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8506Y1 - 의료용 카메라 - Google Patents

의료용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8506Y1
KR200188506Y1 KR2020000000003U KR20000000003U KR200188506Y1 KR 200188506 Y1 KR200188506 Y1 KR 200188506Y1 KR 2020000000003 U KR2020000000003 U KR 2020000000003U KR 20000000003 U KR20000000003 U KR 20000000003U KR 200188506 Y1 KR200188506 Y1 KR 2001885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support
optical cable
lens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00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희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썸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썸텍
Priority to KR20200000000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85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85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850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Abstract

본 고안은 지지체에 할로겐 램프에서 발생된 빛을 조사하는 광케이블을 등간격으로 배열함과 동시에 내측에 광케이블과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보조광케이블이 내장된 캡을 구비하여 별도의 조명기구 없이도 용이하게 원하는 물품을 촬영할 수 있음은 물론 흔들림 없이 원하는 위치를 정확하게 촬영할 수 있으며 반사된 빛이 렌즈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 하여 양질의 화상을 제공받을 수 있는 의료용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이 광원장치와 연결된 광케이블(46)이 상기 지지체(33)에 착탈가능하게 결합고정된 렌즈(40)의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의료용 카메라{Medical Camera}
본 고안은 의료용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지체에 할로겐 램프에서 발생된 빛을 조사하는 광케이블을 등간격으로 배열함과 동시에 내측에 광케이블과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보조광케이블이 내장된 캡을 구비하여 별도의 조명기구 없이도 용이하게 원하는 물품을 촬영할 수 있음은 물론 흔들림 없이 원하는 위치를 정확하게 촬영할 수 있으며 반사된 빛이 렌즈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 하여 양질의 화상을 제공받을 수 있는 의료용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메라는 여러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과학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의료용이나 산업용에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의료용에는 모발, 피부, 홍체, 치아, 자궁 등을 검사 및 진단하는데 사용되고 있으며, 산업용에는 반도체 등과 같이 정밀분야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의료용 카메라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1을 설명하면, 장방형의 형상을 갖는 본체(2)가 구비되어지고, 이 본체(2)의 전면 일측에는 본체(2)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조작부(4)가 장착되어진다. 케이블(6)에 의하여 본체(2)와 연결되는 카메라(8)가 구비되어지고, 이 카메라(8)의 일측에는 물체를 촬영하는 렌즈(10)가 나사결합되어진다. 본체(2)와 연결되어 카메라(8)에서 촬영된 물체의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12)가 구비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의료용 카메라시스템이 작동되는 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먼저, 어떠한 물체를 촬영하기 위해서는 본체(2)의 조작부(4)에 구비된 전원스위치(미도시)를 '온' 상태로 변환시킨다. 조작부(4)의 전원스위치가 '온' 상태로 변환되면, 전원이 본체(2)로 공급된다. 전원공급으로 인하여 본체(2)가 작동되면, 카메라(8)를 촬영하고 싶은 물체의 전방에 위치시킨다. 이때, 카메라(8)에서 촬영된 화상이 모니터(12)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된다. 카메라(8)를 이용하여 물체를 촬영하는 도중 렌즈(10)의 촛점을 조절할 경우에는 렌즈(10)를 선택적으로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렌즈(10)의 촛점이 선택적으로 조절된다. 즉, 렌즈(10)가 카메라(8)에 나사결합되어 있음으로 렌즈(10)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면, 렌즈(10)의 촛점이 조절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카메라시스템을 이용하여 물체를 촬영할 수 있었지만, 이러한 카메라는 조명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음으로 별도의 조명장치를 구비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즉, 카메라에 조명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음으로 한손으로 카메라를 이용하여 물체를 촬영하는 상태에서 다른 손으로 촬영하는 물체에 조명을 하여야 함으로 카메라를 이용하여 물품을 촬영하기가 매우 불편하였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카메라시스템을 이용하여 물체를 촬영할 수 있었지만, 이러한 카메라는 손의 떨림으로 인하여 물체를 정확하게 촬영하지 못하는 문 제가 있었다. 즉, 물체를 촬영하기 위해서는 카메라를 촬영하고 싶은 물체의 전방에 위치시켜야 하는데, 카메라를 장시간 물체의 전방에 위치시키면 손의 떨림현상으로 인하여 카메라가 흔들리게 됨으로 원하는 위치를 정확하게 촬영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이러한 손 떨림현상은 의료용 예를 들면 홍체 등을 촬영할 때 많이 발생되었다.
이에 본 고안의 따른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지지체에 할로겐 램프에서 발생된 빛을 조사하는 광케이블을 등간격으로 배열함과 동시에 내측에 광케이블과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보조광케이블이 내장된 캡을 구비하여 별도의 조명기구 없이도 용이하게 원하는 물품을 촬영할 수 있음은 물론 흔들림 없이 원하는 위치를 정확하게 촬영할 수 있으며 반사된 빛이 렌즈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 하여 양질의 화상을 제공받을 수 있는 의료용 카메라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의료용 카메라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의료용 카메라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의료용 카메라에 결합되는 캡의 구성을 보인 정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캡의 내측에 광섬유조명구가 장착된 상태를 보인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캡이 의료용 카메라에 결합고정된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 몸체 32 : 관통공
33 : 지지체 34 : 제 1결합공
36 : 제 2결합공 38 : 체결돌기
44 : 간격조절스위치 46 : 광케이블
50 : 밀착공 52 : 캡
54 : 제 1결합돌기 56 : 제 2결합돌기
57 : 체결홈 58 : 관통공
60 : 파이프 62 : 광섬유조명구
64 : 보조광케이블 70 : 카메7라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일측이 광원장치와 연결된 광케이블이 상기 지지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고정된 렌즈의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카메라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의료용 카메라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의료용 카메라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를 설명하면, 권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몸체(30)가 구비되고, 이 몸체(30)의 상단 일측에는 관통공(32)을 갖는 지지체(33)가 외측으로 돌출구성된다. 지지체(33)의 외주면 양측에 종방향으로 반구형의 형상을 갖는 제 1결합공(34) 및 제 2결합공(36)이 형성되고, 이 결합공(34),(36)을 기점으로 하여 상단과 하단 부분에 위치하는 지지체(33)의 외주면에는 반구형의 형상을 갖는 체결돌기(38)가 외주면을 따라 돌출구성된다. 물체를 촬영하는 렌즈(40)가 구비되고, 이 렌즈(40)는 지지체(33)에 형성된 관통공(32)에 착탈가능하게 결합고정된다. 몸체(30)의 내측 상단에 렌즈(40)에서 촬영된 화상을 인식하여 인식된 신호를 출력하는 화상인식소자(미도시)가 구비되고, 이 화상인식소자는 렌즈(40)와 동일 축상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몸체(30)의 내측에 결합고정됨이 바람직하다. 몸체(30)의 상단에 화상인식소자를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조절하는 간격조절스위치(44)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일측이 광원장치(미도시)와 연결되는 광케이블(46)이 구비되고, 이 광케이블(46)의 타측은 몸체(30)의 하부로 통하여 외측으로 돌출구성된 지지체(33)에 등간격으로 배열된다. 광케이블(46)이 지지체(33)에 등간격으로 배열됨에 있어서는 복수개로 이루어진 광케이블(46)이 렌즈(40)를 중심으로 형성된 어느 원호상에 90°간격으로 배열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광케이블(46)은 광원장치에 내장된 할로겐 램프(미도시)에서 발생되는 빛을 카메라(70)로 전달하는 역활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의료용 카메라가 사용되는 상태 및 이에 따른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카메라(70)의 하단에 결합된 광케이블(46)의 타측을 광원장치와 연결한 상태에서 광원장치를 '온' 상태로 변환시킨다. 광원장치가 '온' 상태로 변환되면, 렌즈(40)의 자유단을 촬영하고 싶은 물체의 전방에 위치시킨다. 이때, 광원장치에 내장된 할로겐 램프에서 발생된 빛이 지지체(33)에 등간격으로 배열된 광케이블(46)을 통하여 빛이 조사된다. 즉, 광원장치가 '온' 상태로 변환된 상태에서 카메라(70)를 촬영하고 싶은 물체의 전방에 위치시키면, 광케이블(46)을 통하여 빛이 조사된 상태에서 카메라(70)가 물체를 촬영함으로 별도의 조명장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다. 카메라(70)의 자유단이 촬영하고 싶은 물체의 전방에 위치되면, 물체의 화상이 렌즈(40)와 화상인식소자를 거쳐 모니터(미도시)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된다. 즉, 할로겐 램프에 발생된 빛을 조사하는 광케이블(46)의 타측이 렌즈(40)가 장착된 지지체(33)에 형성된 어느 원호상에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있음으로 촬영하고 싶은 물체를 선명하면서도 용이하게 촬영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의료용 카메라에 결합되는 캡의 구성을 보인 정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캡의 내측에 광섬유조명구가 장착된 상태를 보인 보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캡이 의료용 카메라에 결합고정된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5를 설명하면, 카메라(70)의 지지체(33)가 삽입고정되는 밀착공(50)이 형성된 캡(52)이 구비되고, 이 밀착공(50)의 내주면에는 지지체(33)의 외주면 양측에 형성된 제 1결합공(34) 및 제 2결합공(36)에 선택적으로 결합고정되는 반구형의 형상을 갖는 제 1결합돌기(54) 및 제 2결합돌기(56)가 돌출구성된다. 결합돌기(54),(56)를 기점으로 하여 상단과 하단 부분에 위치하는 밀착공(50)의 내주면에는 지지체(33)의 외주면에 돌출구성된 체결돌기(38)가 삽입고정되는 체결홈(57)이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다. 밀착공(50)의 일측에 밀착공(50)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관통공(58)이 형성되고, 이 관통공(58)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내측에서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캡(52)에 형성된 밀착공(50)과 관통공(58)은 연통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관통공(58)의 바닥면 양측에 금속재의 파이프(60)가 내측으로 완만한 각도로 절곡된 광섬유조명구(62)가 결합고정되고, 이 광섬유조명구(62)의 내측에는 지지체(33)에 등간격으로 배열된 광케이블(46)과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보조광케이블(64)이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캡이 카메라의 지지체에 결합고정되는 상태 및 이에 따른 효과를 설명한다.
카메라(70)를 이용하여 홍체 등을 촬영할 경우, 캡(52)의 밀착공(50)에 돌출구성된 결합돌기(54),(56)를 지지체(33)에 형성된 결합공(34),(36)에 대응되게 위치시킨다. 캡(52)의 밀착공(50)에 돌출구성된 결합돌기(54),(56)가 지지체(33)에 형성된 결합공(34),(36)에 대응되게 위치되면, 캡(52)을 일측으로 가압하여 캡(52)을 지지체(33)에 결합고정한다. 이때, 캡(52)의 결합돌기(54),(56)가 지지체(33)에 형성된 결합공(34),(36)에 결합고정됨과 동시에 지지체(33)에 돌출구성된 체결돌기(38)가 캡(52)에 형성된 체결홈(57)에 결합고정된 상태를 갖는다. 결합돌기(54),(56)와 결합공(34),(36)의 결합과 체결돌기(38)와 체결홈(57)의 결합으로 인하여 캡(52)이 카메라(70)의 지지체(33)에 결합고정되면, 파이프(60)의 내측에 구비된 보조광케이블(64)의 일측이 지지체(33)에 등간격으로 배열된 광케이블(46)의 일측에 접촉된 상태를 갖는다. 보조광케이블(64)의 일측이 광케이블(46)의 일측에 접촉되도록 캡(52)이 카메라(70)의 지지체(33)에 결합고정되어 있음으로 광원장치가 '온' 상태로 변환되면, 할로겐 램프에서 발생된 빛이 보조광케이블(64)을 통하여 조사되는 것이다. 카메라(70)의 지지체(33)에 캡(52)이 결합고정되어 있음으로 흔들림 없이 원하는 위치를 정확하게 촬영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캡(52)을 촬영하고 싶은 부분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물체(홍체 등)를 촬영함으로 흔들림 없이 원하는 위치를 정확하게 촬영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할로겐 램프의 빛을 조사하는 광섬유조명구(62)가 캡(52)의 내측에 절곡된 상태로 구비되어 있음으로 양질의 화상을 제공받을 수 있는 것이다. 즉, 할로겐 램프의 빛의 조사하는 광섬유조명구(62)가 내측으로 완만하게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음으로 조사되는 빛이 반사되어 렌즈(40)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음으로 원하는 부분을 명확하게 촬영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의료용 카메라는 지지체에 할로겐 램프에서 발생된 빛을 조사하는 광케이블이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있음으로 별도의 조명기구 없이도 용이하게 원하는 물품을 촬영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내측에 광케이블과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보조광케이블이 내장된 캡이 구비되어 있음으로 흔들림 없이 원하는 위치를 정확하게 촬영할 수 있음은 물론 반사된 빛이 렌즈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 하여 양질의 화상을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3)

  1. 홍체를 검사하는데 사용되는 의료용 카메라를 구성함에 있어서,
    일측이 광원장치와 연결된 광케이블(46)이 상기 지지체(33)에 착탈가능하게 결합고정된 렌즈(40)의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카메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케이블(46)이 렌즈(40)를 중심으로 형성된 어느 원호상에 90°간격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카메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33)에 등간격으로 배열된 광케이블(46)과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보조광케이블(64)이 내측에 구비된 캡(5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카메라.
KR2020000000003U 2000-01-03 2000-01-03 의료용 카메라 KR2001885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0003U KR200188506Y1 (ko) 2000-01-03 2000-01-03 의료용 카메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0003U KR200188506Y1 (ko) 2000-01-03 2000-01-03 의료용 카메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8506Y1 true KR200188506Y1 (ko) 2000-07-15

Family

ID=19635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0003U KR200188506Y1 (ko) 2000-01-03 2000-01-03 의료용 카메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850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19772A1 (en) * 2002-08-28 2004-03-11 Ha-Cheol Jung Imaging apparatus of the eye to analyze characteristics and diagnose health condition
KR100770000B1 (ko) 2006-09-27 2007-10-25 (주)베스텍비젼 광섬유를 이용한 조명장치를 구비한 핸디형 카메라
CN107743222A (zh) * 2017-11-22 2018-02-27 中国安全生产科学研究院 一种基于采集器的图像数据处理方法及三维全景vr采集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19772A1 (en) * 2002-08-28 2004-03-11 Ha-Cheol Jung Imaging apparatus of the eye to analyze characteristics and diagnose health condition
KR100770000B1 (ko) 2006-09-27 2007-10-25 (주)베스텍비젼 광섬유를 이용한 조명장치를 구비한 핸디형 카메라
CN107743222A (zh) * 2017-11-22 2018-02-27 中国安全生产科学研究院 一种基于采集器的图像数据处理方法及三维全景vr采集器
CN107743222B (zh) * 2017-11-22 2023-12-01 中国安全生产科学研究院 一种基于采集器的图像数据处理方法及三维全景vr采集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52387B2 (en) Camera with positioning device used to capture magnified and demagnified images
JP3875866B2 (ja) 電子内視鏡に用いるコネクタ構造
KR20000050494A (ko) 홍채 인식 시스템
JP2009020298A (ja) 照明装置、照明装置に対する装着物、カメラ、照明システム、及び、カメラシステム
DE60123078D1 (de) Bildveränderungseinrichtung für eine bilderzeugungsvorrichtung
JP3197418U (ja) 超近接撮影装置
JP2018175848A (ja) 医療用撮像装置
US10075628B2 (en) Imaging apparatus and intraoral camera
KR200188506Y1 (ko) 의료용 카메라
US7278965B2 (en) Operating mechanism for medical device
US20100112511A1 (en) Reflecting-Type Optical Inspection Apparatus and Related Dental Inspection System
KR100369287B1 (ko) 인체관찰용 비젼시스템
KR20020059126A (ko) 휴대용 디지털 현미경, 이를 이용한 피부 진단 시스템 및이를 장착하는 씨에프 타입의 씨씨디 카메라
KR200187236Y1 (ko) 의료용 카메라
JP2005192583A (ja) 携帯端末用スコープユニット
KR100335279B1 (ko) 안구의 홍채 촬영장치
JP2002017668A (ja) 携帯式観察カメラ
KR200187235Y1 (ko) 의료용 및 산업용에 사용되는 카메라에 결합되는 캡
JPH0627393A (ja) 観察装置
KR100372744B1 (ko) 의료용 카메라
JP2009129795A (ja) スポットライト
WO2003096681A1 (en) Multipurpose digital camera for home care
KR200209466Y1 (ko) 안구의 홍채 촬영장치
JP3721342B2 (ja) 落射照明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用いる光学装置
KR200215296Y1 (ko) 인체관찰용 비젼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61129

Effective date: 2007062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