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4221Y1 - 마늘파종기 - Google Patents

마늘파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4221Y1
KR200244221Y1 KR2020010015832U KR20010015832U KR200244221Y1 KR 200244221 Y1 KR200244221 Y1 KR 200244221Y1 KR 2020010015832 U KR2020010015832 U KR 2020010015832U KR 20010015832 U KR20010015832 U KR 20010015832U KR 200244221 Y1 KR200244221 Y1 KR 2002442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rlic
clamping
main body
planter
gui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58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병재
Original Assignee
강병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병재 filed Critical 강병재
Priority to KR20200100158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422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42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4221Y1/ko

Links

Landscapes

  • Sow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굴토된 경작지의 고랑사이에 경작자가 소망하는 적정 간격으로 마늘 종자를 자동으로 파종하되, 그 파종 수율을 최대로 증대시킬 수 있도록 개량된 것으로, 본 고안은 관리기에 설치되어 마늘을 파종할 수 있는 마늘파종기에 있어서, 하부에 상기 마늘이 배출되는 마늘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부가 개구되며, 일측에 마늘이 수용되어 저장되는 마늘 수용호퍼가 구비되며, 내부가 비어있는 파종기 본체와; 보조바퀴가 구비되고, 상기 파종기 본체를 상기 관리기의 바디 외측 적정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본체 지지수단과; 상기 파종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관리기의 엔진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파종기 본체내에서 회전하는 회전원판과; 상기 파종기 본체의 내부에 상기 회전원판과 접촉되지 않게 적정한 길이로 형성되어 마늘을 클램핑/해제하는 안내판과; 상기 회전원판에 적어도 하나이상 구비되어 상기 안내판에 접촉된 경우에 상기 마늘 수용호퍼내의 마늘을 클램핑하지 않고, 상기 안내판으로부터 벗어난 경우에 상기 마늘을 클램핑하는 클램핑/해제수단과; 상기 마늘 수용호퍼내에 수용된 마늘을 좌우로 유동시키는 유동수단과; 상기 글램핑/해제수단에 의해 클램핑된 마늘이 해제 시점전에 낙하된 경우에 상기 파종기 본체의 바닥으로 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파종기 본체내에 설치되는 마늘 인입방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한다.

Description

마늘파종기{GARLIC PLANTER}
본 고안은 마늘파종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굴토된 경작지의 고랑사이에 경작자가 소망하는 적정 간격으로 마늘 종자를 자동으로 파종하되, 그 파종 수율을 최대로 증대시킬 수 있도록 개량된 마늘파종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마늘의 파종작업은 관리기나 경운기 등의 수단을 이용하여 지면을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고랑으 굴토시킨 다음, 파종 작업자가 굴토된 고랑사이에 소정의 등간격(작업자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통상 8cmm~13cm정도임)으로 마늘 종자를 일일이 파종하고 나서, 파종이 완료된 고량에 흙을 복토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통상의 마늘 파종 방법은 수작업 방법으로서 파종시 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고, 노동력이 많이들어 점차 고령화 및 인력감소화가 극심한 농촌의 현실에서 볼때 매우 불합리한 것이었으며, 따라서 마늘을 자동으로 파종할 수 있는 자동 파종기의개발이 절실하게 대두되었던 것이다.
이에 본 출원인은 관리기에 설치되어 마늘을 파종할 수 있는 마늘파종기에 있어서, 상기 관리기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에 소정 위치에 안내판이 구비된 본체와; 상기 마늘이 투입되는 투입구와, 상기 투입구에 연통되어 상기 본체의 바닥면으로 마늘이 배출되도록 배출구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의 내부 소정 위치에 설치된 마늘 공급슈트와; 상기 관리기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본체의 내부에 회전축을 매개로 하여 소정의 속도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상기 안내판과의 접촉 여부에 따라 상기 마늘을 클램핑/해제하는 클램핑/해제수단과; 상기 클램핌/해제수단에서 클램핑 해제된 마늘이 인입되도록 인입구와, 상기 인입구에 연통되어 상기 본체의 외측에 있는 지면으로 마늘이 배출되도록 배출구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의 하부측에 설치되는 마늘 배출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마늘파종기를 대한민국 실용신안 제000-0000호로 출원하여 등록을 받은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출원인의 종래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재, 마늘 공급슈트내에서 마늘이 무작위로 내재되어 있는 상태에서 단순히 중력에 의해 낙하되면서 클램핑/해제수단에 의해 클램핑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마늘이 한개씩 마늘 공급슈트에서 그 배출구를 통해서 어느 정도는 한개씩 배출되어 클램핑/해제수단에 클램핑되기는 하였으나, 마늘 공급슈트내에 마늘이 많이 수용되어 있을 때에는 그 수용량에 의한 압력에 의해 마늘이 배출구로 원활하게 규칙직으로 배출되지 않고 한꺼번에 많은 양이 배출되거나 배출구가 막혀 전혀 배출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되어 결과적으로 마늘의 파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둘째, 클램핑/해제수단에 의해 어느 정도는 마늘이 한개씩 클램핑되기는 하였으나, 실제 제작하여 본 결과 그 클램핑 정도가 높지 않은 문제점도 있었다.
셋째, 클램핑/해제수단에 의해 마늘이 한개씩 클램핑되었더라도 클램핑된 상태에서 정확하게 클램핑되지 못하여 도중에서 낙하되며, 도중에 낙하된 마늘은 본체 내부에 그냥 잔류하게 되며, 이로 인해 본체내부 깊숙히 들어가 있기 때문에 이를 수거하기에 여간 불편한 점이 아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굴토된 경작지의 고랑사이에 경작자가 소망하는 적정 간격으로 마늘 종자를 자동으로 파종하되, 그 파종 수율을 최대로 증대시킬 수 있도록 개량된 마늘파종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늘파종기가 관리기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전체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늘파종기의 본체 지지수단 부분을 보인 일부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늘파종기의 전체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늘파종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마늘파종기의 클램핑/해제수단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클램핑/해제수단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늘파종기의 전체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실시예에 따른 마늘파종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에인 보조클램핑수단이 적용된 상태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관리기
200 : 파종기 본체
300 : 본체 지지수단
400 : 회전원판
500 : 안내판
600 : 클램핑/해제수단
700 : 유동수단
800 : 마늘 인입방지부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관리기에 설치되어 마늘을 파종할 수 있는 마늘파종기에 있어서, 하부에 상기 마늘이 배출되는 마늘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부가 개구되며, 일측에 마늘이 수용되어 저장되는 마늘 수용호퍼가 구비되며, 내부가 비어있는 파종기 본체와; 보조바퀴가 구비되고, 상기 파종기 본체를 상기 관리기의 바디 외측 적정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본체 지지수단과; 상기 파종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관리기의 엔진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파종기 본체내에서 회전하는 회전원판과; 상기 파종기 본체의 내부에 상기 회전원판과 접촉되지 않게 적정한 길이로 형성되어 마늘을 클램핑/해제하는 안내판과; 상기 회전원판에 적어도 하나이상 구비되어 상기 안내판에 접촉된 경우에 상기 마늘 수용호퍼내의 마늘을 클램핑하지 않고, 상기 안내판으로부터 벗어난 경우에 상기 마늘을 클램핑하는 클램핑/해제수단과; 상기 마늘 수용호퍼내에 수용된 마늘을 좌우로 유동시키는 유동수단과; 상기 글램핑/해제수단에 의해 클램핑된 마늘이 해제 시점전에 낙하된 경우에 상기 파종기 본체의 바닥으로 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파종기 본체내에 설치되는 마늘 인입방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마늘파종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늘파종기가 관리기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전체 외관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늘파종기의 본체 지지수단 부분을 보인 일부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늘파종기의 전체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늘파종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마늘파종기의 클램핑/해제수단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클램핑/해제수단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늘파종기의 전체 분해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의 실시예에 따른 마늘파종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에인 보조클램핑수단이 적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관리기(100)에 설치되어 마늘을 파종할 수 있는 마늘파종기에 적용된다.
그 전체 구성은 파종기 본체(200)와, 본체 지지수단(300)과, 회전원판(400)과, 안내판(500)과, 클램핑/해제수단(600)과, 유동수단(700)과, 마늘 인입방지부재(8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파종기 본체(200)는 하부에 상기 마늘이 배출되는 마늘 배출구(210)가 형성되고, 상부가 개구되며, 일측에 마늘이 수용되어 저장되는 마늘 수용호퍼(220)가 구비되며, 내부가 비어있는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 지지수단(300)은 보조바퀴(310)가 구비되고, 상기 파종기 본체(200)를 상기 관리기(100)의 바디(110) 외측 적정 위치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회전원판(400)은 상기 파종기 본체(200)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관리기(100)의 엔진(120)의 출력축(121)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파종기 본체(200)내에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안내판(500)은 상기 파종기 본체(200)의 내부에 상기 회전원판(400)과 접촉되지 않게 적정한 길이로 형성되어 마늘을 클램핑/해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클램팽/해제수단(600)은 상기 회전원판(400)에 적어도 하나이상 구비되어 상기 안내판(500)에 접촉된 경우에 상기 마늘 수용호퍼(220)내의 마늘을 클램핑하지 않고, 상기 안내판(500)으로부터 벗어난 경우에 상기 마늘을 클램핑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클램핑/해제수단(600)은, 상기 회전원판(400)의 가장자리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공(401)을 형성하고, 상기 장공(401)을 통과하여 상기 회전원판(400)의 전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안내판(500)의 표면에 접촉되는 접촉부(601)와, 상기 접촉부(601)의 일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원판(400)의 후면에 적정 각도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부(602)와, 상기 회동부(602)의 중간부에 돌출 형성된 걸침부(605)와, 상기 회동부(602)의 끝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원판(400)의 외주면을 지나 그 전면으로 돌출되는 돌출부(603)와, 상기 돌출부(603)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마늘이 담겨지는 접시부(604)와, 상기 접촉부(601)가 상기 안내판(500)을 벗어난 경우에 상기 접시부(604)와 상기 회전원판(400)의 전면 사이로 마늘이 인입 가능한 공간이 형성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접촉부(601)가 상기 안내판(500)에 접촉된 경우에 상기 접시부(604)와 상기 회전원판(400)의 전면 사이에서 마늘이 클램핑 가능한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회전원판(400)의 후면에 상기 접촉부(601)와 간섭되게 설치되는 탄발스프링(610)으로 구성된다.
상기 탄발스프링(610)은 유자 형상으로 굴곡되게 설치되어 상기 걸침부(605)에 걸려져 있게 된다.
상기 유동수단(700)은 상기 마늘 수용호퍼(220)내에 수용된 마늘을 좌우로 유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유동수단(700)은, 상기 엔진(12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원판(400)을 회전시키는 출력축(121) 상에 설치되는 구동캠(701)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힌지(702)를 매개로 절첩 가능함과 아울러 일단부가 상기 파종기 본체(200)의 내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링크절(703)과, 상기 링크절(703)의 일단부에 상기 구동캠(701)과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피동캠(704)과, 상기 링크절(703)의 타단부에 힌지(705)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마늘 수용호퍼(220)내에서 힌지(706)를 매개로 설치되어 좌우로 적정 각도 회동하는 회동부재(707)로 구성된다.
상기 마늘 인입방지부재(800)는 상기 클램핑/해제수단(600)에 의해 클램핑된 마늘이 해제 시점전에 낙하된 경우에 상기 파종기 본체(200)의 바닥으로 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파종기 본체(200)내에 설치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계단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안내판(500)의 상부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마늘 인입방지부(800)을 구비하는 근본적인 이유는 클램핑/해제수단(600)의 클램핑력이 약화될 경우에 마늘이 낙하되어 파종기 본체(200)의 마늘 배출구(210)를 통해 고랑에 낙하될 우려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원하지 않은 위치에 마늘이 파종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마늘파종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관리기(1)의 엔진(120)이 구동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원판(400)이 출력축(121)과 함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와 같이, 회전원판(400)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구동캠(701)도 함께 회전된다.
상기 구동캠(701)은 피동캠(704)에 접촉되어 있기 때문에, 이 피동캠(704)은 구동캠(701)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되면서 일단이 파종기 본체(200)의 내측면에서 회동되는 링크절(703)을 소정 각도 만큼 전진 또는 후진시킨다.
상기와 같이 링크절(703)이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됨에 따라 마늘 수용호퍼(220)내에서 힌지(706)를 매개로 설치된 회동부재(707)가 마늘 수용호퍼(220)내에서 좌우로 소정 각도 회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회동부재(707)가 마늘 수용호퍼(220)내에서 좌우로 회동함에 따라 마늘 수용호퍼(220)내에 수용된 마늘은 이리저리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회전원판(400)이 회전함에 따라 작동되는 유동수단(700) 이외에도 마늘을 클램핑하거나 해제하는 클램핑/해제수단(600)이 작동되는 것이다.
먼저, 회전원판(400)이 소정 각도 회전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클램핑/해제수단(600)중 어느 하나가 안내판(500)의 a지점에 도달하게 되면, 클램핑/해제수단(600)을 구성하는 접촉부(601)가 안내판(500)의 측면에 접촉된다.
상기와 같이 접촉부(601)가 안내판(500)에 접촉되면 접촉부(601)는 회전원판(400)에 형성된 장공(401)내를 따라 이동함과 아울러 회동부(602)가 소정 각도 회동된다.
이때, 상기 회동부(602)가 회동되는 과정에서 탄성스프링(610)의 탄발력을 이기면서 회동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됨에 따라 클램핑/해제수단(600)을 구성하는 접시부(604)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원판(400)의 측면으로 부터 소정의 간격(마늘이 들어갈수 있는 간격)이 형성되도록 이격된다.
이후, 접촉부(601)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판(500)의 b지점을 통과하게 되면, 더이상 접촉부(601)에 가해졌던 외력이 제거되는 상태가 된다.
여기서, 접촉부(601)가 안내판(500)을 벗어나는 시점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늘이 집중적으로 모여있는 지점으로써, 다수개의 마늘중 어느 하나가 접시부(604)와 회전원판(400) 사이에 형성된 간격 사이로 인입된다.
이후, 클램핑/해제수단(600)을 구성하는 접촉부(601)에 가해진 외력이 제거되면, 탄발스프링(610)은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면 회동부(602)가 회동되어 접시부(604)가 회전원판(400)의 측면으로 근접되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는 마늘이 접시부(604)와 회전원판(400)의 측면에 끼여있는 상태(즉 클램핑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은 설명에서 알수 있듯이, 클램핑/해제수단(6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판(500)을 통과하는 L1의 영역에서는 마늘을 항상 클램핑할 수 있도록 접시부(604)와 회전원판(400)의 측면 사이의 간격이 일정치 떨어져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마늘이 클램핑된 상태로 회전원판(400)의 지속적이 회전으로 안내판(500)을 벗어난 영역인 L2의 영역에서는 마늘이 지속적으로 클램핑되어 있는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를 유지하다가 마늘을 클램핑한 클램핑/해제수단(600)을 구성하는 접촉부(601)가 다시 안내판(500)에 접촉하게 되면, 전술한 설명에서와 같이 접시부(604)와 회전원판(400)의 측면 사이의 간격이 이격되어 마늘의 클램핑이 해제되며, 결국에는 마늘은 파종기 본체(200)의 마늘 배출구(210)를 통해 낙하되어 지면의 고랑에 파종되는 것이다.
이제까지의 설명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을 하였다.
이하부터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고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유동수단을 다르게 변경함과 아울러 보조클램핑수단을 더 구비하였다.
먼저, 상기 유동수단(700)은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늘 수용호퍼(200)내에 힌지축(740)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교반 날개부(741a)를 갖는 마늘 교반부재(741)와, 상기 파종기 본체(200)내의 적정 위치에 고정 설치되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튜브(742)와, 일단은 상기 엔진(12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회전원판(400)을 회전시키는 출력축(121)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마늘 교반부재(741)의 힌지축(740)에 고정되며 상기 튜브(742)내로 관통 설치되는 플렉시블한 재질의 와이어(743)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유동수단(700)을 달리 구성함에 따라 회전원판(400)이 회전됨에 따라 와이어(743)이 튜브(742)내에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마늘 교반부재(741)이 마늘 수용호퍼(200)내에서 회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마늘 교반부재(741)가 회전함게 됨에 따라 마늘 수용호퍼(200)내에 수용된 마늘은 서로 뒤섞이게 되어 클램핑/해제수단(600)에 의한 마늘의 클램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보조클램핑수단(900)은,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램핑/해제수단(600)의 각각 접시부(604)에 대응되는 상기 회전원판(400)에 전후로 관통된 설치공(420)을 형성하고, 상기 설치공(420)내에 슬라이드공(910a)을 갖는 안내부재(910)를 나사 결합하며, 상기 접시부(604)에 마주하는 보조접시(920a)를 갖는 이동봉(920)을 상기 안내부재(910)의 슬라이드공(910a)에 삽입하며, 상기 보조접시(920a)의 반대편에 해당되는 이동봉(920)의 단부에 고정 보스(930)를 나사 결합하며, 상기 안내부재(910)와 고정 보스(930) 사이의 이동봉(920)에 탄력 스프링(940)을 개재하며, 상기 고정 보스(930)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이동봉(920)이 슬라이드공(910a)내에서 탄력적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파종기 본체(200)의 내측면에 일정 구간의 돌출턱(950)을 형성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보조클램핑수단(900)을 더 구비함으로써, 클램핑/해제수단(600)에 의해 마늘이 클램핑된 후 해제되기까지의 구간에 마늘이 낙하할 우려가 있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하여 보조적으로 마늘의 클램핑력을 증가시켜줄 수 있게 된다.
아울러 클램핑/해제수단(600)의 접시부(604)에 의해 마늘이 두 개정도가 클램핑되는 경우, 보조클램핑수단(950)이 작용하여 한 개만 접시부(604)에 클램핑되도록 해줄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보조클램핑수단(900)의 작용을 도 10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마늘이 접시부(604)에 클램핑된 상태에서 회전원판(400)이 회전하게 되어 돌출턱(950)의 처음 부분에 도달하기전 까지는 보조클램핑수단(900)을 구성하는 탄성스프링(940)은 인장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
이후, 돌출턱(950) 영역으로 진입을 하게 되면, 탄성 스프링(940)은 소정치 압축 상태가 되며, 이와 동시에 돌출턱(950)의 돌출된 높이만큼 이동봉(920)은 안내부재(910)의 슬라이드공(910a)을 따라 이동하여 전진하여 보조접시(920a)가 접시부(604)측으로 근접된다.
상기와 같이 보조접시(920a)가 접시부(604)측으로 근접됨에 따라 이들 사이에 있는 마늘은 더욱더 강한 힘으로 클램핑되는 것이다.
이후, 회전원판(400)이 지속적으로 회전됨에 따라 보조클램핑수단(900)이 돌출턱(950)을 벗어나게 되면, 탄성 스프링(940)의 복원력에 의해 이동봉(920)은 후퇴하게 되어 최초의 위치로 도달하게 된다.
이때의 상태가 마늘이 클램핑/해제수단(600)에 의해 해제되는 시점이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마늘파종기는, 본 고안은 마늘파종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굴토된 경작지의 고랑사이에 경작자가 소망하는 적정 간격으로 마늘 종자를 자동으로 파종하되, 그 파종 수율을 최대로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7)

  1. 관리기(100)에 설치되어 마늘을 파종할 수 있는 마늘파종기에 있어서,
    하부에 상기 마늘이 배출되는 마늘 배출구(210)가 형성되고, 상부가 개구되며, 일측에 마늘이 수용되어 저장되는 마늘 수용호퍼(220)가 구비되며, 내부가 비어있는 파종기 본체(200)와;
    보조바퀴(310)가 구비되고, 상기 파종기 본체(200)를 상기 관리기(100)의 바디(110) 외측 적정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본체 지지수단(300)과;
    상기 파종기 본체(200)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관리기(100)의 엔진(120)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파종기 본체(200)내에서 회전하는 회전원판(400)과;
    상기 파종기 본체(200)의 내부에 상기 회전원판(400)과 접촉되지 않게 적정한 길이로 형성되어 마늘을 클램핑/해제하는 안내판(500)과;
    상기 회전원판(400)에 적어도 하나이상 구비되어 상기 안내판(500)에 접촉된 경우에 상기 마늘 수용호퍼(220)내의 마늘을 클램핑하지 않고, 상기 안내판(500)으로부터 벗어난 경우에 상기 마늘을 클램핑하는 클램핑/해제수단(600)과;
    상기 마늘 수용호퍼(220)내에 수용된 마늘을 좌우로 유동시키는 유동수단(700)과;
    상기 글램핑/해제수단(600)에 의해 클램핑된 마늘이 해제 시점전에 낙하된 경우에 상기 파종기 본체(200)의 바닥으로 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파종기 본체(200)내에 설치되는 마늘 인입방지부재(8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파종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해제수단(600)은,
    상기 회전원판(400)의 가장자리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공(401)을 형성하고, 상기 장공(401)을 통과하여 상기 회전원판(400)의 전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안내판(500)의 표면에 접촉되는 접촉부(601)와,
    상기 접촉부(601)의 일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원판(400)의 후면에 적정 각도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부(602)와,
    상기 회동부(602)의 끝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원판(400)의 외주면을 지나 그 전면으로 돌출되는 돌출부(603)와,
    상기 돌출부(603)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마늘이 담겨지는 접시부(604)와,
    상기 접촉부(601)가 상기 안내판(500)을 벗어난 경우에 상기 접시부(604)와 상기 회전원판(400)의 전면 사이로 마늘이 인입 가능한 공간이 형성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접촉부(601)가 상기 안내판(500)에 접촉된 경우에 상기 접시부(604)와 상기 회전원판(400)의 전면 사이에서 마늘이 클램핑 가능한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회전원판(400)의 후면에 상기 접촉부(601)와 간섭되게 설치되는 탄발스프링(61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파종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수단(700)은, 상기 엔진(12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회전원판(400)을 회전시키는 출력축(121)상에 설치되는 구동캠(701)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힌지(702)를 매개로 절첩 가능함과 아울러 일단부가 상기 파종기 본체(200)의 내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링크절(703)과, 상기 링크절(703)의 일단부에 상기 구동캠(701)과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피동캠(704)과, 상기 링크절(703)의 타단부에 힌지(705)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마늘 수용호퍼(220)내에서 힌지(706)를 매개로 설치되어 좌우로 적정 각도 회동하는 회동부재(707)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파종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수단(700)은 상기 마늘 수용호퍼(220)내에 힌지축(740)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교반 날개부(741a)를 갖는 마늘 교반부재(741)와,
    상기 파종기 본체(200)내의 적정 위치에 고정 설치되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튜브(742)와,
    일단은 상기 엔진(12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회전원판(400)을 회전시키는 출력축(121)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마늘 교반부재(741)의 힌지축(740)에 고정되며, 상기 튜브(742)내로 관통 설치되는 플렉시블한 재질의 와이어(74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파종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늘 인입방지부재(800)는 계단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안내판(50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파종기.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해제수단(600)에 의해 클램핑된 마늘이 일정한 구간에서 보조적으로 클램핑되도록 하는 보조클램핑수단(900)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파종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클램핑수단(900)은,
    상기 클램핑/해제수단(600)의 각각 접시부(604)에 대응되는 상기 회전원판(400)에 전후로 관통된 설치공(420)을 형성하고, 상기 설치공(420)내에 슬라이드공(910a)을 갖는 안내부재(910)를 나사 결합하며, 상기 접시부(604)에 마주하는 보조접시(920a)를 갖는 이동봉(920)을 상기 안내부재(910)의 슬라이드공(910a)에 삽입하며, 상기 보조접시(920a)의 반대편에 해당되는 이동봉(920)의 단부에 고정 보스(930)를 나사 결합하며, 상기 안내부재(910)와 고정 보스(930) 사이의 이동봉(920)에 탄력 스프링(940)을 개재하며, 상기 고정 보스(930)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이동봉(920)이 슬라이드공(910a)내에서 탄력적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파종기 본체(200)의 내측면에 일정 구간의 돌출턱(950)을 형성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파종기.
KR2020010015832U 2001-05-29 2001-05-29 마늘파종기 KR2002442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5832U KR200244221Y1 (ko) 2001-05-29 2001-05-29 마늘파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5832U KR200244221Y1 (ko) 2001-05-29 2001-05-29 마늘파종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4221Y1 true KR200244221Y1 (ko) 2001-10-15

Family

ID=73102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5832U KR200244221Y1 (ko) 2001-05-29 2001-05-29 마늘파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422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10120B2 (en) A mechanical seed meter
US7765943B2 (en) Dual function seed meter
CA1218266A (en) Seed planter
CA2358319C (en) Internal seed knockout assembly
US5784985A (en) Mechanical seed meter
US2003018364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the efficiency of a John Deere vacuum planter
CA2567096A1 (en) Flat type seed meter disk with protruded pick up orifices
KR101082462B1 (ko) 마늘 파종기 및 이를 이용한 파종방법
KR101655517B1 (ko) 점파식 파종기
KR101742233B1 (ko) 파종기
CN109691270A (zh) 水稻多功能旱直精量穴播机
CN105660000B (zh) 机械式双体精量点播器
KR200244221Y1 (ko) 마늘파종기
CN209201496U (zh) 水稻多功能旱直精量穴播机
MXPA04011484A (es) Protector de tubo de semillas.
AU2021211998B2 (en) Seed Firmer Life Extender Mounting Bracket and Fastener
KR100510954B1 (ko) 점파 파종기
CN111386774A (zh) 一种带翻土播种功能的开垦机
BRPI0904828B1 (pt) aperfeiçoamento em dispositivo dosador de sementes para plantio empregado em equipamentos agrícolas para semeadura
AU718863B2 (en) A mechanical seed meter
KR200314592Y1 (ko) 파종기
KR200146996Y1 (ko) 파종기의 파종구 구조
KR200199118Y1 (ko) 마늘파종기
CN108966765A (zh) 一种花卉苗木播种装置
KR101320884B1 (ko) 조파 및 점파 겸용 파종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