 지주용 목재 제조방법,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지주용 목재 및, 이 지주용 목재를 이용한 인삼밭 차양막 지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2043Y1 (ko) 2000-03-08 2000-08-16 주식회사동일수지 인삼밭 차광망 지지구조
KR200383280Y1 (ko) 2005-02-23 2005-05-03 박순심 인삼밭 지붕용 차양막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2043Y1 (ko) 2000-03-08 2000-08-16 주식회사동일수지 인삼밭 차광망 지지구조
KR200383280Y1 (ko) 2005-02-23 2005-05-03 박순심 인삼밭 지붕용 차양막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3672B1 (ko) 2020-07-27 2020-12-22 홍성로 인삼밭 차양막 지주용 목재 제조방법,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지주용 목재 및, 이 지주용 목재를 이용한 인삼밭 차양막 지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9434B1 (ko) 자동 개폐식 과수 비가림 하우스
CN204707611U (zh) 防虫网棚
KR20200000106U (ko) 인삼밭 차광 구조물
KR100703822B1 (ko) 인삼 재배용 해가림 구조
KR102167311B1 (ko) 터널 하우스형 인삼 재배 시설
CN110892835A (zh) 一种基于林业调查规划树木幼苗保护装置及使用方法
CN107750778A (zh) 一种高抗多用途果树避雨的新型栽培篱架
JP2015149970A (ja) 蔓植物栽培装置
CN105993743A (zh) 果园用抑制杂草生长的地布及其使用方法
KR20100001595U (ko) 철재 지주에 구멍을 뚫어 대형화된 연목용 강선, 도리용와이어로프, 피복을 연결하여 제작하는대형강선해가림이라는 물품의 제작법.
KR102215938B1 (ko) 홉의 재배설비
CN208724566U (zh) 一种花瓣式种植盆及羊肚菌立体栽培系统
KR20100015267A (ko) 사전적응형 식생매트를 이용한 친환경 경사면 시공방법
CN109362413A (zh) 一种蔓生无限生长型番茄栽培支撑架及栽培方法
CN115053764B (zh) 一种高海拔规范化有机种植霍山石斛的方法
KR20160069261A (ko) 고추나무 병충해 예방방법 및 장치
KR20190003193U (ko) 농작물용 다기능 지주대
KR200166734Y1 (ko) 농작물용보호망장치
KR102278314B1 (ko) 수목재배지 상의 가림막 설치공법
JP2010046014A (ja) 農作物の倒伏防止と天日乾燥及び次期文献に記載する部材装置を稼動させる農業施設
Kratky Plastic-covered rainshelters for vegetable production in the tropics
KR200381017Y1 (ko) 인삼밭용 차광막 받침대
KR101194071B1 (ko) 강선해가림
KR200452524Y1 (ko) 강선해가림의 설치 구조
JP4326550B2 (ja) 嵩上げ土壌台と嵩上げ土壌台による強風対策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