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7214Y1 - 배터리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배터리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7214Y1
KR200197214Y1 KR2019970039131U KR19970039131U KR200197214Y1 KR 200197214 Y1 KR200197214 Y1 KR 200197214Y1 KR 2019970039131 U KR2019970039131 U KR 2019970039131U KR 19970039131 U KR19970039131 U KR 19970039131U KR 200197214 Y1 KR200197214 Y1 KR 2001972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lamp
tray
battery tray
predetermine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91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6593U (ko
Inventor
이기원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700391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7214Y1/ko
Publication of KR1999002659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659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72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721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4Arrangement of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터리의 장착 및 탈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배터리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배터리(20)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엔진 룸의 소정 부위에 설치되는 배터리 트레이(10)와; 상기 배터리 트레이(10)의 양측에 설치되며, 상기 배터리(20)를 고정시키는 클램프(40)와; 상기 클램프(4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그 상부의 소정 부위에 형성되는 손잡이(4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종래의 결합용로드(44)와 너트(36)를 사용하지 않고 배터리(20)를 고정시키므로 탈 장착을 손쉽게 할 수 있으며, 배터리(20)를 고정하기 위한 부품의 수가 대폭 감소되어 작업 능률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져온다.

Description

배터리 고정장치
본 발명은 배터리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터리의 장착 및 탈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배터리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배터리 고정장치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배터리 트레이(10)의 상부에 배터리(20)를 안착하고, 상기 배터리(20)를 체결장치로 고정하게 된다. 상기 배터리 트레이(10)의 양측에는 상단부에 볼트산이 형성된 결합용로드(44)의 하단이 삽입되는 구멍(1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20)의 상부에는 복수개의 단자(22)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체결장치는 결합용로드(44)와, 상기 결합용로드(44)의 볼트산에 삽설되어 배터리(20)의 상면에 안착되는 체결편(32)과, 상기 결합용로드(44)의 볼트산에 체결하는 너트(36)로 구성된다.
제1도에서, 미설명 부호 38은 체결편(32)에 형성되며, 상기 체결편(32)을 볼트(34)에 삽설하기 위한 구멍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배터리 고정장치는 배터리 트레이(10)에 배터리 (20)를 올려놓고 결합용로드(44)의 수직절곡된 하단부를 배터리 트레이(10)의 구멍(12)에 끼우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20)의 상단에 체결편(32)의 구멍(38)에 결합용로드(44)의 볼트산부위를 상기 체결편(32)의 구멍(38)에 끼우고 너트(36)로 조이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배터리 고정장치는 그 조립이 불편하고, 규정된 한 종류의 배터리만을 고정하는데 사용할 수 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배터리의 장착 및 탈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여러 종류의 배터리를 고정시킬 수 있는 배터리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제1도는 종래의 배터리 고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배터리 고정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배터리 트레이 12,38 : 구멍
20 : 배터리 22 : 단자
32 : 체결편 40 : 클램프
41 : 탄성부재 42 : 힌지
43 : 손잡이 44 : 결합용 로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배터리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엔진룸의 소정 부위에 설치되는 배터리 트레이와; 상기 배터리 트레이의 양측에 설치되며, 상기 배터리를 고정시키는 클램프와; 상기 클램프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그 상부의 소정 부위에 형성되는 손잡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배터리 고정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본 고안은 배터리(20)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엔진룸의 소정 부위에 배터리 트레이 (10)가 설치된다. 상기 배터리 트레이(10) 양측 소정 부위에 구멍(1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2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배터리 트레이(10)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 (12)에 클램프(40)가 설치된다. 상기 클램프(40)는 상기 배터리 트레이(10)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42)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클램프(4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그 상부의 소정 부위에 손잡이(43)가 형성된다.
상기 배터리(20)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단자(22)와 상기 클램프(40)가 접촉되어 쇼트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방향으로 상승되도록 그 중간부분에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41)가 설치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배터리 고정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배터리(20)를 설치할 경우를 설명하면, 차량의 엔진 룸 전방부에 설치되어 있는 배터리 트레이(10)로부터 클램프(40)를 일측으로 젖힌 상태에서 배터리 트레이(10)에 배터리(20)를 안착시킨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 트레이(10)에 설치되어 있는 클램프(40)를 배터리의 상부쪽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클램프(40)가 배터리를 고정하기 위하여 회전할 시에 배터리(20)이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단자(22)와 접촉되어 쇼트가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손잡이(43)를 잡고 상방향으로 상기 클램프(40)를 올린다.
그리고, 상기 클램프(40)의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탄성부재(41)가 인장되면서 상기 단자(22)와 접촉을 일으키지 않으면서 상기 클램프(40)가 회전을 한다.
상기 배터리의 단자(22)를 지나친 뒤 상기 클램프(40)를 살짝 내리면 상기 탄성부재(41)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배터리(20)의 상부와 맞닿게 되므로 배터리 트레이(10)에 고정되는 것이다.
그런 다음 차량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케이블(미도시)과 상기 배터리(20)의 단자(22)를 연결하면 그 전원을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배터리(20)를 교체하기 위한 경우, 상기 단자(22)에 체결되어 있는 케이블을 제거 한 후 배터리(20)를 고정하고 있는 클램프(40)의 손잡이(43)를 잡고 상방향으로 올려 도면상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을 시킨다.
이때, 상기 단자(22)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클램프(40)의 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탄성부재(41)를 최대한 이완을 시킨다. 상기와 같이 탄성부재(41)가 이완된 상태로 클램프(40)를 회전시켜 상기 배터리 (20)의 측면쪽으로 위치하도록 한다.
그런 다음 상기 배터리 트레이(10)에서 배터리(20)를 제거 하고, 새로운 배터리(20)를 상기 배터리 트레이(10)에 안착을 시키고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배터리(20)를 고정시키면 된다.
한편,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41)의 인장력을 이용하여 높이가 다른 배터리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이제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종래의 결합용로드와 너트를 사용하지 않고 배터리를 고정시키므로 탈, 장착을 손쉽게 할 수 있으며, 배터리를 고정하기 위한 부품의 수가 대폭 감소되어 작업 능률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져온다.

Claims (1)

  1. 배터리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엔진룸 소정부위에 설치되는 배터리 트레이와; 상기 배터리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중간에 탄성부재가 연결되고 하단은 상기 배터리 트레이의 양측에 힌지로 고정된 클램프와; 상기 클램프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클램프의 상단면에 부착된 3)손잡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고정장치.
KR2019970039131U 1997-12-19 1997-12-19 배터리 고정장치 KR2001972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9131U KR200197214Y1 (ko) 1997-12-19 1997-12-19 배터리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9131U KR200197214Y1 (ko) 1997-12-19 1997-12-19 배터리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6593U KR19990026593U (ko) 1999-07-15
KR200197214Y1 true KR200197214Y1 (ko) 2000-10-02

Family

ID=19517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9131U KR200197214Y1 (ko) 1997-12-19 1997-12-19 배터리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721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1910B1 (ko) * 2005-08-18 2006-09-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트레이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1910B1 (ko) * 2005-08-18 2006-09-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트레이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6593U (ko) 199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97214Y1 (ko) 배터리 고정장치
CN110797688A (zh) 电连接器
KR200409576Y1 (ko) 와이어 하네스 조립용 지그
KR100494491B1 (ko) 차량용 배터리 수납장치
JPH10150257A (ja) プリント基板メッキ用治具
CN219901832U (zh) 一种夹取工具
KR20040035041A (ko) 자동차 배터리 트레이
JP3122753B2 (ja) プリント基板メッキ用治具
KR100244903B1 (ko)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트레이 장착구조
KR0126822Y1 (ko) 배터리 고정대
KR19990052105A (ko) 배터리 고정장치
KR19990052104A (ko) 배터리 체결장치
KR200146756Y1 (ko) 배터리의 고정구조
KR200194109Y1 (ko) 배터리 고정장치
KR970000289Y1 (ko) 시그널 단자 고정장치
JPH0526643Y2 (ko)
JPS6325661Y2 (ko)
JPH0317430Y2 (ko)
KR970005334Y1 (ko) 반도체 조립용 접지구(Ground Terminal)
KR0123526Y1 (ko) 차량용 배터리의 단자접속구
KR19990026591U (ko) 배터리 트레이 볼트 지지장치
KR0140153Y1 (ko) 인쇄 회로기판 접지고정장치
JP3614022B2 (ja) 配電ブロックの取付構造
JPH0530094Y2 (ko)
KR19990031322U (ko) 배터리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