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0470Y1 - 옷걸이 - Google Patents

옷걸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0470Y1
KR200190470Y1 KR2019970031444U KR19970031444U KR200190470Y1 KR 200190470 Y1 KR200190470 Y1 KR 200190470Y1 KR 2019970031444 U KR2019970031444 U KR 2019970031444U KR 19970031444 U KR19970031444 U KR 19970031444U KR 200190470 Y1 KR200190470 Y1 KR 2001904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er
clothes
hang
main body
ha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14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8214U (ko
Inventor
이재훤
Original Assignee
이재훤
이재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훤, 이재선 filed Critical 이재훤
Priority to KR20199700314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0470Y1/ko
Priority to PCT/KR1998/000355 priority patent/WO1999023922A1/en
Priority to US09/530,841 priority patent/US6244478B1/en
Priority to AU10549/99A priority patent/AU1054999A/en
Publication of KR199900182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821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04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04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48Hangers with clamps or the like, e.g. for trousers or skirts
    • A47G25/483Hangers with clamps or the like, e.g. for trousers or skirts with pivoting clamps or clips having axis of rotation parallel with the hanger arms
    • A47G25/485Hangers with clamps or the like, e.g. for trousers or skirts with pivoting clamps or clips having axis of rotation parallel with the hanger arms with a plurality of clips integral with, or supported by, the trouser-supporting ba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16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for complete outfits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의복(신사복, 숙녀복 등)의 상의나 하의를 함께 걸 수 있는 옷걸이 본체와 하의걸이가 이격되는 옷걸이에 관한 것으로서, 외출시 옷을 입으려 옷걸이에서 상·하의를 꺼내거나 혹은 외출 후 집에 돌아와 상·하의를 벗어 옷걸이에 걸때에, 옷을 입는 순서에 따라 옷걸이에서 그대로 꺼내어 입으며, 옷을 벗는 순서에 따라 그대로 옷걸이에 걸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하의걸이가 탄지연결부재의 복귀탄성력에 의하여 옷걸이 본체로부터 자동적으로 돌출되어 직각을 이루며 이격되어 있어 하의를 걸기에 최적한 상태를 이루도록 하였고, 일단 하의걸이에 하의를 걸어 놓으면 하의의 자체중량에 의하여 하의걸이가 저절로 옷걸이 본체에 밀착되도록 하여 옷걸이 부피를 최소화 시켰으며, 옷을 걸지 않는 등 옷걸이 사용을 하지 않을 때에는 부피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하의걸이를 옷걸이 본체에 고정시킬 수 있는 매우 실용적인 뛰어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옷걸이
본 고안은 각종의복(신사복, 숙녀복 등) 상의와 하의를 함께 걸 수 있는 옷걸이에 관한 것으로서, 외출시 옷을 입으려 옷걸이에서 상·하의를 꺼내거나 혹은 외출 후 집에 돌아와 상·하의를 벗어 옷걸이에 걸때에, 옷을 입는 순서에 따라 옷걸이에서 그대로 꺼내어 입으며, 옷을 벗는 순서에 따라 그대로 옷걸이에 걸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하의걸이(16)가 옷걸이 본체로부터 자동적으로 돌출되어 직각을 이루며 이격되어 있어 상·하의의 상호간섭을 주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용하기가 매우 편리한 옷걸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일본 실용신안출원 공개 평2-143076 호로 알려진 바 있는 옷걸이는 의복의 상의가 걸려지는 주옷걸이의 중앙 아래쪽에 의복의 하의가 걸려지는 부옷걸이를 요곡아암(橈曲arm)으로 연결한 것으로서 이 요곡아암을 이용하여 부옷걸이를 주옷걸이와 동일 직선상으로부터 벗어나도록 함으로써 상의와 하의를 걸거나 벗겨낼 때 어느 정도 상호간섭을 배제시킬 수는 있으나 그에 따르는 큰 불편함이 상존 하였는 바, 주옷걸이에 상의를 걸고 요곡아암으로 돌출되어 있는 부옷걸이에 하의를 건후에는 부피를 줄이기 위하여 요곡아암을 동일직선상태로 펴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외출 후 다시 상호간섭을 배제하며 하의를 걸기 위해서는 동일직선상태로 펴져있는 요곡아암을 다시 돌출상태로 펴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매 사용시마다 따랐으며 또한 요곡아암이 편심되어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지는 등 여러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일본국공개실용신안공보 소53-l1373호의 옷걸이는 행거아암과, 개각형 축수와, 정상부가 요홈형상으로 된 바지걸이와, 스프링 걸이환과, 코일용수철로 구성된 상의걸이와 하의걸이가 이격되는 옷걸이로 구성되어 있으나, 객각형 축수가 브라켓으로 형성되어 돌출되는 부피가 크며, 객각형 축수를 축으로 일체형의 하의 옷걸이가 회전하므로 바지에 자국이 남을 수 있는 문제점 있었고, 하나의 옷걸이에 악세서리 등을 걸 수 있는 공간이 없으며 특히, 바지를 접어서 걸어야 하는 문제점과 치마 등을 걸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자는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제반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 검토한 결과, 의복의 상의와 하의가 각각 걸려지는 옷걸이 본체와 하의걸이를 상호간섭을 하지 않도록 연결함에 있어서 하의걸이가 탄지연결부재의 복귀탄성력에 의해서 옷걸이 본체로부터 자동적으로 돌출되어 직각을 이루며 이격되어 있고, 일단 하의를 걸어 놓으면 하의의 자체중량에 의하여 하의걸이가 저절로 옷걸이 본체에 밀착되도록 하여 부피를 최소화시키도록 하고, 사용을 하지 않을 시에는 부피를 최소화하기 위한 편리한 잠금고리를 사용하며, 하의걸이가 편심되지 않도록 하면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을 것임을 알게 되어 본 고안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하의걸이가 탄성코일 스프링으로 되어 있는 탄지연결부재의 복귀탄성력에 의해서 옷걸이 본체로부터 자동적으로 돌출되어 직각을 이루며 하의 걸이를 회전하도록 구성하고 바지를 펴서 걸 수 있도록 최적한 상태를 이루어서 사용하기에 편리한 옷걸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옷걸이의 잠금상태를 보인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서 보인 하의걸이가 옷걸이 본체로부터 돌출되어 이격을 이룬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옷걸이의 사용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옷걸이 본체 16 : 하의걸이
18 : 탄지연결부재 30, 32 : 하의걸이 회전 힌지(hinge)
44, 46 : 잠금고리 48, 50 : 걸쇠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옷걸이의 잠금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제2도는 제1도에서 보인 하의걸이가 옷걸이 본체로부터 돌출되어 이격을 이룬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옷걸이의 사용상태도이다.
먼저, 제1도와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행거아암과, 개각형 축수와, 정상부가 요홈형상으로 된 바지걸이와, 스프링 걸이환과, 코일용수철로 구성된 상의걸이와 하의걸이가 이격되는 옷걸이에 있어서, 스토퍼(20)의 양쪽에 있는 코일부(22)(24)로부터 연장된 브릿지(26)(28)에 하의걸이 회전힌지(30)(32)가 형성된 탄지연결부재(18)와; 상기 탄지연결부재에 옷걸이 본체(12)와 하의걸이(16)가 연결되어 있고, 바지를 접지 않고 집게에 물어 걸거나, 여성의 치마를 집게에 물어 걸도록 상부에 집게(14)를 장착한 “”형 하의걸이(16)와; 상기 옷걸이 본체에 장착된 걸쇠(48,50)와 하의걸이에 장착된 잠금고리(44,4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음, 걸고리(10)를 가진 옷걸이 본체(12)와, 집게(14)를 가진 하의걸이(16)를 코일스프링과 같은 탄지연결부재(18)로 연결한 것이다.
상기 탄지연결부재(18)는 스토퍼(20)의 양쪽에 코일부(22)(24)가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코일부(22)(24)로부터 연장된 브릿지(26)(28)를 가진 통상의 코일스프링에 있어서, 브릿지(26)(28)의 자유단부쪽에 각각 하의걸이 회전힌지(30)(32)를 형성시켜서 된 것이다.
상기 탄지연결부재(18)의 코일부(22)(24)에는 피버트(34)가 끼워져있고, 이 피버트(34)의 양쪽끝부분은 옷걸이 본체(12)에 형성된 돌기(36)(38)에 끼워져 있어서 코일부(22)(24)사이에 있는 스토퍼(20)가 옷걸이 본체(12)에 고정되어 있어서 브릿지(22)(24)가 탄성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하의걸이(16)는 상기 탄지연결부재(18)의 브릿지(22)(24)에 형성된 하의걸이 회전힌지(30)(32)속에 끼워져 있고, 하의걸이(16)에는 단부에 포올(40)(42)을 가진 잠금고리(44)(46)가 고정되어 있으며, 옷걸이 본체(12)에는 상기 하의걸이(16)의 잠금고리(44)(46)와 대응하는 걸쇠(48)(50)가 고정되어 있어서 제1도에서와 같이 하의걸이(16)를 옷걸이 본체(12)와 밀착되게 잠그어 주거나 제2도에서와 같이 탄지연결부재(18)의 복귀탄성력으로 하의걸이(16)가 옷걸이 본체(12)로부터 자동적으로 돌출되어 직각을 이루며 이격되어 있어 하의걸기에 가장 적합한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하의걸이(16)에 하의를 편리하게 걸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집게(14)를 사용하거나 “”형에 하의를 반으로 접어 걸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본 고안은 의복의 상의(A)가 걸려지는 옷걸이 본체(12)와, 하의(B)가 걸려지는 하의걸이(16)를 스토퍼(20)의 양쪽에 있는 탄성코일부(22)(24)로부터 연장된 브릿지(26)(28)의 자유단부에 형성된 하의걸이 회전힌지(30)(32)를 가진 탄지 연결부재(18)로 연결시켜서 된 것이기 때문에 제1도에서와 같이 하의걸이(16)가 옷걸이 본체(12)에 부피가 작게 밀착된 상태에서 제2도에서와 같이 하의걸이(16)가 옷걸이 본체(12)로부터 자동적으로 돌출되어 직각을 이루며 이격되어 하의(B)를 걸기에 가장 적합하도록 형성하였다.
제3도에서와 같이 상의(A)를 옷걸이 본체(12)에 걸어놓은 상태에서도 하의(B)를 하의걸이(16)에 상호 간섭함이 없이 매우 편리하게 걸 수 있도록 하며, 일단 하의걸이(16)에 하의(B)를 걸어 놓게 되면 하의 자체중량에 의하여 하의걸이(16)가 저절로 옷걸이 본체(12)에 밀착되어 부피가 최소화되고, 역으로 하의걸이(16)로부터 하의를 벗겨내고 이어서 옷걸이 본체(12)로부터 상의(A)를 벗겨내는 것도 상호 간섭함이 없이 입는 순서에 따라 그대로 꺼내어 입을 수 있어 매우 편리하며, 옷걸이에 옷을 걸지 않는 등 옷걸이 사용을 하지 않을 때에는 옷걸이 부피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하의걸이를 옷걸이 본체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등의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바지를 접지 않고 집게에 물어 걸거나, 여성의 치마를 집게에 물어 걸기에 매우 편한 구조로 형성되며 특히 집게가 상부에 형성되어 넥타이나 기타 스카프 등을 하의걸이에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실용적면에서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한, 많은 량의 옷걸이는 평소에 보관상의 어려움이 뒤따르는 문제점이 있고 그러한 문제점을 극복하여 사용하지 않을 시 장금고리와 걸쇠를 구성하여 옷걸이의 부피를 최소화한 뛰어난 효과가 있으므로 생활용품 산업상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행거아암과, 개각형 축수와, 정상부가 요홈형상으로 된 바지걸이와, 스프링 걸이환과, 코일용수철로 구성된 상의걸이와 하의걸이가 이격되는 옷걸이에 있어서, 스토퍼(20)의 양쪽에 있는 코일부(22)(24)로부터 연장된 브릿지(26)(28)에 하의걸이 회전힌지(30)(32)가 형성된 탄지연결부재(18)와; 상부에 집게(14)를 장착한 “”형 하의걸이(16)와; 상기 하의걸이(16)가 장착된 잠금고리(44,46)와 옷걸이 본체(12)에 장착된 걸쇠(48,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KR2019970031444U 1997-11-08 1997-11-08 옷걸이 KR2001904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1444U KR200190470Y1 (ko) 1997-11-08 1997-11-08 옷걸이
PCT/KR1998/000355 WO1999023922A1 (en) 1997-11-08 1998-11-06 Clothes hanger
US09/530,841 US6244478B1 (en) 1997-11-08 1998-11-06 Clothes hanger
AU10549/99A AU1054999A (en) 1997-11-08 1998-11-06 Clothes hang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1444U KR200190470Y1 (ko) 1997-11-08 1997-11-08 옷걸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8214U KR19990018214U (ko) 1999-06-05
KR200190470Y1 true KR200190470Y1 (ko) 2000-09-01

Family

ID=19513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1444U KR200190470Y1 (ko) 1997-11-08 1997-11-08 옷걸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244478B1 (ko)
KR (1) KR200190470Y1 (ko)
AU (1) AU1054999A (ko)
WO (1) WO199902392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3612A (ko) 2014-12-17 2016-06-27 이동헌 다용도 옷걸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32603B2 (en) * 2005-03-31 2010-11-16 Stanley Gouldson Two piece design for coordinate loop hanger
US20080017677A1 (en) * 2006-07-21 2008-01-24 Hondroulis Sandra L Hanger
US11317747B2 (en) * 2019-08-14 2022-05-03 B&G International Products Ltd. One-piece display hanger for slide style shoes
JP1749899S (ja) * 2021-05-21 2023-08-02 衣服用除湿脱臭及びしわ除去機の本体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1115A (en) * 1909-05-08 1909-11-23 Arthur A Vanderford Combination garment-hanger.
US980219A (en) * 1910-03-05 1911-01-03 Harry N Drucker Garment-hanger.
US989587A (en) * 1910-11-17 1911-04-18 Fredrick Edlund Garment-hanger.
US996504A (en) * 1910-12-14 1911-06-27 Henry Mixa Garment-hanger.
GB160532A (en) * 1919-12-19 1921-03-21 Gustaf Adolph Alfonso Nystrom Improved hanger for clothing and the like
US1896771A (en) * 1931-08-13 1933-02-07 Robert A Dorrill Garment hanger
US2634032A (en) * 1949-04-27 1953-04-07 Bartlett Robert Dudley Hanger for wearing apparel
US2822967A (en) * 1954-08-02 1958-02-11 Spitz Henry Garment supporting device
US3651999A (en) * 1970-06-05 1972-03-28 Emanuel Richard Fiocca Garment hanger for suits
US5038979A (en) * 1990-03-07 1991-08-13 Traylor Gary W Garment hanger with spaced supports for independently storing and removing multiple garment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3612A (ko) 2014-12-17 2016-06-27 이동헌 다용도 옷걸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1054999A (en) 1999-05-31
WO1999023922A1 (en) 1999-05-20
US6244478B1 (en) 2001-06-12
KR19990018214U (ko) 1999-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45098A (en) Foldable and telescopic garment hanger
US5649652A (en) Clothes hanger with storage hook
KR200190470Y1 (ko) 옷걸이
US4487343A (en) Garment hanger
US3445045A (en) Garment hanger
JPH0336314Y2 (ko)
JPH0421446Y2 (ko)
JPS5830536Y2 (ja) 衣類ハンガ−
JPS6364283U (ko)
JP3065880U (ja) 立体ハンガ―
JPH0453746Y2 (ko)
KR960006328Y1 (ko) 옷걸이
CN219813776U (zh) 一种儿童折叠衣架
JPH071868U (ja) ハンガー
CN2158666Y (zh) 可调式多挂位衣架
JP2591282Y2 (ja) 衣服用ハンガー
JPH0561Y2 (ko)
JPS61500156A (ja) 挾み装置、特に洗濯挾み
JPH0349670Y2 (ko)
JPH083319Y2 (ja) 衣服吊下げ用のハンガー
KR200260263Y1 (ko) 여성용 의류
JP3031880U (ja) 下半身被服の止め具
JPH0626796U (ja) ハンガー
JP4361631B2 (ja) 携帯用ハンガー
JPH0736851U (ja) ハンガ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