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6290Y1 - 실내공간 구획장치 - Google Patents

실내공간 구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6290Y1
KR200186290Y1 KR2020000002274U KR20000002274U KR200186290Y1 KR 200186290 Y1 KR200186290 Y1 KR 200186290Y1 KR 2020000002274 U KR2020000002274 U KR 2020000002274U KR 20000002274 U KR20000002274 U KR 20000002274U KR 200186290 Y1 KR200186290 Y1 KR 2001862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space
encapsulation
wall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22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기성
Original Assignee
홍기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기성 filed Critical 홍기성
Priority to KR20200000022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62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62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62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1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panels without a frame or supporting posts, with or without upper or lower edge locating rails
    • E04B2/7405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panels without a frame or supporting posts, with or without upper or lower edge locating rail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5Small buildings, arranged in other buildings
    • E04H1/1266Cubicles for dressing; Toi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xtensible Doors And Revolving Do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실내공간 구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 구획공간을 개방공간으로 만들거나 개방공간을 구획공간으로 만들어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실내공간 구획장치는, 모서리를 이루는 두 벽면중 한 쪽 벽면에 힌지기구(3)에 의하여 선회가능하게 지지되고 개폐가능한 출입문(11)을 가진 제1간막이(1)와; 상기 두 벽면중 다른 쪽 벽면에 상기 힌지기구(3)와 동형의 힌지기구에 의하여 힌지결합되어 지지되고 전개시 그 자유단이 제1간막이의 자유단과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두 벽면 및 제1간막이와 함께 사각형의 구획공간을 이루는 제2간막이(2)와; 그리고, 상기 제1간막이 및 제2간막이가 전개되고 접어지는 동작이 연동되도록 제1간막이의 상단 및 제2간막이의 상단을 연결하는 링크기구(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1간막이(1) 또는 제2간막이(2)를 벽면쪽으로 밀면 이들이 연동하여 벽면쪽으로 선회함으로서 구획공간이 개방공간으로 바뀌고 제1간막이(1) 또는 제2간막이(2)를 당기면 다시 개방공간에 구획공간이 형성된다.

Description

실내공간 구획장치{DEVICE FOR COMPARTING INDOOR SPACE}
본 고안은 예컨대 의류가게와 같은 곳에서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는 실내공간 구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벽면쪽으로 간단하게 밀어 구획공간을 개방공간으로 만들어 전시공간 등 다른 용도로 활용할 수 있고, 구획공간이 필요할 경우에는 앞쪽으로 당겨 개방공간을 구획공간으로 만들어 활용할 수 있는 실내공간 구획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의류가게에는 구입하고자 하는 옷이 몸에 잘 맞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옷을 갈아입을 수 있는 탈의실이 요구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의실(91)은 통상적으로 점포의 가장 구석진 곳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또한 의류가게 등에는 전시하고 있지 않은 여분의 의류 등을 보관할 수 있도록 창고(92)도 설치된다. 이와 같이 의류가게에 탈의실(91)과 창고(92) 등이 모두 설치되면 소비자의 구매력을 자극하기 위하여 의류 등을 전시하는 공간은 줄어들 수밖에 없어 가게의 공간효율성이 저하된다. 전시공간을 늘이기 위해서는 탈의실(91)과 창고(92)가 점유하는 공간을 활용할 수밖에 없는데 이를 위해서는 탈의실(91)과 창고(92)를 이루는 간막이(93)들을 철거하고 인테리어를 다시 하여야 하므로 많은 시간 및 비용이 들고 또 이 상태에서 다시 탈의실(91)과 창고(92)를 만드는 것도 비용이나 공사기간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공간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커튼 등을 이용하여 간이탈의실을 설치하는 곳도 있으나 이와 같은 간이탈의실은 옷을 갈아 입을 때 안전성이 확보되지 않고 또 불안감 속에서 옷을 갈아 입을 수밖에 없어 소비자는 심한 모멸감에 젖게 되므로 오히려 그 가게에 대한 이미지가 흐려져 판매가 저하될 수 있다.
한편, 전시장과 같은 곳에서는 많은 부스가 설치되므로 공간활용도를 극대화시킬 필요가 있다. 즉, 상담실이나 물품보관창고와 같은 공간을 필요로 할 때에는 개방된 공간을 간단하게 구획하여 사용할 수 있고 또 더 넓은 전시공간 등이 요구될 때에는 구획된 공간을 개방할 수 있어야만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한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전시장과 같은 곳에서도 구획공간을 이루는 간막이들이 붙박이 구조로 되어 있어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없기 때문에 상담실이나 물품보관창고 등을 고려하여 미리 넓은 공간을 확보할 수 밖에 없으므로 많은 비용이 들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벽면쪽으로 간단하게 밀어 구획공간을 개방공간으로 만들어 전시공간 등 다른 용도로 활용할 수 있고, 구획공간이 필요할 경우에는 앞쪽으로 당겨 개방공간을 구획공간으로 만들어 활용할 수 있는 실내공간 구획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실내공간 구획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실내공간 구획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실내공간 구획장치를 구성하는 힌지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실내공간 구획장치를 구성하는 링크기구를 나타내는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실내공간 구획장치의 작용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종래 실내공간이 구획된 상태의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 : 간막이, 3 : 힌지기구,
4 : 링크기구, 11 : 출입문,
31, 35 : 브래킷, 33 : 힌지핀,
37 : 비틀림스프링, 41 : 안내레일,
42 : 장공, 43 : 링크부재,
44 : 회전핀, 45 : 고정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실내공간 구획장치는, 모서리를 이루는 두 벽면중 한 쪽 벽면에 힌지기구에 의하여 선회가능하게 지지되고 개폐가능한 출입문을 가진 제1간막이와; 상기 두 벽면중 다른 쪽 벽면에 상기 힌지기구와 동형의 힌지기구에 의하여 힌지결합되어 지지되고 전개시 그 자유단이 제1간막이의 자유단과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두 벽면 및 제1간막이와 함께 사각형의 구획공간을 이루는 제2간막이와; 그리고, 상기 제1간막이 및 제2간막이가 전개되고 접어지는 동작이 연동되도록 제1간막이의 상단 및 제2간막이의 상단을 연결하는 링크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힌지기구는, 벽면에 고정되는 제1브래킷과, 상기 제1브래킷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핀과, 상기 힌지핀에 일단이 선회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는 간막이에 고정되는 제2브래킷과, 그리고 상기 힌지핀의 둘레로 권취되고 일단은 제1브래킷에 고정됨과 아울러 타단은 제2브래킷에 고정되는 비틀림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링크기구는, 제1간막이의 상면에 고정되고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장공이 형성된 안내레일과, 상기 안내레일의 장공에 이를 따라 이동 및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핀을 일단에 가지고 상기 제2간막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핀을 타단에 가지는 링크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실내공간 구획장치에 따르면, 어느 한 간막이를 벽면쪽으로 밀어 선회시키면 이 간막이와 다른 간막이가 링크기구에 의하여 연동하므로 다른 간막이도 벽면쪽으로 선회되므로 두 벽면 및 간막이들에 의하여 구획된 공간을 개방공간으로 만들 수 있다. 또한, 개방공간을 구획공간으로 만들 때에는 제2간막이의 출입문 손잡이를 잡고 앞쪽으로 당기면 비틀림스프링들의 복원력에 의하여 간막이들이 연동하여 전개되므로 두 벽면 및 간막이들에 의하여 사각형의 구획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참조부호 1은 가게 내부의 어느 한 모서리를 이루는 두 벽면(51,52)중 한 쪽 벽면(51)에 결합되어 지지되는 제1간막이로서, 적어도 하나(여기서는 2개가 적용된 것이 도시되어 있음)의 힌지기구(3)에 의하여 선회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또한 사람이 출입할 수 있도록 개폐가능한 출입문(11)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참조부호 2는 상기 두 벽면(51,52)중 다른 쪽 벽면(52)에 결합되어 지지되는 제2간막이로서, 상기 힌지기구(3)와 동형으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여기서도 2개가 적용된 것이 도시되어 있음)의 힌지기구에 의하여 선회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힌지기구(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51 또는 52)에 체결수단(39)에 의하여 고정되는 제1브래킷(31)과, 상기 제1브래킷(31)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핀(33)과, 상기 힌지핀(33)에 일단이 선회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는 간막이에 고정되는 제2브래킷(35)과, 그리고 상기 힌지핀(33)의 둘레로 권취되고 일단은 제1브래킷(31)에 고정됨과 아울러 타단은 제2브래킷(35)에 고정되는 비틀림스프링(3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힌지기구(3)들에 의하여 간막이들(1,2)이 벽면들(51,52)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두 간막이(1,2)가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간막이들(1,2)을 각각 별개로 선회시켜야만 할 뿐만 아니라 간막이들(1,2)을 밀어 벽면들(51,52)쪽으로 선회시킬 경우 비틀림스프링(37)들은 압축됨에 따라 간막이들(1,2)에 가해진 외력을 제거하면 비틀림스프링(37)들의 복원력에 의하여 간막이들(1,2)이 이들이 결합된 벽면들(51,52)에 대하여 수직인 상태로 복귀하게 되므로 필요에 따라 개방공간을 구획하고 구획공간을 개방시켜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제1간막이(1) 및 제2간막이(2)가 전개되거나 접어지는 것이 연동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본 고안에 따르면, 제1간막이(1) 및 제2간막이(2)는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두 간막이(1,2)의 상단은 링크기구(4)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다.
제1간막이(1) 및 제2간막이(2)가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지면 제1간막이(1) 및 제2간막이(2)가 이들이 각각 설치된 벽면(51,52)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도록 선회한 경우 제1간막이(1)의 자유단과 제2간막이(2)의 자유단이 거의 수직상태로 접촉함으로써 두 벽면(51,52)과 간막이들(1,2)에 의하여 사각형의 구획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제1간막이(1) 및 제2간막이(2)의 선회시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이들의 자유단은 곡면을 가지도록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간막이(1) 및 제2간막이(2)가 서로 연동하여 전개되고 접어지도록 하기 위한 링크기구(4)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간막이(1)의 상면에 고정되고 장공(42)이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안내레일(41)과, 상기 안내레일(41)의 장공(42)에 이를 따라 이동 및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핀(44)을 일단에 가지고 상기 제2간막이(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핀(45)을 타단에 가지는 링크부재(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제2간막이(2)를 이것이 설치된 벽면(52)쪽으로 밀어 선회시키면 그 과정에서 제2간막이(2)의 선회각도에 따라 고정핀(45)의 위치가 변화하고, 이에 따라 회전핀(44)이 안내레일(41)의 장공(42)을 따라 이동하면서 안내레일(41)을 당기게 되므로 제1간막이(1)도 벽면(51)쪽으로 선회한다. 제2간막이(2)가 벽면(52)쪽에 가까워짐에 따라 상기 과정과는 역으로 회전핀(44)이 안내레일(41)의 장공(42)을 따라 이동하면서 안내레일(41)을 벽면(51)쪽으로 밀게 되므로 제1간막이(1)가 벽면(51)쪽으로 계속 선회되고 두 간막이(1,2)가 벽면들(51,52)쪽으로 완전히 선회하여 밀착되면 링크부재(43)의 회전핀(44) 및 고정핀(45)에 의하여 두 간막이(1,2)가 벽면들(51,52)쪽으로 힘을 받고 있기 때문에 힌지기구(3)들의 비틀림스프링(37)들의 복원력은 작용하지 않게 된다. 제1간막이(1)를 벽면(51)쪽으로 밀어 선회시켜도 상기한 것과 동일한 원리에 의하여 제2간막이(2)도 연동하여 벽면(52)쪽으로 선회될 수 있다.
따라서, 두 간막이(1,2)를 벽면들(51,52) 쪽으로 밀어 접은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음에 따라 벽면들(51,52) 및 두 간막이(1,2)에 의하여 구획된 공간을 개방공간으로 만들어 전시공간 등 다른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역으로 두 간막이(1,2)를 벽면들(51,52) 쪽으로 접어 개방된 공간을 다시 구획공간으로 만들어 물품저장창고, 상담실 또는 탈의실 등 다른 용도로 활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제1간막이(1)에 설치된 출입문(11)의 손잡이(13)를 잡아당겨 제1간막이(1)를 비틀림스프링(37)들의 복원력이 작용하는 위치까지 선회시키면 손잡이(13)를 계속 당기기 않고 놓아도 비틀림스프링(37)들의 복원력에 의하여 제1간막이(1) 및 제2간막이(2)가 연동하여 벽면들(51,52)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는 위치까지 전개되므로 개방공간이 벽면들(51,52) 및 간막이들(1,2)에 의하여 다시 사각형의 구획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실내공간 구획장치에 의하면, 실내공간중 어느 한 모서리를 이루는 두 벽면에 간단하게 설치하여 필요에 따라 간단한 조작으로 개방공간을 구획공간으로 만들거나 구획공간을 개방공간으로 만들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므로 사용상 편리할 뿐만 아니라 실내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조립식이므로 간단하게 설치하거나 제거할 수 있으므로 설치비용이나 제거비용이 적게 들고 또 설치 및 제거시간도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다.

Claims (3)

  1. 모서리를 이루는 두 벽면중 한 쪽 벽면에 힌지기구(3)에 의하여 선회가능하게 지지되고 개폐가능한 출입문(11)을 가진 제1간막이(1)와;
    상기 두 벽면중 다른 쪽 벽면에 상기 힌지기구(3)와 동형의 힌지기구에 의하여 힌지결합되어 지지되고 전개시 그 자유단이 제1간막이의 자유단과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두 벽면 및 제1간막이와 함께 사각형의 구획공간을 이루는 제2간막이(2)와; 그리고,
    상기 제1간막이 및 제2간막이가 전개되고 접어지는 동작이 연동되도록 제1간막이의 상단 및 제2간막이의 상단을 연결하는 링크기구(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공간 구획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기구(3)는, 벽면에 고정되는 제1브래킷(31)과, 상기 제1브래킷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핀(33)과, 상기 힌지핀에 일단이 선회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는 간막이(1 또는 2)에 고정되는 제2브래킷(35)과, 그리고 상기 힌지핀의 둘레로 권취되고 일단은 제1브래킷에 고정됨과 아울러 타단은 제2브래킷에 고정되는 비틀림스프링(37)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공간 구획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기구(4)는, 제1간막이의 상면에 고정되고 장공(42)이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안내레일(41)과, 상기 안내레일의 장공에 이를 따라 이동 및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핀(44)을 일단에 가지고 상기 제2간막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핀(45)을 타단에 가지는 링크부재(43)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공간 구획장치.
KR2020000002274U 2000-01-27 2000-01-27 실내공간 구획장치 KR2001862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2274U KR200186290Y1 (ko) 2000-01-27 2000-01-27 실내공간 구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2274U KR200186290Y1 (ko) 2000-01-27 2000-01-27 실내공간 구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6290Y1 true KR200186290Y1 (ko) 2000-06-15

Family

ID=19639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2274U KR200186290Y1 (ko) 2000-01-27 2000-01-27 실내공간 구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629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0233B1 (ko) 2003-12-17 2006-06-15 (주)아랑존디 셔터가이드레일을 구비한 슬라이딩도어
KR20180000184U (ko) 2016-07-07 2018-01-17 김도균 절첩식 간이 파티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0233B1 (ko) 2003-12-17 2006-06-15 (주)아랑존디 셔터가이드레일을 구비한 슬라이딩도어
KR20180000184U (ko) 2016-07-07 2018-01-17 김도균 절첩식 간이 파티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73401A (en) Screen apparatus
JP6608056B2 (ja) 折り畳み伸展機構
JP3339837B2 (ja) 回動扉をもったオーバーヘッドキャビネット
CN109002079A (zh) 一种用于柔性屏的折叠机构及移动终端
KR200186290Y1 (ko) 실내공간 구획장치
KR100772082B1 (ko) 회전문
JP2004108113A (ja) 自動復帰ヒンジ及びドアシステム
KR200476136Y1 (ko) 현관문 설치형 택배함
JP6389369B2 (ja) 引き折戸装置
JP5780360B2 (ja) コンテナ及びコンテナ型情報処理装置
JP3382137B2 (ja) 折り畳み引き違い扉装置
CN219699755U (zh) 一种镜柜
JP3754240B2 (ja) 屋根裏物置スペース付きの折畳み構造物
KR20050026195A (ko) 도어의 힌지 장치
KR200201526Y1 (ko) 숨은정첩을 이용한 벽 겸용 접이식 도어
JP3610558B2 (ja) 折り畳み式伸縮扉
JP2905854B2 (ja) 折れ戸装置
JPH09264089A (ja) スライド式折り畳みシングルドア及びダブルドア
JPH0718289B2 (ja) 折畳式間仕切装置
JP2002106244A (ja) 多枚戸
KR20010107426A (ko) 숨은정첩을 이용한 벽 겸용 접이식 도어
JPH0561393U (ja) 折戸装置
KR960005640Y1 (ko) 현금 자동인출기용 부스
JP2000135133A (ja) テーブル開閉構造
JPH08103363A (ja) 収納式かさ立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40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