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6386Y1 - 셀렉션 밸브용 플런저의 개선구조 - Google Patents

셀렉션 밸브용 플런저의 개선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6386Y1
KR200186386Y1 KR2019970035262U KR19970035262U KR200186386Y1 KR 200186386 Y1 KR200186386 Y1 KR 200186386Y1 KR 2019970035262 U KR2019970035262 U KR 2019970035262U KR 19970035262 U KR19970035262 U KR 19970035262U KR 200186386 Y1 KR200186386 Y1 KR 2001863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nger
selection valve
airtight ring
gas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52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2961U (ko
Inventor
김명호
Original Assignee
김명호
한국하론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호, 한국하론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명호
Priority to KR20199700352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6386Y1/ko
Publication of KR199900229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296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63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638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0Pipe-line systems wet, i.e. containing extinguishing material even when not in use
    • A62C35/605Pipe-line systems wet, i.e. containing extinguishing material even when not in use operating and sounding alarm automaticall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셀렉션 밸브용 플런저의 개선구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소화용 가스의 배출관로에 설치된 셀렉션 밸브의 내부 플런저 하부 구조를 이체로 구성하고 그 사이에 끼워 조립되는 기밀링이 어떠한 가스압력이나 충격에도 이탈 및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하여 화재 진화후 복구작업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절감하고 셀렉션 밸브의 사용 수명을 장구히 유지시킬 수 있게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셀렉션 밸브용 플런저의 개선구조
본 고안은 셀렉션 밸브용 플런저의 개선구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소화용 가스의 배출관로에 설치된 셀렉션 밸브의 내부 플런저 하부 구조를 이체로 구성하고 그 사이에 끼워 조립되는 기밀링이 어떠한 가스압력이나 충격에도 이탈 및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하여 화재 진화후 복구작업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절감하고 셀렉션 밸브의 사용 수명을 장구히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셀렉션 밸브용 플런저의 개선구조에 관한 것이다.
산업의 발달에 따른 주거 및 사무용 건축물은 갈수록 고층화, 고도화로 이루어지는 추세이고, 이러한 추세에 부응하여 건물관리에 따른 각 분야의 자동화 또한 속속 이루어지며, 이는 화재 발생의 예방시설 및 진화시설을 대표적으로 들수 있다.
상기의 화재 예방 및 진화시설은 건물의 각 층에 화재 감지수단과 스프링클러와 같은 진화 수단이 복수개 이상 구획 분포되어 있고, 이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는 통상 지하1층 또는 2층에 설치되어 관리자가 이를 수시로 점검하는 형태로 운영된다.
이러한 화재 예방 및 진화시설의 운영 및 작동 상태를 간단히 살펴보면, 건물의 각 층에 설치되어 있는 화재 감지기가 연기 또는 열을 감지하여 지하에 위치한 제어장치에 화재 발생신호를 보내게 된다.
제어시스템에 화재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건물의 각 층에 소리신호 즉, 경보음을 울림으로서 입주자 및 사용자들을 대비하게 하고 수초후에 진화용가스 및 진화수를 건물의 각 층에 기 설치되어 있는 스프링클러에 공급되고, 이를 분출하여 화재를 조기에 진화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어시스템의 작동신호에 따라 작동 및 공급되는 진화용 가스는 전기적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솔레노이드를 작동시켜 밸브 개방용 압축가스의 통로를 열어 줌으로서 상기 밸브 개방용 압축 가스가 공급되고, 유도 호스를 따라 공급된 개방용 압축가스는 셀렉션 밸브의 상부에 설치된 액츄에이터를 작동시켜 스프링으로 탄성지지된채 횡설된 작동봉의 끝단 외측에 핀 결합된 작동편을 눌러 줌으로써, 상기 작동봉을 일측으로 구간회전 시킨다.
이러한 개방용 압축 가스의 공급에 의해 작동봉이 일측으로 회전되면, 상기 작동봉의 중간부에 형성된 공간부 하부면에 지지되어 있던 스토퍼의 끝단이 그 공간부에 위치되어 탄성지지되어 있던 스토퍼가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상부로 회전하는 형태로 해지됨과 동시에 셀렉션 밸브의 내부에 위치를 플런저가 작동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같은 형태로 스토퍼를 해지하여 줌으로써, 셀렉션 밸브의 본체 내에 설치된 플런저를 작동 대기상태로 유지시킨 개방용 압축 가스는 액츄에이터 일측의 배출구 및 그 유도호스를 따라 이동하여 소화용 가스용기의 상부에 설치된 액츄에이터를 작동시켜 소화용 메인가스의 통로를 개방시키는 작용을 하고, 회수되어 재사용되거나 무해 가스의 경우 대기로 방출된다.
상기의 개방용 압축 가스에 의해 소화용 가스의 통로가 개방되면 상기 소화용 가스가 관로를 따라 이동하여 셀렉션 밸브의 하부에 이르게 되고 그 가스 압력에 의해 해정 상태인 플런저가 상부로 밀려 올라가 상승하면서 상기 셀렉션 밸브의 본체 내부를 개방하게 되며 이를 경유하여 그 일측의 통로를 따라 계속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형태로 이동된 소화용 가스는 화재 발생지인 건물의 긴 해당층 스프링클러에 이동되어 분사 및 분출 됨으로써, 소기의 목적하는 화재의 진화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셀렉션 밸브내에 설치된 플런저는 소화용 가스의 분출압력, 즉 가스압에 의해 밀려 올라가 상승하면서 그 내부에 가스유통로를 형성하는 구성을 갖고있기 때문에 상기 플런저가 소화용 가스의 분출압력에 의해 급 상승하면서 플런저의 하부측에 끼워져 있는 기밀링(0링)이 상기 셀렉션 밸브의 본체 내면과 당접되어 있는 상태로 밀려 올라가게되어 그 접촉면이 뒤집히는 형태로 변형되면서 상기 플런저의 하부측에서 이탈 및 분리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형태로 이탈된 기밀링은 셀렉션 밸브의 내부에 잔류하게 되므로 소화후 복구하는 과정에서 이를 발견하지 못하고 재사용 할 경우 관로를 부분 폐쇄하게 되거나, 이를통해 가스가 누설될 우려가 남아 있어 안전사고를 일으키게되는 주 요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안전사고의 유발 가능성 때문에 통상 화재후 복구작업시 기 사용된 셀렉션 밸브를 폐기하고 새로운 제품으로 교체하여 장착하게 되는데, 이는 간단한 부품인 기밀링의 구조적 결점으로 인한 플런저로 부터의 이탈로 인해 고가의 셀렉션 밸브 자체를 교체해야만 하므로서 비 경제적인 문제를 야기시키고, 이로인한 셀렉션 밸브의 사용수명을 단축 시키게되는 등의 개선해야 할 문제가 상존하고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상기의 종래 셀렉션 밸브용 플런저가 갖는 구조적 결함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이를 제공하는 목적은 셀렉션 밸브의 내부에 장착된 플런저의 기밀링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상기 기밀링이 플런저로부터 이탈 및 분리되지 않게 함으로써, 그 사용수명을 장구히 유지시키고 경제성, 즉 복구작업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게 하려는데 있다.
제1도는 본 고안이 장착되는 셀렉션 밸브를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를 발췌 도시한 플런저의 부분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셀렉션 밸브 2 : 플런저
3 : 기밀링 4 : 스토퍼
21 : 환테 22 : 나사홈
31,32, : 상,하걸림턱 51 : 돌출환테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서는 플런저의 하부를 분리하여 이체로 구성하고 그 사이에는 이탈방지용 환테가 상하부를 일체로된 기밀링을 조립식으로 끼워 결합함으로써, 가능하였는데 이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 제1도 및 제2도에서 보여주는 바와같이, 셀렉션 밸브(1)의 내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플런저(2)의 본체 하부에 기밀링(3)이 끼워지고 그 상면이 외측 상부에서 탄성지지하는 스토퍼(4)에 의해 지지되어 내부통로를 개폐구성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2)의 본체 하부가 분리되어 이에 결합되는 결합체(5)가 형성되고 그 상부 외면에 이탈 불가능한 기밀링(3)에 끼워넣어져 상호 나사결합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분할된 플런저(2) 본체의 하부면에는 환테(21)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그 중앙부에는 나사홈(22)이 형성되며, 상기 나사홈(22)에는 외주에 형성된 돌출환테(51)의 내면에 상,하걸림턱(31),(32)을 갖는 기밀링(3)을 끼운 결합체(5)의 상부가 나사 결합되는바, 상기 기밀링(3)의상부걸림턱(31)은 상기 플런저(2)의 본체 하부면에 형성된 환테(21)의 내면에 끼워져 그 중간부의 돌출면(33)이 상기 플런저(2) 본체의 하부에 형성된 환테(21)와 결합체(5)의 외주에 형성된 돌출환테(51) 사이에 노출되도록 돌출설치되어 이루어진다.
미설명 부호로써, 6은 셀렉션 밸브(1)의 상부에 설치된 액츄에이터, 11은 셀렉션 밸브(1)의 하부측 내면에 끼워져 플런저(2)를 지지해주는 조립체, 52는 결합체(5)의 기밀링(3) 수용홈, 53은 결합체(5)의 상부에 형성된 나사부를 각각 나타낸다.
이와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이를 제작함에 있어 상기 플런저(2)의 하부를 절삭 가공하여 기밀링(3)의 상부걸림턱(31)을 수용할 수 있도록 환테(21)를 형성하고 그 하부 중앙부에 나사홈(22)을 가공한다.
다음, 결합체(5)의 상면 외측을 가공하여 기밀링(3)의 하부걸림턱(32)을 수용하는 수용홈(52)을 형성하는 것에 형성되는 돌출환테(51)의 내면에 상,하부 걸림턱(31),(32)과 그 중간부 외측에 돌출면(33)이 일체로된 기밀링(3)을 끼우고, 이러한 상태로 그 상부 중앙부에 일체로 형성된 나사부(53)를 상기 플런저(2) 본체의 하부에 형성된 나사홈(22)에 끼워 상호 나사결합하게 되므로 그 제작 및 조립작업은 매우 간단 용이하다.
이러한 형태로 조립 완성된 플런저(2)는 기존의 조립 방법에 따라 셀렉션 밸브(1) 본체 내부의 하부에서부터 끼워져 이를 지지하는 조립체(11)에 의해 지지 고정되고 건물의 소화 설비 관로에 투입되어 소기의 임무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셀렉션 밸브(1)가 장착되어 있는 건물에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 종래와 같이 감지기로부터 화재감지 신호를 제어시스템(미도시됨)에서 받아 경보음을 올리고, 수초후 개방용 압축가스가 솔레노이드의 작동에 의해 개방되어 셀렉션 밸브(1) 상부의 액츄에이터(6)를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플런저(2)의 상부를지지 고정하고 있는 스토퍼(4)를 해정시켜 상기 플런저(2)를 상승 가능하도록 작동대기 시킨다.
상기 스토퍼(4)의 해정에 의해 플런저(2)가 작동 대기상태가 되면 상기 개방용 압축가스가 관로를 따라 이동하여 소화용 가스가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키게 되고, 상기 소화용 가스의 용기를 개방함으로써 소화용 가스가 메인 관로를 따라 이동하여 셀렉션 밸브(1)의 하부에 이르게 되며, 이때 소화용 가스의 압력이 작용하여 작동 대기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플런저(2)를 상부로 밀어 상승시키면서 상기셀렉션 밸브(1)의 내부에 가스 이동통로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플런저(2)의 하부측에 조립 결합되어 있는 기밀링(3)은 결합체(5)와 플런저(2)의 몸체 하부측에 형성되어 있는 각각의 환테(21),(51)에 상기 기밀링(3)의 상,하부걸림턱(31),(32)이 각각 끼워져 지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기밀링(3)의 외측 중간부에 일체로 형성된 돌출면(33)이 상기 셀렉션 밸브(1)의 내면에 면접되어 있는 상태에서 가스압력을 받아 상기 플런저(2)가 급 상승한다 하여도 상기 기밀링(3)이 플런저(2)의 하부와 결합체(5) 사이에서 이탈되지 않고 그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채 상승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소화용 가스의 가스압에 의해 플런저(2)가 상승 되므로서 상기 셀렉션 밸브(1)의 내부에 이동통로가 형성되고 그 관로를 따라 이동한 소화용 가스는 건물의 해당되는 화재 발생지에 기 설치되어 있는 스프링클러를 통해 분사분출되어 화재의 진화작용을 하게 된다.
이러한 플런저(2)의 기밀링(3) 결합구조는 상기 기밀링(3)이 플런저(2)의 하부에서 이탈되는 근본적인 문제를 해소함으로써, 화재의 진화작업후 복구 작업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대폭 절감하고, 결국 상기 셀렉션 밸브(1)의 사용 수명을 연장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셀렉션 밸브의 내부에 플런저의 기밀링 결합구제6조를 개선하여 종래 셀렉션 밸브용 플런저가 갖는 구조적 결함을 해소 함으로써, 어떠한 가스 압력이나 충격에도 기밀링이 플런저로부터 이탈 및 분리되지 않게 되었고, 그로인해 복구작업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대폭 절감할 수 있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이는 셀렉션 밸브의 사용 수명을 장구히 유지시켜 고가의 셀렉션 밸브를 교체하지 않아도 되는 경제성을 갖는 매우 유익한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Claims (1)

  1. 셀렉션 밸브(1)의 내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플런저(2)의 본체 하부에 기밀링(3)이 끼워지고 그 상면이 외측 상부에서 탄성지지하는 스토퍼(4)에 의해 지지되어 내부 통로를 개폐구성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2)의 본체 하부가 분리되어 이에 결합되는 결합체(5)가 형성되고 그 상부 외면에 이탈 불가능한 기밀링(3)에 끼워넣어져 상호 나사결합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분할된 플런저(2) 본체의 하부면에는 환테(21)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그 중앙부에는 나사홈(22)이 형성되며, 상기 나사홈(22)에는 외주에 형성된 돌출환테(51)의 내면에 상,하걸림턱(31),(32)을 갖는 기밀링(3)을 끼운 결합체(5)의 상부가 나사 결합되는바, 상기 기밀링(3)이 상부걸림턱(31)은 상기 플런저(2)의 본체 하부면에 형성된 환테(21)의 내면에 끼워져 그 중간부의 돌출면(33)이 상기 플런저(2) 본체의 하부에 형성된 환테(21)와 결합체(5)의 외주에 형성된 돌출환테(51) 사이에 노출되도록 돌출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렉션 밸브용 플런저의 개선구조.
KR2019970035262U 1997-12-02 1997-12-02 셀렉션 밸브용 플런저의 개선구조 KR2001863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5262U KR200186386Y1 (ko) 1997-12-02 1997-12-02 셀렉션 밸브용 플런저의 개선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5262U KR200186386Y1 (ko) 1997-12-02 1997-12-02 셀렉션 밸브용 플런저의 개선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2961U KR19990022961U (ko) 1999-07-05
KR200186386Y1 true KR200186386Y1 (ko) 2000-07-01

Family

ID=19515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5262U KR200186386Y1 (ko) 1997-12-02 1997-12-02 셀렉션 밸브용 플런저의 개선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638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8117B1 (ko) 2013-07-02 2014-10-07 (주)포트텍 소방용 셀렉션 밸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8184B1 (ko) * 2001-12-18 2004-04-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압축천연가스 저장탱크에 사용되는 솔레노이드밸브용 피스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8117B1 (ko) 2013-07-02 2014-10-07 (주)포트텍 소방용 셀렉션 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2961U (ko) 199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2126864A (ja) 爆発圧力開放装置
KR200186386Y1 (ko) 셀렉션 밸브용 플런저의 개선구조
CN102588744B (zh) 一种煤气切断系统的在线检测泄漏方法
US2699217A (en) Sprinkler system
CN108012531A (zh) 用于受监视的灭火系统的内部安装设备
JP4906820B2 (ja) スプリンクラヘッド及びスプリンクラヘッドの点検方法
US5983935A (en) LP gas container valve against disasters
JP2014121357A (ja) スプリンクラ消火システム
KR200316240Y1 (ko) 소방설비의 셀렉션 밸브용 플런저의 기밀구조
KR100258306B1 (ko) 소방설비의 셀렉션 밸브용 기밀링 훼손방지 방법 및 그 장치
JPH10220601A (ja) 逆流防止型水抜弁
US3021866A (en) Safety control system for fluid distribution and apparatus
CN210600324U (zh) 一种全金属密封高温先导内排式泄压阀
KR100253763B1 (ko) 소화용 셀렉션 밸브
MXPA04004887A (es) ENSAMBLE DE VáLVULA SENSIBLE A LA TEMPERATURA.
US3661173A (en) High speed stop valve
JP2007252744A (ja) スプリンクラヘッドの取付具
KR101182721B1 (ko) 수동개방기구를 구비한 초고압 압축가스 개폐장치
NO941031L (no) Ringformet sikkerhetssystem
KR200180748Y1 (ko) 소화용 가스관 선택 밸브
KR100281466B1 (ko) 스프링 쿨러설비용 드라이 파이프 밸브
JP3934978B2 (ja) 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
KR0123879Y1 (ko) 자동소화장치
KR101405103B1 (ko) 레버식 수동개방기구를 구비하는 초고압 압축가스 개폐장치
CN209977424U (zh) 一种注氮隔离阀漏油监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10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