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9891Y1 - 수중 분만 시스템 - Google Patents

수중 분만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9891Y1
KR200189891Y1 KR2020000004413U KR20000004413U KR200189891Y1 KR 200189891 Y1 KR200189891 Y1 KR 200189891Y1 KR 2020000004413 U KR2020000004413 U KR 2020000004413U KR 20000004413 U KR20000004413 U KR 20000004413U KR 200189891 Y1 KR200189891 Y1 KR 2001898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water
delivery
supply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44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종수
구남서
Original Assignee
한종수
구남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종수, 구남서 filed Critical 한종수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98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989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5/00Operating chairs; Dental chair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ork stands
    • A61G15/005Chairs specially adapted for gynaecological purposes, e.g. obstetrical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02Baths
    • A47K3/022Bath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e.g. for washing the feet, for bathing in sitting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42Gynaecological or obstetrical instruments or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095Arrangements for varying the temperature of the liqui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egnancy & Childbirth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이 고안은 수중 분만 중에 발생되는 적출물이 제거될 수 있게 하고 항상 적정한 수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가장 이상적인 분만 조건이 충족되고 위생적인 분만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수중 분만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임신부가 앉을 수 있는 소정의 면적을 가지며 분만에 필요한 소정량의 온수가 채워지는 분만실(11)과, 상기 분만실(11)에 온수(W)를 공급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한 온수출구(12) 및 상기 온수출구(12)와 연장된 온수배관(13)을 구비하고, 상기 분만실(11)의 온수(W)를 포함하여 적출물(S)을 배출하기 위해 적어도 2개 이상의 배출구(14)를 분만실(11) 중앙부와 근접된 위치에 가지며, 상기 배출구(14)를 통해 배수되도록 하기 위한 배수배관(15)과, 상기 배수배관(15) 중간에 설치되고 강제적으로 배수되도록 하기 위한 배수펌프(16) 및 이동을 위한 캐스터(28)를 갖는 분만욕조(10)와; 상기 분만욕조(10)에 온수(W)를 공급하기 위한 수조(11)를 가지며, 상기 수조(11)에 물(Wa)을 공급하기 위한 유입관(22)과, 상기 유입관(22)에 설치되어 정수를 하기 위한 정수필터(23)와, 수조(11) 내부에 유입된 물(Wa)을 가열하기 위한 전기히터(24)와, 상기 전기히터(24)에 의해 가열되는 물(Wa)의 수온을 감지하여 신호를 보내는 수온감지센서(25)와, 상기 수조(11)의 물(Wa)를 분만욕조(10)로 공급하기 위해 온수배관(13)과 연결되는 공급배관(26) 및 상기 공급배관(26) 사이에 설치되는 공급펌프(27)와, 이동을 위한 캐스터(28)를 갖는 온수탱크(20); 및 상기 온수탱크(20)의 수온감지센서(25)의 신호를 인가 받아 소정의 온수 온도를 유지하도록 전기히터(24)를 제어하며, 분만실(11)의 온수(W) 공급과 배수를 제어하기 위해 공급펌프(27) 및 배수펌프(16)의 운전을 제어하는 콘트롤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수중 분만 시스템{System for childbirth in water}
본 고안은 물 속에서 분만을 할 수 있게 하는 수중 분만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분만 중에 발생되는 적출물이 제거될 수 있게 하고 항상 적정한 수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가장 이상적인 분만 조건이 충족되고 위생적인 분만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수중 분만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새로운 분만 방식으로는 수중 분만 방식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수중분만은 출산부에게 안정적이며 수월하게 출산할 수 있게 하며 출산 휴유증 완화에도 바람직한 분만 방식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수중 분만을 위해서 보통 욕조를 이용한다. 즉, 욕조에 적정한 온도상태로 덥혀진 미온수로 채워지게 하고 그 미온수 속에서 분만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수중 분만에 사용되는 욕조는 통상적인 욕조를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통상적인 욕조는 물을 수작업으로 채워 넣어야 하므로 불편한 문제가 있다.
또한, 수중 분만 중에는 물을 갈아 넣을 수 없다. 그러므로 출산 중에 발생되는 출산 분비물이나 적출물이 물 속에 그대로 방치된 상태에서 출산하게 된다.
따라서, 출산된 아기는 적출물 등이 섞여져 있는 상태의 위생적이지 못한 물 속에서 분만되는 상태가 되고, 그로 인해 미처 세균에 대해 대항 할 면역력을 갖지 못한 아기에게는 이롭지 못한 분만 조건 상태에서 분만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출산 전에 욕조에 들어가 있게 되는데 가령 진통시간이 오래 걸리는 경우 욕조내의 미온수는 점차 식어서 차거운 물이 되므로 이상적인 분만 조건에 적합한 수온을 유지할 수 없는 문제점도 있다.
본 고안은 이미 서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위생적이고 이상적인 분만 조건 상태에서 출산 할 수 있게 하는 수중 분만 시스템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고 인체에 유용한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수중 분만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임신부가 앉을 수 있는 소정의 면적을 가지며 분만에 필요한 소정량의 온수가 채워지는 분만실과, 상기 분만실에 온수를 공급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한 온수출구 및 상기 온수출구와 연장된 온수배관을 구비하고, 상기 분만실의 온수를 포함하여 적출물을 배출하기 위해 적어도 2개 이상의 배출구를 분만실 중앙부와 근접된 위치에 가지며,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수되도록 하기 위한 배수배관과, 상기 배수배관 중간에 설치되고 강제적으로 배수되도록 하기 위한 배수펌프 및 이동을 위한 캐스터를 갖는 분만욕조와; 상기 분만욕조에 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수조를 가지며, 상기 수조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유입관과, 상기 유입관에 설치되고 정수를 하기 위한 정수필터와, 상기 수조 내부에 유입된 물을 가열하기 위한 전기히터와, 상기 전기히터에 의해 가열되는 온수의 수온을 감지하여 신호를 보내는 수온감지센서와, 상기 수조의 온수를 분만욕조로 공급하기 위해 온수배관과 연결되는 공급배관 및 상기 공급배관 사이에 설치되는 공급펌프와, 이동을 위한 캐스터를 갖는 온수탱크와; 상기 온수탱크의 수온감지센서의 신호를 인가 받아 소정의 온수 온도를 유지하도록 전기히터를 제어하며, 분만실의 온수 공급량과 배수량을 제어하기 위해 공급펌프 및 배수펌프의 운전을 제어하는 콘트롤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만실을 형성하는 바디가 바이오 세라믹소재와 혼합된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온수탱크 상부에 콘트롤부가 탑재되도록 구성함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만욕조와 온수탱크 및 콘트롤부 외에 오디오시스템을 더 갖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수중 분만 시스템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수중 분만 시스템의 요부 단면 구성도,
도 3은 도 2의 Y - Y'선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수중 분만 시스템의 배수 작용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분만욕조 11 : 분만실
12 : 온수출구 13 : 온수배관
14 : 배출구 15 : 배수펌프
17 : 정화기 18 : 캐스터
20 : 온수탱크 21 : 수조
22 : 유입관 23 : 정수필터
24 : 전기히터 25 : 수온감지센서
26 : 공급배관 27 : 공급펌프
28 : 캐스터 30 : 콘트롤부
40 : 오디오시스템
본 고안을 첨부된 바람직한 실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 시스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그 종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크게 구분하여 분만욕조(10)와, 온수탱크(20)와, 콘트롤부(30) 및 오디오시스템(40)으로 구성되어 있다.
분만욕조(10)는 임신부가 앉을 수 있는 소정의 면적을 가지며 분만에 필요한 소정량의 온수가 채워지는 분만실(11)을 구비하게 되는데, 상기 분만실(11)은 바이오 세라믹이 첨가된 인조대리석 및 에프알피(FRP)소재, 또는 오닉스나 아크릴과 같은 소재에 의해서 만들어지는 바디(11a)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바디(11a)에 의해서 형성되는 분만실(11)은 그 형태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 형태는 물론이거니와 원형, 또는 정사각 형태 및 장방형이거나 코너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삼각형태 등 여러 가지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분만 욕조(10)는 분만실(11)에 온수를 공급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한 온수출구(12) 및 상기 온수출구(12)와 연장된 온수배관(13)이 일측 내부에 구비한다.
그리고 분만실(11)에 공급된 온수(W)를 포함하여 분만시 발생되는 적출물(S)을 신속히 배출하기 위해 적어도 2개 이상의 배출구(14)를 분만실(11) 중앙부와 근접된 양측 위치에 갖도록 한다.
또한, 배출구(14)를 통해 배수되도록 하기 위한 배수배관(15)과, 상기 배수배관(15) 중간에 설치되고 강제적으로 배수되도록 하기 위한 배수펌프(16)를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배수펌프(16)에 의해 배수되는 물은 정화기(17)에 의해서 정수된 것이 배수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분만욕조(10)는 그 전체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저부에 캐스터(18)를 구비하도록 되어 있다.
온수탱크(20)는 분만욕조(10)에 온수(W)를 공급하기 위한 수조(21)를 갖는다.
또한, 수조(21)에 물(Wa)을 공급하기 위한 유입관(22)을 구비하고, 상기 유입관(22)을 통해 유입되는 물(Wa)을 정수되도록 하기 위한 정수필터(23)를 갖는다.
그리고 수조(21) 내부에 유입된 물(Wa)을 가열하기 위한 전기히터(24)가 설치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전기히터(24)는 다수개가 수조(21) 바닥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전기히터(24)에 의해 가열되는 물(Wa)의 온도를 감지하여 콘트롤부(30)에 신호를 보내는 수온감지센서(25)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수조(21)의 물(온수)(Wa)을 분만욕조(10)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배관(26) 및 상기 공급배관(26)에 설치되는 공급펌프(27)를 구비한다.
또한, 온수탱크(20)는 수위를 육안으로 식별하기 위한 수면계(29a) 및 수온을 파악하기 위한 온도계(29b)를 구비한다.
또한, 온수탱크(20)는 이동을 위한 캐스터(28)를 저부에 구비하도록 되어 있다.
콘트롤부(30)는 온수탱크(20)의 수온감지센서(25)의 신호를 인가 받아 소정의 물(온수)(Wa)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전기히터(24)를 제어하게 되며, 분만실(11)의 온수(W) 공급량과 배수량을 제어하기 위해서 공급펌프(27) 및 배수펌프(16)의 운전을 제어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분만욕조(10)와 온수탱크(20)와 콘트롤부(30) 이외에 오디오시스템(40)을 구비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온수탱크(20) 상부에 콘트롤부(30)가 탑재되도록 구성하거나 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수탱크(20) 위에 오디오시스템(40)이 탑재되고 그 위에는 콘트롤부(300가 탑재되도록 하여 사용 및 조작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온수탱크(20)의 수조(21) 내부에 물(Wa)이 항상 일정한 양이 유지되도록 유입관(22)을 통해 공급된다. 이때 공급되는 물(Wa)은 정수필터(23)에 의해서 정수된다. 그러므로 분만욕조(10)로 공급되는 온수(W)는 깨끗한 것이 공급되므로 분만되는 아기에게나 산모에게 나쁜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온수탱크(20)의 수조(21)로 공급된 물(Wa)은 전기히터(24)에 의해서 일정한 온도로 가열되어 온수가 된다. 이때 온수온도는 체온과 비등한 37.5℃가 좋다. 그리고 이러한 온수온도는 콘트롤부(30)에서 사전에 입력되어 이 온수온도 이상이 되면 전기히터(24)가 정지 운전되고 그 이하가 되면 가동되도록 콘트롤부(30)가 제어하게 된다. 따라서, 수조(21)내의 물(Wa)은 항상 37.5℃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수조(21)내의 물(Wa) 온도는 수온감지센서(25)에 의해서 항상 감지되고, 그 감지된 온도 신호는 콘트롤부(30)로 인가됨으로써 사전에 설정된 온수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전기히터(24)를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콘트롤부(30)는 산모가 분만실(11)에 들어가기 전에 온수탱크(20)의 물(온수)(Wa)을 공급시키도록 한다. 이때는 콘트롤부(30)가 공급펌프(27)를 동작시키며, 분만실(11)에 약 1/2정도 온수(W)가 채워지게 되면 콘트롤부(30)가 공급펌프(27)를 자동으로 정지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산모가 출산하는 동안 콘트롤부(30)는 공급펌프(27) 및 배수펌프(16)를 정기적, 또는 간헐적으로 동작시키거나 정지시켜 온수 공급과 배수가 되도록 한다. 그리고 이러한 것은 콘트롤부(30)의 조작 및 사전에 입력시킨 데이터에 의해서 진행된다.
즉, 산모가 출산하기 전에는 분만실(11)에 담겨 있는 온수(W)가 식어서 수온이 내려가게 된다. 따라서 온수(W)가 식는 정도 및 시간을 사전에 콘트롤부(30)에 입력시켜 놓게 된다. 가령, 온수(W) 온도가 산모가 차갑게 느끼는 온도 이하로 내려가는 상태를 시간으로 환산하여 이것을 콘트롤부(30)에 입력 시켜 놓게 된다.
따라서, 입력된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콘트롤부(30)는 배수펌프(16)와 공급펌프(27)를 동작시키게 됨으로써 배출구(14)로는 차거운 물이 배수되는 동시에 온수출구(12)로는 더운 물이 유입되게 된다. 그러므로 출산 과정에 항상 적정한 온도의 온수(W)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상적인 상태의 분만 조건을 갖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온수(W) 교환이 이루어지는 것은 일정한 간격으로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분만시간이 오래 소요되더라도 이상적인 온수(W) 상태를 갖게 된다.
또한, 분만시 발생되는 적출물(S)이 분만실(11)내에 그대로 있게 되면 출산아에게 나쁜 영향을 줄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은 분만 중에도 온수(W)가 배출되므로 출산아에게 나쁜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특히, 도 4를 참조하면 분만시 발생되는 적출물(S)은 분만실(11) 중앙부에 모여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산모는 수중 분만시에 앉아서 출산하게 되므로 분만실(11) 중앙부분에 적출물(S)이 주로 모여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적출물(S)은 분만실(11) 중앙부 양측에 있는 배출구(14)를 통해서 배수되므로 신속한 배수가 되고, 그로 인해 출산아에게 커다란 나쁜 영향을 주지 않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오디오시스템(40)을 구비함으로써 출산시에 산모에게 음악을 들려 줌으로써 자연스로운 분만을 유도하게 하고 좋은 영향을 줄 수 있도록 하게 한다.
또한, 중량이 무거운 분만욕조(10)와 온수탱크(20)는 캐스터(18)에 의해서 이동이 가능하므로 수월한 위치 이동이 가능하다.
그리고 산모와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분만실(11)을 형성하는 바디(11a)가 인체에 유용한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바이오세라믹이 첨가된 것이 사용됨으로써 산모에게 유용한 작용을 한다.
이상의 설명에 따르면, 본 고안은 위생적이고 이상적인 분만 조건 상태에서 출산 할 수 있게 하며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고 인체에 유용한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수중 분만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임신부가 앉을 수 있는 소정의 면적을 가지며 분만에 필요한 소정량의 온수가 채워지는 분만실(11)과, 상기 분만실(11)에 온수(W)를 공급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한 온수출구(12) 및 상기 온수출구(12)와 연장된 온수배관(13)을 구비하고, 상기 분만실(11)의 온수(W)를 포함하여 적출물(S)을 배출하기 위해 적어도 2개 이상의 배출구(14)를 분만실(11) 중앙부와 근접된 위치에 가지며, 상기 배출구(14)를 통해 배수되도록 하기 위한 배수배관(15)과, 상기 배수배관(15) 중간에 설치되고 강제적으로 배수되도록 하기 위한 배수펌프(16) 및 이동을 위한 캐스터(28)를 갖는 분만욕조(10)와;
    상기 분만욕조(10)에 온수(W)를 공급하기 위한 수조(11)를 가지며, 상기 수조(11)에 물(Wa)을 공급하기 위한 유입관(22)과, 상기 유입관(22)에 설치되어 정수를 하기 위한 정수필터(23)와, 수조(11) 내부에 유입된 물(Wa)을 가열하기 위한 전기히터(24)와, 상기 전기히터(24)에 의해 가열되는 물(Wa)의 수온을 감지하여 신호를 보내는 수온감지센서(25)와, 상기 수조(11)의 물(Wa)를 분만욕조(10)로 공급하기 위해 온수배관(13)과 연결되는 공급배관(26) 및 상기 공급배관(26) 사이에 설치되는 공급펌프(27)와, 이동을 위한 캐스터(28)를 갖는 온수탱크(20); 및
    상기 온수탱크(20)의 수온감지센서(25)의 신호를 인가 받아 소정의 온수 온도를 유지하도록 전기히터(24)를 제어하며, 분만실(11)의 온수(W) 공급과 배수를 제어하기 위해 공급펌프(27) 및 배수펌프(16)의 운전을 제어하는 콘트롤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분만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만실(11)을 형성하는 바디(11a)가 바이오 세라믹 소재와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분만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탱크(20) 상부에 콘트롤부(30)가 탑재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분만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만욕조(10)와 온수탱크(20) 및 콘트롤부(30) 외에 오디오시스템(40)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분만 시스템.
KR2020000004413U 2000-02-18 2000-02-18 수중 분만 시스템 KR200189891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7698A KR20010083683A (ko) 2000-02-18 2000-02-18 수중 분만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7698A Division KR20010083683A (ko) 2000-02-18 2000-02-18 수중 분만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9891Y1 true KR200189891Y1 (ko) 2000-07-15

Family

ID=1964756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7698A KR20010083683A (ko) 2000-02-18 2000-02-18 수중 분만 시스템
KR2020000004413U KR200189891Y1 (ko) 2000-02-18 2000-02-18 수중 분만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7698A KR20010083683A (ko) 2000-02-18 2000-02-18 수중 분만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008368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0762A (ko) * 2000-03-15 2000-06-05 이대승 수중분만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97838A (en) * 1978-10-30 1980-04-15 Shill Wilson T Birthing bath
KR890004384Y1 (ko) * 1985-07-01 1989-06-30 유순재 절첩변형이 가능한 경사침대
KR920021106A (ko) * 1991-05-16 1992-12-18 이헌조 수위 및 수온 자동조절 욕조장치
KR950000929B1 (ko) * 1991-12-13 1995-02-03 정태시 욕조
JPH0686736A (ja) * 1992-09-08 1994-03-29 Janome Sewing Mach Co Ltd 浴水保温装置における制御装置
JPH09285414A (ja) * 1996-04-23 1997-11-04 Janome Sewing Mach Co Ltd 浴槽湯の清浄化装置
KR0135994Y1 (ko) * 1996-07-02 1999-03-30 류인식 입욕용 욕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3683A (ko) 2001-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162915U (zh) 一种移动式洗浴装置
US4859345A (en) Bath water heater and circulator-purifier apparatus
KR200189891Y1 (ko) 수중 분만 시스템
EP1138305A1 (en) Apparatus for carrying out a waterbirth
CN108852095A (zh) 一种关于足浴桶的水循环系统
KR100497627B1 (ko) 좌훈욕기
KR200171762Y1 (ko) 좌훈욕기
CN201115716Y (zh) 保健浴缸
CN205559974U (zh) 一种恒温且易清除水垢的水龙头
CN2174141Y (zh) 足部按摩温控浴盆
CN2096383U (zh) 多功能保健洗澡机
CN209053181U (zh) 智能水池
CN115120124B (zh) 一种卫生浴缸
CN214484376U (zh) 马桶盖及马桶
CN203943847U (zh) 一种移动式洗澡机
US1636401A (en) Apparatus for giving mud baths
JPH10300235A (ja) 循環温水浄化装置
CN87200874U (zh) 活动式保健电浴盆
CN215820168U (zh) 一种自动倒茶茶桌
JPH0415290Y2 (ko)
JPS63169439A (ja) 浴室内取り付け自在の浴水の循環保温装置
CN211795473U (zh) 床垫
JP3104777U (ja) 浴室内洗い場加温設備
JP2985726B2 (ja) 浴槽装置
CN208124650U (zh) 一种冷水与热水分区加热的开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