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1996A - 수평 방호망 장치 - Google Patents

수평 방호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1996A
KR20030001996A KR1020010037873A KR20010037873A KR20030001996A KR 20030001996 A KR20030001996 A KR 20030001996A KR 1020010037873 A KR1020010037873 A KR 1020010037873A KR 20010037873 A KR20010037873 A KR 20010037873A KR 20030001996 A KR20030001996 A KR 200300019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ase plate
fixed base
pin
protection 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7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현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앤씨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앤씨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앤씨택
Priority to KR1020010037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01996A/ko
Publication of KR20030001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1996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 E04G21/3219Means supported by the building wall, e.g. security conso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61Safety-nets; Safety mattresses; Arrangements on buildings for connecting safety-lines
    • E04G21/3266Safety 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공사시 작업면 외부에 설치하여, 작업자의 추락사고나 작업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낙하물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방호망장치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방호망 장치가 구비했던 상부 지지대 및 측면틀을 제거하고 방망 구성을 개선함으로써, 추락 및 낙하물에 의한 재해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설치 및 해체 시에 고정베이스판과 연결소켓의 결합부분이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건물 내부에서 작업자가 안전하게 지지대의 삽입, 외부 와이어로프 설치 및 방호망의 결합 작업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방호망 작업시에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유지 보수가 간편하여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평 방호망 장치{HORIZONTAL SAFETY NETS EQUIPMENT}
본 발명은 건설공사시 구조물의 작업면 외부에 설치하여, 작업자의 추락사고나 작업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낙하물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방호망장치 기술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고안)은 안전 방호망을 수평으로 설치함으로써 작업자의 추락사고 발생시에 추락 범위내에서 치명적인 안전사고의 원인을 제공하는 상부 지지대 및 측면틀을 생략하고도 견고한 힘을 작용하는 방호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작업자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설치 작업시에 편리하고 유지 보수가 간편한 방호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을 시공하기 위한 부재들을 설치 또는 해체하거나, 건물의 외벽 보수 및 도장 등의 작업시 작업과정에서 근로자가 추락하거나 건설자재 및 기구등이 낙하하는 경우 상ㆍ하 작업자에게 치명적인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이를 예방하기 위하여 방호망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도1a 및 도1b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방호망 시설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1a를 참조하면, 종래 대부분의 건설현장의 고소 작업장 외부에 설치하는 추락 및 낙하물 방호망 안전시설의 경우 비계용 단관파이프(29)와 브라켓(30)을 사용하여 20∼30도 경사로지지 구조물 설치하고, 그 경사면에 방망(10)을 설치하거나 메쉬시트(32)를 결합한 추락 및 낙하 방지틀의 제품을 경사로 설치하는 기술이 사용되고 있다.
도1a 및 도1b에 도시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방호망 설치기술은 공히 추락 범위 내에 상부 지지대(31)와 측면틀(33) 또는 단관 파이프(29)가 구성되어 있으므로, 작업자가 추락하는 경우 작업자의 인체와 상기 측면틀(33) 또는 단관파이프(29)가 서로 충돌하게 되어 작업자에 치명적인 상해를 야기할 수 있다.
더욱이, 추락하는 작업자의 충돌 시의 입사각에 의한 방망의 탄성 작용으로 인하여 2차 재해가 발생될 수 있는 위험이 도사리고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방호망 시설의 경우 방호지지 구조물 설치 및 해체 단계에서 많은 자재가 필요하고, 구조물 외부에서 각 부재를 조립하기 때문에 안전사고 발생 가능성이 매우 높고 설치 작업 시간이 길고 불필요한 비용이 소요되는 불편한 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목적은 작업자가 추락하는 경우에도 상부 지지대 또는 측면 틀과의 충돌로 인하여 작업자에게 상해를 발생시키는 것을 해결한 방호망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방망을 수평으로 자연스런 처짐을 유지하도록 설치하여 작업자가 추락하거나 건설자재가 낙하는 경우에 낙하물이 리바운드 하더라도 내부 입사각에 의해 낙하체가 중앙에 정하도록 하여 방호망 밖으로 튕겨나가 2차 재해를 유발시키는 것을 방지한 방호망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3 목적은 설치 및 해체 단계에서 안전성 및 작업편리성이 개선된 방호망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종래기술에 따른 방호망 시설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 방호망 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 방호망 장치의 제1 실시예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 방호망 장치의 제2 실시예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 베이스판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 연결소켓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지지대 연결 베이스판 측면을 나타낸 도면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브레싱의 결합이 가능한 지지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방호망
11. 고정 베이스 판
12. 연결소켓
13. 지지대
14. 와이어로우프
15. 제1 레벨
16. 제2 레벨
17. 연결링
18. 보울트 핀
19. 이탈 방지핀
20. 이탈 방지핀 구멍
21. 조임 보울트
22. 슬래브
23. 보강 브레싱
24. 브레싱 결합핀
25. 턴버클
26. 라운드형 플레이트
27. 앙카 보울트
28. 브레싱 베이스판
29. 단관 파이프
30. 브라켓
31.상부 지지재
32. 메쉬시트
33. 측면틀
34. 발코니형 고정베이스판
35. 슬래브형 고정베이스판
36. 핀줄
37. 보강 플레이트
38. 삽입관
39. 발코니형 지지대 연결 베이스판
40. 슬래브형 지지대 연결 베이스판
41. 강관
42. 안전켑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 따른 추락 및 낙하 방지시설과 달리 방호망을 수평으로 설치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작업자 뿐 아니라 파이프, 공구, 벽돌 등이 낙하하더라도 방망의 자연스런 처짐으로 인하여 내부 입사각이 중앙부로 향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 결과, 낙하체가 리바운드 하더라도 방호망의 중앙에 정지하게 되므로 방호망 밖으로 튕겨 나가서 2차 재해를 유발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더욱이, 본 발명은 작업자 추락시에 인체에 치명적인 상해를 줄 수 있는 상부 지지대(31)와 중앙부 충돌 처짐 한계 내에 측면틀(33)이 전혀 없는 구조를 구성하고 있으며, 충돌에 의한 수직하중을 지지대와 연결 베이스판(39,40)이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설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호망 장치는 추락 및 낙하물에 의한 재해를 예방하고, 설치 및 해체시에 고정 베이스판과 연결소켓의 결합부분이 회전하므로 건물내부에서 안전하게 설치 및 해체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유지 보수가 간편하고 안전성 및 작업 편리성 면에서 뛰어난 시스템 가설재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 도2 내지 도8을 참조하여 본 발명고안)에 따른 방호망 장치의 양호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고안)에 따른 방호망 장치의 실시예이다. 도2를 참조하면, 제1 레벨(15)과 제2 레벨(16)의 위치에 고정 베이스판(11)을 설치하고, 여기에 지지대 연결 소켓(12)을 결합하고 이탈 방지 핀(19)을 체결한다.
또한, 지지대(13)와 지지대(13)의 연결링(17)을 통과하여 와이어로프(14)를 설치하고, 여기에 수평으로 내민길이에 적합하도록 방호망(10) 결합한 후, 마지막으로 보울트 핀(18)을 완벽히 조여서 방호망 설치 시스템을 완성한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방호망 장치의 제1 실시예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 이다. 도3을 참조하면, 발코니형 슬래브에 고정 베이스판(11)과 지지대 연결소켓(12)을 결합하여 보울트 핀(18)을 체결하고, 연결 소켓을 건물 방향으로 잡아 당겨서 지지대(13)를 삽입한 후 지지대(13)와 지지대(13)의 연결링을 통과하여 와이어로프(14)를 설치하고 연결철물을 사용하여 방호망 테두리로프와 와이어로프, 지지대 연결링(17), 보울트 핀(18)에 결합하도록 한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방호망 장치의 제2 실시예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4를 참조하면, 작업면에서 낙하 높이가 높은 구조물에 적용 가능한 실시예로서 지지대(13) 중앙부와 슬래브 하부에 설치한 브레싱 베이스판(28) 사이에 보강 브레싱(23)을 결합핀(24)을 사용하여 연결하였으며, 턴버클(25)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 베이스판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5a에 도시한 대로 구조물에 고정되는 형태에 따라 발코니형 고정 베이스판(34)과 도 5b에 도시한 슬래브형 고정 베이스판(35)이 사용되어질 수 있다. 본 발명(고안)의 양호한 실시예로서, 발코니형을 본체에 보울트 핀 구멍(18)과 조임 보울트(21)로써, 슬래브형은 본체에 앙카 보울트(27)와 보울트 핀 구멍(18)으로 구성되어질 수 있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 연결 소켓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6을 참조하면, 삽입관(38), 이탈방지핀(19), 핀줄(36) 및 이탈 방지핀 구멍(20), 보울트 핀 구멍(18), 보강 플레이트(37)로 구성되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로서, 발코니 및 슬래브의 고정 베이스판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지지대 연결 베이스판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7을 참조하면, 발코니형 지지대 연결 베이스판(39)과 슬래브형 지지대 연결베이스판(40)이 구성되며, 조임 보울트(21), 이탈방지핀(19), 핀줄(36) 및 이탈방지핀 구멍(20)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브레싱 결합부가 있는 지지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8을 참조하면, 강관(41), 이탈방지핀(20), 연결링(17)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내민길이가 긴 경우 브레싱이 부착된 지지대를 도시하고 있다.
전술한 내용을 후술할 발명의 특허의 청구 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다. 본 발명의 특허 청구 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술될 것이다. 개선된 본 발명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과 유사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 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 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개시된 발명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 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사용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당해 기술 분야의 숙련된 사람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의 구조는 특허 청구 범위에서 기술한 발명(고안)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방호망 장치가 구비했던 상부 지지대 및 측면틀을 제거하고 방망 구성을 개선함으로써, 추락 및 낙하물에 의한 재해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설치 및 해체 시에 고정 베이스판과 연결소켓의 결합 부분이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건물 내부에서 작업자가 안전하게 지지대의 삽입, 외부 와이어 로프설치 및 방호망의 결합 작업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방호망 작업시에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유지 보수가 간편하여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다.

Claims (7)

  1. 다층 건물의 외벽에 설치하여 작업자의 추락 또는 물건의 낙하를 방지하는 방호망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층 건물의 하층 레벨과 상층 레벨에 각각 설치되는 고정 베이스판;
    상기 하층 레벨에 설치된 고정베이스판과 지지대 연결소켓을 통해 접속되어 상기 다층 건물의 벽면에 대하여 선정된 각도를 유지하도록 상기 고정 베이스판에 연결된 상기 지지대 연결 소켓에 삽입되는 지지대;
    상기 하층 레벨에 설치될 고정 베이스판과 함께 보울트 핀을 조임으로써 상기 하층 레벨 건물 면에 고정되고, 건물 방향으로 잡아 당겨 상기 지지대를 삽입시키고 이탈 방지핀으로 견고히 결합하는 지지대 연결 소켓 ; 및
    상기 지지대 종단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링과 상기 상층 레벨에 설치된 고정베이스판의 연결링에 각각 양단이 접속되어 상기 지지대가 상기 지지대 연결 소켓에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상층 레벨로부터 수평이 되도록 펼쳐지는 방호망
    을 포함하는 수평 방호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호망은 지지대의 연결링과 상기 상층 레벨에 설치된 고정 베이스판의 보울트 핀에 결합되어 수평이 되도록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호망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호망 장치는
    상기 다층 건물의 상층 레벨 슬래브에 설치된 브레싱 베이스판 ; 및 상기 브레싱 베이스판에 결합핀을 통해 연결되고 턴버클로 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보강 브레싱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는 중앙에 상기 보강 브레싱을 결합핀으로 결합하기 위한 핀 구멍을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호망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베이스판은 보울트 핀 구멍과 조임 보울트로 구성된 슬래브형 고정 베이스판을 포함하는 방호망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베이스판은 보울트 핀 구멍과 조임 보울트로 구성된 발코니형 고정베이스판을 포함하는 방호망 장치
  6. 제1항 있어서, 상기 지지대 연결 소켓은 상기 지지대 삽입을 위한 삽입관, 상기 고정 베이스판에 고정을 위한 보울트 핀 구멍, 핀 줄, 이탈 방지핀 구멍, 보울트 핀 구멍 및 보강 플레이트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호망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강관, 이탈 방지핀 및 연결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호망 장치
KR1020010037873A 2001-06-28 2001-06-28 수평 방호망 장치 KR200300019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7873A KR20030001996A (ko) 2001-06-28 2001-06-28 수평 방호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7873A KR20030001996A (ko) 2001-06-28 2001-06-28 수평 방호망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9754U Division KR200251745Y1 (ko) 2001-06-29 2001-06-29 수평 방호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1996A true KR20030001996A (ko) 2003-01-08

Family

ID=27712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7873A KR20030001996A (ko) 2001-06-28 2001-06-28 수평 방호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0199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7727B1 (ko) * 2007-08-23 2008-03-31 이동원 확장형 발코니 브래킷 및 확장형 발코니 브래킷 시공방법
CN106567553A (zh) * 2016-10-20 2017-04-19 中建三局集团有限公司 一种带喷雾装置的建筑工地防尘安全立网结构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49834A (en) * 1975-03-19 1976-04-13 Arthur Nusbaum Safety net and adjustable support therefor
US4119176A (en) * 1976-09-29 1978-10-10 Verdu Mira V Fall arrester, for building works
US4856615A (en) * 1988-09-20 1989-08-15 Arthur Nusbaum Safety net arrangement for multi-floor buildings under construction, and method
US4944365A (en) * 1989-08-01 1990-07-31 Universal Builders Supply, Inc. Safety net system
US5083636A (en) * 1990-10-09 1992-01-28 The Safe Catch Net Co. Climbing safety net
US5161641A (en) * 1991-10-29 1992-11-10 Arthur Nusbaum Jointly movable safety net and curtain arrangement for multi-floor buildings under construction
US5299654A (en) * 1992-02-28 1994-04-05 Sinco Incorporated Safety net support system
KR0131396Y1 (ko) * 1995-02-27 1998-12-15 박광수 낙하물 차단용 안전장치
KR200193135Y1 (ko) * 2000-03-08 2000-08-16 오기수 안전망고정구
KR200201536Y1 (ko) * 2000-05-31 2000-11-01 노민래 건설현장용 안전망구조
KR200219510Y1 (ko) * 2000-11-02 2001-04-02 주식회사유원아이디 낙하물 방지틀 지지장치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49834A (en) * 1975-03-19 1976-04-13 Arthur Nusbaum Safety net and adjustable support therefor
US4119176A (en) * 1976-09-29 1978-10-10 Verdu Mira V Fall arrester, for building works
US4856615A (en) * 1988-09-20 1989-08-15 Arthur Nusbaum Safety net arrangement for multi-floor buildings under construction, and method
US4944365A (en) * 1989-08-01 1990-07-31 Universal Builders Supply, Inc. Safety net system
US5083636A (en) * 1990-10-09 1992-01-28 The Safe Catch Net Co. Climbing safety net
US5161641A (en) * 1991-10-29 1992-11-10 Arthur Nusbaum Jointly movable safety net and curtain arrangement for multi-floor buildings under construction
US5299654A (en) * 1992-02-28 1994-04-05 Sinco Incorporated Safety net support system
KR0131396Y1 (ko) * 1995-02-27 1998-12-15 박광수 낙하물 차단용 안전장치
KR200193135Y1 (ko) * 2000-03-08 2000-08-16 오기수 안전망고정구
KR200201536Y1 (ko) * 2000-05-31 2000-11-01 노민래 건설현장용 안전망구조
KR200219510Y1 (ko) * 2000-11-02 2001-04-02 주식회사유원아이디 낙하물 방지틀 지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7727B1 (ko) * 2007-08-23 2008-03-31 이동원 확장형 발코니 브래킷 및 확장형 발코니 브래킷 시공방법
CN106567553A (zh) * 2016-10-20 2017-04-19 中建三局集团有限公司 一种带喷雾装置的建筑工地防尘安全立网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38829A (en) Adaptable safety rail system for flat roofs and parapets
US6763910B2 (en) Safety roof structure including safety stanchions
RU2400609C2 (ru) Комплексная система обеспечения техники безопасности в строительстве
US5320193A (en) Safety Anchor
US20090120718A1 (en) Multi-level safety net support system for high-rise construction
US6270057B1 (en) Reuseable multi-story building construction guardrail system
KR200413527Y1 (ko) 갱폼 추락방지구
KR200251745Y1 (ko) 수평 방호망 장치
KR200205940Y1 (ko) 거푸집 작업용 발판지지대
KR100999176B1 (ko) 갱폼 어셈블리
KR200386867Y1 (ko) 안전방호망장치
KR20030001996A (ko) 수평 방호망 장치
KR200201536Y1 (ko) 건설현장용 안전망구조
EP1206611B1 (en) Scaffolding
KR101559917B1 (ko) 낙하방지장치
KR100726467B1 (ko) 낙하방지 망 고정부재
KR101253030B1 (ko) 도르래 및 볼베어링을 이용한 내부펼침 낙하물 방지망
KR101134360B1 (ko) 충돌회피 낙하물 방지망
KR100607681B1 (ko) 추락방지망 설치구조
KR0131396Y1 (ko) 낙하물 차단용 안전장치
KR200271518Y1 (ko) 안전방망 지지장치
KR0125334Y1 (ko) 추락방지망
KR100759078B1 (ko) 건축용 난간고정장치
KR102558801B1 (ko) 건축공사용 안전망 시스템
KR200386866Y1 (ko) 수평방호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