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9118Y1 - 마늘파종기 - Google Patents

마늘파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9118Y1
KR200199118Y1 KR2020000013284U KR20000013284U KR200199118Y1 KR 200199118 Y1 KR200199118 Y1 KR 200199118Y1 KR 2020000013284 U KR2020000013284 U KR 2020000013284U KR 20000013284 U KR20000013284 U KR 20000013284U KR 200199118 Y1 KR200199118 Y1 KR 2001991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rlic
main body
clamping
rotating plat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32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병재
Original Assignee
강병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2020000001700U external-priority patent/KR200191199Y1/ko
Application filed by 강병재 filed Critical 강병재
Priority to KR20200000132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91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91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911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18Machines for depositing quantities of seed at interv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49/00Combined machines
    • A01B49/04Combinations of soil-working tools with non-soil-working tools, e.g. planting tools
    • A01B49/06Combinations of soil-working tools with non-soil-working tools, e.g. planting tools for sowing or fertilis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8Broadcast seeders; Seeders depositing seeds in rows
    • A01C7/085Broadcast seed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8Broadcast seeders; Seeders depositing seeds in rows
    • A01C7/12Seeders with feeding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20Parts of seeders for conducting and depositing see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w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마늘파종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굴토된 경작지의 고랑사이에 사용자가 소망하는 적정 간격으로 마늘종자를 자동으로 파종하되, 그 파종 수율을 최대로 증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마늘파종기를 제공하는 데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마늘파종기{GARLIC PLANTER}
본 고안은 마늘파종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굴토된 경작지의 고랑사이에 사용자가 소망하는 적정 간격으로 마늘종자를 자동으로 파종하되, 그 파종 수율을 최대로 증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마늘파종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 마늘의 파종작업은 관리기나 경운기 등의 수단을 이용하여 지면을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고랑을 굴토시킨 다음, 파종 작업자가 굴토된 고랑사이에 소정의 등간격(작업자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통상 8cm ~ 13cm정도임)으로 마늘 종자를 일일이 파종하고 나서, 파종이 완료된 고랑에 흙을 복토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통상의 마늘파종 방법은 수작업 방법으로서 파종시 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고, 힘이 매우 많이들어 점차 고령화 및 인력감소화가 극심한 농촌의 현실에서 볼때 매우 불합리한 것이었으며, 따라서 마늘을 자동을 파종할 수 있는 자동 파종기의 개발이 절실하게 대두되었던 것이다.
이에 본 출원인은 케이싱에 공급통을 마련하여 그 선측에 하단으로부터 상부에 이르는 장홈을 형성하며, 상기 장홈의 하단에는 배출방지 브러쉬를 설치함과 아울러 상부 소정위치에는 스크래이핑 브러쉬를 형성하며, 상기 장홈의 상단에 형성되는 개구에는 탄성재의 스톱퍼를 마련하고, 상기 공급통의 선측에 구동축과 피동축을 설치하여 그에 축설치되는 체인스프라켓에 취출체인을 결합하며, 상기 취출체인에 교접로울러를 구비하는 취출클램프를 소정의 등간격으로 결합하고, 상기 취출체인의 내측에 취출클램프의 교접로울러와 연접하는 승강플레이트를 설치하고, 상기 취출체인의 선측에 투입구와 배출구를 구비하는 배출호퍼를 마련하고, 상기 취출체인을 구동시켜 주기 위한 구동축에 클러치판을 일체로 형성한 아이들스프라켓을 축설치하고, 상기 구동축상에 키 등의 수단으로 결합되어 구동축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하며 구동축에 축설치된 아이들 스프라켓의 클러치판에 선택적으로 접속되도록 한 클러치를 축설치하여 구성된 마늘파종기를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 제99-14245로 출원한바 있으며, 이에서는 마늘을 굴토된 고랑 사이에 어느 정도는 파종할 수 있었으나, 회전되는 체인에 설치된 취출클램프에 마늘이 한개씩 취출되는 경우가 드물거나 마늘이 아예 취출되지 않은 경우가 많아 굴토된 고랑 사이에 마늘이 파종되는 수율을 증가시킬 수 없었으며, 취출클램프에 의해 마늘이 취출되었더라도 배출호퍼측에서 마늘이 정확하게 배출되지 않아 결국에는 마늘의 파종 수율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굴토된 경작지의 고랑사이에 사용자가 소망하는 적정 간격으로 마늘종자를 자동으로 파종하되, 그 파종 수율을 최대로 증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마늘파종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마늘파종기의 제1 실시예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체 및 이 본체의 내부 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회전판 및 클램프/해제수단을 확대하여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클램프/해제수단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클램프/해제수단의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마늘파종기의 제2 실시예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클램프/해제수단이 회전판에 일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안내판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도 6에 도시된 회전판에 클램프/해제수단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관리기 10 : 본체
11 : 안내판 12 : 마늘 공급슈트
12a : 투입구 12b : 배출구
13 : 마늘 배출슈트 13a : 인입구
13b : 배출구 20 : 회전판
21 : 회전축 30 : 클램핑/해제수단
31 : 지지체 32 : 슬라이더 부재
32a : 걸림부 32b : 마늘 수용부
33 : 스프링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통상의 관리기에 설치되어 마늘을 파종할 수 있는 마늘파종기에 있어서, 관리기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 소정 위치에 안내판이 구비되는 본체와; 마늘이 투입되는 투입구와, 투입구에 연통되어 본체의 바닥면으로 마늘이 배출되도록 배출구를 구비하며, 본체 내부 소정 위치에 설치되는 마늘 공급슈트와; 관리기의 동력을 전달받아 본체 내부에 회전축을 매개로 하여 소정의 속도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판과; 회전판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안내판과의 접촉 여부에 따라 마늘을 클램핑 및 해제하는 클램핑/해제수단과;클램핑/해제수단에서 클램핑 해제된 마늘이 인입되도록 인입구와, 인입구에 연통되어 본체의 외측에 있는 지면으로 마늘이 배출되도록 배출구를 구비하며, 본체에 설치되는 마늘 배출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마늘파종기의 제1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마늘파종기의 제1 실시예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체 및 이 본체의 내부 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회전판 및 클램프/해제수단을 확대하여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클램프/해제수단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클램프/해제수단의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는 통상의 관리기(1)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내부가 비어있는 통체 형상을 하고 있으며, 이 내측면에는 소정 형상으로 굴곡진 안내판(11)이 설치된다.
마늘 공급슈트(12)는 본체(10)의 내부 소정 위치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부측에 다수개의 마늘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12a)가 형성되고, 하부측에 투입구(12a)로 투입된 마늘이 본체(10)의 바닥면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구(12b)가 형성된다.
회전판(20)은 본체(10)의 내부 소정 위치에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된 지점에 회전축(21)을 매개로 하여 소정의 속도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그 외관 형상은 일례로 소정 직경을 갖는 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회전판(20)의 회전력 제공원은 일실시예로 관리기(1)의 동력을 이용하며, 관리기(1)의 최종 출력축(미도시)과 회전판(20)의 회전축(21)을 상호 동력 전달 수단의 일종인 벨트(2)로 연결한다.
그러나, 도면상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회전판(20)의 회전력 제공원을 상기와 같이 관리기(1)의 최종 출력축으로 하지 않고 관리기(1)의 타이어로도 할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관리기(1)의 타이어와 회전판(20)의 회전축(21)을 상호 체인으로 연결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회전판(20)의 회전 속도 조절은 통상적으로 관리기(1)에 기본적으로 구비된 변속수단(미도시)에 의해 가능해진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회전판(20)의 회전력 제공원을 전술한 바와 같이 관리기(1)의 동력을 직접 이용하지 않고, 관리기에서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전원으로 구동되는 구동 모터를 본체의 내부에 설치하여 이용할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상기 회전판(20)의 형상을 전술한 바와 같이 원형이 아니 다각형으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클램핑/해제수단(30)은 지지체(31)와, 걸림부(32a)와 마늘수용부(32b)가 구비된 슬라이더 부재(32)와, 스프링(33)으로 구성된다.
지지체(31)는 회전판(20)의 일측면 가장자리에 회전축(21)을 중심으로 하여 가장자리에 방사상으로 다수개 고정 설치된다.
슬라이더 부재(32)는 지지체(31)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회전축(21)에 대응되는 일단에는 걸림부(32a)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마늘 수용부(32b)가 구비된다.
이 마늘 수용부(32b)는 회전판(20)의 회전시 본체(10)의 바닥면에 있는 다수개의 마늘중에서 한개를 담게되며, 회전판(20)이 180정도 회전된 경우에는 담겨진 마늘이 자연적으로 낙하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32a)의 선단은 회전판(20)의 회전 각도에 따라 전술한 상기 본체(10)의 내측면에 구비된 안내판(11)에 접촉된다.
상기 슬라이더 부재(32)에는 스프링(33)이 개재되되, 이 스프링(33)의 양단은 걸림부(32a)와 지지체(31)에 탄성 지지되게 설치되어 걸림부(32a)의 선단이 안내판(11)과의 접촉 여부에 따라 압축 및 팽창된다.
여기서, 스프링(33)이 압축 및 팽창되는 근본적인 이유는 상기 안내판(11)의 설치 위치가 걸림부(32a)의 회전 반경밖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걸림부(32a)의 선단이 안내판(11)의 내측면에 접촉되면서 지나갈때 스프링(33)을 압축시키게 되고, 걸림부(32a)의 선단이 안내판(11)과 접촉되지 않을때에는 압축된 스프링(33)이 팽창되어 원상 복귀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걸림부(32a)의 선단과 안내판(11)과의 접촉 여부에 따라 스프링(33)이 압축 및 팽창되는 결과에 따라 슬라이더 부재(32)는 지지체(31)에 슬라이드 이동되는 것이다.
즉, 스프링(33)이 압축되는 경우에는 슬라이더 부재(32)가 회전축(21)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마늘 수용부(32b)와 지지체(31)의 이격 거리가 좁아지게 되는 반면에 스프링(33)이 팽창되는 경우에는 슬라이더 부재(32)가 회전판(20)의 가장자리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마늘 수용부(32b)와 지지체(31)의 이격 거리가 멀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슬라이더 부재(32)를 경우에 따라 슬라이드 이동시켜야 하는 이유는, 본체(10)의 바닥면에 있는 마늘이 마늘 수용부(32b)에 의해 용이하게 담겨질수 있도록 하고, 마늘 수용부(32b)에 담겨진 마늘이 회전판(20)이 소정 각도 대략 180정도 회전되는 동안 낙하되지 않도록 함에 있다.
좀더 상세하게는 마늘 수용부(32b)이 마늘이 담겨질시점에는 걸림부(32a)의 선단이 안내판(11)의 외측면에 접촉되어 스프링(33)이 압축되어 슬라이더 부재(32)가 회전판(20)의 가장자리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며, 이에 따라, 마늘 수용부(32b)와 지지체(31)의 이격 거리가 멀어지게 된다.
이로써, 마늘 수용부(32b)에는 마늘이 담겨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후, 회전판(20)이 소정 각도 회전되면, 걸림부(32a)는 안내판(11)과의 접촉이 생기지 않게 되며, 이에 따라 스프링(33)이 원상 복귀되어 슬라이더 부재(32)가 회전판(20)의 중심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마늘 수용부(32b)와 지지체(31)의 이격 거리가 좁아지게 된다.
이로써, 마늘 수용부(32b)에 수용된 마늘은 지지체(31)의 지지에 의해 회전판(20)이 180도 회전되는 동안 낙하되지 않게 된다.
한편, 회전판(20)이 180도 회전되면, 걸림부(32a)의 선단은 다시 안내판(11)의 외측면에 접촉되며, 이에 따라 스프링(33)이 압축되어 슬라이더 부재(32)가 회전판(20)의 가장자리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마늘 수용부(32b)와 지지체(31)의 이격 거리가 멀어지게 된다.
이로써, 마늘 수용부(32b)에 담겨진 마늘이 낙하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체(31) 양측면중에서 마늘 수용부(32b)에 대응되는 측면에는 스폰지등의 쿠션재(미도시)(34)가 부착되는 데, 이 쿠션재(미도시)(34)는 스프링(33)의 팽창력에 의해 마늘 수용부(32b)와 지지체(31) 사이의 마늘에 가해지는 외관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상기 마늘 배출슈트(13)는 상기 클램핑/해제수단(30)을 구성하는 슬라이더 부재(32)의 마늘 수용부(32b)에서 낙하되는 마늘이 자연적으로 인입이도록 하는 인입구(13a)와, 이 인입구(13a)에 연통되어 본체(10)의 외측에 있는 지면으로 마늘이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구(13b)로 구성된다.
이상 설명한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안내판(11)은 완만한 곡선으로 라운딩진 형상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걸림부(32a)가 안내판(11)에 접촉된 상태에서 벗어날때 발생되는 스프링(33)의 팽창력으로 인해 슬라이더 부재(32)가 급히 회전판(20)의 중심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마늘 수용부(32b)와 지지체(11) 사이의 마늘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마늘 배출슈트(13)의 배출구(13b)를 통해 배출되어 지면에 도달된 마늘의 파종 간격의 설정은 회전판(20)의 회전 속도 및 이 회전판(20)에 설치된 클램프/해제수단(30)의 개수에 정해지는 것으로, 이는 제작 설계시 파종 간격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할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마늘파종기의 제2 실시예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본체 및 이 본체의 내부 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클램프/해제수단 몇개가 회전판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안내판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회전판에 클램프/해제수단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11은 본 고안에 의한 마늘파종기의 제3 실시예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고안의 제2 실시예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는 클램핑/해제수단(40)을 제외한 나머지 안내판(11a,11b)을 구비한 본체(10), 투입구(12a)와 배출구(12b)를 갖는 마늘 공급슈트(12), 회전판(20), 인입구(13a)와 배출구(13b)를 갖는 마늘 배출슈트(13)의 구성 및 작용도 동일하여, 변경된 클램핑/해제수단(40)의 구성만을 설명하고 한다.
클램핑/해제수단(40)은, 회전축(21)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가장자리에 다수개가 회전판(20)의 양측면을 관통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되 일단에는 안내판(11a,11b)의 외측면에 접촉되는 걸림부(41a)가 타단에는 마늘을 수용하기 위한 마늘 수용부(41b)가 형성되는 슬라이더 부재(41)와, 슬라이더 부재(41)에 개재되되 양단이 걸림부(41a)와 회전판(20)의 일측면에 탄성 지지되게 설치되어 걸림부(41a)의 선단이 안내판(11a,11b)과 접촉 여부에 따라 압축 및 팽창되는 스프링(42)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클램핑/해제수단(40)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구조 및 작용상 상이한 점은, 제1 실시예의 지지체(31)가 없는 것이고, 스프링(42)이 걸림부(41a)와 회전판(20) 사이에 지지되는 것이고, 슬라이더 부재(41)가 회전축(21)과 평행하게 회전판(20)의 양측면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작용 측면에서 보면, 스프링(42)이 걸림부(41a)와 회전판(20) 사이에서 작용하는 것 이외에는 제1 실시예와 전체적인 작용은 동일하다.
이상 설명한 전술한 제2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안내판(11a,11b)은 완만한 곡선으로 라운딩진 형상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걸림부(41a)가 안내판(11a,11b)에 접촉된 상태에서 벗어날때 발생되는 스프링(42)의 팽창력으로 인해 슬라이더 부재(41)가 급히 회전판(20)의 중심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마늘 수용부(41a)와 회전판(20) 사이의 마늘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회전판(20) 양측면중에서 마늘 수용부(41a)에 대응되는 측면에는 스폰지등의 쿠션재(미도시)를 부착함이 바람직한데, 이 쿠션재(미도시)는 스프링(42)의 팽창력에 의해 마늘 수용부(41a)와 회전판(20) 사이의 마늘에 가해지는 외관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전술한 제1, 제2 실시예의 구성에서 클램핑/해제수단을 구성하는 마늘 수용부의 형상을 스픈 모양으로 형성하였으나, 이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마늘을 수용할수 있는 어떠한 형상을 채택하여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클램핑/해제수단의 구성을 상기 두가지의 실시예에만 한정하지 하고 다른 실시예로 변경할수도 있는데, 이를 도면상에 도시하지 않은 상태로 설명하고자 한다.
소정 직경을 갖는 회전판의 외주면에 소정 각도 경사지게 각이진 '∪'자형의 회동홈을 형성하고, 이 회동홈의 수평 내면에 수직으로 소정 높이의 지지봉을 돌출 형성하며, 이 지지봉에 소정 길이를 갖는 마늘 클램핑/해제부재의 중간부를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며, 비틀림 스프링의 일단을 지지봉에 비틀림 스프링의 타단을 마늘 클램핑/해제부재에 고정 설치하여 항상 마늘 클램핑/해제부재의 일단부가 비틀림 스프링의 비틀림력에 의해 회전판의 일측면에 근접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마늘 클램핑/해제부재의 일단부에는 일실시예로 스픈 모양의 마늘 수용부를 형성하고, 본체의 내벽에는 필요한 조건에 따라 마늘 클램핑/해제부재의 타단부를 클릭할 수 있는 안내부를 형성한다.
상기 안내부의 형상은 회전판이 회전되고 있는 상태에서 마늘 클램핑/해제부재의 타단부가 지나칠때 부드럽게 지나칠 수 있도록 소정 곡률로 라운딩지게 형성된다.
즉, 상기 마늘 클램핑/해제부재의 타단부가 상기 안내부를 지나갈때에는 지지봉을 중심으로 하여 마늘 클램핑/해제부재는 상기 회동홈내에서 소정 각도 상기 비틀림 스프링의 비틀림력을 이기면서 회동된다.
이에 따라 마늘 수용부와 회전판의 거리는 최초 상태에서 멀어지게 되며, 이 마늘 수용부와 회전판의 상호 이격된 공간 사이로 마늘이 담겨지게 된다.
여기서, 회전판은 지속적으로 회전되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마늘 클램핑/해제부재의 타단부는 안내부와의 접촉 상태에서 벗어나게 되며, 이에 따라 비틀림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마늘 클램핑/해제부재는 최초 위치로 복원되어 결과적으로 마늘 수용부가 회전판에 근접되어 마늘을 확실하게 클램핑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클램핑된 마늘을 해제할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안내부와 상기 마늘 클램핑/해제부재의 타단부와 작용이 일어나도록 본체 내부에 적정 위치에 별도로 상기 안내부를 더 설치한다.
전술한 다른 실시예는 마늘을 클램핑하거나 해제하기 위해 전술한 제1, 제2 실시예에서처럼 통상의 스프링을 사용하지 않고 비틀림 스프링을 사용한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은 제1 내지 제2 실시예에 따르면, 마늘을 한개씩 클램핑하여 굴토된 경작지의 고랑 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파종할수 있게 된다.
이제까지의 설명에서 전술한 본 고안의 구성중 본체 부분의 취부 구조만 변경하면 경운기, 트랙터등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마늘만을 한정하여 파종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진공 흡착하여 파종하는 실시예에서는 다른 콩등의 잡곡류도 파종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굴토된 경작지의 고랑사이에 사용자가 소망하는 적정 간격으로 마늘종자를 자동으로 파종하되, 그 파종 수율을 최대로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관리기(1)에 설치되어 마늘을 파종할 수 있는 마늘파종기에 있어서,
    상기 관리기(1)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 소정 위치에 안내판(11)이 구비된 본체(10)와;
    상기 마늘이 투입되는 투입구(12a)와, 상기 투입구(12a)에 연통되어 상기 본체(10)의 바닥면으로 마늘이 배출되도록 배출구(12b)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10)의 내부 소정 위치에 설치된 마늘 공급슈트(12)와;
    상기 관리기(1)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회전축(21)을 매개로 하여 소정의 속도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판(20)과;
    상기 회전판(20)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상기 안내판(11)과의 접촉 여부에 따라 상기 마늘을 클램핑 및 해제하는 클램핑/해제수단(30)과;
    상기 클램핑/해제수단(40)에서 클램핑 해제된 마늘이 인입되도록 인입구(13a)와, 상기 인입구(13a)에 연통되어 상기 본체(10)의 외측에 있는 지면으로 마늘이 배출되도록 배출구(13b)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10)의 하부측에 설치되는 마늘 배출슈트(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파종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해제수단(30)은,
    상기 회전판(20)의 일측면 상기 회전축(21)을 중심으로 하여 가장자리에 방사상으로 다수개 고정 설치된 지지체(31)와;
    상기 회전축(21)에 대응되는 일단에는 상기 안내판(11)의 외측면에 접촉되는 걸림부(32a)가, 타단에는 마늘이 수용되는 마늘 수용부(32b)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체(31)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더 부재(32)와;
    상기 슬라이더 부재(32)에 개재되되 양단이 상기 걸림부(32a)와 상기 지지체(31)에 탄성 지지되게 설치되어 상기 걸림부(32a)의 선단이 상기 안내판(11)과의 접촉 여부에 따라 압축 및 팽창되는 스프링(33)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파종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해제수단(30)은,
    상기 회전축(21)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가장자리에 다수개가 상기 회전판(20)의 양측면을 관통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되, 일단에는 상기 안내판(11a,11b)의 외측면에 접촉되는 걸림부(31a)가, 타단에는 마늘을 수용하기 위한 마늘 수용부(31b)가 형성되는 슬라이더 부재(32)와;
    상기 슬라이더 부재(32)에 개재되되 양단이 상기 걸림부(31a)와 상기 회전판(20)의 일측면에 탄성 지지되게 설치되어 상기 걸림부(31a)의 선단이 상기 안내판(11a,11b)과 접촉 여부에 따라 압축 및 팽창되는 스프링(32)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파종기.
KR2020000013284U 2000-01-21 2000-05-10 마늘파종기 KR2001991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3284U KR200199118Y1 (ko) 2000-01-21 2000-05-10 마늘파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1700U KR200191199Y1 (ko) 2000-01-20 2000-01-21 마늘파종기
KR2020000013284U KR200199118Y1 (ko) 2000-01-21 2000-05-10 마늘파종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1700U Division KR200191199Y1 (ko) 2000-01-20 2000-01-21 마늘파종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9118Y1 true KR200199118Y1 (ko) 2000-10-02

Family

ID=19638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3284U KR200199118Y1 (ko) 2000-01-21 2000-05-10 마늘파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911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7203083B2 (en) Seed meter
US4600122A (en) Seed meter disk for use with sunflower and other seeds of long, slender shape
AU710120B2 (en) A mechanical seed meter
EP2056662A1 (en) Sowing device for lawns
CA2629034A1 (en) Seed disk for a seed meter
KR101655517B1 (ko) 점파식 파종기
KR20020097300A (ko) 마늘파종기의 씨마늘 정립 낙하장치
CA2134501C (en) Selected pin seed meter
EP1917846B1 (en) Apparatus for setting the position of a singulator arm for a seed metering system and seed metering system and seeding machine with such apparatus
KR20230158747A (ko) 다양한 크기의 씨앗을 심을 수 있는 파종기
KR200199118Y1 (ko) 마늘파종기
CN108713377B (zh) 一种针对完整种薯的土豆播种装置及其使用方法
KR20010076206A (ko) 마늘파종기
AU2005319603B2 (en) Metering head for a sower
JP5470112B2 (ja) 播種機
BRPI0904828B1 (pt) aperfeiçoamento em dispositivo dosador de sementes para plantio empregado em equipamentos agrícolas para semeadura
KR200191199Y1 (ko) 마늘파종기
KR200244221Y1 (ko) 마늘파종기
KR200288989Y1 (ko) 수동식 파종기
KR200219558Y1 (ko) 인삼씨 파종기
KR200242357Y1 (ko) 견인식 씨앗 파종기
KR200297225Y1 (ko) 톱니형 씨앗통
RU2173511C1 (ru) Высевающий аппарат
KR20120101843A (ko) 씨앗 파종기
KR20020039417A (ko) 미맥 다기능 파종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5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