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6540Y1 - 핸드 레일 지지 브라켓 - Google Patents

핸드 레일 지지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6540Y1
KR200196540Y1 KR2020000011455U KR20000011455U KR200196540Y1 KR 200196540 Y1 KR200196540 Y1 KR 200196540Y1 KR 2020000011455 U KR2020000011455 U KR 2020000011455U KR 20000011455 U KR20000011455 U KR 20000011455U KR 200196540 Y1 KR200196540 Y1 KR 2001965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guider
hand
hand rail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14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중순
Original Assignee
박중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중순 filed Critical 박중순
Priority to KR20200000114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65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65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654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02Handrails mounted on walls, e.g. on the wall side of stairs
    • E04F11/1804Details of anchoring to the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핸드 레일 지지 브라켓을 개시한다.
본 고안은, 건축물의 통로 벽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계단을 오르내리도록 한 핸드 레일을 지지하는 브라켓에 있어서, 대략 원통 형상을 이루며, 내면에 핸드 레일이 끼워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결합 구멍이 형성된 가이더와; 건축물의 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판과; 양단이 가이더의 중심 하면과 고정판의 중심면에 각각 고정되며, 하부 방향으로 소정각도 경사지도록 만곡되게 연장 형성되는 지지대;을 포함하여 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계단을 오르 내릴 때 손으로 잡게되는 레일의 지지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가이더와 지지대간의 용접 고정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됨으로써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핸드 레일 지지 브라켓{supporting bracket of hand rail}
본 고안은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에서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계단 등을 오르내리도록 마련되는 핸드 레일(hand rail)을 지지하는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2층 이상 다층의 건축물에는 사용자의 통행을 위한 것으로서, 층간을 연결하는 계단이 마련된다.
한편, 이와같이 계단을 통해 오르 내리는 과정에서 노약자 등을 위하여 즉, 좀더 쉽게 층간을 오르 내리도록 하기 위하여 벽체에는 계단과 나란하게 핸드 레일(hand rail)이 마련된다.
도 1에는 이와같은 일반적인 건축물상에 마련된 핸드 레일을 지지하는 브라켓을 나타내 보였다.
다층의 건축물에는 층간을 오르 내리기 위한 계단(階段)이 마련된다.
그리고 이 계단 마련된 벽면(20)에는 브라켓(bracket;30)을 통해 핸드 레일 즉, 봉상의 레일(rail;40)이 계단의 경사 각도와 대략 동일 경사각도로 설치된다.
한편 레일(40)의 표면에는 시각 장애자를 위한 것으로서, 층간의 표시와 진행 방향을 유도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부에 다수의 안내 돌기(51)가 돌출 형성된 안내 표시판(50)이 소정간격으로 부착된다.
이때 전술한 브라켓(30)의 상세한 구조를 보면, 레일(40)이 끼워 삽입될 수 있도록 내면에 결합구멍(31a)을 갖는 봉상의 가이더(guider;31)를 구비한다.
그리고 이 가이더(31)의 내측면에는 지지봉(32)의 일단이 결합되며, 이 지지봉(32)의 타단은 건축물의 벽면(20)을 향해 연장된다.
건축물의 벽면(20)에는 고정판(33)이 고정수단 예컨대 복수의 고정 스크류(S)를 통해 고정 설치되며, 이 고정판(33)의 전면 중심에 지지봉(32)의 타단이 고정된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 브라켓(30)에 있어서는, 다음에 열거하는 문제점을 내재하고 있다.
첫째, 지지봉(32)은 실질적으로 레일(40)이 결합된 가이더(31)의 전체 하중을 지지하고 있는 것이지만, 그 지지력이 취약함으로써 장시간 경과시 레일(40)의 휨 변형을 초래시키거나 가이더(31)와 고정판(33)에 고정된 부위가 파손될 우려가 있다.
이는 지지봉(32)이 일자 형태로 가이더(31)와 고정판(33)에 양단이 고정되어있기 때문에 결합부위에서 집중적인 힘이 가해지기 때문이다.
둘째, 통상적으로 지지봉(32)의 양단은 가이더(31)와 고정판(33)상에 용접을 통해 고정 설치되는 바, 이 용접 부위가 외부로 모두 노출됨으로써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레일을 지지하는 힘을 향상시켜 장시간 경과시에도 파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용접 부위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미관을 해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핸드 레일 지지 브라켓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핸드 레일 지지 브라켓의 사용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핸드 레일 지지 브라켓의 여러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들.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20 : 벽면 40 : 레일
50 : 안내 표시판 51 : 돌기
100 : 브라켓 110 : 가이더
111 : 결합구멍 120 : 고정판
130 : 지지대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핸드 레일 지지 브라켓은, 건축물의 통로 벽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계단을 오르내리도록 한 핸드 레일을 지지하는 브라켓에 있어서, 대략 원통 형상을 이루며, 내면에 상기 핸드레일이 끼워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결합 구멍이 형성된 가이더와; 상기 건축물의 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판과; 양단이 상기 가이더의 중심 하면과 고정판의 중심면에 각각 고정되며, 하부 방향으로 소정각도 경사지도록 만곡되게 연장 형성되는 지지대;을 포함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한 특징은, 상기 지지대는, 대략 원통형 단면 형상을 이루며, 상기 가이더로 부터 상기 고정판을 향할수록 점차적으로 넓은 직경을 갖도록 연장 형성되는 것에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한 특징은, 상기 지지대는, 대략 직 사각형상의 단면 형상을 이루며, 상기 가이더로 부터 상기 고정판을 향할수록 상,하방향으로의 단면적이 점차적으로 넓어지도록 형성된 것에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핸드 레일 지지 브라켓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핸드 레일 지지 브라켓의 여러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들이고, 도 4는 사용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며 동일 부품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였다.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핸드 레일 지지 브라켓은, 다층의 건축물에는 층간을 오르 내리기 위한 계단(階段)이 마련된다.
그리고 이 계단 마련된 벽면(20)에는 브라켓(bracket;100)을 통해 핸드 레일 즉, 봉상의 레일(rail;40)이 계단의 경사 각도와 대략 동일 경사각도로 설치된다.
한편 레일(40)의 표면에는 시각 장애자를 위한 것으로서, 층간의 표시와 진행 방향을 유도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부에 다수의 안내 돌기(51)가 돌출 형성된 안내 표시판(50)이 소정간격으로 부착된다.
이때 전술한 브라켓(100)은 실질적으로 본 고안의 특징적인 요소를 갖고 있는 것으로서, 그 상세한 구조를 보면, 크게 가이더(guider;110)와 고정판(120) 그리고 지지대(130)로 대별된다.
가이더(110)는, 대략 원통 형상을 이루는 것으로서, 내면에는 핸드 레일(40)이 끼워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결합 구멍(111)이 형성된다.
고정판(120)은 벽면(20)에 고정수단 예를들면 고정 스크류(S)를 통해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지지대(130)를 통해 핸드 레일(40)을 벽면(20)에 위치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지지대(130)는, 양단이 고정판(120)과 가이더(110)의 중심 하면에 각각 고정되는 것으로서, 특히 하부 방향으로 소정각도 경사지게 만곡되게 연장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대(130)는 특히 큰 힘을 지지하여야 하는 바, 이를 위하여 도 2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대략 원통형 단면 형상을 이루며, 가이더(110)로 부터 고정판(120)을 향할수록 그 직경이 점차적으로 넓어지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좀더 큰 강성을 갖은채 핸드 레일(40)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도 3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직사각 형상의 단면 형상을 이룬채 특히 가이더(110)로 부터 고정판(120)을 향할수록 그 상,하 방향으로의 단면적이 점차적으로 넓어지되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핸드 레일 지지 브라켓은, 핸드 레일(40)을 지지하는 것과 동시에 고정판(120)에 연결되는 지지대(130)의 형상이 하부방향으로 만곡되게 연장 형성되는 것은 물론이고, 가이더(110)의 중심 하면에 고정되는 구조를 취하고 있음으로써 큰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강성을 갖게되며, 특히 가이더(110)와 지지대(130)간의 용접 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됨으로써 외관을 해치치 않게된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적용범위는 이와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한 것이다. 예를들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며 건축물 뿐만 아니라 육교나 다리 등의 난간등에서 핸드 레일을 지지하는 브라켓에도 적용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주지할 수 있는 사실일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핸드 레일 지지 브라켓에 의하면, 사용자가 계단을 오르 내릴 때 손으로 잡게되는 레일의 지지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가이더와 지지대간의 용접 고정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됨으로써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건축물의 통로 벽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계단을 오르내리도록 한 핸드 레일을 지지하는 브라켓에 있어서,
    대략 원통 형상을 이루며, 내면에 상기 핸드 레일이 끼워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결합 구멍이 형성된 가이더와;
    상기 건축물의 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판과;
    양단이 상기 가이더의 중심 하면과 고정판의 중심면에 각각 고정되며, 하부방향으로 소정각도 경사지도록 만곡되게 연장 형성되는 지지대;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 레일 지지 브라켓.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대략 원통형 단면 형상을 이루며, 상기 가이더로 부터 상기 고정판을 향할수록 점차적으로 넓은 직경을 갖도록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 레일 지지 브라켓.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대략 직 사각형상의 단면 형상을 이루며, 상기 가이더로 부터 상기 고정판을 향할수록 상,하방향으로의 단면적이 점차적으로 넓어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 레일 지지 브라켓.
KR2020000011455U 2000-04-19 2000-04-19 핸드 레일 지지 브라켓 KR2001965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1455U KR200196540Y1 (ko) 2000-04-19 2000-04-19 핸드 레일 지지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1455U KR200196540Y1 (ko) 2000-04-19 2000-04-19 핸드 레일 지지 브라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6540Y1 true KR200196540Y1 (ko) 2000-09-15

Family

ID=19653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1455U KR200196540Y1 (ko) 2000-04-19 2000-04-19 핸드 레일 지지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6540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181Y1 (ko) 2012-03-27 2013-12-0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용 함몰형 핸드레일 기구
KR101544027B1 (ko) * 2015-02-23 2015-08-13 김은하 다목적 공공시설물 시스템
USD991023S1 (en) 2017-12-21 2023-07-04 Lustre Products Ltd. Modular rail system connector
US11739536B2 (en) * 2017-12-19 2023-08-29 Lustre Products Ltd. Modular rail system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181Y1 (ko) 2012-03-27 2013-12-0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용 함몰형 핸드레일 기구
KR101544027B1 (ko) * 2015-02-23 2015-08-13 김은하 다목적 공공시설물 시스템
US11739536B2 (en) * 2017-12-19 2023-08-29 Lustre Products Ltd. Modular rail system
US20230374790A1 (en) * 2017-12-19 2023-11-23 Lustre Products Ltd. Modular rail system
USD991023S1 (en) 2017-12-21 2023-07-04 Lustre Products Ltd. Modular rail system connec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96540Y1 (ko) 핸드 레일 지지 브라켓
JP3330312B2 (ja) 鉄骨階段の段板装置
JP3718556B2 (ja) 立上りalc壁コーナー部の取付構造
KR100393314B1 (ko) 계단용답단및유니트계단및계단의구축방법
JP2966835B1 (ja) バルコニーの構造
JP2001152546A (ja) 手摺り
JP3382744B2 (ja) 住宅の外壁の構成方法
JP2915860B2 (ja) 階段構造
JP2003041729A (ja) 階段構造
KR200315674Y1 (ko) 접시형 와셔
JPH0324752Y2 (ko)
JP3377479B2 (ja) 屋根架構システム
KR200268169Y1 (ko) 계단용 난간 조립구
JP2534404B2 (ja) 壁下地構造
JPH0324750Y2 (ko)
JPH0714481Y2 (ja) 家屋の構造
JP2003020769A (ja) 手摺り付き腰壁
JP2018168533A (ja) 外廊下の手摺及び建物
JPH08326256A (ja) 手摺の設置構造
JP2523869Y2 (ja) 階段腰壁の取付装置
JP2742011B2 (ja) 床パネルの取付け構造
JPH0544249A (ja) バルコニーの構造
JPH08338068A (ja) 多層建物
JP2000204737A (ja) らせん階段
JP2007162399A (ja) 通路、通路用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6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