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9180Y1 - 차량용 제동 배력장치의 부압 유지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제동 배력장치의 부압 유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9180Y1
KR200189180Y1 KR2019970035756U KR19970035756U KR200189180Y1 KR 200189180 Y1 KR200189180 Y1 KR 200189180Y1 KR 2019970035756 U KR2019970035756 U KR 2019970035756U KR 19970035756 U KR19970035756 U KR 19970035756U KR 200189180 Y1 KR200189180 Y1 KR 2001891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gative pressure
pressure chamber
runner
intake manifold
braking boo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57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3381U (ko
Inventor
박현성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700357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9180Y1/ko
Publication of KR1999002338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338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91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918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66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2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in vacuum systems or vacuum booster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66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68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by electrically-controlled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60T13/741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acting on an ultimate actu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 B60K26/021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with means for providing feel, e.g. by changing pedal force characteri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alves And Accessory Devices For Braking Systems (AREA)

Abstract

제동 배력장치에 필요한 부압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서, 브레이크의 밀림현상을 방지하고, 브레이크 페달의 답력을 작게 할 수 있는 차량용 제동 배력장치의 부압 유지장치는 서지탱크의 일측에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부압실과, 상기 부압실과 흡기 매니폴드를 연결하는 제1런너와, 상기 제1런너의 일측에 설치되어 부압실에서 흡기 매니폴드로의 이동은 개방하고, 흡기 매니폴드에서 부압실로의 이동은 차단하는 체크밸브와, 상기 제1런너상에 설치되어 제1런너의 개폐작용을 하는 개폐밸브와, 이 개폐밸브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차량용 제동 배력장치의 부압 유지장치
본 고안은 차량용 제동 배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동 배력장치에 필요한 부압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부압 유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제동 배력장치는 브레이크 페달을 밟는 힘이 적더라도 큰 제동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치로서, 엔진의 흡기 부압을 이용하는 진공식과 압축공기를 이용하는 압축공기식이 있다.
상기 진공식은 브레이크 계통 중 마스터 실린더의 일측에 장착되는 배력장치가 서지탱크의 일측과 연결되어, 엔진의 실린더 행정에 의해 서지탱크내에 발생하는 부압을 이용하여 마스터 실린더의 미는 힘을 배가시켜준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제동 배력장치는 엔진의 rpm변화, 흡기량의 변화 등으로 인하여 서지탱크내에 항상 일정한 부압이 유지되지 못하므로 부압이 부족할 경우 브레이크 밀림현상이 발생하고, 브레이크 페달을 밟는 답력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제동 배력장치에 필요한 부압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서, 브레이크의 밀림현상을 방지하고, 브레이크 페달의 작용력을 작게 할 수 있는 차량용 제동 배력장치의 부압 유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부압 유지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부압 유지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서지탱크의 일측에 부압실이 독립적으로 형성되고, 이 부압실과 흡기 매니폴드 사이에 제1런너가 위치하고, 이 제1런너의 일측에 설치된 체크밸브는 부압실에서 흡기 매니폴드로의 이동은 개방하고, 흡기 매니폴드에서 부압실로의 이동은 차단하고, 이 제1런너상에 설치되는 개폐밸브가 제1런너의 개폐작용을 하고, 이 개폐밸브는 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제동 배력장치의 부압유지장치는 가속페달의 변위량에 따라 제어수단이 개폐밸브를 개방시켜 흡기 매니폴드의 부압을 부압실에 항상 일정하게 형성시킨다.
이때 체크밸브에 의해 부압이 리턴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제동 배력장치의 부압유지장치를 도시한 구성도로서, 엔진의 연소실에 흡기를 공급하는 서지탱크(2)와, 이 서지탱크(2)와 연소실(미도시)을 연결하는 흡기 매니폴드(4)와, 이 흡기 매니폴드(4)와 서지탱크(2) 사이에 설치되어 제동 배력장치에 필요한 부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부압 유지장치(6)를 포함한다.
서지탱크(2)는 외부의 흡기가 유입되는 흡기덕트(8)와 연결되고, 일측으로 흡기 매니폴드(4)와 제2런너(10)에 의해 연결되어 엔진의 행정에 의해 부압이 발생하고, 이 부압으로 흡기를 유입시켜 각 연소실에 공급한다.
이러한 서지탱크(8)와 흡기덕트(8) 사이에는 흡입되는 공기를 정화시키는 에어 크리너(미도시) 및 가속페달의 작동에 의해 흡입되는 흡기량을 조절하는 스로틀 밸브(14)가 설치된다.
상기 부압 유지장치(6)는 서지탱크(2)의 일측에 독립된 공간을 형성화는 부압실(16)과, 이 부압실(16)과 흡기 매니폴드(4) 사이를 연결하는 제1런너(18)와, 부압실(16)의 일측과 제동 배력장치 사이를 연결하는 부압 파이프(20)를 포함한다.
부압실(16)은 서지탱크(2)의 흡기가 유입되는 측과 반대측에 일정 공간을 형성하도록 격벽(22)에 의해 분리되고, 그 일측으로 제1런너(18)가 연결된다.
상기 제1런너(18)는 부압실(16)과 흡기 매니폴드(4) 사이를 연결하는 파이프로서, 일측에 부압실(16)에서 흡기 매니폴드(4)로의 이동은 개방하고, 흡기 매니폴드(4)에서 부압실(16)로의 이동은 차단하는 제1체크밸브(24)가 설치되고, 그 일측으로 제1런너(18)의 개폐작용을 하는 개폐밸브(26)가 설치된다.
상기 부압파이프(20)는 제동 배력장치와 부압실(16) 사이를 연결하는 파이프로서, 그 라인의 일측에 제동 배력장치에서 부압실(16)로의 이동은 개방하고, 부압실(16)에서 제동 배력장치로의 이동은 차단하는 제2체크밸브(28)가 설치된다.
상기 제1 및 제2체크밸브(24),(28)는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체크볼(30)과 스프링(32)으로 구성되어 체크볼(30)이 스프링(32)의 탄성력을 극복하여 일방향 흐름을 가능하게 하고, 체크볼(30)이 밸브시트(34)에 밀착되어 타방향 흐름을 차단한다.
상기 개폐밸브(26)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이 도2에 도시된다.
제어수단은 가속페달의 변위량을 검출하는 가속페달 포지션 센서(36)와, 이 가속페달 포지션 센서(36)의 신호를 인가받는 전자제어유닛(ECU)(38)과, 이 전자제어유닛(ECU)(38)의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개폐밸브(26)를 작동시키는 제1액츄에이터(40)를 포함한다.
상기 전자제어유닛(ECU)(38)은 가속페달 포지션 센서(36)의 신호에 의해 제1액츄에이터(40)와 스로틀밸브(14)를 조작하는 제2액츄에이터(42)를 작동시키는데, 이때 제1액츄에이터(40)를 먼저 작동시키고, 일정 시간 지연시킨 후 제2액츄에이터(42)를 작동시킨다.
그 이유는 엔진의 행정에 의해 먼저 개폐밸브(26)를 작동시켜 부압실(16)에 부압을 형성시킨 뒤 스로틀밸브(14)를 작동시켜 서지탱크(2)내에 흡기를 유입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제1 및 제2 액츄에이터(40),(42)는 전기전인 신호에 의해 일정 개폐각을 형성할 수 있는 스템모터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부압 유지장치는 가속페달을 밟게 되면 가속페달 포지션 센서(36)의 신호를 인가받는 전자제어유닛(ECU)(38)이 제1액츄에이터(40)를 작동시켜 제1런너(18)를 개방시키면 엔진의 행정에 의한 부압으로 부압실(16)내에 일정한 부압을 형성시키고, 이렇게 형성된 부압은 제1체크밸브(24)에 의해 리턴됨을 방지한다.
그리고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면 부압실(16)내의 부압으로 부압 파이프(20)를 통하여 제동 배력장치를 작동시키고, 다시 가속페달을 밟으면 부압실(16)에 부압이 형성되므로 부압실(16)내에는 항상 일정한 부압이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제동 배력장치의 부압 유지장치는 제동 배력장치에 필요한 부압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여 제공함으로서, 부압의 부족으로 인한 브레이크 밀림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브레이크 페달의 답력이 증가되는 것을 방지하여 브레이크의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Claims (4)

  1. 서지탱크의 일측에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부압실과;
    상기 부압실과 흡기 매니폴드를 연결하는 제1런너와;
    상기 제1런너의 일측에 설치되어 부압실에서 흡기 매니폴드로의 이동은 개방하고, 흡기 매니폴드에서 부압실로의 이동은 차단하는 체크밸브와;
    상기 제1런너상에 설치되어 제1런너의 개폐작용을 하는 개폐밸브와;
    이 개폐밸브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차량용 제동 배력장치의 부압유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부압실은 상기 서지탱크의 흡기가 유입되는 측과 반대측의 일정 위치에 격벽에 의해 분리되어 일정 공간을 형성하고, 일측이 제동 배력장치와 부압파이프에 의해 연결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동 배력장치의 부압유지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제어수단은 가속페달의 변위량을 검출하여 전자제어유닛(ECU)에 그 신호를 전달하는 가속페달 포지션 센서와;
    상기 전자제어유닛(ECU)의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상기 개폐밸브를 작동시키는 제1액츄에이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동 배력장치의 부압유지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전자제어유닛(ECU)은 가속페달 포지션 센서의 신호를 인가 받으면 스로틀밸브를 조작하는 제2액츄에이터의 작동을 일시적으로 지연시켜 제1액츄에이터의 작동이 먼저 이루어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동 배력장치의 부압유지장치.
KR2019970035756U 1997-12-05 1997-12-05 차량용 제동 배력장치의 부압 유지장치 KR2001891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5756U KR200189180Y1 (ko) 1997-12-05 1997-12-05 차량용 제동 배력장치의 부압 유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5756U KR200189180Y1 (ko) 1997-12-05 1997-12-05 차량용 제동 배력장치의 부압 유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3381U KR19990023381U (ko) 1999-07-05
KR200189180Y1 true KR200189180Y1 (ko) 2000-08-01

Family

ID=19516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5756U KR200189180Y1 (ko) 1997-12-05 1997-12-05 차량용 제동 배력장치의 부압 유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918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7258B1 (ko) * 2001-04-18 2007-08-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유입공기를 이용한 차량의 진공발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3381U (ko) 199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12277B2 (en) Arrangement for producing a vacuum in a motor vehicle system
KR970705697A (ko) 펌프 장치(Pump)
US4401078A (en) Intake throttling device for diesel engines
US4445474A (en) Air intake system for supercharged automobile engine
JPH10115262A (ja) 内燃機関の吸気装置
KR200189180Y1 (ko) 차량용 제동 배력장치의 부압 유지장치
JPH0243891B2 (ko)
US4365600A (en) Diesel throttle valve control system
US8397507B2 (en) Active brake booster system
KR100254969B1 (ko) 자동차의 스로틀밸브 개방각 제어장치
KR19990008357U (ko) 배기브레이크장치
KR100273520B1 (ko) 차량용흡기장치
KR100507186B1 (ko) 차량의 엔진 공회전수 저감장치
JPH0144734Y2 (ko)
RU2187660C2 (ru) Моторный замедлитель грузовых автомобилей
JP2524058Y2 (ja) 排気ブレーキ装置
KR100311161B1 (ko) 차량용 배기 브레이크 시스템
JP3794474B2 (ja) キャブレタの燃料供給規制装置
JP3295676B2 (ja) 排気ブレーキ装置
JP2008115801A (ja) 負圧供給装置及び負圧供給装置の制御装置
KR100401619B1 (ko) 자동차의 배기 브레이크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0149360B1 (ko) 자동차의 흡기 시스템
KR100521199B1 (ko) 디젤 엔진 차량의 스로틀밸브 개폐장치
JPS6111472Y2 (ko)
GB2081378A (en) Diesel engine throttle valve control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