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8578Y1 - 흡ㆍ배기용 송풍장치 - Google Patents

흡ㆍ배기용 송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8578Y1
KR200188578Y1 KR2020000003071U KR20000003071U KR200188578Y1 KR 200188578 Y1 KR200188578 Y1 KR 200188578Y1 KR 2020000003071 U KR2020000003071 U KR 2020000003071U KR 20000003071 U KR20000003071 U KR 20000003071U KR 200188578 Y1 KR200188578 Y1 KR 2001885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ake
exhaust
blower
air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30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계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엘.지.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엘.지.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엘.지.에이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85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8578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65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fan combined with single duct; mounting arrangements of a fan in a du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20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4226Fan ca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441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0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 F04D29/62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624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흡ㆍ배기 겸용 송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흡기 및 배기용 송풍장치를 일체로 설치함과 동시에 흡기부 및 배기부가 하나의 구동모터 및 송풍팬에 의해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여 제품의 구조를 대폭 간소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와 동시에, 흡기부 및 배기부에서의 공기 유입 유출방향이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는 송풍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송풍장치는, 하우징의 중단에서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격벽(11)에 의해 흡기부(10) 및 배기부(20) 구조체로 상,하공간이 구분되되, 상기 격벽(11)의 중앙을 관통하는 송풍팬(13)이 구비되어 흡,배기부 공간에 공통으로 내재되고; 흡,배기구조체(10,20)의 각 측면에는 소정형상의 통공(12,22)이 형성됨으로, 송풍팬(13)의 동작에 의한 공기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구조체의 상,하부에 각각 결합되는 상,하판(15,25)에는 각각 상기 송풍팬(13)의 동작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홀(16,26)이 형성되고; 상기 흡,배기부 구조체(10,20)에는 송풍팬에 의한 토출공기를 구조체의 각 측면에 형성된 통공중 일측면 통공을 선택하여 안내하기 위한 가이더(14,24)가 각각 구비되는 것이다.

Description

흡ㆍ배기용 송풍장치{A BLOWER FOR SUCTION-EXHAUST AIR}
본 고안은 공기를 강제로 송풍시키는 송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용 송풍기와 실외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키기 위한 흡기용 송풍기를 하나의 하우징내에 일체로 구비시킨 흡ㆍ배기 겸용 송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점 이나 공공건물 등에는 실내공기의 환기를 위하여 벽면에 배기용 송풍기를 설치함으로서, 음식냄새 또는 담배연기 등과 같이 오염된 실내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또한, 연기 등의 실내 오염물질이 과다하게 발생하는 경우에는 길이의 연장이 가능한 덕트등을 외부와 연통시켜 설치함으로서 신속한 공기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게된다.
한편, 배기용 송풍기와 함께 흡기용 송풍기를 별도로 설치하는 경우에는 실내공기가 외부로 배출됨과 동시에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신속하게 실내로 유입될 수 있어 환기효율을 한층 증가시킬 수 있게된다.
그러나, 배기부와 흡기부를 별도로 설치하는 경우에는 제품의 설치 및 유지보수를 위한 비용이 증가하게 되고, 하나의 하우징에 배기부와 흡기부를 함께 설치를 하는 경우에도 내부에는 송풍팬 및 구동모터가 각각 2개씩 필요하게 됨으로 구조개선에는 그다지 큰 효과를 나타낼 수 없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흡기 및 배기용 송풍장치를 일체로 설치함과 동시에 흡기부 및 배기부가 하나의 구동모터 및 송풍팬에 의해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여 제품의 구조를 대폭 간소화시키게 되는 송풍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흡기부 및 배기부에서의 공기 유입, 유출방향이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는 송풍장치를 제공하여 사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 송풍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송풍장치의 조립시 내부 구성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송풍장치의 조립이 완료된 사시도.
도 4는 상기 도 3의 a-a'부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 송풍장치중 흡기부에서의 공기 유동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흡기부 구조체 11 : 격벽
12,22 : 통공 13 : 시로코팬(Siroco fan)
14,24 : 가이더 15 : 상판
16,26 : 유입홀 17,27 : 차단막
18,28 : 결합틀 20 : 배기부 구조체
21 : 모터 26 : 하판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고안의 송풍장치는,
육면체 형상의 하우징구조를 이루는 송풍장치 내에, 하우징의 중단에서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격벽에 의해 상호 회동이 가능한 흡기부 및 배기부 구조체로 상,하부가 구분되되, 상기 격벽의 중앙을 관통하는 송풍팬이 종방향으로 구비되어 흡,배기부공간에 공통으로 내재되고;
상기 흡,배기구조체의 각 측면에는 소정형상의 통공이 형성됨으로, 상기 송풍팬의 동작에 의한 공기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구조체의 흡기부 또는 배기부에 결합되는 상,하판에는 각각 상기 송풍팬의 동작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흡,배기부 구조체에는 송풍팬에 의한 토출공기를 구조체의 각 측면에 형성된 통공중 일측면 통공을 선택하여 안내하기 위한 가이더가 각각 구비되는 것을 기술적 구성으로 하게된다.
이와같은 간소화된 기술구성을 통하여, 사용효율이 개선되며 송풍장치의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송풍장치를 이룰 수 있게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흡ㆍ배기 일체형 송풍장치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 송풍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송풍장치의 결합시 내부구성을 나타낸 일부 사시도이며, 도 3는 결합이 완료된 송풍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은 도 3의 a-a'부 단면도이며, 도 5는 상기 송풍장치의 동작에 따른 공기의 유동경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송풍장치의 구성을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송풍장치의 전체 외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면체의 하우징구조를 이루게 되며, 이는 크게 상부에 위치하는 흡기부 구조체(10)와 하부에 위치하는 배기부 구조체(20)로 나뉘어지게 되며 상호 회전이 가능한 분리구조를 이루게 된다.
상기 흡ㆍ배기부 구조체(10,20)의 사이에는 횡방향의 격벽(11)이 설치되어 상호간의 공간을 구분시켜 주며, 각 구조체(10,20)의 4측면에는 각각 공기가 유동될 수 있는 통공(12,22)이 형성되었고, 그 내부에는 하단의 모터(21)로 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는 시로코팬(13)이 격벽(11)의 중앙부를 관통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시로코팬(13)은 격벽(11)에 의해 상호 격리되는 흡기부(10) 및 배기부(20) 공간에 공통적으로 내재되어 흡기부 및 배기부 공간에서의 공기를 동시에 유동시키게 되는데, 시로코팬(13)의 길이방향 중심에는 격벽(11)과 동일한 높이에 배치될 수 있는 격막(13')이 형성되어 상,하공간 사이의 공기교류에 따른 와류발생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각 구조체(10,20)에는 상기 시로코팬(13)의 회동에 따라 발생된 토출기류를 4측면에 형성된 통공(12,22)중 일측 통공을 선택하여 안내하기 위한 가이더(14,24)가 각각 구비되었는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더(14,24)의 높이(H)는 구조체의 높이(h)보다 낮은 높이(즉, h 〉H)로 설계되어야 시로코팬(13)의 흡입력에 의해 측면 통공(12,22)으로 부터 공기유입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흡기부 구조체(10)의 상부 및 배기부 구조체(20)의 하부에는 각각 상판(15) 및 하판(25)이 결합되며, 각 상,하판(15,25)의 중앙에는 시로코팬(13)의 회동시 실내 또는 실외로 부터 공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유입홀(16,26)이 형성되었다.
그리고, 각 구조체(10,20)의 측면에 형성된 각 통공(12,22) 및 상,하판(15,25)의 유입홀(16,26)에는 공기의 유입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하기위한 차단막(17,27)이 선택적으로 착탈될 수 있게되는 것으로 도 2에서는 차단막(17,27)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8 및 28은 각각 상기 차단막(17,27)이 착.탈될 수 있는 결합틀을 나타내며, 이는 각 통공(12,22)에 부착되게 된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 송풍장치의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모터(21)가 구동을 시작하면, 회전동력을 전달받는 시로코팬(13)이 고속으로 회동되면서 흡기부 및 배기부 구조체(10,20)내에는 동시에 토출기류가 형성되게 되는데, 이때 형성되는 토출기류는 각 구조체내의 가이더(14,24)에 의해 일측 통공(12,22)으로 안내되면서 송풍장치 외부인 실내측 또는 실외측으로의 배기가 시작된다.
즉, 흡기부 구조체(10)에서는 실외의 신선한 공기를 시로코팬(13)에 의한 흡인력을 이용해 흡입한 후 가이더(14)에 의해 형성된 토출유로를 통해 실내측으로 공급하게 되고, 배기부 구조체(20)에서는 이와 반대로 실내의 오염되고 탁한 공기를 시로코팬(13)에 의한 흡인력을 이용해 흡입한 후 가이더(24)에 의해 형성된 토출유로를 통해 실외측으로 배출시킴으로 실내 공기의 정화작용이 신속하게 실시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각 구조체에서의 공기 유입 및 배출경로를 좀더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에 도시된 흡기부 구조체(10) 평면도를 일예로 살펴보면, 만일 가이드(14)에 의한 실내측 토출방향이 B방향의 통공(12)이 될 경우 시로코팬(13)의 회동에 의한 실외측 공기의 유입방향은 A,C,D방향 통공(12) 및 상판(15)에 형성된 유입홀(16)이 될 수 있다.
특히, A,C,D방향 통공(12)을 통해 실외측으로 부터 유입되는 공기는 H의 높이로 설계되어 있는 가이더(14)와 h의 높이에 위치하고 있는 상판(15) 사이의 공간을 통해 시로코팬(13)으로 흡인됨을 도 4의 단면도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와같이 여러방향에서 동시에 유입되는 실외측 공기는 시로코팬(13)의 각 날개 형상 및 경사방향에 따른 토출력을 받아 팬의 방사방향으로 퍼져나가게 되며 토출되는 공기는 가이더(14)의 경로를 따라 이동됨으로 결국 B방향에 형성된 통공(12)을 통해 실내측으로 토출됨을 알 수 있게된다.
그리고 배기부 구조체(20)의 경우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가이드(24)에 의해 정해지는 실외측 토출방향을 제외한 여러방향에서 동시에 실내공기의 유입이 가능하게 되고, 유입된 실내공기는 역시 시로코팬(13)의 토출력에 의해 실외측으로 토출되는 것이다.
또한, 공기의 유입방향을 선택적으로 지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차단막(17,27)을 구조체 측벽에 장착되어 있는 결합틀(18,28) 또는 유입홀(26,26)중 공기의 유입을 방지하고자 하는 부위에 조립시키게 되면, 해당방향에서의 공기의 유입은 차단될 수 있게됨으로 공기 유입방향의 단속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면상에는 흡기부 구조체(10)와 배기부 구조체(20)의 가이더에 의한 토출방향이 상호 반대방향(180°)을 형성하고 있지만, 송풍장치의 설치위치 및 장소에 따라 각 구조체에서 공기 토출방향의 변경이 가능하게 된다.
즉, 상부구조체(10)와 하부구조체(20)는 상호간에 회전설치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짐으로, 가이더(14,24)에 의해 결정되는 흡기부 구조체(10)의 실내측 토출방향 및 배기부 구조체(20)의 실외측 토출방향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한편,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서 각 유입홀 및 통공부위에 공기정화용 필터등을 장착하여 사용하는 등 구조적인 응용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흡ㆍ배기 일체형 송풍장치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송풍장치는, 흡기구조체와 배기구조체를 하나의 하우징에 일체로 형성함과 동시에 하나의 팬 및 하나의 모터로 양 구조체의 구동이 가능하게 됨으로 그 구조가 대폭 간소화되고, 설치 및 유지보수에 따른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된다.
또한, 배기 및 흡기방향의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되어 사용효율이 개선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6)

  1. 육면체 형상의 하우징구조를 이루는 송풍장치 내에는,
    하우징의 중단에서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격벽(11)에 의해 흡기부(10) 및 배기부(20) 구조체로 상,하공간이 구분되되, 상기 격벽(11)의 중앙을 관통하는 송풍팬(13)이 종방향으로 구비되어 흡,배기부 공간에 공통으로 내재되고;
    상기 흡,배기구조체(10,20)의 각 측면에는 소정형상의 통공(12,22)이 형성됨으로, 상기 송풍팬(13)의 동작에 의한 공기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흡기부구조체(10) 및 배기부구조체(20)에 결합되는 상,하판(15,25)에는 각각 상기 송풍팬의 동작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홀(16,26)이 형성되고;
    상기 흡,배기부 구조체(10,20)에는 송풍팬(13)에 의한 토출공기를 구조체의 각 측면에 형성된 통공(12,22)중 일측면 통공을 선택하여 안내하기 위한 가이더(14,24)가 각각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흡ㆍ배기용 송풍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흡기부 구조체(10) 및 배기부 구조체(20)는 상호 송풍팬(13)의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흡ㆍ배기용 송풍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13)은, 시로코팬으로서 팬의 원호면이 각 구조체의 측면과 대응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양단이 개방되고, 중단은 격막(13')에 의해 차단된 형태를 이룸을 특징으로 하는 흡ㆍ배기용 송풍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이더(14,24)는, 해당 구조체(10,20)의 공간 높이(h)보다 낮은 높이(H)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흡ㆍ배기용 송풍장치.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흡기부 및 배기부 구조체(10,20)의 각 측면에 형성된 통공(12,22) 및 상기 유입홀(16,26)에는, 공기의 유동을 선택적으로 단속하기 위한 차단막(17,27)이 착.탈 가능하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흡ㆍ배기용 송풍장치.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흡기부 및 배기부 구조체(10,20)의 각 측면에 형성된 통공(12,22)에는, 차단막(17,27)의 조립식 착.탈이 용이하도록 결합틀(18,28)이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흡ㆍ배기용 송풍장치.
KR2020000003071U 2000-02-03 2000-02-03 흡ㆍ배기용 송풍장치 KR200188578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00005341A KR100325257B1 (ko) 2000-02-03 2000-02-03 흡ㆍ배기용 송풍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00005341A Division KR100325257B1 (ko) 2000-02-03 2000-02-03 흡ㆍ배기용 송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8578Y1 true KR200188578Y1 (ko) 2000-07-15

Family

ID=1964405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3071U KR200188578Y1 (ko) 2000-02-03 2000-02-03 흡ㆍ배기용 송풍장치
KR20000005341A KR100325257B1 (ko) 2000-02-03 2000-02-03 흡ㆍ배기용 송풍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00005341A KR100325257B1 (ko) 2000-02-03 2000-02-03 흡ㆍ배기용 송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8857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2814B1 (ko) * 2015-06-10 2017-12-28 조철휘 좌우 호환 설치형 직배기 환기장치 및 직배기 환기 시스템 시공방법
US11588376B2 (en) * 2016-03-18 2023-02-21 Cummins Generator Technologies Limited Adaptor with improved airflow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8614B1 (ko) 2009-11-30 2012-03-26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공조시스템용 송풍기
KR101557107B1 (ko) * 2013-12-16 2015-10-0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다중 벌류트 시로코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00156A (ja) * 1983-04-28 1984-11-1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温風こたつ
JPH04136637A (ja) * 1990-09-26 1992-05-11 Matsushita Seiko Co Ltd 換気空調ユニッ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2814B1 (ko) * 2015-06-10 2017-12-28 조철휘 좌우 호환 설치형 직배기 환기장치 및 직배기 환기 시스템 시공방법
US11588376B2 (en) * 2016-03-18 2023-02-21 Cummins Generator Technologies Limited Adaptor with improved airflow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7508A (ko) 2001-08-20
KR100325257B1 (ko) 2002-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5052464A1 (ja) 空気調和装置
KR102023563B1 (ko) 공기청정기용 송풍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KR100541472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CN216346653U (zh) 空调器
CN216953357U (zh) 空调器的换气装置和具有其的空调器
KR100715337B1 (ko) 패키지형 에어컨의 송풍 구조
KR100941413B1 (ko) 환기기능을 갖춘 공기청정장치
KR200188578Y1 (ko) 흡ㆍ배기용 송풍장치
KR100867953B1 (ko) 공기조화기
KR20050079008A (ko) 공기청정기
KR20040029672A (ko) 벽걸이형 공기조화기
KR100531087B1 (ko) 환기기능을 구비한 공기청정기
KR20070047107A (ko) 폐열회수 환기장치
KR20050046082A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KR20010098172A (ko) 댐퍼장치가 구비된 실내환기장치
KR100693990B1 (ko) 공기 조화기
KR100366023B1 (ko) 벽걸이형 전자렌지
CN207279875U (zh) 一种单风道新风机
KR100650108B1 (ko) 환기기능이 구비된 공기청정기
CN220852357U (zh) 新风模块及空调器
KR20050033285A (ko) 공기조화기
CN216522029U (zh) 空气处理装置和空调器
CN115046276B (zh) 一种换气装置及空调器
KR100715336B1 (ko) 패키지형 에어컨의 개폐도어 구조
KR200188579Y1 (ko) 흡ㆍ배기 겸용 송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42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