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3168Y1 - 건축물의 외벽구조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외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3168Y1
KR200193168Y1 KR2020000007022U KR20000007022U KR200193168Y1 KR 200193168 Y1 KR200193168 Y1 KR 200193168Y1 KR 2020000007022 U KR2020000007022 U KR 2020000007022U KR 20000007022 U KR20000007022 U KR 20000007022U KR 200193168 Y1 KR200193168 Y1 KR 2001931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building
formwork
wall structure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70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우태
Original Assignee
강영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영희 filed Critical 강영희
Priority to KR20200000070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31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31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316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물의 외벽체 구조에 관한 것으로 외벽체의 외부 쪽에 CRC 보드 또는 CRC 보드와 일체로 결합된 단열재를 설치하고 내벽 쪽에 CRC 보드를 설치하고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별도의 거푸집 철거 작업이 필요 없고 내벽의 콘크리트 면처리가 필요없는 건축물의 외벽체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외벽체구조를 채택하면 건축물에서 외단열 시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내벽면의 마감을 위한 작업이 감소되고 거푸집 설치 및 해체작업이 필요 없으므로, 공기, 공비 및 노동력 절감의 효과가 우수하다.

Description

건축물의 외벽구조{External wall structure of a building}
본 고안은 건축물의 외벽구조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외벽체의 외부 쪽에 CRC 보드 또는 CRC 보드와 일체로 된 단열재를 설치하고 내부 쪽에 CRC 보드를 설치하고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별도의 거푸집 철거 작업이 필요 없고 내벽의 콘크리트 면처리가 필요없는 건축물의 외벽구조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에는 열 손실을 막기 위하여 단열시공을 한다. 단열 방법에는 단열재를 넣은 위치에 따라 내단열, 중단열, 외단열로 구분한다. 열 손실에 관한 이론상 외단열이 유리하지만 시공상의 난점 때문에 통상 내단열이나 중단열 시공을 하고 있다.
그리고 벽체가 철근콘크리트 구조인 경우, 먼저 거푸집을 설치하고 철근을 배근한 다음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그러나 종래의 거푸집 공법으로 시공할 경우 콘크리트 타설 후 거푸집을 해체하는데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고, 상기 거푸집을 해체한 후 별도의 마감 패널을 부착하는 공정이 필요하므로 결과적으로 공비가 상승하는 단점이 있다.
과거에는 상기 종래의 거푸집 공법의 경우 거푸집을 수 차례 전용하여 사용하므로 그 만큼 거푸집 소요비용을 줄일 수 있었다. 그러나 시공의 편의성과 경제성을 고려한 현대의 건축공사의 흐름으로 볼 때, 거푸집을 철거한 콘크리트 마감면을 바로 이용할 수 있는 내벽의 요구가 점차 증대되고 있으므로, 아무리 유로폼 등과 같이 별도의 코팅마감을 한 제품이라 하더라도 고품질의 콘크리트 마감면을 얻기 위해서는 전용회수를 줄여야만 한다. 이와 같이 낮아지는 전용율로 인해서, 종래의 거푸집의 장점이던 수 차례 반복해서 거푸집을 이용한다는 거푸집 전용의 경제성은 점차 줄어들고 있으며, 이보다는 거푸집 철거 공정을 줄이고 공기를 앞당기려는 요구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또한 일반 오피스 빌딩 및 주택 등에서, 상기 종래의 거푸집 공법으로 시공한 후 부착한 마감패널로 이루어진 외벽의 내벽면의 경우, 특히 겨울철에 콘크리트 벽체의 낮은 온도와 내실의 높은 온도로 인한 온도차로 생기는 결로현상으로 상기 마감패널에 물방울이 맺혀 썩거나 곰팡이가 생기는 문제점이 있다.
발명자는 종래의 건축물의 외벽구조의 단열시공과 내벽 마감처리가 안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본 발명을 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물의 외단열 시공과 내벽면 처리를 동시에 할 수 있는 건축물의 외벽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거푸집을 설치하고 해체할 필요가 없는 건축물의 외벽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외벽구조의 단면도이다.
도2는 본 고안의 외벽구조의 공사 단면도이다.
<도면의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 콘크리트 2: 지지대
3: 폼타이
11: CRC 보드 12: 단열재
13: 보강 철물
도면에 따라 본 고안을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외벽구조의 단면도이고, 도2는 본 고안의 외벽구조의 공사 단면도이다.
도1과 같이 본 고안의 외벽구조는 건축물 벽의 외부 쪽에 설치된 CRC 보드(11) 또는 상기 CRC 보드에 일체로 접합된 단열재, 벽의 내부 쪽에 설치된 CRC 보드(11), 그리고 단열재(12)와 내부 쪽 CRC 보드(11) 사이에 채워진 콘크리트(1)로 구성된다.
통상 콘크리트 벽체를 시공할 때에는 벽의 양쪽에 거푸집을 설치하고 양 거푸집을 폼타이와 세퍼레이터로 고정한 후 콘크리트를 채워 넣고 양생한 다음 거푸집을 해체한다. 그리고 단열이 필요할 경우 별도로 단열공사를 해야 한다. 단열공사를 별도로 시행할 경우 작업과정도 번거롭지만 열교현상이 생기지 않게 공사하기가 어려우므로 결로가 생기고 곰팡이가 피는 현상이 생기기 쉽다. 그리고 내벽의 경우 마감처리를 해야 하는데 콘크리트 면이 깨끗하지 못하므로 콘크리트 면처리를 하고 그 위에 도장이나 벽지 등 마감을 해야 하므로 이중 작업이 된다.
본 고안의 외벽구조는 단열성능을 보장하고 내벽면의 면처리를 할 필요가 없다. 그리고 벽체와 일체가 되므로 거푸집을 해체할 필요가 없는 영구 거푸집으로 활용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사용하는 CRC보드(cellulose reinforced cement board) 내화성능과 차음성능이 우수하며, 외면이 평활하고 모르터의 접착성이 우수하여 도배, 도장 및 타일작업 등의 각종 마감작업이 용이한 부재로써, 구조성능 또한 우수하여 거푸집으로 대용할 때 요구되는 강도와 휨성능을 갖추고 있어서 본 고안에서는 거푸집으로 사용하고 콘크리트 타설 후 별도의 마감패널을 사용치 않고 바로 내벽으로 이용이 가능하다. CRC 보드(11) 대신에 기존의 시멘트 또는 석고보드를 구조적 성능을 보강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도2는 본 고안의 외벽체 구조를 공사하는 과정을 보인 것으로 CRC 보드(11)와 단열재(12)가 일체로 된 패널을 건축물의 외벽체의 외면에 설치하고 내면에는 CRC(11)를 설치한다. 양 쪽 CRC 보드(11) 외면에는 지지대(2)를 설치하여 지탱하고 양 CRC 보드(11)의 내부 쪽으로 보강철물(13)을 설치하여 콘크리트와 일체가 되도록 보강한다. 그리고 양 CRC 보드(11)를 관통하여 폼타이(3)로 서로 고정한 다음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여기서 사용하는 지지대(2)는 유로폼이나 별도로 제작한 철물 프레임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폼타이(3)로는 플랫타이, 윙 너트 볼트 등 통상 철근콘크리트공사에서 사용하는 종류를 사용한다.
CRC 보드(11)와 단열재(12)는 서로 일체로 된 패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여건에 따라 따로 설치해도 무방하고, 별도로 단열이 필요하지 않은 부위에는 단열재를 생략해도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외벽체 단열구조를 채택하면 건축물에서 외벽 시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특히 외단열 시공에 유효하다. 그리고 내벽면의 마감을 위한 작업이 감소되고 거푸집 설치 및 해체작업이 필요 없으므로, 공기, 공비 및 노동력 절감의 효과가 우수하다.

Claims (3)

  1. 건축물 외벽의 외부 쪽에 설치된 CRC 보드(11);
    상기 외벽의 내부 쪽에 설치된 CRC 보드(11); 그리고
    상기 단열재(12)와 상기 외벽의 내부 쪽에 설치된 CRC 보드(11) 사이에 채워진 콘크리트;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외벽구조
  2. 제1항에서, 상기 외벽의 외부 쪽에 설치된 CRC보드(11)에 내부에 설치된 단열재(1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외벽구조
  3. 제1항에서, 상기 CRC보드(11)에 보강철물(13)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외벽구조
KR2020000007022U 2000-03-13 2000-03-13 건축물의 외벽구조 KR2001931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7022U KR200193168Y1 (ko) 2000-03-13 2000-03-13 건축물의 외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7022U KR200193168Y1 (ko) 2000-03-13 2000-03-13 건축물의 외벽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3168Y1 true KR200193168Y1 (ko) 2000-08-16

Family

ID=19646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7022U KR200193168Y1 (ko) 2000-03-13 2000-03-13 건축물의 외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316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2643B1 (ko) 2011-05-25 2011-11-10 주식회사 일신산업 외벽 단열재 고정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74360A (ja) * 1994-08-31 1996-03-19 Hiyoshi Kensetsu:Kk コンクリート打設構造部の形成方法
KR19980010269U (ko) * 1996-08-03 1998-05-15 이용우 건축물의 외벽시공용 타일판넬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74360A (ja) * 1994-08-31 1996-03-19 Hiyoshi Kensetsu:Kk コンクリート打設構造部の形成方法
KR19980010269U (ko) * 1996-08-03 1998-05-15 이용우 건축물의 외벽시공용 타일판넬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2643B1 (ko) 2011-05-25 2011-11-10 주식회사 일신산업 외벽 단열재 고정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35620A (ko) 조립식 철골조(steel house)와 이를 이용한 건축공법
WO2018099199A1 (zh) 一种装配式自保温墙体反打制备工艺
CN101435221B (zh) 整体喷涂肋板混凝土结构的内保温房屋及施工方法
KR200193168Y1 (ko) 건축물의 외벽구조
JPH11193588A (ja) 鉄筋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外断熱工法における耐火材の取付方法。
CN213014960U (zh) 一种防渗加气混凝土砌块
KR200179057Y1 (ko) 결로 방지 패널 및 결로방지 벽
KR100331085B1 (ko) 콘크리트 구조물용 슬래브판
JPS5947784B2 (ja) コンクリ−ト建造物における外壁の構造
KR200169732Y1 (ko) 건축용 조립식 판넬
KR20060094068A (ko) 천장의 슬라브 시공에 이용되는 거푸집 대체용마감단열보드 및 이를 이용한 천장의 슬라브 구조 및 그시공 방법
CN218843446U (zh) 轻量化集成保温双模壳墙板预制构件和节能墙体构造
KR102300731B1 (ko) 외단열재 일체형 갱폼을 구비한 외단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외단열 시공방법
CN215670191U (zh) 一种装配式复合保温系统
JP2718465B2 (ja) Pcカーテンウォール版
CN209603372U (zh) 带后浇筑带的装配式预制外墙板
CN220598792U (zh) 双模壳自保温构件及包含其的节能墙体
JP4746781B2 (ja) 建物の外断熱建築工法
KR0145358B1 (ko) 건축구조물의 슬라브 시공방법
CN220014063U (zh) 用于托架成型的模块化保温装置及包含其的节能构造
KR20010048025A (ko) 결로방지 패널과 이를 이용한 구조체 일체형 거푸집공법및 결로방지벽
JPS6029527Y2 (ja) 換気口ブロツク
KR20050079383A (ko) 건축물 벽 시공용 거푸집 조립장치
JP3817543B2 (ja) 外断熱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カーテンウォール
JPS612880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