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9688Y1 - 건축용 조립식 내장재 - Google Patents

건축용 조립식 내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9688Y1
KR200189688Y1 KR2020000004336U KR20000004336U KR200189688Y1 KR 200189688 Y1 KR200189688 Y1 KR 200189688Y1 KR 2020000004336 U KR2020000004336 U KR 2020000004336U KR 20000004336 U KR20000004336 U KR 20000004336U KR 200189688 Y1 KR200189688 Y1 KR 2001896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ior
support
fixing plate
interior material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43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철환
Original Assignee
박철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철환 filed Critical 박철환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96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968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6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panels or masking the edges of wall- or floor-covering elements
    • E04F19/06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panels or masking the edges of wall- or floor-covering elements used between similar elements
    • E04F19/06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panels or masking the edges of wall- or floor-covering elements used between similar elements in cor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용 조립식 내장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이를 위해 건물의 내부 벽면에 상호 연이어 조립 설치되는 내장재; 건물의 기둥 일측과 벽면의 정면에 상기 내장재를 설치하되, 고정된 모서리지지대에 스크류를 체결하여 상기 내장재를 체결 고정시키고; 실내의 함몰모서리부에는 스큐류로 고정된 평면지지대에 상기 내장재를 상호 90도 직각으로 유지시킨 후 모서리지지대에 스큐류로 고정판을 고정시켜 내장재를 90도로 지지하고, 상기 고정판의 정면에는 상기 내장재를 90도 직각이되게 지지하는 동시에 정면이 매끄럽게 보이도록 한 커버가 조립 설치되고; 실내의 돌출모서리부에는 고정판을 모서리지지대에 스큐류로 체결하여 90도 직각으로 유지된 양 내장재를 고정시키되, 이 고정판의 외측에는 외측면이 굴곡부가 형성된 커버가 조립 설치되며, 상기 내장판의 하단과 바닥모서리부의 사이에는 폭이 넓은 고정판이 스크류로 평면지지대에 고정 설치되되, 이 고정판에는 적어도 둘 이상의 커버가 조립 설치되고, 상기 내장판의 상단과 천정모서리부의 사이에는 폭이 낮은 고정판이 스크류로 평면지지대에 고정 설치되되, 이 고정판에는 커버가 조립 설치되며, 상기 연이어 설치되는 내장판과 내장판의 일측편이 상호 겹쳐져 스큐류로 평면지지대에 고정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실내의 벽면에 조립 설치되는 내장재를 짧은 시간내에 손쉽게 조립 시공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유지보수 또한 손쉽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건축용 조립식 내장재{INTERIOR DECORATION FABRICATE OF CONSTRUCTION}
본 고안은 건축용 조립식 내장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의 벽면에 조립 설치되는 내장재를 짧은 시간내에 손쉽게 조립 시공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유지보수 또한 손쉽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건축물 내벽은 콘크리트 벽에 석고보드 및 방수지를 붙인 후 상기 방수지에 벽지를 부착하여 사용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콘크리트 벽에 석고보드 및 방수지를 붙이는 작업이 매우 까다롭고 장시간의 작업시간을 요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2-3년이면 벽면이 더러워지기 때문에 사용수명도 짧다는 문제점이 발생됨은 물론 더러워진 벽면을 청소(특히 물청소)하려고 해도 다른 부분을 더럽힐 수 있어 청소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실내의 벽면에 조립 설치되는 내장재를 짧은 시간내에 손쉽게 조립 시공할 수 있도록 함을 제1목적으로 하는 것이고, 제2목적은 내장재의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한 것이며, 제3목적은 실내로 향한 내장재의 정면이 철판으로 이루어져 더러워지면 손걸래로 닦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4목적은 내장재의 정면을 라미네팅 또는 분체도장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무늬를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제5목적은 벽지를 사용하지 않음으로 화재시에도 진화가 용이하도록 한 건축용 조립식 내장재를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고안은 건물의 내부에 실내장식을 함에 있어서, 건물의 내부 벽면에 상호 연이어 조립 설치되는 내장재; 건물의 기둥 일측과 벽면의 정면에 상기 내장재를 설치하되, 고정된 모서리지지대에 스크류를 체결하여 상기 내장재를 체결 고정시키고; 실내의 함몰모서리부에는 스큐류로 고정된 평면지지대에 상기 내장재를 상호 90도 직각으로 유지시킨 후 모서리지지대에 스큐류로 고정판을 고정시켜 내장재를 90도로 지지하고, 상기 고정판의 정면에는 상기 내장재를 90도 직각이되게 지지하는 동시에 정면이 매끄럽게 보이도록 한 커버가 조립 설치되고; 실내의 돌출모서리부에는 고정판을 모서리지지대에 스큐류로 체결하여 90도 직각으로 유지된 양 내장재를 고정시키되, 이 고정판의 외측에는 외측면이 굴곡부가 형성된 커버가 조립 설치되며, 상기 내장판의 하단과 바닥모서리부의 사이에는 폭이 넓은 고정판이 스크류로 평면지지대에 고정 설치되되, 이 고정판에는 적어도 둘 이상의 커버가 조립 설치되고, 상기 내장판의 상단과 천정모서리부의 사이에는 폭이 낮은 고정판이 스크류로 평면지지대에 고정 설치되되, 이 고정판에는 커버가 조립 설치되며, 상기 연이어 설치되는 내장판과 내장판의 일측편이 상호 겹쳐져 스큐류로 평면지지대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조립식 내장재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건물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2 의 (a)(b)는 본 고안에 적용된 조립식 내장재가 기둥 모서리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평단면도.
도 3 의 (a)(b)는 본 고안에 적용된 조립식 내장재가 상호 90도 내측으로 조립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평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에 적용된 조립식 내장재가 상호 90도 외측으로 조립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평단면도.
도 5 의 (a)(b)는 본 고안에 적용된 내장재가 바닥 모서리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측단면도.
도 6 의 (a)(b)는 본 고안에 적용된 내장재가 천정 모서리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측단면도.
도 7 의 (a)(b)는 본 고안에 적용된 내장재가 일직선으로 상호 조립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평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내장재 11: 석고보드
12: 철판 20: 모서리지지대
30: 스크류 40: 밀폐제
50: 고정판 55: 커버
60: 고무패드
본 고안에 적용된 건축용 조립식 내장재는 도 1 내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으로, 여기서 부호 100은 콘크리트 건물의 벽면이고, 부호 101은 콘크리트 건물의 기둥이다.
우선 본 고안을 간략히 설명하면, 후술하는 다수의 내장재(10)를 이용하여 상호 간단히 조립 설치하는 것으로, 천정모서리·바닥모서리·함몰모서리·돌출모서리를 말끔히 마감하여 실내 인테리어의 분위기를 더욱 화려하게 연출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벽면(100)의 정면과 기둥(101)의 사이 모서리에는 모서리지지대(20)가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이 모서리지지대(20)에는 스크류(30)로 내장재(10)의 일측을 고정 설치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내장재(10)는 일정두께의 석고보드(11)와 이 석고보드(11)의 일측에 약 0.3∼0.6m의 철판(12)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내장재(10)는 석고보드(11)가 콘크리트의 벽면(100)에 맞닿게 설치되는 동시에 철판(12)은 실내쪽으로 향하게 설치된다.
한편 상기 철판(12)의 정면에는 라미네팅 또는 분체도장 등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각종 무늬(예: 나무무늬나 벽지무늬 또는 각종 그림 등)를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선택의 폭을 배가시킨 것이다.
또한 상기 스크류(30)가 체결된 기둥(101)과 내장재(10)의 사이에는 약간의 틈이 형성되는 것으로, 이 틈에는 외부의 습기나 방음 또는 내부의 실내인테리어 목적으로 밀폐제(40)가 매워져 구성되는 것이다.
도 3 은 상기 도 2 에 도시된 내장재(10)의 타측을 고정시키는 함몰모서리부를 도시한 것으로, 이때 상기 내장재(10) 이외의 다른 내장재(10)를 상호 직각으로 위치시킨 후 모서리지지대(20)의 양측에 설치된 평면지지대(21)에 스크류(30)로 양 내장재(10)를 체결 고정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길이가 긴 스크류(30)로 고정판(50)을 상기 모서리지지대(20)에 고정 설치하는 것으로, 이때 상기 고정판(50)의 양단에는 상호 90도 직각으로 고정판지지편(51)이 형성되고 이 고정판지지편(51)은 상기 양 내장재(10)를 90도 직각으로 유지시키는 버팀목을 수행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판(50)의 양 적소에는 걸림홈(52)이 형성되는 것으로, 이 걸림홈(52)에는 걸림턱(57)이 형성된 커버(55)가 끼워져 설치되며, 상기 커버(55)의 양단에는 상기 고정판지지편(51)과 동일하게 90도 직각으로 형성된 커버지지편(56)이 형성되고 이 커버지지편(56)은 상기와 동일하게 내장재(10)가 90도 직각으로 유지되도록 버팀목 역활을 수행하게 된다.
도 4 는 상기 도 3 에 도시된 내장재(10)의 타측을 고정시키는 돌출모서리부를 도시한 것으로, 이때 상기 내장재(10)와 다른 내장재(10)를 모서리지지대(20a)의 양단에 상호 직각으로 위치시킨 후 상기 양 내장재(10)의 일측편을 고정판(50a)으로 맞대은 상태에서 스크류(30)로 모서리지지대(20a)에 체결 고정시켜 상기 양 내장재(10)를 고정시키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판(50a)의 양 적소에는 걸림홈(52a)이 형성되는 것으로, 이 걸림홈(52a)에는 걸림턱(57a)이 형성된 커버(55a)가 끼워져 설치된다. 이때 상기 커버(55a)의 외측은 매끄러운 만곡부로 형성되어 돌출된 외부면을 부드러운 곡선미로 표현하도록 한 것이다.
도 5 의 (a)는 고정판(50b)이 상기 내장재(10)의 하단과 바닥모서리부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판(50b)은 폭이 넓고 적어도 둘 이상의 커버(55b)가 끼워지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즉, 상기 고정판(50b)의 적소에는 전술한 바와 동일한 걸림홈이 형성되고, 커버(55b)의 적소에는 전술한 바와 동이한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걸림턱이 걸림홈에 끼워지게 되어 커버(55b)가 고정판(50b)에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벽면(100)과 상호 맞닿는 평면지지대(21)에는 스크류(30)로 고정판(50b)을 체결 고정시키는 것으로, 상기 평면지지대(21)와 고정판(50b)의 사이에는 고무패드(60)가 끼워져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평면지지대(21)와 고정판(50b)의 사이에 고무패드(60)가 설치됨으로 인해 상기 고정판(50b)을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기 스크류(30)를 정회전 시키면 고무패드(60)가 압축되면서 고정판(50b)이 벽면(100) 쪽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고 반대로 상기 스크류(30)를 역회전 시키면 압축되었던 고무패드(60)가 벌어지면서 고정판(50b)을 실내쪽으로 이동시키게 되어 결국 사용자의 기호에 맞게 고정판(50b)을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게되는 것이다.
도 5 의 (b)는 상기 도 5 의 (a)와 기술적 구성이 동이한 구성이나, 상기 커버(55b)의 형상을 돌출된 만곡부로 형성한 것이고, 그 이외의 나머지 기술적 구성은 동일한 것이고 작용 효과 또한 동일한 것이다.
도 6 의 (a)는 고정판(50c)이 상기 내장재(10)의 상단과 천정모서리부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 5 의 고정판(50b) 보다 폭이 낮게 형성된 것이고 그 이외의 나머지 구성은 전술한 도 5 의 기술적 구성과 작용이 동일한 것이다.
또한 도 6 의 (b)는 상기 도 6 의 (a)와 기술적 구성이 동이한 구성이나, 상기 커버(55b)의 형상을 돌출된 만곡부로 형성한 것이고, 그 이외의 나머지 기술적 구성은 동일한 것이고 작용 효과 또한 동일한 것이다.
도 7 은 상기 일직선으로 연이어 설치되는 내장재(10)와 내장재(10)를 상호 연결시켜 조립 설치하는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내장재(10)의 일측편을 상호 겹쳐지게 한 후 벽면(100)과 상호 맞닿은 평면지지대(21)에 스크류(30)로 조여 상기 양 내장재(30)를 고정 설치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양 내장재(10)의 사이에는 소정간격의 틈이 발생되는 것으로, 이 틈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밀폐제(40)가 매워져 외부의 습기나 방음을 차단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실내의 벽면에 조립 설치되는 내장재를 짧은 시간내에 손쉽게 조립 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내장재의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한 것이며, 실내로 향한 내장재의 정면이 철판으로 이루어져 더러워지면 손걸래로 닦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내장재의 정면을 라미네팅 또는 분체도장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무늬를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벽지를 사용하지 않음으로 화재시에도 진화가 용이하도록 한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7)

  1. 건물의 내부에 실내장식을 함에 있어서,
    건물의 내부 벽면에 상호 연이어 조립 설치되는 내장재;
    건물의 기둥 일측과 벽면의 정면에 상기 내장재를 설치하되, 고정된 모서리지지대에 스크류를 체결하여 상기 내장재를 체결 고정시키고;
    실내의 함몰모서리부에는 스큐류로 고정된 평면지지대에 상기 내장재를 상호 90도 직각으로 유지시킨 후 모서리지지대에 스큐류로 고정판을 고정시켜 내장재를 90도로 지지하고, 상기 고정판의 정면에는 상기 내장재를 90도 직각이되게 지지하는 동시에 정면이 매끄럽게 보이도록 한 커버가 조립 설치되고;
    실내의 돌출모서리부에는 고정판을 모서리지지대에 스큐류로 체결하여 90도 직각으로 유지된 양 내장재를 고정시키되, 이 고정판의 외측에는 외측면이 굴곡부가 형성된 커버가 조립 설치되며,
    상기 내장판의 하단과 바닥모서리부의 사이에는 폭이 넓은 고정판이 스크류로 평면지지대에 고정 설치되되, 이 고정판에는 적어도 둘 이상의 커버가 조립 설치되고,
    상기 내장판의 상단과 천정모서리부의 사이에는 폭이 낮은 고정판이 스크류로 평면지지대에 고정 설치되되, 이 고정판에는 커버가 조립 설치되며,
    상기 연이어 설치되는 내장판과 내장판의 일측편이 상호 겹쳐져 스큐류로 평면지지대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조립식 내장재.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내장재는 일측이 벽면과 상호 맞닿게 석고보드와 타측이 실내로 향하게 철판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조립식 내장재.
  3.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철판의 표면에는 라미네팅이나 분체도장 등으로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무늬를 형성하여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조립식 내장재.
  4.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의 적소에는 걸림홈이 상기 커버의 적소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호 끼워져 조립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조립식 내장재.
  5.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의 양단에는 고정판지지편이 상기 커버의 양단에는 커버지지편이 형성되어 내장재를 상호 90도 직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조립식 내장재.
  6.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기둥과 내장재의 사이에는 밀폐제로 마무리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조립식 내장재.
  7.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평면지지대와 고정판의 사이에는 고무패드가 설치되어 스크류의 정역회전에 따라 상기 고정판이 전후로 이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조립식 내장재.
KR2020000004336U 2000-02-17 2000-02-17 건축용 조립식 내장재 KR200189688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7448A KR100372356B1 (ko) 2000-02-17 2000-02-17 건축용 조립식 내장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7448A Division KR100372356B1 (ko) 2000-02-17 2000-02-17 건축용 조립식 내장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9688Y1 true KR200189688Y1 (ko) 2000-07-15

Family

ID=1964717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4336U KR200189688Y1 (ko) 2000-02-17 2000-02-17 건축용 조립식 내장재
KR10-2000-0007448A KR100372356B1 (ko) 2000-02-17 2000-02-17 건축용 조립식 내장재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7448A KR100372356B1 (ko) 2000-02-17 2000-02-17 건축용 조립식 내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8968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72356B1 (ko) 2003-02-25
KR20000036347A (ko) 200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3616B1 (ko) 건축물 외장재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외벽 마감방법
KR200189688Y1 (ko) 건축용 조립식 내장재
KR100372357B1 (ko) 내장재를 이용한 건축물 내벽의 조립 시공방법
KR200387933Y1 (ko) 조립식 단열재 패널
KR200258539Y1 (ko) 조립식 천장판넬
JPH0241216Y2 (ko)
JPS5832508Y2 (ja) 壁板の目地構造
KR200169810Y1 (ko) 코너용 타일
JPS6321633Y2 (ko)
KR960008097Y1 (ko) 타일 마감재
JP2001140448A (ja) 乾式取付タイルプレセット外壁パネル
JPH0349001Y2 (ko)
FR2763973B1 (fr) Facade de batiment a panneaux amovibles
KR200348713Y1 (ko) 부착보조구를 갖는 건물 외장용 유리대리석
JPH0730814Y2 (ja) 外装パネルの取付構造
JPH0240868Y2 (ko)
KR900007304Y1 (ko) 천정판
JPS5943614Y2 (ja) 防水形照明器具
KR200277722Y1 (ko) 장식용 벽판
KR19990014429A (ko) 벽체마감용 패널
KR200373394Y1 (ko) 타일 마감재
KR880004207Y1 (ko) 칠보가 착압된 금속 타일판
JPH0615073Y2 (ja) 金属複合パネル
CA1068874A (en) Manufacture of tiles
JP2988738B2 (ja) ユニット住宅の壁パネル間のジョイント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51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