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7134Y1 - 보석을 피부와 접촉되게 설치한 장신구 - Google Patents

보석을 피부와 접촉되게 설치한 장신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7134Y1
KR200187134Y1 KR2019980001446U KR19980001446U KR200187134Y1 KR 200187134 Y1 KR200187134 Y1 KR 200187134Y1 KR 2019980001446 U KR2019980001446 U KR 2019980001446U KR 19980001446 U KR19980001446 U KR 19980001446U KR 200187134 Y1 KR200187134 Y1 KR 2001871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ewelry
skin
insertion groove
ring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14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6345U (ko
Inventor
이봉남
Original Assignee
이봉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봉남 filed Critical 이봉남
Priority to KR20199800014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7134Y1/ko
Publication of KR9800063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634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71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713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9/00Finger-ring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보석의 교체 및 교환을 용이하게 하면서 동시에 보석의 교체 및 교환시 흠집 내지는 예리한 부분에서의 파손을 없애고, 보석의 보존에 편의를 갖게 하며, 또한 보석이 피부에 직접 닿게 하면서 외부에서는 보이지 않게 하여 보석에 대한 실증을 느끼지 않게 하는 보석을 피부와 접촉되게 설치한 장신구를 제공하는 것으로, 장신구의 피부와 접촉되는 면을 통해 형성되는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을 통해 삽입되는 보석난집 및 이 보석난집에 고정되어 피부와 접촉되는 보석과, 상기 장신구의 측면을 통해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의 일 측과 관통되는 나사홈과, 상기 나사홈에 나사조립되어 보석난집을 삽입홈에서 고정 및 탈거를 가능하게 하는 스크루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보석을 피부와 접촉되게 설치한 장신구
본 고안은 장신구(예로, 반지, 목걸이의 펜던트, 귀고리, 팔찌)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장신구에 설치되는 보석(모조 보석을 포함)이 인체(피부)에 직접 닿게 함과 동시에 보석을 장신구에서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여 보석을 계절별 또는 월별로 교체 가능하게 하는 보석을 피부와 접촉되게 설치한 장신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지, 목걸이의 펜던트, 귀고리, 팔찌와 같이 몸에 지니게 되는 장신구에는 그 모양을 화려하게 하거나 또는 장식을 위해 보석이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보석은 외부에서 식별 가능하여 장신구의 외표면에 부착되게 되며, 또한 장신구의 외표면에 부착된 보석은 교체 및 교환이 어렵게 부착되어 있다.
제1도는 종래 장신구에 있어서, 일례로 반지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반지(100)는 손가락에 끼는 링(102)과, 필요에 따라 링(102)의 외표면에 보석(104)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반지(100)는 링(102)을 손가락에 끼워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사용되는 종래 반지(100)의 경우에는, 링(102)의 외표면에 설치된 보석(104)이 고정형태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교환 및 교체가 쉽지 않을뿐더러, 특히 보석(104)을 교환 또는 교체하기 위해, 보석(104)을 반지(100)로부터 탈거시키는 과정에서 보석(104)이 반지(100)에 직접 고정되어 있기때문에 탈거되는 과정에서 탈거공구 등에 의한 흠집 내지는 예리한 부분에서의 일부 파손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보석(104)은 반지(100)의 외표면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직접 보이기 때문에 오래 착용하게 되면 보석(104)에 대한 실증을 느끼게 되고, 동시에 보석(104)에 대한 애착을 갖지 못하게 된다. 한편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보석(104)을 교체하려고 해도 앞서 설명한 문제점으로 인해 쉽게 다른 보석으로 교체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갖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보석의 교체 및 교환을 용이하게 하면서 동시에 보석의 교체 및 교환시 흠집 내지는 예리한 부분에서의 파손을 없애고, 보석의 보존에 편의를 갖게 하며, 또한 보석이 피부에 직접 닿게 하면서 외부에서는 보이지 않게 하여 보석에 대한 실증을 느끼지 않게 하는 보석을 피부와 접촉되게 설치한 장신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장신구의 피부와 접촉되는 면을 통해 형성되는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을 통해 삽입되는 보석난집 및 이 보석난집에 고정되어 피부와 접촉되는 보석과, 상기 장신구의 측면을 통해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의 일 측과 관통되는 나사홈과, 상기 나사홈에 나사 조립되어 보석난집을 삽입홈에서 고정 및 탈거를 가능하게 하는 스크루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도는 종래 반지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예시한 반지의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분해사시도.
제4도는 제2도의 조립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 목걸이 펜던트의 분해사시도.
제6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 귀고리의 분해사시도.
제7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 팔찌의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반지 11 : 링
12 : 내측 면 13 : 삽입홈
14 : 보석난집 15 : 보석
16 : 측면 17 : 나사홈
18 : 스크루 20 : 목걸이 펜던트
30 : 귀고리 40 : 팔찌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2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반지의 사시도이고, 제3도는 제2도의 분해사시도이며, 제4도는 제2도의 조립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제2도 내지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지(10)에 있어 피부와 접촉되는 링(11)의 내측 면(12)을 통해 형성되는 삽입홈(13)과, 상기 삽입홈(13)을 통해 삽입되는 보석난집(14) 및 이 보석난집(14)에 고정되어 피부와 접촉되는 보석(15)과, 상기 반지(10)의 측면(16)을 통해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13)의 일 측과 관통되는 나사홈(17)과, 상기 나사홈(17)에 나사 조립되어 보석난집(14)을 삽입홈(13)에서 고정 및 탈거를 가능하게 하는 스크루(18)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반지(10)에 의하면 보석(15)이 고정된 보석난집(14)을 삽입홈(13)에 삽입한다. 이때 보석(15)은 링(11)의 내측 면(12)에서 약간 돌출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태에서 스크루(18)를 나사홈(17)에 나사 조립함으로서 나사홈(17)의 일 측이 삽입홈(13)과 관통된 것에 의해 보석난집(14)을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반지(10)는 링(11)을 손가락에 끼워 사용하게 된다. 이때 보석(15)은 링(11)의 면(12)으로부터 약간 돌출되어 피부와 확실하게 접촉되게 된다.
이후, 반지(10)에 설치된 보석(15)을 월 또는 계절을 의미하는 다른 보석으로 교체 또는 교환시키려면 상기 스크루(18)를 푼 다음 반지(10)를 약간 흔들면 보석난집(14)이 삽입홈(13)에서 빠지게 된다. 이때 보석(15)은 보석난집(14)에 있기 때문에 흠집이 나거나 파손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는 것이다.
제5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 목걸이 펜던트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목걸이 펜던트(2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반지(10)와 동일한 형태로 보석(15)이 설치된다.
즉, 목걸이 펜던트(20)에 있어 피부와 접촉되는 면(12)을 통해 형성되는 삽입홈(13)과, 상기 삽입홈(13)을 통해 삽입되는 보석난집(14) 및 이 보석난집(14)에 고정되어 피부와 접촉되는 보석(15)과, 상기 목걸이 펜던트(20)의 측면(16)을 통해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13)의 일 측과 관통되는 나사홈(17)과, 상기 나사홈(17)에 나사 조립되어 보석난집(14)을 삽입홈(13)에서 고정 및 탈거를 가능하게 하는 스크루(18)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목걸이 펜던트(20)에 의하면 보석(15)이 고정된 보석난집(14)을 삽입홈(13)에 삽입한다. 이때 보석(15)은 면(12)에서 약간 돌출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태에서 스크루(18)를 나사홈(17)에 나사 조립함으로서 나사홈(17)의 일 측이 삽입홈(13)과 관통된 것에 의해 보석난집(14)을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걸이 펜던트(20)는, 체인(도시생략)에 목걸이 펜던트(20)를 걸어 목걸이를 완성하여 목에 걸어 사용하게 된다. 이때 보석(15)은 면(12)으로부터 약간 돌출되어 목부분의 피부와 확실하게 접촉되게 된다.
이후, 목걸이 펜던트(20)에 설치된 보석(15)을 월 또는 계절을 의미하는 다른 보석으로 교체 또는 교환시키려면 상기 스크루(18)를 푼 다음 반지(10)를 약간 흔들면 보석난집(14)이 삽입홈(13)에서 빠지게 된다. 이때 보석(15)은 보석난집(14)에 있기 때문에 흠집이 나거나 파손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는 것이다.
제6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 귀고리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귀고리(3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반지(10)와 동일한 형태로 보석(15)이 설치된다.
즉, 귀고리(30)에 있어 피부와 접촉되는 면(12)을 통해 형성되는 삽입홈(13)과, 상기 삽입홈(13)을 통해 삽입되는 보석난집(14) 및 이 보석난집(14)에 고정되어 피부와 접촉되는 보석(15)과, 상기 귀고리(30)의 측면(16)을 통해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13)의 일 측과 관통되는 나사홈(17)과, 상기 나사홈(17)에 나사 조립되어 보석난집(14)을 삽입홈(13)에서 고정 및 탈거를 가능하게 하는 스크루(18)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귀고리(30)에 의하면 보석(15)이 고정된 보석난집(14)을 삽입홈(13)에 삽입한다. 이때 보석(15)은 면(12)에서 약간 돌출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태에서 스크루(18)를 나사홈(17)에 나사 조립함으로서 나사홈(17)의 일 측이 삽입홈(13)과 관통된 것에 의해 보석난집(14)을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귀고리(30)는, 귓불에 걸어 사용하게 된다. 이때 보석(15)은 면(12)으로부터 약간 돌출되어 귀부분의 피부와 확실하게 접촉되게 된다.
이후, 귀고리(30)에 설치된 보석(15)을 월 또는 계절을 의미하는 다른 보석으로 교체 또는 교환시키려면 상기 스크루(18)를 푼 다음 반지(10)를 약간 흔들면 보석난집(14)이 삽입홈(13)에서 빠지게 된다. 이때 보석(15)은 보석난집(14)에 있기 때문에 흠집이 나거나 파손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는 것이다.
제7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 팔찌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팔찌(4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반지(10)와 동일한 형태로 보석(15)이 설치된다.
즉, 팔찌(20)에 있어 피부와 접촉되는 링(11)의 내측 면(12)을 통해 형성되는 삽입홈(13)과, 상기 삽입홈(13)을 통해 삽입되는 보석난집(14) 및 이 보석난집(14)에 고정되어 피부와 접촉되는 보석(15)과, 상기 팔찌(40)의 측면(16)을 통해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13)의 일 측과 관통되는 나사홈(17)과, 상기 나사홈(17)에 나사 조립되어 보석난집(14)을 삽입홈(13)에서 고정 및 탈거를 가능하게 하는 스크루(18)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팔찌(40)에 의하면 보석(15)이 고정된 보석난집(14)을 삽입홈(13)에 삽입한다. 이때 보석(15)은 면(12)에서 약간 돌출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태에서 스크루(18)를 나사홈(17)에 나사 조립함으로서 나사홈(17)의 일 측이 삽입홈(13)과 관통된 것에 의해 보석난집(14)을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팔찌(40)는, 손목에 걸어 사용하게 된다. 이때 보석(15)은 면(12)으로부터 약간 돌출되어 손목부분의 피부와 확실하게 접촉되게 된다.
이후, 팔찌(40)에 설치된 보석(15)을 월 또는 계절을 의미하는 다른 보석으로 교체 또는 교환시키려면 상기 스크루(18)를 푼 다음 팔찌(40)를 약간 흔들면 보석난집(14)이 삽입홈(13)에서 빠지게 된다. 이때 보석(15)은 보석난집(14)에 있기 때문에 흠집이 나거나 파손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장신구로 설명한 반지(10), 목걸이 펜던트(20), 귀고리(30), 팔찌(40)는 금, 은, 백금, 금합금 등의 재료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보석(15)은 고가의 보석(예로, 사파이어, 에메랄드, 다이아몬드 등)이 사용될 수 있고, 또한 값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모조 보석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한편 상기와 같이 반지(10), 목걸이 펜던트(20), 귀고리(30), 팔찌(40)등의 장신구에 설치되는 보석은, 이외에도 이와 유사한 손목시계의 시계줄에 설치하여 사용될 수 있다. 즉, 피부와 접촉되는 시계줄의 내측 면에 앞서 설명한 보석 설치방식으로 보석을 설치함으로서 보석이 손목부의 피부와 접촉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장신구로부터 보석을 월별 또는 계절별 교체 및 교환을 용이하게 하면서 동시에 보석의 교체 및 교환시 흠집 내지는 예리한 부분에서의 파손을 없애고, 보석의 보존에 편의를 갖게 하며, 또한 보석이 피부에 직접 닿게 하면서 외부에서는 보이지 않게 하여 보석에 대한 실증을 느끼지 않게 하는 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

Claims (5)

  1. 장신구의 피부와 접촉되는 면(12)을 통해 형성되는 삽입홈(13)을 형성한 장신구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13)을 통해 삽입되는 보석난집(14) 및 이 보석난집(14)에 고정되어 피부와 접촉되는 보석(15)과, 상기 장신구의 측면(16)을 통해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13)의 일측과 관통되는 나사홈(17)과, 상기 나사홈(17)에 나사조립되어 보석난집(14)을 삽입홈(13)에서 고정 및 탈거를 가능하게 하는 스크루(18)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석을 피부와 접촉되게 설치한 장신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신구는 반지(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석을 피부와 접촉되게 설치한 장신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신구는 목걸이 펜던트(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석을 피부와 접촉되게 설치한 장신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신구는 귀고리(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석을 피부와 접촉되게 설치한 장신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신구는 팔찌(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석을 피부와 접촉되게 설치한 장신구.
KR2019980001446U 1998-02-09 1998-02-09 보석을 피부와 접촉되게 설치한 장신구 KR2001871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1446U KR200187134Y1 (ko) 1998-02-09 1998-02-09 보석을 피부와 접촉되게 설치한 장신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1446U KR200187134Y1 (ko) 1998-02-09 1998-02-09 보석을 피부와 접촉되게 설치한 장신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6345U KR980006345U (ko) 1998-04-30
KR200187134Y1 true KR200187134Y1 (ko) 2000-07-01

Family

ID=19531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1446U KR200187134Y1 (ko) 1998-02-09 1998-02-09 보석을 피부와 접촉되게 설치한 장신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713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6345U (ko) 199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507177S1 (en) Interchangeable ornamental encasing for jewelry treasures
JP4333882B2 (ja) 宝石の不可視嵌合
US6769270B2 (en) Detachable pendant mounting
US20110146347A1 (en) Magnetic jewelry
US6012302A (en) Jewelry assembly with stones on sidewalls of setting
US11109653B2 (en) Jewelry ornament with clasp mechanism
US4220018A (en) Display device for ornamental objects
JP2007268242A (ja) 装飾石の固着方法および宝飾品
WO2005025365A3 (en) Jewelry setting, particularly suited for displaying multiple faces or gem stones
KR200187134Y1 (ko) 보석을 피부와 접촉되게 설치한 장신구
KR200488439Y1 (ko) 액세서리용 펜던트
KR200418686Y1 (ko) 귀고리
CN209528112U (zh) 一种拥有多种佩戴方式的可灵活晃动首饰
JP2000093216A (ja) 指輪用装飾カバー
KR200331806Y1 (ko) 귀금속 장신구의 체결구조
US11470926B1 (en) Jewelry item with rotating ornaments, and methods for its use
KR102040699B1 (ko) 정위치 고정이 가능한 장신구용 힌지구조
KR200348877Y1 (ko) 장신구
KR200301512Y1 (ko) 장식부속구
KR20090011868U (ko) 장신구
KR200388447Y1 (ko) 목걸이용 팬던트
KR200179934Y1 (ko) 장신구
JP3101066U (ja) 装身具
KR200310401Y1 (ko) 장신구의 보석 고정구조
CN109452737A (zh) 一种拥有多种佩戴方式的可灵活晃动首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