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8304Y1 - 검전기능이 구비된 작업모 - Google Patents

검전기능이 구비된 작업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8304Y1
KR200188304Y1 KR2019970018120U KR19970018120U KR200188304Y1 KR 200188304 Y1 KR200188304 Y1 KR 200188304Y1 KR 2019970018120 U KR2019970018120 U KR 2019970018120U KR 19970018120 U KR19970018120 U KR 19970018120U KR 200188304 Y1 KR200188304 Y1 KR 2001883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cap
test
test means
battery
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81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4876U (ko
Inventor
오재부
Original Assignee
오재부
극동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재부, 극동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재부
Priority to KR20199700181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8304Y1/ko
Publication of KR199900048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4876U/ko
Priority to KR2019990013869U priority patent/KR20016363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83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830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기공사현장 등에서 안전을 위해 착용하는 작업모를 통해 작업자에 근접하고 있는 전선으로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사전에 검출하여 작업자에게 인식시키므로 전기사고의 위험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한 검전기능이 구비된 작업모에 관한 것으로, 공지의 검전수단(30), 스피커(40), 램프(41), 배터리(60)가 내장된 검전기케이싱(20)을 작업모(10)에 부착하고, 상기 검전기케이싱(20)에는 검전수단(30), 배터리(60)의 동작상태를 점검하는 테스트스위치(50)를 설치하며, 상기 작업모(10)의 외주면 상부에는 검전수단(30)에 접속되는 전도성 검지띠(70)를 부착한 것이다.

Description

검전기능이 구비된 작업모
본 고안은 작업모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전기공사현장 등에서 안전을 위해 착용하는 작업모를 통해 작업자에 근접하고 있는 전선으로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사전에 검출하여 작업자에게 인식시키므로 전기사고의 위험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한 검전기능이 구비된 작업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공사현장 등에서는 작업자들의 안전을 위해 필수적으로 작업모를 착용하지만, 전기는 눈으로 보이지 않기 때문에 작업시 작업자에 근접하고 있는 전선으로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전혀 알 수 없다.
그러므로 전기공사현장에서의 작업시에는 미리 별도의 전문화된 검전기를 사용하여 전기의 존재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그러나, 현장에서 검전기를 사용하여 전기의 존재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나, 이러한 검전기는 일반인들에게는 그리 잘 알려져 있지 않고 일부 전기 전문인들에게만 국한되어 소지되었던 검전기 소지에 따른 불편함과, 또 일반인들은 전기에 대한 위험 인지도로 검전기의 소지를 꺼리고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전기공사현장 등에서 근접하고 있는 젼선의 전기 존재여부를 작업자가 전혀 알 수 없고, 특히 작업자의 부주위로 인하여 작업모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전선에 감전되는 등 전기사고의 위험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존재하고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전기공사현장 등에서 안전을 위해 착용하는 작업모를 통해 작업자에 근접하고 있는 전선으로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사전에 검출하여 작업자에게 인식시키므로 전기사고의 위험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한 검전기능이 구비된 작업모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작업모에 전선의 전기 존재여부를 검출하는 검전수단이 내장된 검전기케이싱을 부착하되, 상기 검전기케이싱에는 검전수단으로부터 검출된 신호를 음성, 음향 또는 불빛으로 인식시키는 스피커, 램프를 설치하고, 상기 검전수단에는 작업모의 외주면 상부로 부착되는 전도성 검지띠를 접속시켜, 작업모가 전원이 공급되는 전선에 근접하면 상기 스피커 또는 램프가 작동되어 작업자가 이를 알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검전기능이 구비된 작업모 예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검전기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검전수단의 블록 다이어그램.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작업모 20 : 검전기케이싱
30 : 검전수단 40 : 스피커
41 : 램프 50 : 테스트스위치
60 : 배터리 70 : 전도성 검지띠
E : 전선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검전기능이 구비된 작업모는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공지의 작업모(10)에 있어서, 상기 작업모(10)의 적소에 부착되는 검전기케이싱(20)과, 상기 검전기케이싱(20)에 내장되어 전선(E)의 전기 존재여부를 검출하는 검전수단(30)과, 상기 검전수단(30)으로부터 검출된 신호를 음성, 음향 또는 불빛으로 인식시키는 스피커(40), 램프(41)와, 상기 검전수단(30)을 제어하는 테스트스위치(50) 및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60)와, 상기 검전수단(30)에 접속되어 작업모(10)의 외주면 상부로 부착되는 전도성 검지띠(70)로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검전기케이싱(20)은 작업모(10)의 적당한 위치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고, 검전기케이싱(20)에는 배터리(60)를 교환할 수 있도록 뚜껑이 설치된다.
상기 검전수단(30)은 제3도에서와 같이 유도전원 주파수를 검출 및 증폭하는 레벨 검출 및 증폭부(31)와, 검출 및 증폭된 레벨을 40 ∼ 70HZ로 발진시키는 발진부(32)와, 발진된 신호를 음성으로 발하는 음성IC(33)로 구성되고, 이때 음성IC(33)에는 스피커(40)가 연결되며, 발진부(32)와 음성IC(33)의 사이에는 램프(41)가 연결된다.
상기 검전수단(30)은 소형 및 내충격성을 위해 몰드화 적용하여 견고하게 전자회로를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검전수단(30)은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유도검전방식인 전류감응식과 직접접촉방식인 전압감응식을 적용할 수 있다. 이때,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전류감응식을 이용하여 작업모(10)가 전선(E)의 접촉이전에 경보가 발하는 방식을 적용함이 바람직하고, 또한 스피커(40)를 통해 음성, 음향으로 경보를 발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테스트스위치(50)는 검전수단(30)의 내부회로와 배터리(60)의 동작상태를 점검하는 것으로, 테스트스위치(50)를 누르면 스피커(40), 램프(41)에서 음성, 음향, 불빛이 발생하므로 사용자는 회로, 배터리가 정상적으로 양호한 상태임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때, 테스트스위치(50)를 눌러도 음향, 발광이 안될때는 배터리를 교환한다.
상기 전도성 검지띠(70)는 전도성을 가지는 테이프, 모직 또는 도료 등이 사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작업모(10)에 부착된 전도성 검지띠(70)가 전원이 공급되는 전선(E)에 가까이 근접하면 유도전원 주파수를 검전수단(30)의 레벨검출 및 증폭부(31)에서 증폭 및 레벨을 검출하여 발진부(32)를 트리거하면 발진부(32)에서 40 ∼ 70HZ를 발진하여 램프(41)구동 및 음성IC(33)를 구동하여 램프(41) 및 스피커(40)를 통해 음성, 음향, 불빛으로 발한다. 이때, 전도성 검지띠(70)는 AC에 접촉해도 된다.
한편, 작업선에는 먼저 테스트스위치(50)를 눌러 내부회로와 배터리(60)의 동작상태를 점검한후 작업을 수행한다. 이때, 테스트스위치(50)는 전원투입시 잠시 깜박거리고, 램프(41)의 불빚이 약할 경우에는 배터리(60)를 교체한다.
따라서, 이러한 본 고안은 종래 검전기를 시용하여 전선(E)의 전기 존재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으나 일부 전기 전문인들에만 국한되어 소지되었던 검전기 소지에 따른 불편함을 제거하고 작업모(10)에 직접 검전기능을 부여함으로서 전기공사현장 등에서 작업에 안전을 기할 수 있으며, 작업자들이 사전 안전점검에 따른 절차를 무시하고 방심하는 관례에 대해 본 고안은 작업자들에게 전선(E)에 전원이 공급되는 그 존재여부를 인식시키므로 감전 등의 전기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작업모(10)를 통해 전기의 존재여부를 작업자가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으므로 전기에 대한 비전문가도 현장에서 안심하고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전기공사현장 등에서 안전을 위해 착용하는 작업모를 통해 작입자에 근접하고 있는 전선으로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사전에 검출하여 작업자에게 인식시키므로 전기사고의 위험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공지의 검전수단(30), 스피커(40), 램프(41), 배터리(60)가 내장된 검전기케이싱(20)을 작업모(10)에 부착하고, 상기 검전기케이싱(20)에는 검전수단(30), 배터리(60)의 동작상태를 점검하는 테스트스위치(50)를 설치하며, 상기 작업모(10)의 외주면 상부에는 검전수단(30)에 접속되는 전도성 검지띠(70)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전기능이 구비된 작업모.
KR2019970018120U 1997-07-09 1997-07-09 검전기능이 구비된 작업모 KR2001883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8120U KR200188304Y1 (ko) 1997-07-09 1997-07-09 검전기능이 구비된 작업모
KR2019990013869U KR200163633Y1 (ko) 1997-07-09 1999-07-14 검전기능이구비된작업복상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8120U KR200188304Y1 (ko) 1997-07-09 1997-07-09 검전기능이 구비된 작업모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3869U Division KR200163633Y1 (ko) 1997-07-09 1999-07-14 검전기능이구비된작업복상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4876U KR19990004876U (ko) 1999-02-05
KR200188304Y1 true KR200188304Y1 (ko) 2000-07-15

Family

ID=1950548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8120U KR200188304Y1 (ko) 1997-07-09 1997-07-09 검전기능이 구비된 작업모
KR2019990013869U KR200163633Y1 (ko) 1997-07-09 1999-07-14 검전기능이구비된작업복상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3869U KR200163633Y1 (ko) 1997-07-09 1999-07-14 검전기능이구비된작업복상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8830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4876U (ko) 1999-02-05
KR200163633Y1 (ko) 2000-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79894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protecting battery packs
US7733078B2 (en) Self-test probe design & method for non-contact voltage detectors
JPH0447604B2 (ko)
KR20100092954A (ko) 절연 스트립핑 장치를 위한 접촉 센서 및 조절 수단을 포함하는 절연 스트립핑 장치
KR200158832Y1 (ko) 검전기능이 구비된 플라이어 및 드라이버
KR200188304Y1 (ko) 검전기능이 구비된 작업모
KR20200006916A (ko) 무선형 활선경보장치
JP5047148B2 (ja) 線量計拡張ユニット及び視覚警告型線量計
JP3459485B2 (ja) 体着式充電検出器
KR200265553Y1 (ko) 누전 감지수단이 마련된 안전화
CA2607922C (en) Self-test probe design and method for non-contact voltage detectors
JP3328866B2 (ja) 活線警報器
JPH08220151A (ja) 手首装着式充電検出器
TWM527640U (zh) 車用電池靜態電流偵測及保護裝置
KR100240695B1 (ko) 구조용 자동 경보 점멸기
KR200170734Y1 (ko) 램프 겸용 활선 접근 경보기
JPH0712934Y2 (ja) 高圧活線接近警報器
KR100314243B1 (ko) 검전기 회로를 갖춘 다중 전압 절연 저항계
KR101625205B1 (ko) 부착형 터치식 검전기 및 그 작동방법
KR100359280B1 (ko) 누전검출기
KR20000016007U (ko) 전계와 자계에 대한 경보 기능을 갖는 안전경보시계
CN212411312U (zh) 一种高压近电报警器
KR20180001176U (ko) 고소 작업용 안전대
JP6067170B1 (ja) 検電器
KR100684822B1 (ko) 전기 판넬의 누전감지용 보호덮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2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