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6930Y1 - 높이조절가능한 붙박이 칠판 - Google Patents

높이조절가능한 붙박이 칠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6930Y1
KR200196930Y1 KR2019980023055U KR19980023055U KR200196930Y1 KR 200196930 Y1 KR200196930 Y1 KR 200196930Y1 KR 2019980023055 U KR2019980023055 U KR 2019980023055U KR 19980023055 U KR19980023055 U KR 19980023055U KR 200196930 Y1 KR200196930 Y1 KR 2001969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square frame
built
blackboard
rib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30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8195U (ko
Inventor
김민자
Original Assignee
김민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자 filed Critical 김민자
Priority to KR20199800230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6930Y1/ko
Publication of KR199900081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819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69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693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00Repeatedly-usable boards or table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04Blackboar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B97/02Devices for holding or supporting maps, drawings, or the like, including means for preventing rolling-up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B97/04Easels or stands for blackboards or the like

Abstract

본 고안은 높이조절가능한 붙박이 칠판에 관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주판서판 및 보조판서판을 함께 높이조절할 수 있고, 두께를 얇게 하여 승강봉의 휨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원활하게 승강됨과 아울러 내구성도 향상되며, 벽면에 간단하게 부착시킬 수 있는 붙박이 칠판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붙박이 칠판은, 사각프레임(1)과; 상기 사각프레임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주판서판(2)과; 상기 사각프레임의 양쪽에 설치되는 양쪽 게시판(3,3)과; 상기 게시판 뒤쪽의 사각프레임에 인출 및 수납가능하게 설치되는 양쪽 보조판서판(4,4)과; 상기 각 보조판서판 뒤쪽 위치의 사각프레임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승강봉(5,5)과; 상기 각 승강봉 둘레로 설치됨과 아울러 외주면 양쪽에는 제1결합리브(61) 및 제2결합리브(62)가, 외주면 후측에는 고정리브(63)가 각각 설치된 안내부시(6,6)와; 상기 각 고정리브(63)에 결합되어 벽면에 부착되는 고정앵글(64,64)과; 상기 각 결합리브에 결합되는 연결브래킷(67)들과; 상기 사각프레임의 하부부재(12) 상면에 고정되는 고정브래킷(71), 상기 고정브래킷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74), 상기 회전축에 해권가능하게 권취되고 자유단이 연결브래킷에 고정연결되는 다수의 정하중 태엽스프링(75)을 가진 다수의 정하중 태엽스프링 유니트(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하부부재(12) 저면에 손잡이(8)가 더 설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높이조절가능한 붙박이 칠판
본 고안은 높이조절가능한 붙박이 칠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구조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주판서판 및 보조판서판을 함께 높이조절할 수 있고, 두께를 얇게 하여 승강봉의 휨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원활하게 승강됨과 아울러 내구성도 향상되며, 벽면에 간단하게 부착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 높이조절가능한 붙박이 칠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원 등에서는 강의에 필요한 판서도구로서 이동식 칠판도 사용되고 있지만 판서량을 고려하여 대부분 벽에 부착하여 사용하고 또한 이동식 칠판보다 면적이 훨씬 넓은 붙박이 칠판이 사용되고 있고, 이 붙박이 칠판중에서도 주판서 및 상기 주판서판 양쪽에 각각 미닫이식으로 수납 및 인출가능하게 설치되는 양쪽 보조판서판을 가진 붙박이 칠판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붙박이 칠판은 벽에 고정되어 높이를 조절할 수 없게 되어 있으므로, 칠판의 높이가 강의자의 키에 맞지 않을 경우 강의자로서는 판서를 하는데 어려움이 많고, 또 수강자는 수강자대로 판서된 내용을 잘 볼 수 없는 경우가 많은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판서판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붙박이 칠판이 제안되어 있고, 이러한 칠판들은 주로 코일스프링, 체인 및 스프로켓, 풀리 및 와어로프 등의 동력전달수단과, 코일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정하는 조절판이나 중량추 등을 이용한 것이다. 대표적인 것으로는 한국 특허공고 제91-9795호의 상,하 이동장치를 이용한 칠판과, 동 제93-4314호의 흑판 높이 조절장치를 이용한 칠판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칠판들은 공히 구조가 복잡하고, 조립에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가격도 비싸다. 그리고 많은 중량품들이 결합됨으로써 칠판의 무게도 무거워 운반하거나 설치하는 일도 힘들다. 또한, 판서판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판서판의 높이를 조절하는 일도 쉽지 않다. 더욱이 이러한 칠판들은 대부분 주판서판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지만 주판서판의 높이를 조절하기 힘든 관계로 보조판서판의 높이와 주판서판의 높이를 일치시키는 것이 쉽지 않아 보조판서판의 높이와 주판서판의 높이를 일치시키기 위하여 한국 특허공고 제97-544호의 승하강 개폐칠판에 개시된 위치결정수단과 같은 복잡한 장치가 추가로 요구되므로 칠판의 제조원가는 더욱 상승된다. 그리고, 이러한 칠판들은 주판서판의 배면쪽에 승강장치가 설치되기 때문에 칠판의 전체 두께가 두꺼워지고, 특히 주판서판의 중앙부가 앞쪽으로 만입된 곡면칠판인 경우 칠판의 전체 두께가 더욱 두꺼워진다. 따라서 벽면 지지점에 대하여 칠판의 앞쪽 부분이 큰 굽힘응력을 받게 되어 승강장치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이 휘거나 칠판 프레임이 휘어 승강작동이 원할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주판서판과 보조판서판들의 높이도 잘 맞지 않아 위치결정수단도 무용지물이 될 우려도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들과 주판서판만을 승강시킬 필요성이 없고 오히려 주판서판과 보조판서판을 동시에 승강시키면 오히려 강의자나 수강자 모두에게 더 편리한 점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을 착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주판서판 및 보조판서판을 함께 높이조절할 수 있고, 두께를 얇게 하여 승강봉의 휨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원활하게 승강됨과 아울러 내구성도 향상되며, 벽면에 간단하게 부착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 높이조절가능한 붙박이 칠판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붙박이 칠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붙박이 칠판을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장치를 나타내는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붙박이 칠판이 벽면에 지지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평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붙박이 칠판이 벽면에 지지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우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붙박이 칠판의 승강상태를 나타내는 투시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사각프레임, 2 : 주판서판,
3 : 게시판, 4 : 보조판서판,
5 : 승강봉 6 : 안내부시,
7 : 정하중 태엽스프링 유니트, 8 : 손잡이,
11 : 사각프레임의 상부부재, 12 : 사각프레임의 하부부재,
13 : 사각프레임의 측면부재, 61, 62, 63 : 안내부시의 리브,
64 : 고정앵글, 67 : 연결프레임,
71 : 고정브레킷, 74 : 회전축,
75 ; 정하중 태엽스프링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붙박이 칠판은, 사각프레임과; 상기 사각프레임의 상부부재 및 하부부재에 상단 및 하단이 고정됨으로써 사각프레임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주판서판과; 상기 주판서판 양쪽 위치의 사각프레임 양단부 앞쪽을 막도록 설치되는 양쪽 게시판과; 상기 각 게시판 뒤쪽의 사각프레임에 상기 주판서판 앞쪽으로 미닫이식으로 인출 및 수납가능하게 설치되는 양쪽 보조판서판과; 상기 각 보조판서판 뒤쪽 위치의 사각프레임의 상부부재 및 하부부재에 상하단이 고정되어 수직설치되는 2개의 승강봉과; 상기 각 승강봉 둘레로 승강봉이 승강가능하도록 삽입됨과 아울러 외주면 양쪽에 제1결합리브 및 제2결합리브가 각각 설치되고 외주면 후측에 고정리브가 설치된 2개의 안내부시와; 상기 각 안내부시의 고정리브에 결합됨과 아울러 벽면에 부착되는 2개의 고정앵글과; 상기 제1결합리브들 및 제2결합리브들에 결합되는 4개의 연결브래킷과; 상기 사각프레임의 하부부재 상면에 고정되는 고정브래킷, 상기 고정브래킷에 양단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일단이 고정되어 해권가능하게 회전축 둘레로 권취되고 자유단이 연결브래킷에 고정연결되는 다수의 정하중 태엽스프링을 가진 다수의 정하중 태엽스프링 유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사각프레임의 하부부재 저면 중앙에는 본 고안에 따른 붙박이 칠판의 승강을 쉽게 행하도록 손잡이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붙박이 칠판에 따르면, 손잡이를 잡고 본 고안에 따른 붙박이 칠판을 승강시키면 벽면에 고정된 양쪽 고정앵글과 고정리브를 통하여 연결된 안내부시들을 통하여 승강봉들이 승강한다. 이 승강봉의 승강에 따른 하부부재의 승강에 의하여 사각프레임의 하부부재에 고정된 고정브래킷과 안내부시의 결합리브들간에 연결된 정하중 태엽스프링들이 권취 또는 해권됨으로써 칠판의 승강이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참조부호 1은 상부부재(11), 하부부재(12) 및 이들의 양단을 서로 연결하는 두 측면부재(13,13)를 가지는 사각프레임으로서, 상기 사각프레임(1)의 중앙부에는 주판서판(2)이 삽입되어 설치된다. 주판서판(2)은 상부부재(11)의 저면 및 하부부재(12)의 상면에 그 상단 및 하단이 각각 고정됨으로써 지지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부부재(11) 및 하부부재(12)의 폭의 후반부 쪽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주판서판(2)은 뒤쪽으로 만곡된 형태의 곡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사각프레임(1)의 주판서판(2) 좌우 양쪽의 공간은 양쪽 게시판(3,3)에 의하여 막힌다. 게시판(3)은 주판서판(2) 쪽을 제외한 세 단부가 상부부재(11), 하부부재(12) 및 측면부재(13)에 고정됨으로써 지지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부재(11) 및 하부부재(12)의 폭의 앞쪽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주판서판(2)의 앞면에 대한 좌우연장면과 양쪽 게시판(3,3)의 배면과의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며, 이 공간에 주판서판(2)의 앞쪽으로 미닫이식으로 필요에 따라 인출사용할 수 있도록 보조판서판(4)이 각각 설치된다.
보조판서판(4)은 주판서판(2)의 양쪽에 각각 1개 또는 다수개 설치될 수 있으며, 여기서는 2개씩 설치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이 보조판서판(4)은 강의 목적에 따라 방안지가 표시된 것, 오선지가 표시된 것 등 다양한 형태의 것이 사용될 수 있고, 여기서는 미도시되었지만 보조판서판(4)들의 인출 및 수납을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각 보조판서판(4)의 주판서판(2)쪽 단부에 손잡이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르면,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보조판서판(4)의 대략 중앙부 뒤쪽(주판서판(2)에 대한 좌우연장공간과 대략 동일한 공간)에는 승강봉(5)이 수직으로 설치된다. 승강봉(5)은 그 상단 및 하단이 각각 상부부재(11) 및 하부부재(12)에 고정볼트와 같은 체결수단(51)에 의하여 고정됨으로써 지지될 수 있다. 승강봉(5)의 하단을 하부부재(12)에 고정할 때에는 내구성을 위하여 하부부재(12)의 저면에 보강판(52)을 설치하고 이 보강판(52)을 통하여 체결수단(51)에 의하여 승강봉(5)을 하부부재(12)에 체결하여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설치된 승강봉(5)들 둘레에는 안내부시(6)가 슬라이딩가능하게 각각 삽입되어 있다. 안내부시(6)의 외주면 좌우 양쪽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결합리브(61) 및 제2결합리브(62)가 차례로 설치되어 있고, 외주면 후측에는 고정리브(63)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리브(63)에는 고정앵글(64)이 볼트 및 너트와 같은 체결수단(65)에 의하여 고정되고, 이 고정앵글(64)은 상단부 및 하단부가 셋팅볼트(66)에 의하여 벽면에 고정된다. 따라서 고정앵글(64)을 통하여 안내부시(6)가 벽면에 고정됨에 따라 안내부시(6)에 승강가능하게 삽입된 승강봉(5)을 통하여 사각프레임(1)이 승강가능하게 지지됨으로써 주판서판(2) 및 보조판서판(4)들이 동시에 승강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각 안내부시(6)의 제1결합리브(61) 및 제2결합리브(62)에는 연결브래킷(67)이 각각 설치된다. 연결브래킷(67)은 도 2에서는 대략 이등변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그 형상은 임의이며, 각 일측단부가 제1결합리브(61) 및 제2결합리브(62)에 각각 볼트 및 너트와 같은 체결수단(68)을 통하여 고정됨으로써 지지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이 고정지지된 연결브래킷(67)들과 이와 대응하는 위치의 하부부재(12)는 다수의 정하중 태엽스프링 유니트(7)에 의하여 서로 연결됨으로써 승강봉(5)의 승강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 정하중 태엽스프링 유니트(7)는 정하중 태엽스프링들을 이용한 것으로서, 정하중 태엽스프링은 강철재 띠를 태엽과 같이 감아 성형된 것으로 이른바 네게다 스프링으로 잘 알려져 있다. 정하중 태엽스프링은 태엽처럼 권취되어 사용됨으로써 자유단에 하중을 가하면 권취 또는 해권되다가 소정의 하중 이상에서 하중을 제거하면 하중의 작용에 의하여 이미 권취 또는 해권된 길이가 그대로 유지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고, 본 고안에서는 이러한 정하중 태엽스프링의 특성을 이용하여 칠판을 지지함은 물론 칠판의 승강높이를 임의로 조절하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하부부재(12)의 보조판서판(4) 뒤쪽 상면에는 상기 연결브래킷(67)들과 대응하여 고정브래킷(71)들이 차례로 설치된다. 고정브래킷(71)은 볼트 및 너트와 같은 체결수단(73)을 통하여 양단부가 하부부재(12)상에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내구성을 위하여 승강봉(5)의 하단을 고정하는 방법과 마찬가지로 보강판(52)을 통하여 체결수단(73)에 의하여 양단부가 하부부재(12)상에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브래킷(71)의 상면 양쪽에는 지지돌기(72)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이 지지돌기(72)들에 회전축(74)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각 회전축(74)에는 다수의 정하중 태엽스프링(75)이 권취되고, 이와 같이 권취된 정하중 태엽스프링(75)들의 자유단은 연결브래킷(67)의 하단부에 볼트 및 너트와 같은 체결수단(77)(도 4 참조)을 통하여 고정된다.
따라서, 벽면에 고정앵글(64)이 고정부착되고, 이 고정앵글(64)은 고정리브(63)를 통하여 승강부시와 결합됨과 아울러 승강부시가 연결브래킷(67) 및 정하중 태엽스프링 유니트(7)를 통하여 사각프레임(1)의 하부부재(12)에 연결됨으로써 사각프레임(1), 주판서판(2) 및 보조판서판(4)들이 지지되고, 사각프레임(1), 주판서판(2) 및 보조판서판(4)들은 정하중 태엽스프링 유니트(7)들에 의하여 승강조절될 수 있다.
정하중 태엽스프링(75) 및 정하중 태엽스프링 유니트(7)의 설치갯수는 칠판의 크기, 중량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르면, 칠판의 승강조작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하부부재(12)의 저면 중앙부에 손잡이(8)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게시판(3)측 하부부재(12)의 저면에 판서용품 등을 수납할 수 있도록 앞쪽이 개방된 수납함이 더 설치되어도 좋다.
그리고, 도 1 및 도 5중 미설명 부호 9는 괘도 등을 걸 수 있도록 상부부재(11)이 앞쪽의 적절한 위치에 설치된 괘도걸이를 나타낸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붙박이 칠판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붙박이 칠판에 따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8)를 잡고 사각프레임(1)을 승강시키면 벽면에 고정된 양쪽 고정앵글(64)과 결합된 안내부시(6)들을 통하여 승강봉(5)들이 승강한다. 승강봉(5)이 승강하면 사각프레임(1)의 하부부재(12)에 고정된 고정브래킷(71)과 안내부시(6)의 제1결합리브(61)에 결합된 연결브래킷(67)이 정하중 태엽스프링(75)들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으므로 승강봉(5)의 승강에 따른 하부부재(12)의 승강에 의하여 정하중 태엽스프링(75)들이 권취 또는 해권됨으로써 사각프레임(1), 주판서판(2) 및 양쪽 보조판서판(4,4)이 동시에 승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손잡이(8)를 잡고 상하로 주판서판(2) 및 양쪽 보조판서판(4,4)을 승강시키다가 적절한 높이에 도달하였을 때 손잡이(8)를 놓으면 정하중 태엽스프링(75)들의 특성에 의하여 정하중 태엽스프링(75)들의 권취 또는 해권이 중단되고 그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서 주판서판(2) 및 양쪽 보조판서판(4,4)의 높이가 소정의 높이로 고정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붙박이 칠판에 의하면, 정하중 태엽스프링(75)을 주판서판(2) 및 보조판서판(4)들의 높이를 임의의 높이로 동시에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상 편리하다.
또한, 정하중 태엽스프링 유니트(7)들을 포함하는 승강장치에 의하여 주판서판(2) 및 보조판서판(4)들이 벽면에 지지될 수 있도록 이루어졌으므로 별도의 복잡한 벽면부착장치가 필요없어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원가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주판서판(2)과 보조판서판(4)들이 동시에 높이조절되는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종래 승강위치결정수단과 같은 장치들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칠판의 구조를 더욱 단순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원가를 더욱 줄일 수 있다.
또한, 보조판서판(4)들 뒤쪽의 사각프레임(1)의 하부부재(12) 및 상부부재(11) 사이의 공간을 이용하여 정하중 태엽스프링 유니트(7)들 포함하는 승강장치를 설치하였으므로 칠판의 두께를 사각프레임(1)의 두께로 줄일 수 있어 칠판의 콤팩트화가 가능하고, 칠판을 벽면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공간도 줄어들며, 또한 고정앵글(64)을 중심으로 칠판에 작용하는 굽힘하중이 감소하여 특히 승강봉(5)의 휨 현상이나 칠판의 휨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칠판의 승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칠판의 내구성도 향상된다.

Claims (2)

  1. 상부부재(11), 하부부재(12) 및 이것들의 양단을 서로 연결하는 양 측면부재(13,13)를 가지는 사각프레임(1)과;
    상기 사각프레임의 중앙부에 고정설치되는 주판서판(2)과;
    상기 사각프레임(1)의 양단부에 고정설치되는 양쪽 게시판(3,3)과;
    상기 게시판 뒤쪽에 주판서판 앞쪽으로 미닫이식으로 인출 및 수납가능하게 설치되는 양쪽 보조판서판(4,4)과;
    상기 각 보조판서판 뒤쪽 위치의 상부부재 및 하부부재에 상하단이 고정되어 수직설치되는 2개의 승강봉(5,5)과;
    상기 각 승강봉 둘레로 승강봉이 승강가능하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외주면 양쪽에 제1결합리브(61) 및 제2결합리브(62)가 각각 설치되고 외주면 후측에 고정리브(63)가 설치된 2개의 안내부시(6,6)와;
    상기 각 안내부시의 고정리브에 결합됨과 아울러 벽면에 부착되는 2개의 고정앵글(64,64)과;
    상기 결합리브에 결합되는 연결브래킷(67)과;
    상기 연결브래킷들과 대응하여 하부부재 상면에 고정되는 고정브래킷(71), 상기 고정브래킷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74), 상기 회전축(74)에 해권가능하게 권취되고 자유단이 연결브래킷(67)에 고정연결되는 다수의 정하중 태엽스프링(75)을 가진 다수의 정하중 태엽스프링 유니트(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가능한 붙박이 칠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부재(12)의 저면 중앙에 설치되는 손잡이(8)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가능한 붙박이 칠판.
KR2019980023055U 1998-11-25 1998-11-25 높이조절가능한 붙박이 칠판 KR2001969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3055U KR200196930Y1 (ko) 1998-11-25 1998-11-25 높이조절가능한 붙박이 칠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3055U KR200196930Y1 (ko) 1998-11-25 1998-11-25 높이조절가능한 붙박이 칠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8195U KR19990008195U (ko) 1999-02-25
KR200196930Y1 true KR200196930Y1 (ko) 2000-10-02

Family

ID=19540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3055U KR200196930Y1 (ko) 1998-11-25 1998-11-25 높이조절가능한 붙박이 칠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693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8195U (ko) 1999-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32801A2 (en) Supporting device for display units
US5292011A (en) Carpet display rack
KR100498058B1 (ko) 승강가능한 칠판
KR200196930Y1 (ko) 높이조절가능한 붙박이 칠판
JP5405973B2 (ja) 移動式黒板装置
KR100576264B1 (ko) 승강칠판의 최하점 위치결정장치
JP2008100443A (ja) 黒板装置
CN211044798U (zh) 一种思德教育课堂展示用的沙盘结构
CN210462242U (zh) 一种思政培训用投影装置
CN211794952U (zh) 一种思政教育教学用易扩展讲台
JP5877392B2 (ja) ボード昇降機構
US6855095B2 (en) Folding mechanism for treadmills
CN112331021A (zh) 一种辅助临摹的美术教学板
KR102461207B1 (ko) 유리판 설치형 칠판
JP5574319B2 (ja) フラップテーブル
JP2011117180A (ja) スライド式シャッタの補強構造
JP2001029146A (ja) 収納体の昇降機構
KR980007088U (ko) 높이조절가능한 붙박이 칠판
CN211906746U (zh) 一种方便运输的模型沙盘
CN219055855U (zh) 一种绘画课堂用绘画板
CN218863655U (zh) 一种壁挂式终端的安装定位装置
KR20070045376A (ko) 승강칠판
CN214340926U (zh) 一种新型办公室折叠柜
KR200180224Y1 (ko) 상하높이조절가능한붙박이칠판
KR200176247Y1 (ko) 승하강칠판의 승강위치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1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