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8363Y1 - 도로의 차선 표시구 - Google Patents

도로의 차선 표시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8363Y1
KR200188363Y1 KR2020000003171U KR20000003171U KR200188363Y1 KR 200188363 Y1 KR200188363 Y1 KR 200188363Y1 KR 2020000003171 U KR2020000003171 U KR 2020000003171U KR 20000003171 U KR20000003171 U KR 20000003171U KR 200188363 Y1 KR200188363 Y1 KR 2001883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e
main body
road
vehicle
indic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31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정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삼안건설기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삼안건설기술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삼안건설기술공사
Priority to KR20200000031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83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83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836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53Low discrete bodies, e.g. marking blocks, studs or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9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with reflectors; with means for keeping reflectors clean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운전자가 갓길 차선을 분명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면서, 차량이 횡단할 때 요철에 의한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도로의 차선 표시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도로의 차선 표시구는 도로의 노면상에 설치되어 차선을 표시하는 본체와, 이 본체의 하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노면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부로 이루어진 도로의 차선 표시구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차량이 횡단할 때 요철에 의한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일정 곡률 반경을 갖는 원호형으로 이루어진 도로의 차선 표시구를 제공한다.
상기 본체는 흰색 또는 황색이 착색된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차량의 전조등으로부터 나오는 빛을 반사하는 반사경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도로의 차선 표시구{LANE INDICATOR OF LOAD}
본 고안은 도로의 차선 표시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운전자가 갓길 차선을 분명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면서, 표시구를 차량이 횡단할 때 요철에 의한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된 도로의 차선 표시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상에는 각기 다른 자동차의 원활한 진행을 위해서 차선을 지정하여 차량이 운행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차선은 통상적으로 도로의 중앙에 형성되어 교차되는 차선을 표시하기 위한 중앙선과, 동일 방향의 자동차들의 주행폭을 안내하기 위한 주행 차선으로 크게 구분된다.
차선을 표시하는 수단으로는 여러 가지 방법들이 사용되고 있는데, 대부분의 경우 중앙선은 황색 페인트로 표시하고 있고, 차선은 백색 페인트로 표시하여 차선을 구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차선을 표시하는 페인트는 차량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야간에 자동차의 라이트에 반사되어 잘 보일 수 있도록 미세한 유리 분말을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포장된 도로에 도색하고 있다.
특히 중앙선에는 차량의 전조등으로부터 나오는 빛을 반사하여 운전자가 정확히 중앙선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갓길 차선의 경우, 도로 경계석이 설치되지 않은 도로는 백색의 갓길 차선을 도색하고 있다.
차선의 구분을 운전자가 정확하게 인지하지 못하면 사고의 위험성이 따르며, 특히 갓길 차선을 구분하지 못하면 차량이 인도로 진입할 수 있으므로 상당한 주의가 요구된다.
상기와 같이 차선의 식별이 곤란한 것을 해소하기 위하여 도로의 차선에 고정 설치하는 여러 가지 형태의 차선 표시구가 사용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차선 표시구는 도로의 노면상에 설치되어 차선을 표시하는 본체와, 이 본체의 하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노면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부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는 평탄한 상면과 경사진 표시면을 구비하여 단면 형상이 사다리꼴로 이루어지며, 표시면의 외측에는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난반사시켜 발광 표시되는 반사체가 부착되어 있다.
이 반사체는 대부분의 경우 적색이나 황색으로 형성되어 주간의 경우 그 색상으로 차선을 표시하고, 야간에는 자동차 전조등으로부터 방출된 빛을 난반사하여 발광함으로서 운전자들이 차선을 수월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차선 표시구는 본체가 사다리꼴로 이루어진 사각형상으로 되어있기 때문에 이곳을 차량이 통과할 때 요철면을 통과하는 것과 같은 흔들림이나 떨림이 발생된다.
따라서 운전자가 당황하여 핸들을 급하게 조작할 우려가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다른 차량과 충돌하거나 추돌할 위험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차선 표시구는 중앙선이나 차선을 표시하는 곳에는 사용되고 있지만, 도로의 갓길에는 차선을 도색한 것으로 도로 시공이 완료됨으로 일정 기간이 경과하면 차선이 지워져 특히 야간 운전시 운전자가 갓길 차선을 인식하지 못하여 차선을 이탈하여 안전사고 가 발생될 우려가 높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표시구 본체를 일정 곡률 반경을 갖는 원호형으로 하여 표시구를 차량이 횡단할 때 요철에 의한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는 도로의 차선 표시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기 차선 표시구를 차선의 색깔과 동일한 황색 또는 흰색으로 제작하여 주간에는 차선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도록 하고, 야간에는 부착된 반사판이 자동차의 전조등에 의하여 입사된 빛을 난반사하여 야간 운전시 차선을 분명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 도로의 차선 표시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도로의 노면상에 설치되어 차선을 표시하는 본체와, 이 본체의 하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노면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부로 이루어진 도로의 차선 표시구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차량이 횡단할 때 요철에 의한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일정 곡률 반경을 갖는 원호형으로 이루어진 도로의 차선 표시구를 제공한다.
상기 본체 및 고정부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갓길 차선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도록 황색 또는 흰색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도로의 차선 표시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도로의 차선 표시구가 도로에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도로의 차선 표시구가 도로에 사용되는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도로의 차선 표시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차선 표시구가 도로에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본 고안에 의한 차선 표시구는 도로의 노면상에 설치되어 차선을 표시하는 본체(2)와, 이 본체(2)의 하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노면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부(4)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2)와 고정부(4)는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차량이 통과하여도 파손되지 않도록 충분한 강도를 갖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 의한 본체(2)는 일정 곡률 반경을 갖는 반구형으로 제작되는데, 이러한 반구형으로 이루어진 차선 표시구는 종래의 사다리꼴로 이루어진 것에 비하여 차선 표시구를 차량이 통과할 때 흔들림이나 떨림을 최소화하여 주행의 안전성을 도모하고 승차감을 좋게 하여 준다.
상기 본체(2)의 일측에는 본체(2)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동일한 곡률 반경으로 이루어진 격벽(6)이 형성되는데, 이 격벽(6)의 양측으로는 서로 대응되는 자세로 위치하는 반사체(8)가 고정 설치된다.
이 반사체(8)는 자동차의 전조등으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난반사시켜 야간 운전시 차선을 분명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 먼 거리에서도 차선 표시구가 설치된 것을 운전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부재로서, 정면에서 보아 뒤쪽으로 기울어진 소정의 경사각을 갖도록 설치된다.
이 경사각은 자동차의 전조등이 입사되어 가장 높은 반사율을 나타낼 수 있도록 대략 5~10°의 각도로 설치되는 것이 좋다.
이러한 반사체(8)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등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야광 표지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반사체(8)는 접착제를 도포하여 본체(2)에 바로 접착할 수도 있고, 본체(2)에 반사체(8)의 형상과 동일한 홈을 마련한 후, 이 홈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반사체(8)를 고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2)는 차선의 색깔과 동일한 황색 또는 흰색으로 이루어져 차선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차선 표시구를 일정한 간격으로 도로에 설치하면, 차선 표시구 본체(2)가 차선과 동일한 색깔로 이루어져 차선의 역할을 대신하므로 별도로 차선을 표시하지 않아도 된다.
특히 도 3에서와 같이 보도나 차도 경계석이 없는 도로의 갓길 차선을 본체(2)가 표시하도록 하면, 야간 운전시 차량이 갓길 차선을 분명하게 인식할 수 있게되어 차량이 갓길로 진입하는 방지하여 준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도로의 차선 표시구는, 표시구 본체가 일정 곡률 반경을 갖는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표시구를 차량이 횡단할 때 요철에 의한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차선 표시구 본체가 차선과 동일한 색깔로 이루어져 차선의 역할을 대신하므로 별도로 차선을 표시하지 않아도 되며, 이에 따라 차선을 도색하는 도색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에는 차량의 전조등으로부터 나오는 빛을 반사하는 반사체가 설치되므로 야간 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이 반사체가 격벽에 의해 하나의 본체에 2개가 설치되는 구조이므로 전조등 불빛이 조사되면 2개의 갓길 차선이 나타나게되어 종래의 어떠한 것에 비하여 보다 확실한 차선 구분을 할 수 있다.

Claims (4)

  1. 도로의 노면상에 설치되어 차선을 표시하는 본체와, 이 본체의 하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노면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부로 이루어진 도로의 차선 표시구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차량이 횡단할 때 요철에 의한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일정 곡률 반경을 갖는 원호형으로 형성된 도로의 차선 표시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 및 고정부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갓길 차선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도록 황색 또는 흰색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차선 표시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는 자동차의 전조등으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난반사시켜 야간 운전시 차선을 분명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반사판이 설치되고, 이 반사판은 뒤쪽으로 대략 5~10°의 각도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차선 표시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은 본체에 형성된 격벽에 의해 좌우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차선 표시구.
KR2020000003171U 2000-02-07 2000-02-07 도로의 차선 표시구 KR2001883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3171U KR200188363Y1 (ko) 2000-02-07 2000-02-07 도로의 차선 표시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3171U KR200188363Y1 (ko) 2000-02-07 2000-02-07 도로의 차선 표시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8363Y1 true KR200188363Y1 (ko) 2000-07-15

Family

ID=19640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3171U KR200188363Y1 (ko) 2000-02-07 2000-02-07 도로의 차선 표시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836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21498A (en) Roadside barrier reflector
US3768383A (en) Directional marker device for automobile roadbeds
CN112012124A (zh) 一种地埋式发光指示标识体
KR200188363Y1 (ko) 도로의 차선 표시구
JP2002117497A (ja) 右折運転支援装置
US4815890A (en) Low level traffic direction pavement marker
KR102085729B1 (ko) 도로 표지병 및 도로 표지병 시공방법
US4123181A (en) Roadside barrier marker system
US4223980A (en) Safety reflector for freight cars
KR100806861B1 (ko) 교통안내 경계석
KR200307803Y1 (ko) 횡단보도 및 정지선용 안전 표지병
KR200191432Y1 (ko) 도로용 노면 표시장치
KR200181692Y1 (ko) 도로표지병
King Advances in retroreflective technologies for road signage, vehicle visibility and pavement markings, delivering safer roads for all
KR200235031Y1 (ko) 야광 도로 경계석
KR200426130Y1 (ko) 과속방지 및 다용도 표지병
US20060232443A1 (en) Reflectors for delineating unlit runways
KR200271994Y1 (ko) 입체식 돌출차선 표시구
KR200453431Y1 (ko) 도로 표지병
KR20000017885U (ko) 운전자 시선유도표지
KR200276461Y1 (ko) 융착식 도료를 이용한 돌출형 노면표시구
KR20060000102U (ko) 반사장치를 구비한 신호등
KR200432255Y1 (ko) 도로 경계석
KR19980055644U (ko) 도로안전시선유도표지판
KR200353289Y1 (ko) 차선 표시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3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