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6206Y1 - 섬유상 카본필터 - Google Patents

섬유상 카본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6206Y1
KR200186206Y1 KR2020000000653U KR20000000653U KR200186206Y1 KR 200186206 Y1 KR200186206 Y1 KR 200186206Y1 KR 2020000000653 U KR2020000000653 U KR 2020000000653U KR 20000000653 U KR20000000653 U KR 20000000653U KR 200186206 Y1 KR200186206 Y1 KR 2001862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filter medium
activated carbon
water
carb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06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재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청수테크노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청수테크노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청수테크노필
Priority to KR20200000006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62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62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620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16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 B01D39/1607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 B01D39/1623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of synthetic orig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55Carbonaceous material
    • B01D39/2065Carbonaceous material the material being fibro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2201/301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6Filter cloth, e.g. knitted, woven non-woven; self-supported material
    • B01D2239/0604Arrangement of the fibres in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618Non-wov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12Special parameters characterising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1208Poros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양질의 음용수 또는 초순수 등을 취출하기 위한 섬유상 카본필터(Fiber carbon filter)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활성탄소섬유사(ACY) 재질의 1차 여과재와, 주 여과재로서 합성섬유에 활성탄소를 침착시켜 생성한 활성카본섬유(ACF) 재질의 2차 여과재와, 합성섬유 재질의 3차 여과재와, 부직포 섬유 재질의 4차 여과재와, 상기 4차 여과재의 내주면 및 1차 여과재의 외주면 상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다중의 여과재가 수압에 의해 변형되지 않도록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4차 여과재를 통과한 정화수를 내측으로 집수할 수 있도록 다수의 미세구멍이 형성된 내측튜브 및 외측튜브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섬유상 활성카본 여과재를 포함한 다중의 여과재를 통과하면서 불순 미립자를 정밀하게 완전 여과하여 음용수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식품, 제약 및 반도체 제조공정의 초순수로도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고, 제품의 순도와 수율 및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섬유상 카본필터{Fiber carbon filter}
본 고안은 양질의 음용수 또는 초순수를 취출하기 위한 카본필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섬유상 활성카본 여과재를 포함한 다중의 여과재를 통과하면서 불순 미립자를 정밀하게 완전 여과하여 음용수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식품, 제약 및 반도체 제조공정의 초순수로도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고, 제품의 순도와 수율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섬유상 카본필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화용 필터로는 마이크로 와인드필터(Micro Wind Filter)와 카본필터(Carbon Filter) 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상기 마이크로 와인드필터는 물리적인 여과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카본필터는 활성탄이 갖는 흡착성을 이용한 여과기능을 발휘하는 것이다.
그러나, 정화용 필터로서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상기 카본필터는 분말 또는 고형의 카본을 내장하고 있어 카본이 누출될 염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내부에 다량의 잔류용액이 발생함으로써 수율이 저하되고, 기공 크기를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상기 마이크로 와인드필터는 기공의 크기에 따른 단순 여과기능만을 수행하므로 여과효율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각 필터의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필터 개발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불순 미립자를 정밀하게 완전 여과하여 음용수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식품, 제약 및 반도체 제조공정의 초순수로도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고, 제품의 순도와 수율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섬유상 카본필터를 제공하는데 주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카본 분말의 누출없이 흡착기능과 물리적 여과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섬유상 카본필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종래의 카본필터에 비해 잔류용액량을 최소화하여 수율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섬유상 카본필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종래의 카본필터에 비해 흡탈착 속도가 향상되고, 평균 비 표면적(물과 접촉할 수 있는 면적)이 넓으며, 기공이 균일하고 미세하여 고 정밀성을 유지할 수 있는 섬유상 카본필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섬유상 카본필터의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필터케이스 2 ; 필터고정용 돌기
3 ; 필터덮개 4 ; 유입구
5 ; 배출구 10 ; 필터
11 ; 내측튜브 11a, 16a ; 미세구멍
12 ; 4차 여과재 13 ; 3차 여과재
14 ; 2차 여과재 15 ; 1차 여과재
16 ; 외측튜브 17 ; 엔드캡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섬유상 카본필터는 정밀한 메쉬를 형성하는 원통형의 복층 여과재가 각각 소정의 두께를 이루며 적층 권취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된 물을 다단계 여과한 후 그 정화수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된 카본필터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복층의 여과재는 합성섬유사에 활성탄소를 침착시켜 생성한 활성탄소섬유사 재질의 1차 여과재와, 주 여과재로서 합성섬유에 활성탄소를 침착시켜 생성한 활성카본섬유 재질의 2차 여과재와, 합성섬유 재질의 3차 여과재와, 부직포 섬유 재질의 4차 여과재와, 상기 4차 여과재의 내주면 및 1차 여과재의 외주면 상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다중의 여과재가 수압에 의해 변형되지 않도록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4차 여과재를 통과한 정화수를 내측으로 집수할 수 있도록 다수의 미세구멍이 형성된 내측튜브 및 외측튜브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 여과재에 적용되는 합성섬유 및 내, 외측튜브는 각각 그 메쉬 및 기공의 크기를 달리하는 폴리프로필렌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통형 필터의 양단부에는 외부로부터 유입된 물이 외측튜브의 미세구멍을 통해 순차적으로 여과될 수 있도록 밀봉함과 아울러 수압에 의해 변형되지 않도록 지지해주는 폴리에틸렌 재질의 엔드캡이 덮어 씌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섬유상 카본필터(Fiber Carbon Filter)는 필터덮개(3)가 구비된 필터케이스(1)와, 그 내부에 설치되는 필터(1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필터덮개(3)는 정화되지 않은 물을 유입하기 위한 유입구(4)가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필터덮개(3)의 중앙에는 내부의 필터(10)를 통해 여과된 정화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필터케이스(1)는 필터(10)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부가 구비되고, 그 내측 저면 중앙부에는 상기 필터(10)를 지지하기 위한 필터고정용 돌기(2)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필터덮개(3) 및 필터케이스(1)는 상기 필터(10)가 설치될 수 있는 일례를 도시한 것이므로 상기의 구조에 국한되지 않으며, 그 외에도 다양한 케이스 구조에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본 고안의 필터(10)는 정밀한 메쉬(Mesh)를 형성하는 원통형의 복층 여과재가 각각 소정의 두께를 이루며 적층 권취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된 물을 다단계 여과한 후 그 정화수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된 것으로서, 상기 복층의 여과재는 최외곽에 형성되는 여과재로서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합성섬유사에 활성탄소(Activated Carbon 또는 Carbon-Black)를 침착시켜 생성한 활성탄소섬유사(Activated Carbon Yarn ; ACY) 재질의 1차 여과재(15)와, 상기 1차 여과재(15)의 내측에 형성되는 주 여과재로서 폴리프로필렌 합성섬유에 활성탄소를 침착시켜 생성한 활성카본섬유(Activated Carbon Fiber ; ACF) 재질의 2차 여과재(14)와, 상기 2차 여과재(14)의 내측에 형성되는 폴리프로필렌 합성섬유의 일종인 멜트브라운(Melt-Brown) 재질의 3차 여과재(13)와, 상기 3차 여과재(13)의 내측에 형성되는 폴리프로필렌 부직포 섬유 재질의 4차 여과재(12)와, 상기 4차 여과재(12)의 내주면 및 1차 여과재(15)의 외주면 상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다중의 여과재가 수압에 의해 변형되지 않도록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4차 여과재(12)를 통과한 정화수를 내측으로 집수할 수 있도록 다수의 미세구멍(11a)(16a)이 형성된 폴리프로필렌 재질의 내측튜브(Inner Tube ; 11) 및 외측튜브(Outer Tube ; 16)와, 상기 필터(10)의 양단부에 덮어 씌워져 외부로부터 유입된 물이 외측튜브(16)의 미세구멍(16a)을 통해 순차적으로 여과될 수 있도록 밀봉함과 아울러 수압에 의해 변형되지 않도록 지지해주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재질의 엔드캡(End Cap ; 17)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각 여과재(12)(13)(14)(15)에 적용되는 합성섬유는 각각 그 메쉬 및 기공의 크기를 달리할 수 있으며, 상기 각 여과재(12)(13)(14)(15) 및 내, 외측튜브(11)(16)는 고온에 대한 내열성을 갖는 것이다.
상기 내, 외측튜브(11)(16)는 그 원통체를 따라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다수의 미세구멍(11a)(16a)이 각각 관통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4차 여과재(12)는 폴리프로필렌 재질의 부직포로서 화학적으로 안정되고, 인장강도가 매우 높으므로 통상적인 2 ∼ 2.5 kgf/cm2정도의 여과압력에도 조직 파괴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섬유상 카본필터는 유입구(4)를 통해 오염된 물이 유입되어 필터케이스(1)의 둘레로 충전되면, 그 물은 외측튜브(16)의 미세구멍(16a)을 통해 1, 2차 여과재(15)(14)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그 속에 함유된 유기불순물을 흡착시키고, 다시 3, 4차 여과재(13)(12)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물리적으로 미세 여과시킨 후, 상기 내측튜브(11)의 미세구멍(11a)을 통해 중공부 쪽으로 빠져 나오게 되며, 상기 내측튜브(11) 내에 모아진 정화수는 배출구(5)를 통해 외부로 흡출되어 필요로 하는 음용수 또는 초순수 등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정화필터는 카본이 섬유상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종래의 경우에서와 같은 카본 누출의 염려가 전혀 없고, 여과조건에 따라 그에 적합한 기공의 크기를 적용할 수 있으므로 흡착기능 및 물리적 여과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며, 종래의 카본필터와 비교해 볼 때 내부의 잔류용액량을 1/5까지 줄일 수 있어 금, 은 등의 금속도금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도금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흡착탈 속도가 2배 이상 증가하여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평균 비 표면적이 넓어질 뿐만 아니라 기공이 균일하고 미세하게 유지되어 여과성능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고안에 따른 정화필터는 잔류염소 및 유기불순물을 90 ∼ 100% 정도까지 정밀한 여과성능을 발휘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식수용으로만 국한되지 않고 식품 및 제약에 필요한 화학용수 또는 정밀 여과를 필요로 하는 액정디지털 전자제품 등과 같은 각종 정밀산업에 필요한 초순수를 공급하기 위한 여과처리장치로도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기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섬유상 카본필터에 의하면, 섬유상 활성카본 여과재를 포함한 다중의 여과재를 통과하면서 불순 미립자를 정밀하게 완전 여과하여 음용수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식품, 제약 및 반도체 제조공정의 초순수로도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고, 제품의 순도와 수율 및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하나의 바람직한 구체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으나, 상기의 구체예를 바탕으로 한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의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또한,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3)

  1. 정밀한 메쉬를 형성하는 원통형의 복층 여과재가 각각 소정의 두께를 이루며 적층 권취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된 물을 다단계 여과한 후 그 정화수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된 카본필터에 있어서,
    상기 복층의 여과재는,
    합성섬유사에 활성탄소를 침착시켜 생성한 활성탄소섬유사(ACY) 재질의 1차 여과재;
    주 여과재로서 합성섬유에 활성탄소를 침착시켜 생성한 활성카본섬유(ACF) 재질의 2차 여과재;
    합성섬유 재질의 3차 여과재;
    부직포 섬유 재질의 4차 여과재; 및
    상기 4차 여과재의 내주면 및 1차 여과재의 외주면 상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다중의 여과재가 수압에 의해 변형되지 않도록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4차 여과재를 통과한 정화수를 내측으로 집수할 수 있도록 다수의 미세구멍이 형성된 내측튜브 및 외측튜브;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상 카본필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여과재에 적용되는 합성섬유 및 내, 외측튜브는 각각 그 메쉬 및 기공의 크기를 달리하는 폴리프로필렌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섬유상 카본필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필터의 양단부에는 외부로부터 유입된 물이 외측튜브의 미세구멍을 통해 순차적으로 여과될 수 있도록 밀봉함과 아울러 수압에 의해 변형되지 않도록 지지해주는 폴리에틸렌 재질의 엔드캡이 덮어 씌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섬유상 카본필터.
KR2020000000653U 2000-01-11 2000-01-11 섬유상 카본필터 KR2001862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0653U KR200186206Y1 (ko) 2000-01-11 2000-01-11 섬유상 카본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0653U KR200186206Y1 (ko) 2000-01-11 2000-01-11 섬유상 카본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6206Y1 true KR200186206Y1 (ko) 2000-06-15

Family

ID=19636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0653U KR200186206Y1 (ko) 2000-01-11 2000-01-11 섬유상 카본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6206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3222A (ko) * 2001-08-07 2003-02-14 노현범 수처리용 살균 필터
KR100857421B1 (ko) 2007-03-14 2008-09-08 케이엠네이쳐 주식회사 정수 장치
KR20140020457A (ko) * 2012-08-08 2014-02-19 코웨이 주식회사 미분진 제거용 필터소재와 이를 사용한 미분진제거 필터 및 미분진제거 필터를 포함하는 카본필터
KR101739845B1 (ko) * 2015-12-22 2017-05-26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나노섬유 복합 섬유사를 이용한 카트리지 필터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02993U (ko) 2017-04-10 2018-10-18 이두열 카본필터
KR102426003B1 (ko) * 2021-05-31 2022-07-29 케이원에코텍 주식회사 공동주택 저수조의 수질정화를 위한 여과필터 및 이를 이용한 여과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3222A (ko) * 2001-08-07 2003-02-14 노현범 수처리용 살균 필터
KR100857421B1 (ko) 2007-03-14 2008-09-08 케이엠네이쳐 주식회사 정수 장치
KR20140020457A (ko) * 2012-08-08 2014-02-19 코웨이 주식회사 미분진 제거용 필터소재와 이를 사용한 미분진제거 필터 및 미분진제거 필터를 포함하는 카본필터
KR101739845B1 (ko) * 2015-12-22 2017-05-26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나노섬유 복합 섬유사를 이용한 카트리지 필터 및 그 제조방법
WO2017111317A1 (ko) * 2015-12-22 2017-06-29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나노섬유 복합 섬유사를 이용한 카트리지 필터 및 그 제조방법
CN108472566A (zh) * 2015-12-22 2018-08-31 阿莫绿色技术有限公司 利用纳米纤维复合纤维纱的筒式过滤器及其制备方法
US11103817B2 (en) 2015-12-22 2021-08-31 Amogreentech Co., Ltd. Cartridge filter using nanofiber composite fiber yar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CN108472566B (zh) * 2015-12-22 2021-10-15 阿莫绿色技术有限公司 利用纳米纤维复合纤维纱的筒式过滤器及其制备方法
KR20180002993U (ko) 2017-04-10 2018-10-18 이두열 카본필터
KR102426003B1 (ko) * 2021-05-31 2022-07-29 케이원에코텍 주식회사 공동주택 저수조의 수질정화를 위한 여과필터 및 이를 이용한 여과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36875B1 (en) Encapsulated filter cartridge
US20040206682A1 (en) Filter assembly utilizing carbon block and pleated filter element
US9266043B2 (en) Filter cartridge
WO2000013767A9 (en) Fluid treatment elements, methods for cleaning fluid treatment elements and methods for treating fluids
KR20090075490A (ko) 복합구조 뎁스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뎁스필터 어셈블리
KR200186206Y1 (ko) 섬유상 카본필터
WO2014192433A1 (ja) 濾過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浸漬式濾過方法
JP3242395B2 (ja) 浄水器
JPH05208120A (ja) スパイラル型分離膜エレメント
JP2003181248A (ja) 分離膜モジュール及びモジュールアセンブリ
CN215480261U (zh) 一种物料分离超滤膜元件
KR200179085Y1 (ko) 산업용 고유량 필터
KR200366200Y1 (ko) 필터 카트리지 및 필터
KR20170130703A (ko) 정수용 복합필터
JP2013039535A (ja) 浄水カートリッジ及び浄水器
KR102489718B1 (ko) 막 여과방식 멤브레인 필터 장치
CN217939276U (zh) 一种纯水净化装置
JPH1147733A (ja) 浄水器
CN211586050U (zh) 净水过滤系统
CN220425017U (zh) 一种自清洁卷式nf系统
KR101727374B1 (ko) 정수기용 카트리지 필터,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한 자연여과식 정수기
RU78482U1 (ru) Установка доочистки и обеззараживания воды
KR200242688Y1 (ko) 정수기 필터 카트리지
JP3193705U (ja) 浄水カートリッジ及び浄水器
KR0138390Y1 (ko) 음용수처리장치용 중공사막 카트리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0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