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7093Y1 - 압력계 케이스 - Google Patents

압력계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7093Y1
KR200187093Y1 KR2020000000979U KR20000000979U KR200187093Y1 KR 200187093 Y1 KR200187093 Y1 KR 200187093Y1 KR 2020000000979 U KR2020000000979 U KR 2020000000979U KR 20000000979 U KR20000000979 U KR 20000000979U KR 200187093 Y1 KR200187093 Y1 KR 2001870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pressure gauge
flange
front case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09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금자
Original Assignee
이금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금자 filed Critical 이금자
Priority to KR20200000009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70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70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7093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14Housings
    • G01L19/142Multiple part housings
    • G01L19/144Multiple part housings with dismountable parts, e.g. for maintenance purposes or for ensuring sterile condi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7/00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 G01L7/02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in the form of elastically-deformable gauges
    • G01L7/04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in the form of elastically-deformable gauges in the form of flexible, deformable tubes, e.g. Bourdon gauges
    • G01L7/043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in the form of elastically-deformable gauges in the form of flexible, deformable tubes, e.g. Bourdon gauges with mechanical transmitting or indicat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압력계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프론트 케이스와 플랜지를 별도로 제작하고 상기 플랜지가 프론트 케이스의 외주에 삽입될 수 있는 홈을 형성하고 상기 프론트 케이스의 프론트 측에 위치하도록 플랜지를 배치하여 용접에 의하여 결합하여 프론트 케이스가 기계장치의 패널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압력계가 부착되는 기계장치의 공정을 복잡하게 하지 않으면서 기계장치의 미려함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기계장치의 이동시 또는 작업자의 실수로 인하여 압력계가 파손되는 것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압력계 케이스{Pressure gauge case}
본 고안은 압력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압력계를 각종 기계장치에 부착하는 경우 외력에 의한 파손 등의 우려를 줄이고, 기계장치의 미려함을 증대시키기 위한 압력계 케이스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력계(壓力計, pressure gauge)는 닫힌 용기내의 액체 또는 기체의 압력 혹은 重力에 의해서 일어나는 압력을 측정하는 계기(計器)로서 여러가지 종류가 있는 데 보통 부르동(Bourdon) 압력계가 쓰인다. 상기한 압력계는 통상적으로 눈금 및 지침을 수용하고 있는 프론트 케이스와, 상기 프론트 케이스와 나사 등으로 결합되어 부르동관 등을 수용하고 있는 리어 케이스를 구비하고 있다.
도 4는 일반적인 압력계 케이스를 나타내고 있는 단면도로서, 상기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3)가 각종 기계장치의 패널(105)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3)는 패널(105)에 고정하기 위한 플랜지(101a, 103a)가 마련되는데, 상기 플랜지(101a, 103a)는 프론트 및 리어 케이스(101, 103)가 프레싱(pressing)에 의하여 제작되므로 각각의 프론트 및 리어 케이스(101, 103)의 개구측에 형성된다. 이러한 플랜지(101a, 103a)는 프론트 및 리어 케이스(101, 103)의 중간부분에 마련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압력계 케이스는 각종 기계 장치의 패널(105) 나사 또는 볼트 등의 체결부재에 의하여 체결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압력계 케이스는 플랜지(101a, 103a)가 압력계 케이스의 중간부에 마련되기 때문에 패널(105)에 결합시키는 경우에 프론트 케이스(103)가 패널의 외부로 돌출되는 상태로 조립된다. 이와 같이 프론트 케이스(103)가 기계 장치의 패널(105)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조립되면 미관상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기계 장치를 이동시키는 경우 또는 작업자들의 부주의로 인하여 프론트 케이스(103)가 쉽게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압력계가 부착될 기계장치의 패널을 제작할 때 기계장치에 부착되는 압력계의 프론트 케이스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플랜지에서 프론트 케이스의 프론트 측까지의 거리만큼 기계장치의 패널을 절곡하여 제작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기계장치의 패널내부로 압력계가 수납되어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장점은 있으나, 패널을 절곡하여 제작하게 되므로 부착되어야 할 압력계 등이 많은 경우에는 패널의 가공 공정이 복잡하여 생산비용의 증대 등으로 생산성이 떨어지는 또 다른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압력계가 부착되는 기계장치의 생산비용을 증대시키지 않으면서 기계 장치에 부착되는 압력계의 미려함을 증대시키고, 압력계가 부착되는 기계장치의 이동시 또는 작업자의 부주의에 의한 압력계의 파손을 방지하는 압력계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부르동관 등이 수용되는 리어 케이스와, 상기 리어 케이스에 일부가 겹쳐져 끼움 결합되고, 체결부재에 의하여 상기 리어 케이스와 일체로 결합되며 지침 및 눈금 등이 수용되는 프론트 케이스와, 기계장치의 패널에 압력계 케이스가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프론트 케이스의 외주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프론트 케이스의 프론트 측에 인접한 위치에 고정 결합되는 플랜지를 포함하는 압력계 케이스를 제공한다.
따라서 프론트 케이스의 프론트측에 인접한 위치에 플랜지의 구멍을 삽입하여 끼움 결합하고 상기 플랜지와 상기 프론트 케이스를 고정 결합하고, 리어 케이스를 별도의 체결부재에 끼움 결합하여 압력계 케이스를 제작하고, 상기 플랜지를 기계장치의 패널에 체결부재로 결합하여 압력계 케이스와 기계장치의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최소화시킨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는 압력계 케이스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사용 상태도,
도 4는 종래의 압력계 케이스의 장착상태를 나타내고 있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도시한 압력계 케이스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로서, 압력계의 프론트 케이스(1), 리어 케이스(3) 그리고 플랜지(5)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프론트 케이스(1)는 원통형의 개구부를 가지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눈금 및 상기 눈금을 가리키는 지침이 수용되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프론트 케이스(1)는 리어 측 외주에는 복수의 나사공(1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리어 케이스(3)는 상기 프론트 케이스(1)와 마찬가지로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내부에 부르동관 등이 수용되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기 리어 케이스(3)는 상기 프론트 케이스(1)의 나사공(1a)과 대응하도록 외주에 또 다른 나사공(3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나사공(1a, 3a)을 통하여 상기 프론트 및 리어 케이스(1, 3)를 복수의 나사(6)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하게 된다.
또한 상기 프론트 케이스(1)와 리어 케이스(3), 그리고 플랜지(5)는 각각 별도로 프레싱에 의하여 제작된다.
한편, 플랜지(5)는 중앙부에 구멍(5a)이 형성되어 있는 형태의 원판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구멍(5a)은 프론트 케이스(1)의 외주에 삽입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 플랜지(5)는 구멍(5a)을 통하여 상기 프론트 케이스(1)의 프론트측에 배치되도록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플랜지(5)와 상기 프론트 케이스(1)가 접촉하는 부분을 용접으로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플랜지(5)와 케이스(1)의 프론트 측과의 간격은 가능한 한 최소로의 높이를 가지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플랜지(5)는 면을 관통하도록 다수의 체결공(5b, 5c)을 형성하여 기계장치의 패널(7, 도 3에 도시하고 있음)과 나사 등의 체결부재로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압력계 케이스는, 플랜지(5)의 구멍(5a)에 프론트 케이스(1)의 외주가 삽입되도록 배치한다. 이때 상기 플랜지(5)는 프론트 케이스(1)의 프론트 측과 가장 인접하는 위치에 오도록 배치하고 상기 프론트 케이스(1)와 플랜지(5)가 접촉하는 부분을 용접하여 결합한다.
그리고 각각 프론트 케이스(1) 및 리어 케이스의 내부에 눈금 및 눈금을 가리키는 지침 및 부르동관 등의 압력 측정에 필요한 부품을 삽입하여 결합한 후 나사(6) 등의 체결부재를 각각의 나사공(1a, 3a)에 삽입하여 상기 프론트 및 리어 케이스(1, 3)를 체결한다. 그리고 기계장치의 패널(7)에 상기 프론트 케이스(1)의 직경 정도의 구멍을 만들고 상기 플랜지(5)의 체결공(5b, 5c, 5d)을 통하여 체결부재로 결합한다. 그러면 상기 프론트 케이스(1)가 기계장치의 패널의 앞쪽으로 돌출되지 않고 결합된다. 따라서 기계장치의 패널(7) 제작은 작업공정이 까다로운 절곡 공정을 거치지 않고 기존의 간단한 방법으로 제작하여 생산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계 케이스가 기계장치의 패널의 앞쪽으로 돌출되지 않음으로서 외관상 미려함이 증대됨은 물론 기계장치의 이동시나 작업자의 사소한 실수로 압력계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압력계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와 플랜지를 별도로 제작하여 프론트 케이스의 프론트측에 인접한 위치에 용접에 의하여 결합시킴으로서 기계장치에 플랜지를 결합시키는 경우에 프론트 케이스가 기계장치의 패널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압력계가 부착되는 기계장치의 공정을 복잡하게 하지 않으면서 기계장치의 미려함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기계장치의 이동시 또는 작업자의 실수로 인하여 압력계가 파손되는 것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부르동관 등이 수용되는 리어 케이스와,
    상기 리어 케이스에 일부가 겹쳐져 끼움 결합되고, 체결부재에 의하여 상기 리어 케이스와 일체로 결합되며 지침 및 눈금 등이 수용되는 프론트 케이스와,
    기계장치의 패널에 압력계 케이스가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프론트 케이스의 외주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프론트 케이스의 프론트측에 인접한 위치에 고정 결합되는 플랜지,
    를 포함하는 압력계 케이스.
KR2020000000979U 2000-01-14 2000-01-14 압력계 케이스 KR2001870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0979U KR200187093Y1 (ko) 2000-01-14 2000-01-14 압력계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0979U KR200187093Y1 (ko) 2000-01-14 2000-01-14 압력계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7093Y1 true KR200187093Y1 (ko) 2000-06-15

Family

ID=19637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0979U KR200187093Y1 (ko) 2000-01-14 2000-01-14 압력계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709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0709B1 (ko) 2012-01-11 2013-07-01 현대위아 주식회사 압력게이지 패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0709B1 (ko) 2012-01-11 2013-07-01 현대위아 주식회사 압력게이지 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3228B1 (ko) 부르동관 압력계
US11286695B2 (en) Vehicle door handle mounting structure
KR200187093Y1 (ko) 압력계 케이스
US6513262B1 (en) Displacement measuring device
CN100435181C (zh) 显示面板的安装结构
KR100609872B1 (ko) 컴퓨터장치
JP3717621B2 (ja) 圧力範囲表示針を有する圧力計
EP1006418A1 (en) Sensor mounting structure and electronics and watch having the structure
US11690186B2 (en) Panel module unit
EP0335367A2 (en) Attaching structure of optical fibers in photoelectric switch
JPH10274550A (ja) 圧力計における設定圧範囲表示装置
JP2002071499A (ja) 圧力センサ
JPH0726798Y2 (ja) 回転指標の回転量検出器取付具
US4646574A (en) Pressure gauge housing made of synthetic material
US4545256A (en) Integral solid front gauge case for a pressure gauge
CA1218878A (en) Integral solid front gauge for a pressure gauge
JPH08244086A (ja) 圧力検出ピン
US9723730B2 (en) Beam bar snap in an electronic device
JP2591239Y2 (ja) 光結合装置
KR0130579Y1 (ko) 압력범위표시침을 보유하는 압력계
JP2003312361A (ja) 車両用ドアミラー
JPS6073Y2 (ja) 電気アイロンの表示取付装置
JP2004077330A (ja) 表示装置
JPH025433Y2 (ko)
JPH03898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41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