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5454Y1 - 진동감지식 레일 도유기 - Google Patents

진동감지식 레일 도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5454Y1
KR200195454Y1 KR2020000008560U KR20000008560U KR200195454Y1 KR 200195454 Y1 KR200195454 Y1 KR 200195454Y1 KR 2020000008560 U KR2020000008560 U KR 2020000008560U KR 20000008560 U KR20000008560 U KR 20000008560U KR 200195454 Y1 KR200195454 Y1 KR 2001954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ease
rail
vibration
control means
oi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85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황기
Original Assignee
박황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황기 filed Critical 박황기
Priority to KR20200000085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545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54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545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KAUXILIAR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LWAY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K3/00Wetting or lubricating rails or wheel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11/00Arrangements for supplying grease from a stationary reservoir or the equivalent in or on the machine or member to be lubricated; Grease cups
    • F16N11/08Arrangements for supplying grease from a stationary reservoir or the equivalent in or on the machine or member to be lubricated; Grease cups with mechanical drive, other than directly by springs or we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13/00Lubricating-pumps
    • F16N13/02Lubricating-pumps with reciprocating piston
    • F16N13/06Actuation of lubricating-pumps
    • F16N2013/063Actuation of lubricating-pumps with electrical dri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2260/00Fail safe
    • F16N2260/02Indicating
    • F16N2260/08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2270/00Controlling
    • F16N2270/60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2270/00Controlling
    • F16N2270/70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al Spray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파손을 방지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한 진동감지식 레일 도유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진동감지식 레일 도유기는 급커브 구간의 레일에 근접되게 위치하여 상기 레일의 진동을 감지하기 위한 진동센서와, 레일에 그리스를 분사하는 그리스 분사장치와, 그리스가 소정량 저장되는 그리스 콘테이너와, 그리스 콘테이너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리스가 운반되는 그리스호스를 경유하여 그리스 분사장치에 접속됨과 아울러 진동센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레일이 진동하는 동안 그리스가 레일에 분사되도록 그리스 분사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다.
본 고안에 따른 진동감지식 레일 도유기는 종래 기차의 휠과 직접 접촉하는 스위치를 사용하지 않고 원격지에서 레일의 진동을 감지할 수 있는 진동센서와 그리스건을 레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게 설치하여 기차의 휠과의 직접 접촉이나 진동에 의한 부품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진동감지식 레일 도유기{Vibrating Sensing type Apparatus For Coating Oil on Rail}
본 고안은 레일에 그리스를 도포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파손을 방지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한 진동감지식 레일 도유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 철도의 레일 급커브 구간에는 기차의 휠과 레일간의 접촉으로 인한 마모와 소음을 줄이기 위해 도유기가 설치되고 있다. 종래의 레일 도유기는 도 1과 같이 레일의 일측면에 체결되는 그리스(Grease) 호스(54)가 연결된 도유기 케이스(52)와, 도유기 케이스(52)의 상부에 돌출되는 스위치(53)와, 도유기 케이스(55)의 상부에 나란히 형성되는 분사노즐(52a)을 구비한다. 그리스호스(54)는 매설된 그리스 탱크와 연결되며, 도유기 케이스(52) 내에서 도시하지 않은 밸브를 경유하여 노즐들(52a)에 연결된다. 스위치(53)는 기차의 휠과의 접촉에 의해 휠감지신호를 발생한다. 스위치(53)로부터 휠감지신호가 발생되면 노즐들(52a)과 그리스호스(54) 사이에 설치된 밸브들이 개방되면서 노즐들(52a)로부터 그리스(55)가 분사된다. 노즐들로부터 분사된 그리스(55)는 기차의 휠과 레일(1)의 접촉면에 도포된다.
종래의 도유기는 스위치(53)와 기차의 휠의 직접적인 접촉에 의해 기차의 휠을 감지하게 되므로 스위치(53)의 파손이 자주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유기 케이스(52)가 도시하지 않은 체결기구들에 의해 레일(1)의 일측면에 부착되기 때문에 진동에 의해 체결기구가 풀리게 되고, 느슨한 체결기구에 의해 그리스(55)의 분사방향이 어긋나는 것은 물론이거니와 심지어 도유기 케이스(52)가 레일(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도유기는 노즐들(52a)과 연결된 유량조절나사를 조작하여 유량을 조절하기 때문에 진동에 의해 유량조절나사가 풀리게 되면 유량조절이 어렵게 된다. 이외에도 종래의 도유기는 그리스 탱크가 매설되기 때문에 그리스의 교체가 어렵고 레일(1)의 교체시 도유기 케이스(52)를 먼저 제거한 후, 레일(1)을 교체하는 등 레일(1)의 관리를 어렵게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파손을 방지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한 진동감지식 레일 도유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레일 도유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감지식 레일 도유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센서/분사모듈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그리스건을 상세히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콘트롤 박스를 상세히 나타내는 블록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레일 10 : 콘트롤박스
11 : 실행 프로그램 12 : 제어부
13 : 모터펌프 구동부 14 : 모터펌프
15 : 그리스 콘테이너 16 : 압력 스위치
17 : 압력 조절부 18 : 진동 검출부
19 : 솔레노이드 구동부 20 : 통합 케이블
21,54 : 그리스호스 22 : 센서 케이블
23 : 솔레노이드 케이블 24 : 공이 커넥터
25 : 공이 26 : 노즐
27 : 그리스건 케이스 31 : 진동센서
32 : 그리스건 33 : 센서/분사모듈
34 : 솔레노이드 밸브 35 : 솔레노이드 공이
36 : 솔레노이드 코일 41 : 입력장치
42 : 표시장치 52 : 도유기 케이스
53 : 스위치 55 : 그리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진동감지식 레일 도유기는 급커브 구간의 레일에 근접되게 위치하여 상기 레일의 진동을 감지하기 위한 진동센서와, 레일에 그리스를 분사하는 그리스 분사장치와, 그리스가 소정량 저장되는 그리스 콘테이너와, 그리스 콘테이너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리스가 운반되는 그리스호스를 경유하여 그리스 분사장치에 접속됨과 아울러 진동센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레일이 진동하는 동안 그리스가 레일에 분사되도록 그리스 분사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목적 외에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진동감지식 레일 도유기는 급커브 구간의 레일(1)에 근접되게 설치되는 센서/분사모듈(33)과, 센서/분사모듈(33)을 원격지에서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박스(10)를 구비한다. 센서/분사모듈(33)과 콘트롤박스(10) 사이에는 통합 케이블(20)이 설치된다. 통합 케이블(20) 내에는 도 4와 같이 그리스호스(21), 센서 케이블(22) 및 솔레노이드 케이블(23)이 삽입된다. 센서/분사모듈(33) 내에는 진동센서(31)와 그리스건(32)이 설치되며, 도 3과 같이 레일(1)에 직접 부착되지 않고 일정 거리를 두고 레일(1)의 일면과 대면된다. 진동센서(31)는 레일(1)이 소정진동량 이상으로 진동할 때 레일(1)의 진동을 감지하여 진동감지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진동센서(31)로부터 발생된 진동감지신호는 센서 케이블(22)을 경유하여 콘트롤박스(10)에 전송된다. 그리스건(32)은 도 4와 같이 솔레노이드 밸브(34) 내에 설치되는 솔레노이드 공이(35)와, 솔레노이드 공이(35)에 연동되어 노즐(26) 쪽으로 그리스를 압입하는 공이(25)로 구성된다. 솔레노이드 공이(35)는 솔레노이드 케이블(23)과 솔레노이드 밸브 커넥터(23a)를 경유하여 코일(36)에 인가되는 전류에 응답하여 직선운동하게 된다. 공이(25)는 그리스건 케이스(27) 내에 직선운동 가능하게 끼워지며, 공이 커넥터(24)를 경유하여 솔레노이드 공이(35)에 연결된다. 이 공이(25)는 솔레노이드 공이(35)에 연동되어 노즐(26) 쪽으로 직선운동함으로써 그리스호스(21)와 그리스 커넥터(21a)를 경유하여 공급되는 그리스를 노즐(26)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노즐(26)에는 직경이 대략 0.5mm 정도인 네 개의 홀들(26a)이 형성되어 공이(25)의 구동에 의해 공급되는 그리스를 레일(1)의 일측면 상에 분사시킨다. 이 때, 분사되는 그리스는 300∼500mm 간격으로 레일(1)의 일측면 상에 네 군데 도포된다. 콘트롤박스(10)는 진동센서(31)로부터의 진동감지신호에 따라 그리스를 그리스건(32)으로 공급하며, 그리스의 분사간격과 분사량을 조절하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콘트롤박스(10)는 제어부(12)에 의해 실행되는 실행 프로그램(11)과, 그리스 컨테이너(15) 내의 그리스를 외부로 펌핑하기 위한 모터펌프(14)와, 모터펌프(14)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펌프 구동부(13)와, 그리스호스(21) 내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압력 스위치(6)와, 레일(1)의 진동을 검출하기 위한 진동 검출부(18)와, 솔레노이드 밸브(34)를 구동하기 위한 솔레노이드 구동부(19)를 구비한다. 모터펌프 구동부(13), 압력 조절부(17), 진동 검출부(18) 및 솔레노이드 구동부(19)는 제어부(12)에 접속된다. 또한, 제어부(12)에는 입력장치(41)와 표시장치(42)가 접속된다. 실행 프로그램(11)에는 매 도포시 레일(1)에 도포되는 그리스의 유량에 따라 그리스의 분사량과 분사간격이 설정되어 있으며, 제어부(12)에 의해 실행된다. 그리스의 분사량과 분사간격 등은 입력장치(41)를 통하여 입력되는 사용자 데이터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실행 프로그램(11)은 전기적 소거 가능 피롬(EEPROM)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12)는 실행 프로그램에 따라 모터펌프 구동부(13), 압력 조절부(17), 진동 검출부(18) 및 솔레노이드 구동부(19)를 제어하게 된다. 이를 상세히 하면, 먼저 진동 검출부(18)가 진동센서(31)로부터 전송되는 진동감지신호에 의해 레일(1)의 진동을 검출하면, 제어부(12)는 솔레노이드 구동부(19)를 제어하여 솔레노이드 밸브(34)의 솔레노이드 코일(36)에 임펄스신호를 공급하게 된다. 이 때, 압력 스위치(16)는 그리스호스(21) 내의 압력이 소정압력(9bar) 이상일 때 닫혀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솔레노이드 공이(35)는 솔레노이드 구동부(19)로부터 공급되는 임펄스에 응답하여 매 임펄스마다 대략 0.25초 동안 381W로 구동하게 된다. 솔레노이드 공이(35)의 구동에 의해 매 임펄스신호마다 0.35cc 정도의 그리스가 노즐(26)을 통하여 레일(1) 쪽으로 분사된다. 그리스가 분사되면 그리스호스(21) 내의 압력이 떨어지게 된다. 그리스호스(21) 내의 압력이 9bar 이하로 감소되면 압력 스위치(16)는 개방된다. 압력 스위치(16)가 개방되면 압력 조절부(17)는 압력 스위치(16)의 개방을 감지하여 제어부(12)에 공급한다. 제어부(12)는 압력 스위치(16)의 개방신호에 따라 모터펌프 구동부(13)를 제어하여 모터펌프(14)를 구동시키게 된다. 이 모터펌프(14)의 구동에 의해 그리스호스(21) 내의 압력이 9bar로 상승하게 되면 압력 스위치(16)는 닫히게 되고 제어부(12)는 압력 조절부(17)로부터 공급되는 압력 스위치(16)의 절환에 따라 모터펌프(14)를 정지시키게 된다.
한편, 그리스 컨테이너(15)는 육안으로 그리스의 잔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그 재료로서 투명재료가 선택되며, 착탈이 자유롭게 카트리지(Cartridge) 타입으로 제작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진동감지식 레일 도유기는 종래 기차의 휠과 직접 접촉하는 스위치를 사용하지 않고 원격지에서 레일의 진동을 감지할 수 있는 진동센서와 그리스건을 레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게 설치하여 기차의 휠과의 직접 접촉이나 진동에 의한 부품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진동감지식 레일 도유기는 그리스 탱크가 투명재료로 된 카트리지 타입으로 제작되어 그리스의 교체가 최적기에 자유롭게 이루어짐은 물론 레일에 직접부착되지 않으므로 레일의 방지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된다. 나아가, 본 고안에 따른 진동감지식 레일 도유기는 사용자가 분사량과 분사간격 등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레일에 도포되는 그리스의 유량을 쉽게 조절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실용신안 등록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4)

  1. 급커브 구간의 레일에 그리스를 도포하여 레일과 휠의 마찰로 인한 소음과 마모를 줄이는 레일 도유기에 있어서,
    상기 급커브 구간의 레일에 근접되게 위치하여 상기 레일의 진동을 감지하기 위한 진동센서와,
    상기 레일에 상기 그리스를 분사하는 그리스 분사장치와,
    상기 그리스가 소정량 저장되는 그리스 콘테이너와,
    상기 그리스 콘테이너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그리스가 운반되는 그리스호스를 경유하여 상기 그리스 분사장치에 접속됨과 아울러 상기 진동센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레일이 진동하는 동안 상기 그리스가 레일에 분사되도록 상기 그리스 분사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감지식 레일 도유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스 분사장치는 상기 그리스를 레일 쪽으로 분사시키는 노즐,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솔레노이드 밸브,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에 연동되어 상기 그리스를 상기 노즐 쪽으로 압입하는 공이를 구비하는 그리스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감지식 레일 도유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스 콘테이너의 그리스 배출구와 그리스호스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수단에 접속되어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의해 상기 그리스 콘테이너 내의 그리스를 상기 그리스호스에 펌핑하기 위한 모터펌프와,
    상기 모터펌프와 그리스호스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수단에 접속되어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의해 상기 그리스호스 내의 압력이 소정압력 이하로 떨어지는 기간에 개방되고 상기 그리스호스 내의 압력이 소정압력 이상으로 상승하면 닫혀지는 압력스위치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감지식 레일 도유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모터펌프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펌프 구동부와,
    상기 압력스위치의 개폐를 감지하고 상기 압력스위치를 구동하기 위한 압력 조절부와,
    상기 진동센서에 접속되어 상기 레일의 진동량을 검출하기 위한 진동 검출부와,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를 구동하기 위한 솔레노이드 구동부와,
    상기 모터펌프 구동부, 상기 압력 조절부, 상기 진동 검출부 및 상기 솔레노이드 구동부에 접속되어 상기 레일의 진동여부에 따라 상기 그리스를 상기 레일에 분사시키고 사용자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사용자 데이터에 따라 상기 솔레노이드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그리스 분사장치로부터 분사되는 분사량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감지식 레일 도유기.
KR2020000008560U 2000-03-25 2000-03-25 진동감지식 레일 도유기 KR2001954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8560U KR200195454Y1 (ko) 2000-03-25 2000-03-25 진동감지식 레일 도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8560U KR200195454Y1 (ko) 2000-03-25 2000-03-25 진동감지식 레일 도유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5454Y1 true KR200195454Y1 (ko) 2000-09-01

Family

ID=19648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8560U KR200195454Y1 (ko) 2000-03-25 2000-03-25 진동감지식 레일 도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545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8592B1 (ko) 2006-03-22 2007-04-19 이상도 디지털 전자 감응식 도유기 제어 시스템
KR100741820B1 (ko) * 2006-03-24 2007-07-23 주식회사 케이.엘.티 진동감응 윤활유 자동공급장치 및 윤활유 공급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8592B1 (ko) 2006-03-22 2007-04-19 이상도 디지털 전자 감응식 도유기 제어 시스템
KR100741820B1 (ko) * 2006-03-24 2007-07-23 주식회사 케이.엘.티 진동감응 윤활유 자동공급장치 및 윤활유 공급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TE378491T1 (de) Kontrollierte materialabgabe
KR200195454Y1 (ko) 진동감지식 레일 도유기
JPH07252879A (ja) 高圧水洗浄装置及び高圧水洗浄車
KR101721428B1 (ko) 사이드미러 에어와이퍼
EP0817740B1 (en) Rail gauge face lubricating apparatus
KR200430919Y1 (ko) 진동감지 레일부착식 도유기
KR0135127Y1 (ko) 타이어 이형제 도포장치
KR101218462B1 (ko) 디스펜서용 히터블럭
KR200282119Y1 (ko) 진동 감지식 레일 도유기의 그리스 분사장치 및 그리스받이용 레일 거치대
KR200434166Y1 (ko) 공기분사장치
AUPR390301A0 (en) Wine barrel filling apparatus
KR102037778B1 (ko) 페인트가 자동으로 분사되는 브러시 장치
KR20150042976A (ko) 차량의 타이어 미끄럼방지액 분사장치 및 분사방법
JP4299030B2 (ja) 鉄道車両の塗油方法と装置
KR20170083660A (ko) 오일 분사 장치
KR101165367B1 (ko) 중력을 이용한 압연유 분사장치
JPH09141162A (ja) グルー塗布装置におけるグルー噴射ノズルの保護装置
JP2504854B2 (ja) 路面ライン引装置
KR101089916B1 (ko) 내측 모서리 접합용 디스펜서 노즐
KR20190051214A (ko) 세척액 분사 장치의 분사노즐 구조
KR100903330B1 (ko) 차체 도장용 클리어건 자동 분사장치
JP2022165511A (ja) 塗布装置、製造システム、塗布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塗布装置の調整方法
KR100747203B1 (ko) 차량용 워셔액 분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247547B1 (ko) 자동차의 와셔액 분사용 노즐 일정 압력 조절 장치
KR100228034B1 (ko) 약액 살포장치의 자동 절환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6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