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4736Y1 - 도어의 록킹장치 - Google Patents

도어의 록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4736Y1
KR200194736Y1 KR2020000008861U KR20000008861U KR200194736Y1 KR 200194736 Y1 KR200194736 Y1 KR 200194736Y1 KR 2020000008861 U KR2020000008861 U KR 2020000008861U KR 20000008861 U KR20000008861 U KR 20000008861U KR 200194736 Y1 KR200194736 Y1 KR 2001947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ousing
handle
shaft
lock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88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택희
Original Assignee
이택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택희 filed Critical 이택희
Priority to KR20200000088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473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47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473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5/00Locks in which a sliding latch is used also as a locking bolt
    • E05B55/005Cylindrical or tubular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065Operating modes; Transformable to different operating mo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22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operated by a pulling or pushing a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 plate, i.e. by pulling or pushing the wing itself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의 록킹장치에 관한 것으로, 손잡이를 돌리거나 당겨서 도어를 열 수 있음은 물론 손잡이를 눌러도 도어를 열 수 있도록 한 도어의 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도어의 손잡이를 돌리거나 당김은 물론 가압하여도 열 수 있도록 하여 어떠한 상황에서도 도어를 쉽게 열 수 있도록 한 도어의 록킹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도어가 개폐가능하게 소정위치에 설치된 도어의 록킹장치가, 상기 도어에 형성된 홈으로 안착되는 하우징의 양측벽에 고정된 나사부재에 체결되면서 상기 도어에 하우징이 고정되도록 하우징커버가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과 나사부재 및 하우징커버의 중심으로 관통되도록 배치되는 축부재에 핀을 매개로 소정각도 내에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캠부재의 양단으로 끼워져 상기 캠부재와 밀착되어 캠부재를 가압하거나 이탈되도록 작동부재가 설치되며, 이 작동부재를 서로 밀어부치도록 탄성부재가 설치되는 한편, 상기 축부재의 양단에 끼워져 너트부재로 체결된 손잡이부재의 밀거나 당길 때 및 돌릴 때 상기 캠부재가 회전되면서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축부재에 끼워짐과 더불어 하우징내에 설치된 이동부재의 일단에 용접 또는 나사결합으로 고정된 연장축을 매개로 고정되어 이동부재의 전진시에는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어 도어의 회전이 되지 않도록 잠기고 후진시에는 도어를 회전할 수 있도록 하우징의 내부로 함몰되도록 록킹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이동부재의 후방과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이동부재를 가압하여 밀어부치도록 탄성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손잡이부재와 너트부재의 사이에는 와셔가 축부재에 끼워져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어의 록킹장치{A door locking apparatus}
본 고안은 도어의 록킹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손잡이를 돌리거나 당겨서 도어를 열 수 있음은 물론 손잡이를 눌러도 도어를 열 수 있으며 상시 해제 기능이 구비된 도어의 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의 록킹장치는 도어가 닿은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가 열 수 있도록 된 것과, 도어를 닿은 상태에서 키를 이용하여 잠그거나 열 수 있도록 하는 타입이 있다.
본 고안에서는 도어가 닿은 상태로 유지됨과 더불어 록킹장치의 손잡이부재를 조작하게 되면 열 수 있도록 한 것에 관한 것이다.
종래 도어에 설치된 록킹장치는 도어가 닿혀 있는 상태에서 손잡이부재를 돌려서 도어를 여는 것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또는 손잡이부재를 당겨서 도어를 여는 것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도어의 록킹장치가 설치된 도어를 열때에는 손잡이부재를 잡고 돌리거나 또는 당겨서 도어를 열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도어의 록킹장치는 도어에 설치된 손잡이부재를 돌려서 도어를 여는 방식은 단지 손잡이부재를 돌려야만 도어를 열 수 있고, 또 손잡이부재를 당겨서 여는 방식은 단지 손잡이부재를 당겨야만 도어를 열 수 있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출입자가 손에 무거운 짐을 들고 있는 상태에서는 손잡이부재를 돌리는것이 매우 어려움은 물론, 당기는 것도 어려운 결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결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손잡이부재를 돌리거나 당길 경우에도 도어를 열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이 용이하도록 한 도어의 록킹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다른 목적은 무거운 짐을 들고 있는 상태에서는 도어를 열기가 용이하도록한 도어의 록킹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보조핸들이 도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도 1의 A - A선 단면도,
도 3은 도 2의 B - B선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작동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작동부재가 손잡이부재와 접촉되는 부분을 나타내는 일부사시도,
도 6은 도 2의 좌측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록킹장치의 손잡이부재를 당기거나 밀경우에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설명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록킹장치의 손잡이부재를 돌릴 경우에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D: 도어 1O: 하우징
20: 나사부재 30: 하우징커버
40: 축부재 50: 핀
60: 캠부재 70: 작동부재
80: 탄성부재 90: 손잡이부재
100: 이동부재 110: 연장축
120: 록킹부재 130: 탄성부재
140: 너트부재 150: 와셔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도어가 개폐가능하게 소정위치에 설치된 도어의 록킹장치가, 상기 도어에 형성된 홈으로 안착되는 하우징의 양측벽에 고정된 나사부재에 체결되면서 상기 도어에 하우징이 고정되도록 하우징커버가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과 나사부재 및 하우징커버의 중심으로 관통되도록 배치되는 축부재에 핀을 매개로 소정각도 내에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캠부재의 양단으로 끼워져 상기 캠부재와 밀착되어 캠부재를 가압하거나 이탈되도륵 작동부재가 설치되며, 이 작동부재를 서로 밀어부치도록 탄성부재가 설치되는 한편, 상기 축부재의 양단에 끼워져 너트부재로 체결된 손잡이부재의 밀거나 당길 때 및 돌릴 때 상기 캠부재가 회전되면서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축부재에 끼워짐과 더불어 하우징내에 설치된 이동부재의 일단에 용접 또는 나사결합으로 고정된 연장축을 매개로 고정되어 이동부재의 전진시에는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어 도어의 회전이 되지 않도록 잠기고 후진시에는 도어를 회전할 수 있도록 하우징의 내부로 함몰되도록 록킹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이동부재의 후방과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이동부재를 가압하여 밀어부치도록 탄성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손잡이부재와 너트부재의 사이에는 와셔가 축부재에 끼워져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보조핸들이 도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 A선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B - B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작동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작동부재가 손잡이부재와 접촉되는 부분을 나타내는 일부사시도이고, 도 6은 도 2의 좌측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도어의 록킹장치는, 건축물의 벽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도어(D)의 소정위치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본 고안의 록킹장치는, 도어(D)에 형성된 홈(d)으로 안착되는 하우징(1O)과, 이 하우징(10)의 양측벽에 고정된 나사부재(20)와, 이 나사부재(20)에 체결되면서 상기 도어(D)에 하우징(10)이 고정되도록 된 하우징커버(30)와, 상기 하우징(10)과 나사부재(20) 및 하우징커버(30)의 중심으로 관통되도록 배치되는 축부재(40)와, 이 축부재(40)에 핀(50)을 매개로 소정각도 내에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캠부재(60)와, 상기 축부재(40)의 양단으로 끼워져 상기 캠부재(60)와 밀착되어 캠부재(60)를 가압하거나 이탈되도록 설치된 작동부재(70)와, 이 작동부재(70)를 서로 밀어부치도록 설치된 탄성부재(80)와, 상기 축부재(40)의 양단에 끼워져 너트부재(140)로 체결된 손잡이부재(90)와, 이 손잡이부재(90)의 밀거나 당길 때 및 돌릴때 상기 캠부재(60)가 회전되면서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축부재(40)에 끼워짐과 더불어 하우징(10)내에 설치된 이동부재(100)와, 이 이동부재(100)의 일단에 용접 또는 나사결합으로 고정된 연장축(110)을 매개로 고정되어 이동부재(100)의 전진시에는 상기 하우징(1O)의 외부로 돌출되어 도어(D)의 회전이 되지 않도록 잠기고 후진시에는 도어(D)를 회전할 수 있도록 하우징(1O)의 내부로 함몰되도록 된 록킹부재(120)와, 상기 이동부재(100)의 후방과 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이동부재(100)를 가압하여 밀어부치도록 설치된 탄성부재(130)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재(90)와 너트부재(140)의 사이에는 풀림방지를 위해 와셔(150)가 축부재(40)에 끼워져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10)은, 원통형상을 이루되 일측면에는 상기 이동부재(100)를 삽입하기 위한 홈(11)과 상기 연장축(110)이 끼워지는 관통구멍(12) 및 상기 작동부재(70)가 출입하는 구멍(13)이 양측면에 형성된 하우징브라켓(14)과, 상기 관통구멍(12)으로 삽입되는 연장축(110)과 상기 록킹부재(120)를 안내하도록 하우징브라켓(14)에 고정됨과 더불어 도어(D)의 내측에 수용된 가이드브라켓(15)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캠부재(6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축부재(40)가 끼워지도록 관통구멍(61)이 형성되고, 이 관통구멍(61)과 연통되어 일정각도로 회동될 수 있도록 경사홈(62)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이동부재(100)와 접촉되어 이동부재(100)를 이동할 수 있도록 양단은 반원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작동부재(70)는 도 2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하우징(10)의 구멍(13)과 나사부재(20)의 축방향으로 삽입되어 이동가능하도록 됨과 더불어 일측 중앙에는 상기 축부재(40)가 삽입되도록 관통구멍(71a)과 일정직경의 원통홈(71b)이 형성된 원통부(71)와, 이 원통부(71)의 일단에 고정되어 상기 손잡이부재(90)를 지지하는 소정형상의 지지부(72)와, 상기 원통부(71)의 타단에 양측으로 상기 탄성부재(80)를 지지하기 위해 고정된 연장부(73)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연장부(73)에는 탄성부재(80)를 지지하기 위한 돌기(74)가 형성되게 되면 탄성부재(80)의 설치가 용이하게 된다.
한편 상기 손잡이부재(90)는 도 1과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작동부재(70)의 지지부(72)에 안착되도록 소정형상의 곡률로 이루어짐과 더불어 상기 지지부(72)와 밀착되는 쪽으로 부채꼴 형상의 조작홈(91a)이 형성된 작동면(91)과, 이 작동면(91)에서 일단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부(72)와 함께 지렛대의 역할을 하도록 된 연장지지부(92)와, 상기 작동면(91)의 타단으로 연장된 손잡이부(93)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이동부재(100)는 도 2 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하로 관통 되도록 구성되되 내면의 소정위치에는 상기 캠부재(60)의 작동에 따른 이동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이동블록(101)이 설치되고, 이 이동블록(101)이 설치된 직각방향으로는 상기 축부재(40)와 캠부재(60) 및 탄성부재(80)에 끼워진 상기 핀(50)이 안내되어 이동가능하도록 슬롯홈(102)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이동블록(101)은 상기 캠부재(60)의 길이에 따라 또는 록킹부재(120)의 이동길이에 따라 길이를 길게 하거나 짧게 할 수 있음은 물론, 삭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도 4와 도 5 및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손잡이부재(90)를 밀게 되면, 상기 손잡이부(93)의 일측이 작동부재(70)의 지지부(72)의 일측을 가압하게 되어 작동부재(70)는 나사부재(20)와 하우징(10) 및 이동부재(100)의 내부로 이동되면서 캠부재(60)를 가압하게 되고, 이때 상기 캠부재(60)가 회동되면서 이동블록(101)의 상부로 미끄러져 올라가면서 이동부재(100)와 연장축(110) 및 록킹부재(120)를 당기게 되어 하우징(10)의 가이드브라켓(15)으로 함몰되게 되어 도어(D)가 열 릴 수 있게 된다.
이후 상기 손잡이부재(90)의 손잡이부(93)에 가압하던 힘을 제거하게 되면 도 2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80)의 탄발력에 의해 상기 작동부재(70)가 서로 벌어지게 됨과 동시에 탄성부재(130)에 의해 이동부재(100)와 연장축(110) 및 록킹부재(120)를 밀게 되어 하우징(10)의 가이드브라켓(15)으로 돌출되게 된다.
한편 도 7의 점선에서와 같이 상기 손잡이부재(90)를 당기게 되면, 상기 손잡이부(93)의 일측이 작동부재(70)의 지지부(72)의 타측을 가압하게 되어 작동부재(70)는 나사부재(20)와 하우징(10) 및 이동부재(100)의 내부로 이동되면서 캠부재(60)를 가압하게 되고, 이때 상기 캠부재(60)가 회동되어 이동블록(101)의 상부로 미끄러져 올라가면서 이동부재(100)와 연장축(110) 및 록킹부재(120)를 당기게 되어 하우징(10)의 가이드브라켓(15)으로 함몰되게 되어 도어(D)가 열 릴 수 있게 된다.
이후 상기 손잡이부재(90)의 손잡이부(93)에 가압하던 힘을 제거하게 되면 도 2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80)의 탄발력에 의해 상기 작동부재(70)가 서로 벌어지게 됨과 동시에 탄성부재(130)에 의해 이동부재(100)와 연장축(110) 및 록킹부재(120)를 밀게 되어 하우징(10)의 가이드브라켓(15)으로 돌출되게 된다.
한편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손잡이부재(90)를 상기 축부재(40)에 대해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손잡이부(93)의 작동면(91)에서 돌출된 측면이 회전되면서 작동부재(70)의 지지부(72)를 따라 가압하게 되어 작동부재(70)는 나사부재(20)와 하우징(10) 및 이동부재(100)의 내부로 이동되면서 캠부재(60)를 가압하게 되고, 이때 상기 캠부재(60)가 이동블록(101)의 상부로 미끄러져 올라가면서 이동부재(100)와 연장축(110) 및 록킹부재(120)를 당기게 되어 하우징(10)의 가이드브라켓(15)으로 함몰되게 되어 도어(D)가 열 릴 수 있게 된다.
이후 상기 손잡이부재(90)의 손잡이부(93)를 원위치로 돌려주게 되면 도 2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80)의 탄발력에 의해 상기 작동부재(70)가 서로 벌어지게 됨과 동시에 탄성부재(130)에 의해 이동부재(100)와 연장축(110) 및 록킹부재(120)를 밀게 되어 하우징(10)의 가이드브라켓(15)으로 돌출되게 된다.
즉, 상기 손잡이부재(90)의 손잡이부(93)를 당기거나 또는 가압할 경우에도 도어의 록킹을 해제할 수 있음은 물론, 손잡이부(93)를 회전시킬 경우에도 도어의 록킹을 해제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손잡이부재를 돌리거나 당길 경우에도 도어를 열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이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무거운 짐을 들고 있는 상태에서도 손잡이부재의 손잡이부를 가압하는 것만으로 도어의 록킹이 해제되므로 도어를 열기가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6)

  1. 도어가 개폐가능하게 소정위치에 설치된 도어의 록킹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 형성된 홈으로 안착되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의 양측벽에 고정된 나사부재와, 이 나사부재에 체결되면서 상기 도어에 하우징이 고정되도록 된 하우징커버와, 상기 하우징과 나사부재 및 하우징커버의 중심으로 관통되도록 배치되는 축부재와, 이 축부재에 핀을 매개로 소정각도 내에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캠부재와, 상기 축부재의 양단으로 끼워져 상기 캠부재와 밀착되어 캠부재를 가압하거나 이탈되도록 설치된 작동부재와, 이 작동부재를 서로 밀어부치도록 설치된 탄성부재와, 상기 축부재의 양단에 끼워져 너트부재로 체결된 손잡이부재와, 이 손잡이부재의 밀거나 당길 때 및 돌릴 때 생기 캠부재가 회전되면서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축부재에 끼워짐과 더불어 하우징내에 설치된 이동부재와, 이 이동부재의 일단에 용접 또는 나사결합으로 고정된 연장축을 매개로 고정되어 이동부재의 전진시에는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어 도어의 회전이 되지 않도록 잠기고 후진시에는 도어를 회전할 수 있도록 하우징의 내부로 함몰되도록 된 록킹부재와, 상기 이동부재의 후방과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이동부재를 가압하여 밀어부치도록 설치된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록킹창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재와 너트부재의 사이에는 와셔가 축부재에 끼워져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록킹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원통형상을 이루되 일측면에는 상기 이동부재를 삽입하기 위한 홈과 상기 연장축이 끼워지는 관통구멍 및 상기 작동부재가 출입하는 구멍이 양측면에 형성된 하우징브라켓과, 상기 관통구멍으로 삽입되는 연장축과 상기 록킹부재를 안내하도록 하우징브라켓에 고정됨과 더불어 도어의 내측에 수용된 가이드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록킹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캠부재는, 상기 축부재가 끼워지도록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이 관통구멍과 연통되어 일정각도로 회동될 수 있도록 경사홈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이동부재와 접촉되어 이동부재를 이동할 수 있도록 양단은 반원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록킹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구멍과 나사부재의 축방향으로 삽입되어 이동가능하도록 됨과 더불어 일측 중앙에는 상기 축부재가 삽입되도록 관통구멍과 일정직경의 원통홈이 형성된 원통부와, 이 원통부의 일단에 고정되어 상기 손잡이부재를 지지하는 소정형상의 지지부와, 상기 원통부의 타단에 양측으로 상기 탄성부재를 지지하기 위해 고정된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록킹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재는, 상기 작동부재의 지지부에 안착되도록 소정형상의 곡률로 이루어짐과 더불어 상기 지지부와 밀착되는 쪽으로 부채꼴 형상의 조작홈이 형성된 작동면과, 상기 작동면의 타단으로 연장된 손잡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록킹장치.
KR2020000008861U 2000-03-24 2000-03-24 도어의 록킹장치 KR2001947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8861U KR200194736Y1 (ko) 2000-03-24 2000-03-24 도어의 록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8861U KR200194736Y1 (ko) 2000-03-24 2000-03-24 도어의 록킹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4736Y1 true KR200194736Y1 (ko) 2000-09-01

Family

ID=19649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8861U KR200194736Y1 (ko) 2000-03-24 2000-03-24 도어의 록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4736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8539B1 (ko) * 2007-03-29 2007-11-22 두얼메카닉스 주식회사 푸쉬-풀-푸쉬 도어록 장치
KR100873402B1 (ko) 2007-05-10 2008-12-11 주식회사 수퍼락 양방향 푸시풀 도어락 바디
KR101059753B1 (ko) 2011-02-22 2011-08-29 최명락 당김형 도어록
KR101331979B1 (ko) * 2012-07-17 2013-11-25 주식회사 넥스트 디지털용 도어록의 모티스 및 이를 구비한 도어록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8539B1 (ko) * 2007-03-29 2007-11-22 두얼메카닉스 주식회사 푸쉬-풀-푸쉬 도어록 장치
KR100873402B1 (ko) 2007-05-10 2008-12-11 주식회사 수퍼락 양방향 푸시풀 도어락 바디
KR101059753B1 (ko) 2011-02-22 2011-08-29 최명락 당김형 도어록
WO2012115317A1 (ko) * 2011-02-22 2012-08-30 Choi Myung-Rag 당김형 도어록
KR101331979B1 (ko) * 2012-07-17 2013-11-25 주식회사 넥스트 디지털용 도어록의 모티스 및 이를 구비한 도어록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70230B1 (fr) Mécanisme de débrayage pour appareil de traction agissant sur un câble qui le traverse
JP4720395B2 (ja) 車両用ドアハンドル装置
KR890001457Y1 (ko) 문짝용 핸들장치
KR940021877A (ko) 문용 록핸들장치
KR200194736Y1 (ko) 도어의 록킹장치
US6406072B1 (en) Drive device for an electrically operated lock
KR100417045B1 (ko) 평면 핸들장치
US6203226B1 (en) Side-knock type mechanical pencil
JP4715420B2 (ja) 車両用ドアハンドル装置
CN216788073U (zh) 一种自动锁体的斜舌收回组件以及自动锁体
US5020836A (en) Easily openable tubular latch
KR20170066195A (ko) 푸쉬 풀 도어락
EP0940210A1 (en) Clamping device for a saw blade and saw equipped therewith
JP2005306134A (ja) グローブボックス構造
KR200393089Y1 (ko) 교실용 도어록의 잠금 및 열림장치
JP2668346B2 (ja) ラッチ逆配置型平面ハンドル装置
JP3666835B2 (ja) コラムat用シフトレバー装置
KR101924717B1 (ko) 슬라이딩 창호용 그립형 잠금장치
KR100380934B1 (ko) 핸들을 이용한 주차브레이크에 해제장치
KR100527951B1 (ko) 도어 인사이드 핸들 구조
KR100254606B1 (ko) 전자레인지의 도어레치 구동장치
KR200173414Y1 (ko) 도어의 괘.해정장치를 작동시키는 도어 손잡이 장치
JP2898588B2 (ja) 引出し回転型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KR200284698Y1 (ko) 우산의 잠금장치
KR100415053B1 (ko) 도어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22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