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1199Y1 - 마늘파종기 - Google Patents

마늘파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1199Y1
KR200191199Y1 KR2020000001700U KR20000001700U KR200191199Y1 KR 200191199 Y1 KR200191199 Y1 KR 200191199Y1 KR 2020000001700 U KR2020000001700 U KR 2020000001700U KR 20000001700 U KR20000001700 U KR 20000001700U KR 200191199 Y1 KR200191199 Y1 KR 2001911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rlic
main body
suction
rotating plate
vacu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17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병재
Original Assignee
강병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병재 filed Critical 강병재
Priority to KR20200000017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1199Y1/ko
Priority to KR2020000013284U priority patent/KR2001991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11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119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8Broadcast seeders; Seeders depositing seeds in row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w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마늘파종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굴토된 경작지의 고랑사이에 사용자가 소망하는 적정 간격으로 마늘종자를 자동으로 파종하되, 그 파종 수율을 최대로 증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마늘파종기를 제공하는 데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마늘파종기{GARLIC PLANTER}
본 고안은 마늘파종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굴토된 경작지의 고랑사이에 사용자가 소망하는 적정 간격으로 마늘종자를 자동으로 파종하되, 그 파종 수율을 최대로 증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마늘파종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 마늘의 파종작업은 관리기나 경운기 등의 수단을 이용하여 지면을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고랑을 굴토시킨 다음, 파종 작업자가 굴토된 고랑사이에 소정의 등간격(작업자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통상 8cm ~ 13cm정도임)으로 마늘 종자를 일일이 파종하고 나서, 파종이 완료된 고랑에 흙을 복토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통상의 마늘파종 방법은 수작업 방법으로서 파종시 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고, 힘이 매우 많이들어 점차 고령화 및 인력감소화가 극심한 농촌의 현실에서 볼때 매우 불합리한 것이었으며, 따라서 마늘을 자동을 파종할 수 있는 자동 파종기의 개발이 절실하게 대두되었던 것이다.
이에 본 출원인은 케이싱에 공급통을 마련하여 그 선측에 하단으로부터 상부에 이르는 장홈을 형성하며, 상기 장홈의 하단에는 배출방지 브러쉬를 설치함과 아울러 상부 소정위치에는 스크래이핑 브러쉬를 형성하며, 상기 장홈의 상단에 형성되는 개구에는 탄성재의 스톱퍼를 마련하고, 상기 공급통의 선측에 구동축과 피동축을 설치하여 그에 축설치되는 체인스프라켓에 취출체인을 결합하며, 상기 취출체인에 교접로울러를 구비하는 취출클램프를 소정의 등간격으로 결합하고, 상기 취출체인의 내측에 취출클램프의 교접로울러와 연접하는 승강플레이트를 설치하고, 상기 취출체인의 선측에 투입구와 배출구를 구비하는 배출호퍼를 마련하고, 상기 취출체인을 구동시켜 주기 위한 구동축에 클러치판을 일체로 형성한 아이들스프라켓을 축설치하고, 상기 구동축상에 키 등의 수단으로 결합되어 구동축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하며 구동축에 축설치된 아이들 스프라켓의 클러치판에 선택적으로 접속되도록 한 클러치를 축설치하여 구성된 마늘파종기를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 제99-14245로 출원한바 있으며, 이에서는 마늘을 굴토된 고랑 사이에 어느 정도는 파종할 수 있었으나, 회전되는 체인에 설치된 취출클램프에 마늘이 한개씩 취출되는 경우가 드물거나 마늘이 아예 취출되지 않은 경우가 많아 굴토된 고랑 사이에 마늘이 파종되는 수율을 증가시킬 수 없었으며, 취출클램프에 의해 마늘이 취출되었더라도 배출호퍼측에서 마늘이 정확하게 배출되지 않아 결국에는 마늘의 파종 수율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굴토된 경작지의 고랑사이에 사용자가 소망하는 적정 간격으로 마늘종자를 자동으로 파종하되, 그 파종 수율을 최대로 증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마늘파종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마늘파종기의 제1 실시예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체 및 이 본체 내부 구성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도 3은 도 2에서 회전판에 진공흡입 파이프가 차지하는 영역을 도시한 정면도.도 4는 도 2에서 회전판과 진공흡입 파이프의 관계를 나타낸 측면도.도 5는 도 4에서 진공흡입 파이프의 일부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마늘파종기의 제2 실시예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도 7은 도 6에 도시된 본체 및 이 본체 내부 구성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도 8은 도 7에 도시된 회전판의 내부 구성 및 폐쇄부재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도 9는 도 7에 도시된 회전판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회전판에 회전축 및 진공흡입 파이프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1 : 관리기 10 : 본체12 : 마늘 공급슈트 12a : 투입구12b : 배출구 13 : 마늘 배출슈트13a : 인입구 13b : 배출구20',60 : 회전판 22',54 : 흡입공21',61 : 회전축 50 : 진공발생기51,52 : 진공흡입 파이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관리기에 설치되어 마늘을 파종할 수 있는 마늘파종기에 있어서, 상기 관리기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본체와; 마늘이 투입되는 투입구와, 상기 투입구에 연통되어 본체의 바닥면으로 마늘이 배출되도록 배출구를 구비하며, 본체의 내부 소정 위치에 설치된 마늘 공급슈트와; 관리기의 동력을 전달받아 본체의 내부에 회전축을 매개로 하여 소정의 속도로 회전하면서 다수 형성된 흡입공에 마늘을 흡착하여 주는 회전판과; 본체의 내부 소정 위치에 구비된 진공발생기와; 일단은 진공발생기에 연결 설치되고, 타단은 흡입공이 소정 각도 이상 회전되는 동안 진공으로 마늘을 상기 흡입공에 흡착시킬수 있도록 상기 회전판에 연결 설치된 진공흡입 파이프와; 진공흡입 파이프의 흡입 영역을 벗어난 흡입공에서 낙하되는 마늘이 인입되도록 인입구와, 인입구에 연통되어 본체의 외측에 있는 지면으로 마늘이 배출되도록 배출구를 구비하여 본체에 설치되는 마늘 배출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마늘파종기의 제1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마늘파종기의 제1 실시예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체 및 이 본체 내부 구성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에서 회전판에 진공흡입 파이프가 차지하는 영역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4는 도 2에서 회전판과 진공흡입 파이프의 관계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5는 도 4에서 진공흡입 파이프의 일부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는 통상의 관리기(1)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가 비어있는 통체 형상을 하고 있다.
마늘 공급슈트(12)는 본체(10)의 내부 소정 위치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부측에 다수개의 마늘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12a)가 형성되고, 하부측에 투입구(12a)로 투입된 마늘이 본체(10)의 바닥면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구(12b)가 형성된다.
회전판(20')은 본체(10)의 내부 소정 위치에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된 지점에 회전축(21')을 매개로 하여 소정의 속도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그 외관 형상은 일례로 소정 직경을 갖는 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회전판(20')의 회전력 제공원은 일실시예로 관리기(1)의 동력을 이용하며, 관리기(1)의 최종 출력축(미도시)과 회전판(20')의 회전축(21')을 상호 동력 전달 수단의 일종인 벨트(2)로 연결한다.
그러나, 도면상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회전판(20)의 회전력 제공원을 상기와 같이 관리기(1)의 최종 출력축으로 하지 않고 관리기(1)의 타이어로도 할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상기 회전판(20')의 회전 속도 조절은 통상적으로 관리기(1)에 기본적으로 구비된 변속수단(미도시)에 의해 가능해진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회전판(20')의 회전력 제공원을 전술한 바와 같이 관리기(1)의 동력을 직접 이용하지 않고, 관리기에서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전원으로 구동되는 구동 모터를 본체의 내부에 설치하여 이용할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회전판(20')에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흡입공(22')이 형성되는데, 이 흡입공(22')은 회전판(20')의 양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되, 상기 회전축(21')을 중심으로 하여 가장자리에 일정한 간격이되게 원형 배열 형성된다.
진공발생기(50)는 본체(10)의 내부 소정 위치에 구비되며, 이 진공발생기(50)에는 소정 길이를 갖는 진공흡입 파이프(51)가 연결 설치된다.
이 진공흡입 파이프(51)의 타단은 회전판(20')의 일측면에 근접하여 연결 설치되는데, 회전판(20')에 형성된 다수개의 흡입공(22')중 한두개만 제외한 나머지를 흡입공(22')에 대응되게 설치된다.
즉, 진공흡입 파이프(51)에 대응되는 흡입공(22')으로는 공기가 강하게 흡입되어 마늘이 흡착 고정되나, 진공흡입 파이프(51)의 영역(51a)에 속하지 않은 나머지 흡입공(22')에는 진공 흡입력이 작용하지 않게되어 흡착된 마늘이 자연 낙하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흡입공(22')의 양단부중에서 마늘이 흡착되는 단부의 아래에 해당되는 회전판(20')의 측면에는 마늘 낙하 방지편(미도시)을 형성할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마늘 배출슈트(13)는 진공흡입 파이프(51)의 흡입 영역을 벗어난 흡입공(22')에서 낙하되는 마늘이 인입되도록 인입구(13a)와, 이 인입구(13a)에 연통되어 본체(10)의 외측에 있는 지면으로 마늘이 배출되도록 배출구(13b)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진공발생기(50)가 작동되면, 진공흡입 파이프(51)를 매개로 하여 흡입공(22')에는 강하게 공기가 빨려들어 가게 된다.
이렇게 되면, 본체(10)의 바닥면에 위치한 마늘은 회전판(20')에 형성된 흡입공(22')에 한개씩 순차적으로 강하게 진공 흡착된다.
이후, 회전판(20')이 소정의 속도로 회전되고 있기 때문에, 진공흡입 파이프(51)의 영역내에 있는 흡입공(22')에는 마늘이 한개씩 진공 흡착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
한편, 회전판(20')은 지속적으로 일정한 속도를 유지하면서 회전되고 있는 상태에 있기 때문에, 마늘이 흡착된 최초 흡입공(22')이 진공흡입 파이프(51)의 영역을 벗어나게 된다.
이후, 상기와 같이 흡입공(22')이 진공흡입 파이프(51)의 영역을 벗어나게 되면, 이 흡입공(22')에는 더이상 공기 흡입력이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마늘은 흡입공(22')으로부터 자연 낙하된다.
이후, 흡입공(22')으로부터 낙하된 마늘은 마늘 배출슈트(13)의 인입구(13a)에 인입되어 최종적으로 배출구(13b)를 통해 지면에 도달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결과에 따라 상기 흡입공(22')들이 진공흡입 파이프(51)의 영역을 순차적으로 벗어남에 따라 마늘은 한개씩 순서적으로 진공흡입 파이프(51)의 영역에서 벗어난 흡입공(22')에서 낙하되어 마늘 배출슈트(13)를 통해 지면에 도달하게 된다.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마늘파종기의 제2 실시예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본체 및 이 본체 내부 구성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회전판의 내부 구성 및 폐쇄부재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도 7에 도시된 회전판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회전판에 회전축 및 진공흡입 파이프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제2 실시예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비해 흡입공()의 설치 형태가 변경된 것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인 본체(10), 투입구(12a)와 배출구(12b)를 갖는 마늘 공급슈트(12), 인입구(13a)와 배출구(13b)를 갖는 마늘 배출슈트(13), 진공발생기(50)는 동일하여, 변경된 부분 즉 회전판(60) 및 이 회전판(60)에 설치되는 진공흡입 파이프(52)에 대한 구조만 설명한다.
먼저, 회전판(60)은 대략 원형으로 형성되며, 그 일측면 중심에는 회전축(61)의 단부가 고정 삽입되도록 회전축 삽입홈(62)이 형성되고, 이 회전축 삽입홈(62)에 회전축(61)이 고정 설치된다.
한편, 회전축 삽입홈(62)의 반대편 중심에는 회전축 삽입홈(62)과 연통되지 않게 소정 깊이의 파이프 삽입홈(63)이 형성되고, 이 파이프 삽입홈(63)에는 베어링(63a)등을 매개로 하여 진공발생기(50)에 설치된 진공흡입 파이프(52)가 고정 삽입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따라 회전축(61)이 회전됨에 따라 회전판(60)이 회전되는 반면에, 진공흡입 파이프(52)는 회전되지 않게 된다.
상기 회전판(60)의 외주면에는 파이프 삽입홈(63)와 연통되게 다수개의 흡입공(64)이 회전축(61)을 중심으로 하여 소정 각도 분할되게 형성되어, 회전판(60)의 외주면을 통해 공기가 흡입공(64)을 통해 파이프 삽입홈(63)을 거쳐 진공흡입 파이프(52)내로 강하게 빨려들어가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조로 하면, 흡입공(64)에는 모두 진공 진공 흡입력이 모두 작용하기 때문에, 회전판(60)이 회전되는 동안에는 흡입공(64)에 흡착되어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마늘 흡착되는 지점 반대편의 위치에서 마늘이 낙하되도록 하여야 하는데, 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파이프 삽입홈(63)내에서 흡입공(64)중의 어느 하나를 폐쇄하여야 한다.
이 구조는 흡입공(64)를 막는 폐쇄부재(65)를 설치하되, 회전판(60)은 회전되는 상태에서 폐쇄부재(65)는 회전되지 않고 정지되어 있게 구성된다.
상기 폐쇄부재(65)는 진공흡입 파이프(52)에 연장 설치할 수 있고, 회전축(61)의 일부를 파이프 삽입홈(63)내로 연장하여 이 연장된 부분에 설치할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폐쇄부재(65)가 구비됨에 따라 마늘이 흡착된 흡입공(64)들은 회전판(60)과 함께 회전되면서 폐쇄부재(65)를 지나칠때 마다 흡입 능력을 상실하게 됨과 아울러 마늘을 자연 낙하시키게 된다.
이 자연 낙하된 마늘은 마늘 배출슈트(13)의 인입구(13a)에 인입된 후, 배출구(13b)를 통해 지면으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은 제1 내지 제2 실시예에 따르면, 마늘을 한개씩 클램핑하여 굴토된 경작지의 고랑 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파종할수 있게 된다.
전술한 제1, 제1 실시예에 따라 마늘을 진공으로 흡입하는 구성을 두가지의 실시예에만 한정하지 하고 다른 실시예로 변경할수도 있는데, 이를 도면상에 도시하지 않은 상태로 설명하고자 한다.
관리기의 차체 프레임에 일단부와 중간부에 흡입공이 각각 형성된 소정 길이를 갖는 원형 통체를 고정 설치하고, 외주면에 적어도 2열 이상의 마늘 흡착공이 두수개 배열 형성된 중공 원형의 마늘 흡착테를 이 원형 통체의 중간부에 개재하며, 이 원형 통체에 한쌍의 원판을 원형 통체의 양단부에 고정 설치하되 원형 통체와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다.
그리고, 원형 통체의 일단부에 형성된 흡입공에는 진공흡입 파이프를 진공발생기에 연결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여 진공발생기를 작동시키면, 마늘 흡착테에 형성된 마늘 흡착공을 통해 외기의 공기는 강하게 흡입되어 원형 통체의 중간부에 형성된 흡입공을 통해 원형 통체의 일단부에 형성된 흡입공을 거쳐 진공흡입 파이프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원리를 이용하여 마늘은 마늘 흡착테의 흡착공에는 마늘이 흡착되어 있게되는 것이다.
전술한 설명은 마늘을 흡착할 수 있는 원리를 설명한 것이고, 실제 관리기에 적용 설치된 상태를 설명한 것이다.
상기 원판의 외측에 스프라켓을 고정 설치하고, 관리기의 차륜을 회전시키는 차륜 회전축에 스프라켓을 설치하며, 상기 두개의 스프라켓을 체인으로 연결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면, 관리기가 구동되어 이동되면서 원형 통체를 중심으로 하여 하나의 어셈블리로된 원판 및 마늘 흡착테가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마늘 흡착테의 외주면에 인접하여 마늘을 마늘 흡착테의 외주면으로 떨어뜨릴수 있는 마늘 공급 호퍼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함에 따라 마늘은 마늘 공급 호퍼에서 배출되어 진공 흡입력에 의해 마늘 흡착테의 외주면에 형성된 마늘 흡착공에 흡착된 상태로 회전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조로만 제작하게 되면, 흡착된 마늘을 일정한 지점에서 낙하시켜 주어야 한다.
이에 대한 구성은 흡착된 마늘의 낙하 지점에 해당되는 마늘 흡착테에 강제로 걸림판을 구비하여, 이 걸림판에 걸겨진 마늘이 흡착 상태에서 벗어나도록 할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 마늘 흡착테의 내주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흡입력 감쇄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흡입력 감쇄부재의 역할은 흡착된 마늘이 낙하 지점에 왔을때 마늘 흡착공을 차단시켜 흡착력을 감소시켜 마늘이 자연적으로 자중에 의해 낙하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흡입력 감쇄부재는 대략 마늘 흡착테와 동일하게 휘어진 형상으로 형성되고, 원통 통체에 지지대를 매개로 고정 설치된다.
이제까지의 설명에서 전술한 본 고안의 구성중 본체 부분의 취부 구조만 변경하면 경운기, 트랙터등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마늘만을 한정하여 파종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진공 흡착하여 파종하는 실시예에서는 다른 콩등의 잡곡류도 파종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굴토된 경작지의 고랑사이에 사용자가 소망하는 적정 간격으로 마늘종자를 자동으로 파종하되, 그 파종 수율을 최대로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관리기(1)에 설치되어 마늘을 파종할 수 있는 마늘파종기에 있어서,
    상기 관리기(1)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본체(10)와;
    상기 마늘이 투입되는 투입구(12a)와, 상기 투입구(12a)에 연통되어 상기 본체(10)의 바닥면으로 마늘이 배출되도록 배출구(12b)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10)의 내부 소정 위치에 설치된 마늘 공급슈트(12)와;
    상기 관리기(1)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회전축(21',61)을 매개로 하여 소정의 속도로 회전하면서 다수 형성된 흡입공(22',54)에 마늘을 흡착하여 주는 회전판(20',60)과;
    상기 본체의 내부 소정 위치에 구비된 진공발생기(50)와;
    일단은 상기 진공발생기(50)에 연결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흡입공(22',54)이 소정 각도 이상 회전되는 동안 진공으로 마늘을 상기 흡입공(22',54)에 흡착시킬수 있도록 상기 회전판(20',60)에 연결 설치된 진공흡입 파이프(51,52)와;
    상기 진공흡입 파이프(51,52)의 흡입 영역을 벗어난 상기 흡입공(22',54)에서 낙하되는 마늘이 인입되도록 인입구(13a)와, 상기 인입구(13a)에 연통되어 상기 본체(10)의 외측에 있는 지면으로 마늘이 배출되도록 배출구(13b)를 구비하여 상기 본체(10)에 설치되는 마늘 배출슈트(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파종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공(22')은 상기 회전축(21')을 중심으로 하여 가장자리에 일정한 간격이되게 상기 회전판(20')의 측면을 관통하도록 원형 배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파종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공(54)은 상기 회전판(60)의 중심부와 외주면을 관통하여 다수개가 방사상으로 일정한 간격이되게 배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파종기.
KR2020000001700U 2000-01-20 2000-01-21 마늘파종기 KR2001911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1700U KR200191199Y1 (ko) 2000-01-20 2000-01-21 마늘파종기
KR2020000013284U KR200199118Y1 (ko) 2000-01-21 2000-05-10 마늘파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2699 2000-01-20
KR2020000001700U KR200191199Y1 (ko) 2000-01-20 2000-01-21 마늘파종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2699 Division 2000-01-20 2000-01-20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3284U Division KR200199118Y1 (ko) 2000-01-21 2000-05-10 마늘파종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1199Y1 true KR200191199Y1 (ko) 2000-08-16

Family

ID=26636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1700U KR200191199Y1 (ko) 2000-01-20 2000-01-21 마늘파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119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15442B2 (en) Seed metering apparatus
US3482735A (en) Seed sower or other distributing device
US7404366B2 (en) Flat type seed meter disk with protruded pick up orifices
CA2693878A1 (en) Seed meter and seed disk with peripheral edge seed pick-up
US6564729B1 (en) Vacuum seed metering assembly
RU2335878C2 (ru) Система для вскрытия и закрытия посевной борозды и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ая машина
US6142086A (en) Air seeder singulation system
KR102031785B1 (ko) 진공파종모듈 및 이를 이용한 진공파종장치
EP2672804B1 (fr) Boitier de distribution pour semoir monograine avec pales d&#39;agitation et semoir utilisant un tel boitier
CA2134501C (en) Selected pin seed meter
KR200191199Y1 (ko) 마늘파종기
CN201430766Y (zh) 气吸式精量花生联合播种机
US7594476B2 (en) Metering head for a sower
KR200199118Y1 (ko) 마늘파종기
FR2662903A1 (fr) Semoir pneumatique a graines isolees pour cultures maraicheres notamment.
JP2001169613A (ja) 点播式播種装置
KR20010076206A (ko) 마늘파종기
CN2225126Y (zh) 小粒作物种子播种机
KR200273047Y1 (ko) 옥수수 씨앗 배출장치
KR200283845Y1 (ko) 마늘 파종기
JPS643306Y2 (ko)
JP2002171805A (ja) 吸引式播種機
KR20200099220A (ko) 종자 직파기
KR20170004102U (ko) 파종기용 씨앗 및 비료 공급장치
KR200288989Y1 (ko) 수동식 파종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91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