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7212Y1 - 에어백성능검사매커니즘 - Google Patents

에어백성능검사매커니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7212Y1
KR200197212Y1 KR2019970019078U KR19970019078U KR200197212Y1 KR 200197212 Y1 KR200197212 Y1 KR 200197212Y1 KR 2019970019078 U KR2019970019078 U KR 2019970019078U KR 19970019078 U KR19970019078 U KR 19970019078U KR 200197212 Y1 KR200197212 Y1 KR 2001972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rod
cylinder
sensor assembly
time de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90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5711U (ko
Inventor
이현철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700190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7212Y1/ko
Publication of KR199900057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571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72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721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7/00Vibration-testing of structures; Shock-testing of structures
    • G01M7/08Shock-tes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1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optical strain gau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에어백 성능 검사 매커니즘에 관한 것이다. 에어백 성능 검사 매커니즘은, 지지판의 소정부위에 설치되는 실린더(34)와; 상기 실린더의 내측에서 좌,우로 이동되는 로드에 연결되는 헤드 형태의 봉(40)과; 보강판(44)에 설치된 보조 지지판(48)의 일측에 설치되는 센서조립체(50)와; 센서 조립체에 연결되는 시간 지연기(54)와; 시간 지연기에 연결되며, 시간 지연기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라 소정의 전류를 증폭하여 발생하는 전류 증폭기(56)와; 전류 증폭기에 연결되는 에어백 팽창기(60)와; 실린더에 파이프를 경유하여 연결되는 공압조절 유니트(70)와; 공압조절 유니트에 컨트롤 박스(80)를 개재하여 연결되는 컴퓨터(90)로 구성되는 점에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에어백 성능 검사 매커니즘은, 에어백이 팽창과 동시에 봉이 정확하게 에어백에 충격을 가하게 되어 보다 정확한 에어백의 특성을 고찰하여 개선함으로써 사고시, 인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에어백을 제공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Description

에어백 성능 검사 매커니즘
본 고안은 에어백 성능 검사 매커니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에어백을 완전히 전개시킨 상태에서 헤드형태의 봉을 갖는 충격장치를 이용하여 에어백의 성능을 검사하기 위한 에어백 성능 검사 매커니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에어백 성능 검사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은 것은 공지되어 있다. 도 1에서, 참고부호 10은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이다. 상기 스티어링 휠(10)의 중앙 일측에는 에어백(12)이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에어백(12)을 성능을 검사하기 위한 에어백 검사장치는 실린더(14)의 내측에 로드(16)가 왕복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로드(14)는 아령 형태의 봉(18)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린더(14)에는 소정의 공압을 제공하기 위하여 공압 저장탱크(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된 파이프(20)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에어백 성능 검사장치는, 에어백(12)을 전개한 상태에서, 파이프(20)에 공압이 제공되게 되면 실린더(14)의 내측에 설치된 로드(16)가 봉(18)을 전방으로 밀면서 전개된 에어백(12)에 충격을 주게 된다.
이때, 상기 에어백(12)이 도시되지 않은 압력계(예를 들어, 실린더나 공압 저장탱크의 입구측에 설치됨)에 의해 어느 정도의 압력하에서 견지는지를 측정하여 에어백(12)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그러나, 이와같은 에어백의 성능평가는 에어백이 전개된 상태에서 압력을 측정하게 되므로 그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에어백이 인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정확하게 판단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소정시간에 완전히 전개되는 에어백에 헤드 형태의 봉을 이용하여 소정의 충격을 정확히 가하여 에어백의 성능을 확인할 수 있는 에어백 검사 매커니즘을 제공하는 점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에어백 검사 매커니즘은, 지지판의 소정부위에 설치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내측에서 좌,우로 이동되는 로드에 연결되는 헤드 형태의 봉과; 보강판에 설치된 보조 지지판의 일측에 설치되는 센서조립체와; 센서 조립체에 연결되는 시간 지연기와; 시간 지연기에 연결되며, 시간 지연기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라 소정의 전류를 증폭하여 발생하는 전류 증폭기와; 전류 증폭기에 연결되는 에어백 팽창기와; 실린더에 피이프를 경유하여 연결되는 공압조절 유니트와; 공압조절 유니트에 컨트롤 박스를 개재하여 연결되는 컴퓨터로 구성되는 점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에어백 성능 검사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성능 검사장치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 : 스티어링 휠 12 : 에어백
50 : 센서 조립체 54 : 시간 지연기
56 : 전류 증폭기 58 : 고속 카메라
60 : 에어백 팽창기 70 : 공압조절 유니트
80 : 컨트롤 박스 90 : 컴퓨터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성능 검사 매커니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성능 검사 매커니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에서, 참고부호 30은 후술하게 되는 실린더를 안착하기 위한 베이스 플레이트이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0)의 일측에는 세로방향으로 실린더(34)가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34)의 내측에는 공압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로드(36)가 설치된다. 상기 로드(36)의 일측에는 헤드 형태의 봉(40)이 연결되어 있다.
특히, 상기 실린더(34)의 외주면에는 슬롯홀이 형성되어 있고, 내부의 로드에는 상기 슬롯홀로 돌출되는 돌출턱(42)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봉(40)은 에어백(12)에 용이하게 접촉되도록 그 일측이 라운드 형태로 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0)의 일측에는 실린더(34)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판(38)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0)의 타측에는 보강판(44)이 설치되고, 상기 보강판(44)의 일측에는 센서 조립체(50)를 부착하기 위한 보조지지판(48)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센서 조립체(50)에는 각기 스위치(SW1,SW2)가 연결되게 된다.
상기 스위치(SW1)에는 소정의 시간을 지연시키기 위한 시간 지연기(54)가 연결되고, 상기 시간 지연기(54)에는 시간 지연기(54)로부터 받은 신호를 원하는 전류로 증폭하여 스티어링 휠(10)의 일측에 설치된 에어백 팽창기(60)로 전류를 보내기 위한 전류 증폭기(5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SW2)에는 에어백(12)에 봉(40)이 충돌될때의 현상을 촬영하기 위한 고속 카메라(58)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실린더(34)는 파이프(64)를 개재하여 공압 조절유니트(70)에 연결되고, 상기 공압 조절유니트(70)는 컨트롤 박스(80)를 개재하여 컴퓨터(90)에 연결되게 된다.
이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성능 검사 매커니즘의 동작관계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가 컴퓨터(90)를 이용하여 소정의 조건에 비추어 압력 조건을 설정하게 되면 이 신호가 컨트롤 박스(80)에 전달되고, 상기 컨트롤 박스(80)로부터 출력된 신호가 다시 공압조절 유니트(70)에 전달되게 된다.
이때, 상기 공압조절 유니트(70)는 소정의 공압을 파이프(64)를 거쳐서 실린더(34)에 제공하게 된다.
이와같이 실린더(34)에 소정의 공압에 의한 압력이 제공되면, 실린더(34)내의 로드(34)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로드(36)에 일체로 형성된 돌출턱(42)이 이동하면서 센서 조립체(50)에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센서 조립체(50)는 돌출턱(42)이 닿게 됨에 따라, 로드(36)가 이동되고 있는 것으로 즉, 로드의 이동 시점으로 감지하게 된다.
상기 센서 조립체(50)가 돌출턱(42)의 전방 진행에 따라 로드(36)의 이동시점을 인지하게 되면, 상기 스위치(SW1)가 온(ON) 되고, 전류는 시간지연기(54) 및 전류증폭기(56)를 거쳐서 에어맥 팽창기(60)를 동작하여 에어백(12)를 완전히 전개 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시간지연기(54)는 에어백팽창기(60)가 동작되는 시간을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있고, 그 동작시간을 조절하도록 전류증폭기(56)를 경과한 후에 다시 귀환할 수 있게 된다(즉, 에어백(12)이 전개된 상태에서 정확히 봉(40)이 에어백(12)을 충격할 수 있게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전류증폭기(56)는 상기 시간지연기(54)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받아 소정의 전류를 증폭 발생시켜 에어백팽창기(60)에 전달하여 에어백(12)이 전개되게 한다.
이에따라, 상기 로드(34)에 연결된 봉(40)은 로드(34)의 이동에 따라 계속 이동하여 상기 전개된 에어백(12)에 충돌하게 된다.
또한, 상기 에어백(12)에 상기 봉(40)이 충돌하기 바로 전에 상기 센서조립체(50)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의해 스위치(SW2)가 온(ON)되고, 이때 고속카메라(58)가 에어백(12)에 봉(40)이 충돌하게 되는 충돌장면을 촬영하게 된다.
이와 같은 충돌장면의 사진은 에어백(12)에 대한 인체 손상(상해)를 줄이는 자료로 이용하게 된다.
한편, 상기 에어백(12)에 봉(40)이 충돌한 후에는 컴퓨터(90)를 조작하여 공압조절 유니트(70)로부터 실린더(34)에 제공된 압력을 제거하게 되면, 상기 로드(36)가 원래의 위치로 원상복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에어백 성능 검사 매커니즘은, 에어백이 팽창과 동시에 봉이 정확하게 에어백에 충격을 가하게 되어 보다 정확한 에어백의 특성을 고찰하여 개선함으로써 사고시, 인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에어백을 제공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그리고, 에어백의 성능을 자동으로 판단하게 되므로 생산라인의 자동화를 이룰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3)

  1. 충격장치를 이용한 에어백 성능검사 매커니즘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성능검사 매커니즘은,
    설치자라면의 베이스플레이트의 일측에 고정된 지지판에 일측이 관통되어 고정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타측에 고정된 보강판의 내부에 반대쪽이 삽입 설치 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내측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삽입 설치되고 이측에는 헤드형태의 봉이 일체로 된 로드와; 상기 보강판의 일측상단에 고정된 보조지지판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로드의 이동 시기를 감지하는 센서조립체와; 상기 센서 조립체에 연결되어 전류증폭기를 경과한 후 귀환하여 에어백 팽창기의 전개시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시간 지연기와; 상기 시간 지연기에 연결되어 이 시간 지연기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라 소정의 전류를 증폭하여 발생하는 전류 증폭기와; 스티어링 휠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전류 증폭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에어백을 전개시크는 에어백 팽창기와; 상기 센서조립체에 연결되어 에어백의 전개순간을 촬영하게 되는 고속카메라와; 상기 실린더에 파이프로 연결되어 공압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공압조절 유니트와; 상기 공압조절 유니트에 커트롤 박스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공압조절유니트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컴퓨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성능 검사 매커니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의 외주면 일정부위에는 슬롯홀이 형성되고, 실린더 내부의 로드에는 상기 슬롯홀로 돌출되는 돌출턱을 일체로 형성하여, 로드의 이동시 돌출턱이 센서조립체의 접촉됨에 따라 센서조립체가 로드의 이동을 감지 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성능 검사 매커니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조립체에는 각각 상기 시간지연기와 고속카메라의 작동을 인가하는 복수개의 스위치(SW1,SW2)가 연결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성능 검사 매커니즘.
KR2019970019078U 1997-07-19 1997-07-19 에어백성능검사매커니즘 KR2001972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9078U KR200197212Y1 (ko) 1997-07-19 1997-07-19 에어백성능검사매커니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9078U KR200197212Y1 (ko) 1997-07-19 1997-07-19 에어백성능검사매커니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5711U KR19990005711U (ko) 1999-02-18
KR200197212Y1 true KR200197212Y1 (ko) 2001-03-02

Family

ID=53896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9078U KR200197212Y1 (ko) 1997-07-19 1997-07-19 에어백성능검사매커니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721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0705B1 (ko) * 2011-06-29 2013-04-03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커튼에어백의 전개에 따른 상해 추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5711U (ko) 1999-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95712A (en) Control of a vehicle restraining system having an air bag in a retractable steering column
KR100397974B1 (ko) 인체 안구 상해 측정용 더미 헤드
US7556118B2 (en) Airbag system for an automobil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WO2002026530A1 (en) Vehicle occupant proximity sensor
ATE169874T1 (de) Vorrichtung zum aufblasen eines aufblasbaren rückhaltesystems
KR100651311B1 (ko) 제어 장치 및 상기와 같은 유형의 자동차 승객 보호 수단용제어 장치의 기능 검사 방법
US20070145796A1 (en) Headrest apparatus
KR200197212Y1 (ko) 에어백성능검사매커니즘
US5606134A (en) Score bend testing apparatus and method
EP3287759B1 (en) System, test chamber, and method for response time measurement of a pressure sensor
KR100855475B1 (ko) 차량 충돌 감지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 에어백 전개시스템
JPH03229159A (ja) 衝撃センサー
KR100270430B1 (ko) 에어백과 스티어링 컬럼 단품 시험 장치
US5670718A (en) Semiconductor acceleration detecting apparatus and safety acceleration sensor for an air bag system
JPH10138809A (ja) 乗員の姿勢制御装置
US20220134928A1 (en) Seat massage device with sensor device
JPH03134927A (ja) 加速度計および該加速度計を用いた乗客制止装置
KR101033789B1 (ko) 차량의 충돌감지센서
JPH08334549A (ja) プロービング装置
JPH0826102A (ja) ブレーキペダルユニットの作動調整装置
KR20050029838A (ko) 에어백 시스템
KR100558858B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칼럼의 틸트업 방지장치
US20050200106A1 (en) Vehicle passenger protecting device and method
JP2002087201A (ja) エアバッグ装置
KR100240668B1 (ko) 충격감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