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3193Y1 - 거푸집용 모서리 판넬 - Google Patents

거푸집용 모서리 판넬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3193Y1
KR200193193Y1 KR2020000007741U KR20000007741U KR200193193Y1 KR 200193193 Y1 KR200193193 Y1 KR 200193193Y1 KR 2020000007741 U KR2020000007741 U KR 2020000007741U KR 20000007741 U KR20000007741 U KR 20000007741U KR 200193193 Y1 KR200193193 Y1 KR 2001931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sides
panel
present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77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경근
Original Assignee
오경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경근 filed Critical 오경근
Priority to KR20200000077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31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31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319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Abstract

본 고안은 거푸집(30)의 개방된 측방에 직각이 되도록 삽입하여 거푸집(30) 양측에 설치된 세로부재(31)에 체결핀(32)을 꽂아 고정되도록 구성한 거푸집용 모서리 패널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30)의 개방된 측방에 삽입되는 후판(21)의 양측 전면에 전방으로 돌출된 측방지지돌기(22)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측방지지돌기(22)의 전방에 양측 외향으로 연장되고 내부에 상하로 관통된 공간(23)이 형성된 고정판(24)이 일체로 압출 구성되어 용접을 전혀 하지 않고 길이 절단 및 체결공 통공 작업에 의해 완제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적은 인원으로 짧은 시간에 다량의 제품 생산이 가능하며, 외력에 의해 각 부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거푸집용 모서리 패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거푸집용 모서리 판넬{finish panel}
본 고안은 전`후면 거푸집의 개방된 측단부에 고정 설치되는 옹벽 마감용 패널에 관한 것이다.
거푸집 시스템에 있어 현관의 문틀 등이 결합되도록 공간부를 형성시키기 위해서 사용되는 종래의 모서리 패널은 얇은 합판으로 된 전면패널이 지지목과 스페이서에 의해 지지되어 전면패널의 중앙부가 지지되지 못함으로서,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측방으로 발생하는 압력을 지탱하지 못하여 전면패널의 중앙이 외향으로 변형되어 지지목을 고정시킨 고정못이 이탈함에 따라 콘크리트가 양생된 후 옹벽의 모서리부가 고르지 못하여 창문 및 창틀의 시공을 원할하게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지지목과 스페이서가 목재로 구성되어 있어 중량이 가벼워 운반이 용이하고 제조원가가 저렴한 이점을 있으나 수명이 짧고 조립공정이 난이하며 정밀시공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근래에 와서 여러가지 형태의 옹벽 마감용 패널이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그 일례로서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용신안등록127910호를 들수 있다.
이 선출원 고안의 모서리 패널(10)은, 전면패널(11)의 외측면 양측과 중앙에 금속재의 세로부재(12)가 용접으로 결합되며, 세로부재(12)의 상부와 하부는 금속재의 보강부재(13)가 용접으로 결합되고, 전면패널(11)과 대향하는 세로부재(12)의 외측에 가로 방향으로 다수개의 가로부재(14)가 용접된다.
이러한 선등록 고안은 목재를 이용한 모서리 패널의 구조보다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이점은 있으나, 전면패널에 다수의 세로부재와 보강부재를 용접으로 결합시킴으로서 조립공정이 복잡하여 대량 생산이 불가능하며, 외부에서 작용하는 하중을 견디지 못하여 용접된 부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고, 각 세로부재의 수평도 유지하기 난이하여 세로부재에 상`하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야 하는 가로부재의 정밀한 조립이 어렵고 제조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각 부재가 철판으로 이루어진 패널의 중량이 무거워 운송 및 취급이 난이하며, 패널이 노후되어 폐기할 때 고철 회수비용이 저가인 비경제적인 결함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용접을 전혀 하지 않고 길이 절단 및 체결공 통공 작업에 의해 완제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적은 인원으로 짧은 시간에 다량의 제품 생산이 가능하며, 외력에 의해 각 부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거푸집용 모서리 패널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거푸집의 개방된 측방에 삽입되는 후판의 양측 전면에 전방으로 돌출된 측방지지돌기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측방지지돌기의 전방에 양측 외향으로 연장되고 내부에 상하로 관통된 공간이 형성된 고정판이 일체로 압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마감용 패널의 결합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 마감용 패널의 결합 상태를 보인 평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결합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결합 상태를 보인 평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모서리 패널 21: 후판
22: 측방지지돌기 23: 공간
24: 고정판 25: 체결공
30: 거푸집 31: 세로부재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 일 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 모서리 패널(20)은 장방형으로 된 후판(21)의 양측 전면에 전방으로 돌출된 측방지지돌기(22)가 길이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되고, 이 측방지지돌기(22)의 전방에 각각 양측 외향으로 연장되고 내부에 상하로 관통된 공간(23)이 형성된 고정판(24)이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고정판(24)의 표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체결공(25)이 통공된다.
상기 측방지지돌기(22)의 돌출된 높이는 거푸집과 옹벽의 조건에 따라 낮거나 높게 구성하며, 측방지지돌기(22)의 폭은 내측으로 연장할 수 있고, 그 내측벽은 보강을 위하여 소정 각도의 경사를 이루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후판(21)과 측방지지돌기(22), 그리고 고정판(24)은 압출 가공에 의해 일체로 성형하며, 소비자의 요구에 따라 임의 치수로 절단한다.
그리고 소정 치수로 절단된 패널(20)의 고정판(24)에 프레스 가공에 의해 체결공을 통공시킨다.
이상에서와 같이 옹벽을 측면이 성형되도록 지지하는 후판(21)과 측방지지돌기(22), 그리고 패널(20) 전체를 거푸집에 고정시키는 고정판이 압출기에서 일체로 성형됨으로서, 용접을 전혀 하지 않고 길이 절단 및 체결공 통공 작업에 의해 완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따라서 짧은 시간에 다량의 제품 생산이 가능하며, 작업인원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력에 의해 각 부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 패널(20)은 알루미늄(AL)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고, 합성수지와 철(Fe)을 이용할 수도 있다. 알루미늄(AL)을 소재로 사용하면 중량이 가벼워 운송과 취급이 간편하며, 패널의 사용이 불가능하여 폐기 처분할 경우에는 고철 처분비용(최초 제품비용의 50% 이상)을 많이 회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모서리 패널(20)을 시공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옹벽(W)의 전후면을 형성하는 거푸집(30)의 개방된 측방에 거푸집(30)과 직각이 되도록 모서리 패널(20)의 후판(21)을 삽입함과 동시에 양 고정판(24)의 배면을 거푸집(30) 양측에 설치된 세로부재(31)의 전면에 밀착시킨다.
이렇게 모서리 패널(20)이 거푸집(30)의 개방된 측방에 일치되면 고정판(24)에 통공된 체결공(25)과 거푸집 세로부재(31)의 체결공을 관통하도록 고정판(24)의 외측에서 체결핀(32)를 삽입하여 모서리 패널(20)을 거푸집(30)의 측방에 고정시킨다.
이러한 본 고안 모서리 패널(20)의 시공 과정은 종래의 모서리 패널의 시공과 동일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거푸집의 개방된 측방에 삽입되는 후판의 양측 전면에 전방으로 돌출된 측방지지돌기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이 측방지지돌기의 전방에 각각 외향으로 연장된 고정판이 구비되도록 압출 성형에 의해 패널을 구성함으로서, 용접을 전혀 하지 않고 길이 절단 및 체결공 통공 작업에 의해 완제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적은 인원으로 짧은 시간에 다량의 제품 생산이 가능하며, 외력에 의해 각 부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거푸집(30)의 개방된 측방에 직각이 되도록 삽입하여 거푸집(30) 양측에 설치된 세로부재(31)에 체결핀(32)을 꽂아 고정되도록 구성한 거푸집용 모서리 패널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30)의 개방된 측방에 삽입되는 후판(21)의 양측 전면에 전방으로 돌출된 측방지지돌기(22)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측방지지돌기(22)의 전방에 양측 외향으로 연장되고 내부에 상하로 관통된 공간(23)이 형성된 고정판(24)이 일체로 압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용 모서리 패널.
KR2020000007741U 2000-03-18 2000-03-18 거푸집용 모서리 판넬 KR2001931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7741U KR200193193Y1 (ko) 2000-03-18 2000-03-18 거푸집용 모서리 판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7741U KR200193193Y1 (ko) 2000-03-18 2000-03-18 거푸집용 모서리 판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3193Y1 true KR200193193Y1 (ko) 2000-08-16

Family

ID=19647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7741U KR200193193Y1 (ko) 2000-03-18 2000-03-18 거푸집용 모서리 판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319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40373A1 (en) Insertion Assembly for Door and Window Frames
US20120192506A1 (en) Concrete weldment
KR20100009969U (ko) 거푸집패널 조립식 프레임
KR200448085Y1 (ko) 거푸집패널 조립식 프레임
KR200193193Y1 (ko) 거푸집용 모서리 판넬
KR200381862Y1 (ko) 조립식 물탱크의 외부 보강구조
KR101640172B1 (ko) 건물의 단위구조부재와 이 단위구조부재를 이용한 바닥 구조
KR200441658Y1 (ko) 구조 개선된 거푸집
JPH0497048A (ja) 化粧パネルの取付構造
KR100468282B1 (ko) 분할가능한 스페이서 부재를 사용한 성형체 이어맞춤식 콘크리트 형틀을 사용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그 제조 방법 및 형틀 재료
KR101647742B1 (ko) 문틀보강재 및 이의 제조방법
JP6770771B1 (ja) 梁底型枠
KR102086030B1 (ko) 거푸집패널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 어셈블리
KR200462050Y1 (ko) 거푸집 판넬
KR200375728Y1 (ko) 인코너 설치용 철재 거푸집
CN213980432U (zh) 门框及门框模板组合
JPH10140823A (ja) コンクリート型枠
KR200292763Y1 (ko) 일체형 알루미늄 단위 거푸집판넬
JP2595087Y2 (ja) 合成樹脂製コンクリート用型枠
KR200198986Y1 (ko) 콘크리트 타설용 유로폼
JP3709275B2 (ja) 壁面構造物
KR0127910Y1 (ko) 거푸집용 모서리 판넬
CN213290686U (zh) 一种用于叠合楼板的生产模具
KR940001783Y1 (ko) 건물의 셔터박스(Shutter Box)내부 성형틀
KR200391961Y1 (ko) 옹벽 마감용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