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3135Y1 - 안전망고정구 - Google Patents

안전망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3135Y1
KR200193135Y1 KR2020000006465U KR20000006465U KR200193135Y1 KR 200193135 Y1 KR200193135 Y1 KR 200193135Y1 KR 2020000006465 U KR2020000006465 U KR 2020000006465U KR 20000006465 U KR20000006465 U KR 20000006465U KR 200193135 Y1 KR200193135 Y1 KR 2001931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fixture
fixed
hole
safety 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64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기수
Original Assignee
오기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기수 filed Critical 오기수
Priority to KR20200000064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31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31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313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61Safety-nets; Safety mattresses; Arrangements on buildings for connecting safety-lines
    • E04G21/3266Safety 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18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supported by cantilevers or other provisions mounted in openings in the building, e.g. window ope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안전망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써 외부작업을 내부에서 행하도록함과 아울러 내부작업이 가능하여 인명사고를 방지하도록하고 수직지지대의 일률적인 각도를 유지할 수 있으며, 추락하는 물체에 의하여 안전망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하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안전망고정구{Device for fixing safety net}
본 고안은 안전망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정의 각도를 갖으며 설치되는 안전망을 건설중인 구조물의 외부로 나가지 않고 내부에서 설치가 가능하도록한 안전망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중인 구조물이 3층이상일 때에는 안전망을 설치하여야 하며 이는 첨부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코니(100)의 끝부단의 단턱부(110)를 고정판(210)과 유동고정판(220) 사이에 위치시킨후 손잡이(230)가 구비된 스크류봉(240)을 회전 이동시켜 유동고정판(220)을 압압하면 고정구(200)를 발코니(200)의 끝단부(110)에 고정 설치한다.
한편, 상기 고정구(200)의 끝단으로는 비계지지대(400)를 먼저 설치하여 일정간격 이격된 고정구(200)를 연결한 다음 비계지지대(400)와 고정구(200)가 접하는 부위에 도면상 미도시된 클램프를 설치하여 지지대(300)의 일단을 연결한다.
이때, 타측은 고정구(200)의 설치층 보다 상부층에서 로우프로 끝단을 잡고 있다가 지지대가 구유하는 각도가 되었을때 느슨하게 고정된 클램프를 이용하여 지지대(300)을 견고히 고정한다.
상기 고정 설치된 지지대(300)에 일정한 간격으로 수평지지대(410)를 설치할 때 작업자가 구조물의 외부로 나가서 지지대(300)를 발판으로 이용 수평지지대(410)를 설치하고 다시 안전망을 그 위에 고정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종래에는 길이가 길게 형성된 지지대의 설치가 어렵고, 설치시간이 오래 걸리며, 설치 작업이 어려워 작업자의 수가 증가되고 안전망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구조물의 외부로 나가 설치 작업을 행하므로 추락사고의 위험을 항상 내포하고 인명사고도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이의 목적은 외부작업을 내부에서 행하도록함과 아울러 내부작업이 가능하여 인명사고를 방지하도록하고 수직지지대의 일률적인 각도를 유지할 수 있으며, 추락하는 물체에 의하여 안전망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한 안전망고정구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중앙부에 나사부가 구비된 브라켓트를 일체로 형성한 기준프레임과, 상기 브라켓트와 소정간격 이격된 지지부재에 의하여 변형이 방지된 고정판이 설치되고, 나사부에는 손잡이가 일체로 형성되고 타측으로는 유동가압부재가 구비된 스크류봉이 나합 설치된 클램핑부와, 관통공을 일측 끝단부에 형성되고 하단으로는 각도유지스토퍼에 의해 연결되어 절곡 형성된 고정판의 상부에 일끝단이 고정되며 고정프레임의 측부에 대향되게 설치된 가이드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제1고정구 및 제2고정구와; 상기 제1고정구 및 제2고정구 사이에는 고정핀이 상면에 일체로 형성된 기준프레임의 타측 하단으로는 나사부가 구비된 브라켓트와 소정간격 이격된 지지부재에 의하여 변형이 방지된 고정판이 설치되고, 나사부에는 손잡이가 일체로 형성되고 타측으로는 유동가압부재가 구비된 스크류봉이 나합 설치된 클램핑부가 형성된 제3고정구와; 상기 일단에 관통공을 형성하고 타단으로는 와이어연결공과 직교하는 와이어고정공을 형성하며 중앙부에는 고정공이 복수로 형성된 연결판이 설치된 수직지지대와; 상기 연결판에 구비된 고정공에 일단이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되고 타측은 제3고정구의 고정핀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공을 양단에 구비한 보조지지대로 이루어진 안전망고정구에 의하여 달성된다.
도 1은 종래 안전망고정구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안전망고정구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안전망고정구의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1고정구 1a : 제2고정구
2,2a : 기준프레임 4,4a : 고정판
5,5a : 가이드프레임 6,6a : 각도유지스토퍼
7 : 제3고정구 8 : 수직지지대
9 : 보조지지대 20,20a : 브라켓트
21,21a : 나사부 31,31a : 스크류봉
33,33a : 유동가압부재 70 : 기준프레임
71 : 고정핀 72 : 나사부
73 : 브라켓트 74 : 고정판
76 : 유동가압부재 80 : 연결판
82 : 고정공
이하 본 고안의 바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안전망고정구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이에 따르면, 중앙부에 나사부(21)가 구비된 브라켓트(20)를 하부에 일체로 형성한 기준프레임(2)의 브라켓트(20)의 나사부(21)에는 손잡이(32)가 일체로 형성되고 타측으로는 유동가압부재(33)가 구비된 스크류봉(31)이 나합 설치되며, 상기 브라켓트(20)와 소정간격 이격되게 지지부재가 기준프레임(2)의 저부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부가 절곡 형성되어 기준프레임(2)의 저면에 고정되고 지지부재의 일면에 용접등의 방법으로 고정된 고정판(4)이 설치되고, 상기 절곡 형성된 고정판(4)의 상부에 일끝단이 고정되고 기준프레임(2)의 측부에 대향되게 설치되며 관통공(51)을 끝단부에 형성되고 하단으로는 각도유지스토퍼(6)에 의해 연결된 가이드프레임(5)이 구비된 제1고정구(1)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1고정구와 일정한 간격으로 상부가 절곡 형성되어 기준프레임(2a)의 저면에 고정되고 지지부재의 일면에 용접등의 방법으로 고정된 고정판(4a)이 설치되고, 상기 절곡 형성된 고정판(4a)의 상부에 일끝단이 고정되고 기준프레임(2a)의 측부에 대향되게 설치되며 관통공(51a)을 끝단부에 형성되고 하단으로는 각도유지스토퍼(6a)에 의해 연결된 가이드프레임(5a)이 구비된 제2고정구(1a)가 설치된다.
한편, 제1고정구 및 제2고정구 사이에는 고정핀(71)이 상면에 일체로 형성된 기준프레임(70)의 타측 하단으로는 나사부(72)가 구비된 브라켓트(73)와 소정간격 이격된 지지부재에 의하여 변형이 방지된 고정판(74)이 설치되고, 나사부(72)에는 손잡이(75)가 일체로 형성되고 타측으로는 유동가압부재(76)가 구비된 스크류봉(77)이 나합된 제3고정구(7)가 설치된다.
상기 제1고정구(1a)와 제2고정구(1b)의 가이드프레임(5,5a)에는 일단에 관통공을 형성하고 타단으로는 와이어연결공(81)을 형성하며 중앙부에는 고정공(82)이 복수로 형성된 연결판(80)이 구비된 수직지지대(8)가 설치된다.
한편, 연결판(80,80a)에 구비된 고정공(82,82a)에 일단이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되고 타측은 제3고정구(7)의 고정핀(71)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공을 양단에 구비한 보조지지대(9)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구조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같는 본 고안인 안전망고정구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첨부도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판(4,4a)과 유동가압판(33,33a)의 사이에 발코니(1000의 단턱부(110)를 삽입시킨 후 손잡이(32,32a)를 회전 스크류봉(31,31a)을 이동시켜 제1 및 제2고정구(1,1a)를 발코니(100)에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제1 및 제2고정구(1,1a) 사이에 제3고정구(7)도 고정판(74)과 유동가압판(76)의 사이에 발코니(100)의 단턱부(110)를 삽입시킨 후 손잡이(75)를 회전 스크류봉(77)을 이동시켜 고정 설치한다.
상기 발코니(100)에 고정되면 제1 및 제2고정구(1,1a)가 설치되면 안전망을 설치하고자 하는 구조물의 상부층에서 수직지지대(8,8a)에 구비된 와이어연결공(81,81a)에 와이어를 연결하여 끌어 올린 다음 수직지지대(8,8a)를 서서히 하강시켜 수직지지대(8,8a)의 끝단부를 가이드프레임(5,5a) 사이에 인입시킨다.
상기와 같이 수직지지대(8,8a)의 끝단부를 가이드프레임(5,5a) 사이에 인입시키면 기준프레임(2,2a)의 상면에 수직지지대(8,8a)의 끝단부이 접지되면서 자연히 90°가 되며, 이때 수직지지대(8,8a)의 관통공과 가이드프레임(5,5a)의 관통공(51,51a)에 고정부재를 관통 설치하여 복수로 형성된 관통공중 한개의 관통공에만 고정부재를 삽설한다.
한편, 제1 및 제2고정구(1,1a)에 설치된 수직지지대(8,8a) 사이에는 연결판(80,80a)에 구비된 고정공(82,82a)에 일단이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되고 타측은 제3고정구(7)의 고정핀(74)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공을 양단에 구비한 보조지지대(9)를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수직지지대(8,8a)와 보조지지대(9)를 구조물의 내부에서 고정 설치후 안전망을 구조물의 내부에서 설치한다.
한편, 보조지지재(9)과 안전망의 설치가 완료되면 수직지지대(8,8a)에 연결된 로우프를 서서히 풀면(느려트리면) 수직지지대(8,8a)는 고정부재를 중심점으로 하는 회동여 가이드프레임(5,5a)의 사이로 입설된다.
상기 가이드프레임(5,5a)의 사이로 입설된 수직지지대(8,8a)는 유동이 방지되면서 각도유지스토퍼(6,6a)에 걸려 더이상 회전하지 않게 되면 나머지 관통공(51,51a)에 고정부재를 관통시켜 수직지지대(8,8a)를 고정 설치하며, 이때 수직지지대의 각도는 25°~ 30°로 자연히 유지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설치된 안전망으로 물체가 낙하되면 종래의 안전망은 지지대의 배열이 흩뜨려져 내측으로 몰입되지만 본 고안은 V형으로 설치된 보조지지대에 의하여 내측으로 몰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같은 구조를 갖는 본 고안은 외부작업을 내부에서 행하도록함과 아울러 내부작업이 가능하여 인명사고를 방지하도록하고 수직지지대의 일률적인 각도를 유지할 수 있으며, 추락하는 물체에 의하여 안전망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중앙부에 나사부가 구비된 브라켓트를 일체로 형성한 기준프레임과, 상기 브라켓트와 소정간격 이격된 지지부재에 의하여 변형이 방지되도록 고정판이 설치되고, 상기 나사부에는 손잡이가 일체로 형성되고 타측으로는 유동가압부재가 구비된 스크류봉이 나합 설치된 클램핑부와, 관통공을 일측 끝단부에 형성되고 하단으로는 각도유지스토퍼에 의해 연결되어 절곡 형성된 고정판의 상부에 일끝단이 고정되며 고정프레임의 측부에 대향되게 설치된 가이드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제1고정구 및 제2고정구와;
    상기 제1고정구 및 제2고정구 사이에는 고정핀이 상면에 일체로 형성된 기준프레임의 타측 하단으로는 나사부가 구비된 브라켓트와 소정간격 이격된 지지부재에 의하여 변형이 방지된 고정판이 설치되고, 나사부에는 손잡이가 일체로 형성되고 타측으로는 유동가압부재가 구비된 스크류봉이 나합 설치된 클램핑부가 형성된 제3고정구와;
    상기 일단에 관통공을 형성하고 타단으로는 와이어연결공과 직교하는 와이어고정공을 형성하며 중앙부에는 고정공이 복수로 형성된 연결판이 설치된 수직지지대와;
    상기 연결판에 구비된 고정공에 일단이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되고 타측은 제3고정구의 고정핀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공을 양단에 구비한 보조지지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망고정구.
KR2020000006465U 2000-03-08 2000-03-08 안전망고정구 KR2001931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6465U KR200193135Y1 (ko) 2000-03-08 2000-03-08 안전망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6465U KR200193135Y1 (ko) 2000-03-08 2000-03-08 안전망고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3135Y1 true KR200193135Y1 (ko) 2000-08-16

Family

ID=19645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6465U KR200193135Y1 (ko) 2000-03-08 2000-03-08 안전망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3135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1996A (ko) * 2001-06-28 2003-01-08 주식회사 지앤씨택 수평 방호망 장치
KR100414390B1 (ko) * 2000-11-02 2004-01-13 (주)유원 세이프티 낙하물 방지틀 지지장치
KR100778298B1 (ko) 2006-09-18 2007-11-22 이동원 낙하물방지망 설치구조 및 설치방법
KR100791775B1 (ko) * 2006-12-29 2008-01-03 계기정 절첩식 안전망 설치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4390B1 (ko) * 2000-11-02 2004-01-13 (주)유원 세이프티 낙하물 방지틀 지지장치
KR20030001996A (ko) * 2001-06-28 2003-01-08 주식회사 지앤씨택 수평 방호망 장치
KR100778298B1 (ko) 2006-09-18 2007-11-22 이동원 낙하물방지망 설치구조 및 설치방법
KR100791775B1 (ko) * 2006-12-29 2008-01-03 계기정 절첩식 안전망 설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201912A1 (zh) 一种用于锁定钢管支架组件的侧向拉杆机构
KR101260966B1 (ko) 각도조절용 앵커브라켓을 구비한 강연선 인장장치
KR200193135Y1 (ko) 안전망고정구
US4970921A (en) Drop ceiling installing tool & method
KR101387296B1 (ko) 교량의 점검 및 보수 유지관리를 위한 레일 걸이식 점검통로
JP4847805B2 (ja) 斜張ケーブルの架設方法
KR20090077458A (ko) 난간의 안전유리 설치용 유리고정구
KR20170032555A (ko) 커버 고정 장치가 구비된 케이블 트레이
KR200430681Y1 (ko) 건축공사현장용 전선거치장치
CN208138587U (zh) 一种管卡
KR200489405Y1 (ko) 맞춤형 낙하방지망 설치용 고정구
KR101295860B1 (ko) 안전 난간대 및 그 고정장치
JPH053377U (ja) 排水管の勾配設定具
CN216867729U (zh) 一种管线固定结构
KR20230108102A (ko) 건축용 외장재 지지 구조 및 지지 방법
JP2000215707A (ja) 照明ポ―ル用アンカ―フレ―ム
CN220521681U (zh) 一种钢结构免拆模板
US11143834B2 (en) Microduct pulling cap device
KR102547297B1 (ko) 나사 체결용 커넥터
CN214697005U (zh) 便捷式可调节型墙体洞口安全防护装置
JP5647706B2 (ja) 固定具および固定方法
CN212802655U (zh) 一种临边防护固定件装置
KR100931532B1 (ko) 갱폼시스템의 고정장치
CN211396422U (zh) 一种瓷砖安装用挂钩
KR100866914B1 (ko) 건축공사용 고정클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31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