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4102U - 파종기용 씨앗 및 비료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파종기용 씨앗 및 비료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4102U
KR20170004102U KR2020160002906U KR20160002906U KR20170004102U KR 20170004102 U KR20170004102 U KR 20170004102U KR 2020160002906 U KR2020160002906 U KR 2020160002906U KR 20160002906 U KR20160002906 U KR 20160002906U KR 20170004102 U KR20170004102 U KR 2017000410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tilizer
seeder
seed
rotating body
receiv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29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재헌
Original Assignee
한재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재헌 filed Critical 한재헌
Priority to KR20201600029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4102U/ko
Publication of KR201700041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410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6Seeders combined with fertilis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49/00Combined machines
    • A01B49/04Combinations of soil-working tools with non-soil-working tools, e.g. planting tools
    • A01B49/06Combinations of soil-working tools with non-soil-working tools, e.g. planting tools for sowing or fertilis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5/00Fertiliser distributors
    • A01C15/001Fertiliser distributors with slowly turning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8Broadcast seeders; Seeders depositing seeds in rows
    • A01C7/12Seeders with feeding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8Broadcast seeders; Seeders depositing seeds in rows
    • A01C7/12Seeders with feeding wheels
    • A01C7/123Housings for feed rollers or wheels
    • A01C7/125Housings for feed rollers or wheels with bottom delivery of the see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w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파종기용 씨앗 및 비료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씨앗 및 비료가 분리되어 수용될 수 있도록 몸통 내부에 분리벽을 설치하여 사용함으로써, 씨앗 및 비료가 동시에 배출되어 파종할 수 있도록 하는 파종기용 씨앗 및 비료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파종기용 씨앗 및 비료 공급장치는 트랙터에 의해 이동하는 파종기(20)에 설치되고, 파종기(20)의 바퀴 회전에 의해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내부에 저장된 씨앗(30) 및 비료(40)가 동시에 배출되도록 하는 공급장치(10)에 있어서, 상기 공급장치(10)는, 내부에 끼움홈(110)이 형성된 몸통(100); 상기 몸통(100)에 형성된 끼움홈(110)에 끼움 고정되고, 상기 몸통(100)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여 씨앗공간부(120) 및 비료공간부(130)가 형성되도록 하는 분리벽(200); 상기 몸통(100) 내부에 형성된 씨앗공간부(120)의 하단에 위치하고, 상기 씨앗공간부(120)에 저장된 씨앗(30)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제1회전체(300); 상기 몸통(100) 내부에 형성된 비료공간부(130)의 하단에 위치하고, 상기 비료공간부(130)에 저장된 비료(40)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제2회전체(400); 상기 몸통(100)의 하단에 삽입되어 상기 제1회전체(300) 및 제2회전체(40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축(500); 및 상기 몸통(100)의 후방에 체결 고정되고, 하단부가 파종기(20)에 체결 고정되며, 상기 몸통(100)을 지지하기 위한 고정대(600);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파종기용 씨앗 및 비료 공급장치{SEEDS AND FERTILIZERS SUPPLY FOR SEEDING MACHINE}
본 고안은 파종기용 씨앗 및 비료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씨앗 및 비료가 분리되어 수용될 수 있도록 몸통 내부에 분리벽을 설치하여 사용함으로써, 씨앗 및 비료가 동시에 배출되어 파종할 수 있도록 하는 파종기용 씨앗 및 비료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씨앗을 파종하는 작업과정을 보면 땅에 비료와 숙성 퇴비를 살포한 후 경운 및 로터리 작업을 거쳐 씨앗을 파종하고 씨앗을 파종한 부분에 복토를 한다. 즉 비료주입작업, 로터리작업, 씨앗 파종작업 및 복토작업을 개별적으로 행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에서 특허등록 제196416호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솎아내기가 필요 없도록 정식 간격으로 직파용 씨앗을 정밀 파종하여 씨앗과 인력을 절감하고 본포의 양분손실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트랙터에 의한 로타리 경운과 동시에 정밀 파종이 완료되는 파종기를 제시하고 있고, 그 구성은 로타리기의 좌우 두 연결관에 견인봉을 연결하여 파종기를 본포에서 주행시키는 기대, 양단의 주행 축을 기대에 장착하여 로타리 경운된 본포의 파종 두둑을 연속하여 매끈하게 정지하는 정지롤, 정지롤에 평행하며 양단의 주행 축을 기대에 지지시켜 파종 후 두둑을 평활면으로 복토하는 복토롤, 두 롤 사이의 기대에 장착파종 골 폭과 골 깊이를 조절하며 줄 씨앗을 본포에 공급하여 파종하게 하는 줄 씨앗 공급장치 및 기대에 설치되어 줄 씨앗 권취 스플을 지지하고 줄 씨앗을 공급장치에 제공하는 스플장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기술에 의해서는 로터리작업, 씨앗 파종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나 비료주입작업을 별도로 하여야 하며 상기 비료주입작업을 전체 본포에 걸쳐 하여야 하므로 씨앗의 파종되지 않는 부분에도 비료주입이 됨에 의해 비경제적인 문제가 있고 또한 별도의 복토작업을 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문헌 1) : 국내등록특허 제10-0468411호(2005년 01월 18일 등록) (문헌 2) : 국내등록특허 제10-0411389호(2003년 12월 03일 등록)
본 고안은 씨앗 및 비료가 분리되어 수용될 수 있도록 몸통 내부에 분리벽을 설치하여 사용함으로써, 씨앗 및 비료가 동시에 배출되어 파종할 수 있도록 하는 파종기용 씨앗 및 비료 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파종기용 씨앗 및 비료 공급장치는 트랙터에 의해 이동하는 파종기(20)에 설치되고, 파종기(20)의 바퀴 회전에 의해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내부에 저장된 씨앗(30) 및 비료(40)가 동시에 배출되도록 하는 공급장치(10)에 있어서, 상기 공급장치(10)는, 내부에 끼움홈(110)이 형성된 몸통(100); 상기 몸통(100)에 형성된 끼움홈(110)에 끼움 고정되고, 상기 몸통(100)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여 씨앗공간부(120) 및 비료공간부(130)가 형성되도록 하는 분리벽(200); 상기 몸통(100) 내부에 형성된 씨앗공간부(120)의 하단에 위치하고, 상기 씨앗공간부(120)에 저장된 씨앗(30)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제1회전체(300); 상기 몸통(100) 내부에 형성된 비료공간부(130)의 하단에 위치하고, 상기 비료공간부(130)에 저장된 비료(40)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제2회전체(400); 상기 몸통(100)의 하단에 삽입되어 상기 제1회전체(300) 및 제2회전체(40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축(500); 및 상기 몸통(100)의 후방에 체결 고정되고, 하단부가 파종기(20)에 체결 고정되며, 상기 몸통(100)을 지지하기 위한 고정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회전체(300) 및 상기 제2회전체(400)는, 상기 구동축(500)에 축 결합되도록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둘레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수용홈(310) 및 제2수용홈(41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수용홈(310)과 상기 제2수용홈(410)은 서로 수평이 되도록 동일선상에 위치하여 상기 제1수용홈(310)에 수용된 씨앗(30)과 상기 제2수용홈(410)에 수용된 비료(40)가 고랑으로 동시에 배출될 수 있다.
상기 구동축(500)은, 파종기(20)에 구비된 구동기어와 맞물리도록 형성되고, 상기 파종기(20)의 이동에 의해 구동기어에서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피동기어(5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파종기용 씨앗 및 비료 공급장치는 씨앗 및 비료가 분리되어 수용될 수 있도록 몸통 내부에 분리벽을 설치하여 사용함으로써, 씨앗 및 비료가 동시에 배출되어 파종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파종기용 씨앗 및 비료 공급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파종기용 씨앗 및 비료 공급장치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파종기용 씨앗 및 비료 공급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파종기용 씨앗 및 비료 공급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파종기용 씨앗 및 비료 공급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파종기용 씨앗 및 비료 공급장치에서 회전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등의 용어는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편의상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 도면상의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는 경우, 실제에 있어서는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부는 하부로 명명될 수 있고, 하부는 상부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파종기용 씨앗 및 비료 공급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파종기용 씨앗 및 비료 공급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파종기용 씨앗 및 비료 공급장치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파종기용 씨앗 및 비료 공급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파종기용 씨앗 및 비료 공급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파종기용 씨앗 및 비료 공급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파종기용 씨앗 및 비료 공급장치에서 회전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파종기용 씨앗 및 비료 공급장치(10)는 트랙터 또는 수동에 의해 이동하는 파종기(20)에 설치되고, 파종기(20)의 바퀴 회전에 의해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내부에 저장된 씨앗(30) 및 비료(40)가 동시에 배출되도록 하는 것으로 몸통(100), 분리벽(200), 제1회전체(300), 제2회전체(400), 구동축(500) 및 고정대(600)를 포함할 수 있다.
몸통(100)은 비료(40) 또는 각종 씨앗(30) 등이 수용될 수 있도록 호퍼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몸통(100)은 내부에 형성된 끼움홈(110)에 분리벽(200)이 끼움 고정되어 씨앗(30)과 비료(40)가 각각 분리되어 저장될 수 있도록 씨앗공간부(120) 및 비료공간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몸통(100)의 중간에 분리벽(200)을 설치하여 분리벽(200)의 일측에는 씨앗(30)이 수용되도록 씨앗공간부(120)가 형성되게 하고, 분리벽(200)의 타측에는 비료(40)가 수용되도록 비료공간부(130)가 형성되게 하여 씨앗(30)과 비료(40)가 동시에 배출되게 한다.
분리벽(200)은 얇은 판 형태로 형성되고, 몸통(100) 내부에 형성된 끼움홈(110)에 탈착 가능하도록 끼움 고정되며, 몸통(100)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고 분리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위와 같은 분리벽(200)을 몸통(100) 내부에 설치하여 사용하게 되면, 몸통(100) 내부에 씨앗(30) 및 비료(40)를 동시에 수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1회전체(300)는 몸통(100) 내부에 형성된 씨앗공간부(120)의 하단에 위치하고, 몸통(100) 내부에 저장된 씨앗(30)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회전체(300)는 구동축(500)에 축 결합되도록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둘레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수용홈(310)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회전체(300)는 구동축(500)의 회전에 의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한편, 제1회전체(300)에 형성된 제1수용홈(310)의 크기는 다양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는데, 예로 들면, 씨앗(30)의 크기에 따라 작업자가 선택적으로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제2회전체(400)는 제1회전체(300)의 일측면에 밀착되고, 몸통(100)의 내부에 형성된 비료공간부(130)의 하단에 위치하며, 몸통(100) 내부에 저장된 비료(40)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회전체(400)는 구동축(500)에 축 결합되도록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둘레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수용홈(410)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회전체(400)는 구동축(500)의 회전에 의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제2회전체(400)에 형성된 제2수용홈(410)의 크기는 다양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는데, 예로 들면, 씨앗(30)의 종류에 따라 적합한 비료가 제공할 수 있도록 씨앗(30)의 종류에 따라 작업자가 선택적으로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제1회전체(300)에 형성된 제1수용홈(310)과 제2회전체(400)에 형성된 제2수용홈(410)은 서로 동일선상에 위치하거나 또는 제1수용홈(310) 및 제2수용홈(410)이 서로 엇갈리도록 형성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로 들어, 제1수용홈(310) 및 제2수용홈(410)이 서로 동일 선상에 위치한 상태에서 사용하게 되면, 작조기에 의해 형성된 고랑에 씨앗(30)과 비료(40)가 동시에 배출되고, 제1수용홈(310) 및 제2수용홈(410)이 서로 엇갈리게 위치한 상태에서 사용하게 되면, 씨앗(30)이 먼저 배출되고 그 뒤로 비료(40)가 배출되어 씨앗(30)과 씨앗(30) 사이에 비료(40)가 위치하도록 한다.
즉, 위와 같은 제1회전체(300)와 제2회전체(400)를 몸통(100) 하단에 설치하여 사용하게 되면, 씨앗(30)이 배출됨과 동시에 비료(40)를 배출하여 파종하는 시간을 최대한 줄일 수 있고, 특히, 제2회전체(400)에 형성된 제2수용홈(410)의 크기에 따라 배출되는 비료(40)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구동축(500)은 몸통(100)의 하단에 삽입되어 제1회전체(300) 및 제2회전체(400)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예로 들면, 몸통(100)의 일측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되어 제1회전체(300) 및 제2회전체(400)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몸통(100)의 타측에 형성된 관통공으로 관통되도록 삽입될 수 있다.
또한, 구동축(500)의 일단에는 파종기(20)에 구비된 구동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는 피동기어(510)가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피동기어(510)는 파종기(20)에 구비된 바퀴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기어에 직접 맞물려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구동축(500)을 회전시킬 수 있다.
고정대(600)는 몸통(100)의 후방에 체결 고정되고, 하단부가 파종기(20)에 체결 고정되며, 몸통(100)을 지지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고정대(600)는 하단에 씨앗(30) 및 비료(40)가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부(61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몸통(100)의 후방 일부를 절개하여 탈착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으로 몸통(100) 내부에 설치된 제1회전체(300) 및 제2회전체(400)의 교체가 쉽고 편리하게 한다.
즉, 몸통(100) 후방에 체결 고정된 고정대(600)를 분리한 후 개방된 부분으로 제1회전체(300) 및 제2회전체(400)를 몸통(100) 내부에 삽입시킨 후 고정대(600)를 체결한다.
한편, 고정대(600)는 파종기(20)에 원터치 방식으로 탈착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공급장치(10)를 파종기(20)에 체결 고정한 상태에서 파종기(20)를 트랙터(미도시)에 연결해 이동을 하게 되면, 파종기(20)에 구비된 바퀴가 회전하게 되고, 바퀴가 회전하게 되면 바퀴와 연동된 구동기어가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구동기어가 회전하게 되면 구동기어와 맞물린 피동기어(510)가 회전하게 되고, 다시 피동기어(510)는 구동축(500)을 회전시키다. 이러한 방법으로 구동축(500)이 회전되면 구동축(500)에 축 결합된 제1회전체(300) 및 제2회전체(400)가 회전하게 되고, 제1회전체(300) 및 제2회전체(400)가 회전하게 되면, 몸통(100) 내부에 저장된 씨앗(30) 및 비료(40)가 제1회전체(300) 및 제2회전체(400)에 의해 외부로 배출된다.
즉, 제1수용홈(310)에 씨앗(30)이 수용되고, 제2수용홈(410)에는 비료(40)가 수용된 상태에서 트랙터가 이동을 하게 되면, 제1회전체(300) 및 제2회전체(400)가 회전하면서 제1수용홈(310) 및 제2수용홈(410)에 수용된 씨앗(30) 및 비료(40)가 배출부(610)를 통해 고랑으로 배출되게 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공급장치
20; 파종기
30; 씨앗
40; 비료
100; 몸통
110; 끼움홈
120; 씨앗공간부
130; 비료공간부
200; 분리벽
300; 제1회전체
310; 제1수용홈
400; 제2회전체
410; 제2수용홈
500; 구동축
510; 피동기어
600; 고정대
610; 배출부

Claims (4)

  1. 트랙터에 의해 이동하는 파종기(20)에 설치되고, 파종기(20)의 바퀴 회전에 의해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내부에 저장된 씨앗(30) 및 비료(40)가 동시에 배출되도록 하는 공급장치(10)에 있어서,
    상기 공급장치(10)는,
    내부에 끼움홈(110)이 형성된 몸통(100);
    상기 몸통(100)에 형성된 끼움홈(110)에 끼움 고정되고, 상기 몸통(100)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여 씨앗공간부(120) 및 비료공간부(130)가 형성되도록 하는 분리벽(200);
    상기 몸통(100) 내부에 형성된 씨앗공간부(120)의 하단에 위치하고, 상기 씨앗공간부(120)에 저장된 씨앗(30)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제1회전체(300);
    상기 몸통(100) 내부에 형성된 비료공간부(130)의 하단에 위치하고, 상기 비료공간부(130)에 저장된 비료(40)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제2회전체(400);
    상기 몸통(100)의 하단에 삽입되어 상기 제1회전체(300) 및 제2회전체(40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축(500); 및
    상기 몸통(100)의 후방에 체결 고정되고, 하단부가 파종기(20)에 체결 고정되며, 상기 몸통(100)을 지지하기 위한 고정대(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기용 씨앗 및 비료 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체(300) 및 상기 제2회전체(400)는,
    상기 구동축(500)에 축 결합되도록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둘레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수용홈(310) 및 제2수용홈(41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기용 씨앗 및 비료 공급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용홈(310)과 상기 제2수용홈(410)은 서로 수평이 되도록 동일선상에 위치하여 상기 제1수용홈(310)에 수용된 씨앗(30)과 상기 제2수용홈(410)에 수용된 비료(40)가 고랑으로 동시에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기용 씨앗 및 비료 공급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500)은,
    파종기(20)에 구비된 구동기어와 맞물리도록 형성되고, 상기 파종기(20)의 이동에 의해 구동기어에서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피동기어(5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기용 씨앗 및 비료 공급장치.
KR2020160002906U 2016-05-27 2016-05-27 파종기용 씨앗 및 비료 공급장치 KR2017000410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906U KR20170004102U (ko) 2016-05-27 2016-05-27 파종기용 씨앗 및 비료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906U KR20170004102U (ko) 2016-05-27 2016-05-27 파종기용 씨앗 및 비료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102U true KR20170004102U (ko) 2017-12-06

Family

ID=61259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2906U KR20170004102U (ko) 2016-05-27 2016-05-27 파종기용 씨앗 및 비료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4102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8584A (ko) 2019-07-15 2021-01-25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정식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1389B1 (ko) 2001-10-30 2003-12-18 박세기 파종, 농약 및 비료 살포하는 다목적장치
KR100468411B1 (ko) 2004-08-03 2005-01-31 이용구 비료 및 종자 주입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1389B1 (ko) 2001-10-30 2003-12-18 박세기 파종, 농약 및 비료 살포하는 다목적장치
KR100468411B1 (ko) 2004-08-03 2005-01-31 이용구 비료 및 종자 주입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8584A (ko) 2019-07-15 2021-01-25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정식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67426A1 (en) Air seed meter with adjustable singulator
US7765943B2 (en) Dual function seed meter
US20160044859A1 (en) Particulate Solid Metering and Mixing System for Rotary Seed Broadcaster Used for Sowing in Agricultural Sowing Machines
CN109168443B (zh) 一种覆盖均匀的小麦撒播机
KR101191465B1 (ko) 파종용 씨앗공급장치
US7174839B2 (en) Seed planting system for multiple types of crops
KR20170004102U (ko) 파종기용 씨앗 및 비료 공급장치
CN111937512B (zh) 一种播种设备
CN102714957A (zh) 育种试验用自动换种播种机
KR101239528B1 (ko) 양파 파종장치
CN110447363A (zh) 一种蔬菜种子撒播装置
KR101883232B1 (ko) 파종기용 땅콩 공급장치
KR101228242B1 (ko) 점파식 파종기
CN212306110U (zh) 输送式肥药与种子精量同穴点播装置
CN211630809U (zh) 一种可旋转施肥的播种机
CN110876293B (zh) 改进的播种盘
CN112020950A (zh) 输送式肥药与种子精量同穴点播装置
CN201919327U (zh) 玉米精量播种机用排种器
KR20090126828A (ko) 파종기 겸용 비료주입기
CN100508729C (zh) 播种器
KR200214872Y1 (ko) 건답직파기
CN203505007U (zh) 一种水稻单粒播种机
CN214338593U (zh) 一种农业播种用播种机
KR100349335B1 (ko) 진공펌프를 이용한 직파용 씨앗 파종기
KR850002022Y1 (ko) 파종기의 배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