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6003B1 - 공동주택 저수조의 수질정화를 위한 여과필터 및 이를 이용한 여과장치 - Google Patents

공동주택 저수조의 수질정화를 위한 여과필터 및 이를 이용한 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6003B1
KR102426003B1 KR1020210069863A KR20210069863A KR102426003B1 KR 102426003 B1 KR102426003 B1 KR 102426003B1 KR 1020210069863 A KR1020210069863 A KR 1020210069863A KR 20210069863 A KR20210069863 A KR 20210069863A KR 102426003 B1 KR102426003 B1 KR 1024260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ration
water
filter
present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9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학
김기팔
최창형
Original Assignee
케이원에코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원에코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원에코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69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60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6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60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01D29/0027
    • B01D29/00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88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having feed or discharg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96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in which the filtering elements are moved between filtering operations; Particular measures for removing or replacing the filtering elements; Transport systems for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08Filter cloth, i.e. woven, knitted or interlaced material
    • B01D39/083Filter cloth, i.e. woven, knitted or interlaced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16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27Metallic materi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56Wireless systems for monitoring the fil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ublic Health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장에서 공동주택의 저수조에 저장된 후 각 가정으로 공급되는 식수를 정화처리하여 깔따구 유충 등의 발생을 사전에 예방하고, 노화된 배관으로부터 발생한 녹물이 가정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수질정화를 하는 여과필터 및 이를 이용한 여과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은 소정의 길이로 내부가 중공으로 되는 차단벽체가 구비되고, 상기 차단벽체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유출공이 관통 형성되며, 일단의 개구부는 차단판에 의해 차단되고 타단에는 외주연에 나사가 형성된 정수관이 연결되는 필터본체; 상기 필터본체의 차단벽체 외측을 감싸며 결합되는 내측지지망; 상기 1차 금속여과망의 외측을 감싸며 결합되는 미세여과망; 소정의 길이로 내부가 중공으로 되어, 상기 필터본체의 내측에 삽입되어 일측 끝단이 상기 니플과 연통되도록 연결되는 섬유여과부; 및 상기 필터본체의 차단벽체와 섬유여과부의 사이 공간에 채워지는 과립형여과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배관에서 각 세대로 공급되는 수돗물을 여과처리하여 배관 내에서 발생할 수도 있는 녹물을 제거하고 깔따구 유충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양질의 수돗물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동주택 저수조의 수질정화를 위한 여과필터 및 이를 이용한 여과장치{Filter for purification of apartment water tank and filtr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정수장에서 공동주택의 저수조에 저장된 후 각 가정으로 공급되는 식수를 정화처리하여 깔따구 유충 등의 발생을 사전에 예방하고, 노화된 배관으로부터 발생한 녹물이 가정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수질정화를 하는 여과필터 및 이를 이용한 여과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빌딩 등에서 사용되고 있는 식수들은 정수장에서 정수한 물을 공급하게 되는데, 공동주택이나 고층빌딩 등에서는 옥상 등에 별도의 저수조를 구비하고 이 저수조를 통해 다시 각 세대로 공급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그러나, 저수조에 물을 장시간 저장하게 되면 잔류염소가 많이 손실되고 청결하게 관리되지 못해 수질이 악화될 염려가 있다. 또한, 각 가정으로 연결되는 배관이 장시간 사용함에 따라 부식되거나 배관 내부에 각종 오염물질이 침적되기도 한다.
또한, 최근에는 정수장의 정수공정 이후 배수지 등을 거쳐 각 가정으로 공급되는 수돗물이, 공급되는 과정에서 깔따구 유충이 발생하여 최종 사용자의 샤워기 등에서 발견되거나 가정의 수도꼭지에서 붉은 녹물이 나오는 등의 사회적 문제를 야기시키고 있다.
깔따구 유충의 경우 알의 크기는 0.1 ~ 0.2 mm의 반투명한 유백색이며 끈적한 물질로 둘러싸인 가는 선형의 알집 속에 있고, 유충의 경우 1 ~ 2 mm로 가늘고 크기는 0.5 ~ 2 cm 정도로 붉은색의 실지렁이와 유사한 형태이다. 아직까지 인체에 유해한 연구결과는 없지만 심미적인 영향으로 인해 수돗물에 대한 불안감을 높이는 것이 사실이다.
붉은 수돗물 사태의 원인은 배관 내 부식에 의한 녹물로 추정되며 매년 상수관로에 대한 교체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예산상의 이유로 전체 노후관로에 대한 전면교체는 어려운 실정이다. 수도공급라인에 대한 책임은 기본적으로 정부의 책임이 크고, 문제 발생 시에 정부, 전문가, 수도 사업자 등이 해결책을 찾아 안전한 수돗물을 공급하고자 노력하고 있지만, 건물로 유입된 이후의 관리책임은 민간으로 바뀜에 따라 최종적으로 수돗물이 저장되는 공간인 개별 저수조에 대한 불안감이 가중되고 있다.
또한, 아파트 등 공동주택 저수조는 “주택 건설 기준 등에 관한 규정”에 의하여 매 세대당 0.5톤 이상의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용량의 저수조 설치를 규정하고 있으며, 저수조의 설치기준은 ‘수도시설의 청소 및 위생관리 등에 관한 규칙’ 제3조와 동 규칙 별표 1에 규정되어 있으며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수질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와 재질로 설치해야 하며, 위치에 따라 지하저수조, 지상저수조, 고가저수조로 나누어지고 고층 건물에서는 중간수조를 설치하기도 한다.
그리고, 아파트 저수조의 청소주기는 수도법 제33조 2항 및 동법 시행규칙 제22조의 3에 의하여 아파트 등 공동주택의 관리사무소장 등이 반기에 1회 이상 저수조를 청소해야하고 월 1회 이상 저수조의 위생상태를 점검하도록 의무화되어 있으며, 청소 후에는 ‘먹는물 수질기준 및 검사 등에 관한 규칙’ 별표 1에 따른 먹는 물의 수질기준이 초과하지 않도록 해야 하고 저수조에 물을 채운 이후에는 수질에 대한 위생상태를 점검해야한다.
그러나, 현재 위와 같은 공동주택 저수조의 관리지침이 운영되고 있지만 입주민이 단지 내 저수조의 위생상태에 대한 무관심과 접근성의 이유로 수시로 확인이 어렵고, 공동주택 저수조의 청소에 관해 저가입찰 등과 같은 업체와 관리사무소간의 안일한 대처로 인해 저수조의 청소가 형식적으로 이루어지고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곳이 많은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10690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발명으로서, 배관에서 발생할 수도 있는 녹물이 세대 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여과처리하여 양질의 수돗물을 제공하고, 깔따구 유충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여과처리하는데 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수조의 수질 상태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전광판에 표시하고, 각 세대주의 단말기에도 전송하여 현재의 수질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데 다른 과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요시 여과필터의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데 다른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여과필터는, 소정의 길이와 폭의 차단벽체에 의해 둘러쌓여 내부가 중공으로 되며, 상기 차단벽체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유출공이 관통 형성되며, 일단의 개구부는 차단판에 의해 밀폐 차단되고 타단에는 중앙부에 삽입공이 관통 형성되는 필터본체; 상기 필터본체의 차단벽체 외측을 감싸며 결합되는 내측지지망; 상기 내측지지망의 외측을 감싸며 결합되는 미세여과망; 소정의 길이로 내부가 중공으로 되어, 상기 필터본체의 내측에 삽입되어 일측 끝단이 상기 니플과 연통되도록 연결되는 섬유여과부; 및 상기 필터본체의 차단벽체와 섬유여과부의 사이 공간에 채워지는 과립형여과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과립형여과재는 수중의 철분,망간을 제거하기 위한 제철제망간여과재 또는 이온교환수지여과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섬유여과부는, 원통형으로 되어 소정의 간격으로 유출공이 관통 형성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섬유포는 500 ~ 2,000데니아의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P, 나일론 중 어느 하나의 섬유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섬유포는 1 ~ 10중 합사로 이루어지고, 1 ~ 5겹이 중첩되어 겹쳐져 씌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여과장치는, 일단이 개방되어 개구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는 여과필터; 및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에 결합되어 개구부를 차단하는 덮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덮개부에는 상기 하우징으로 원수를 유입시키기 위해 유입관이 연결되고, 상기 여과필터에 의해 여과된 여과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관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여과장치는, 내부가 중공으로 되고, 상단부 일측에는 유입관이 연통 연결되고 하단부 일측에는 배출관이 연통 연결되는 여과탱크; 상기 여과탱크의 중도부를 가로지르며 결합되어 내부를 여과공간과 배출공간으로 구획하며 소정의 간격마다 필터결합공이 형성되는 구획판; 및 상기 여과공간에서 구획판의 필터결합공에 나사 결합되는 제 1항 또는 제 2항 여과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여과탱크의 상부는 개방되고 분리 가능한 덮개부에 의해 차단되되, 상기 여과탱크의 일측에는 상기 덮개부를 승하강시키고 회전시켜 개방시키기 위한 덮개부작동장치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저수조 및 여과장치의 후단에는 자동수질측정장치가 각각 결합되고, 상기 자동수질측정장치에 의해 측정된 수질 데이터는 인터넷망을 통해 관리자 단말기로 실시간 전달되고,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 전달된 수질 데이터는 전광판 및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달되어 실시간으로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자동수질측정장치에 의해 측정된 수질 데이터가 위험 수준인 경우,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 여과장치 후단에 설치된 자동밸브를 제어하여 수돗물의 공급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배관에서 각 세대로 공급되는 수돗물을 여과처리하여 배관 내에서 발생할 수도 있는 녹물을 제거하고 깔따구 유충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양질의 수돗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수돗물을 사용하는 사용자들에게 저수조의 현재 수질 상태를 실시간으로 알려줌으로써, 사용자들이 수돗물을 믿고 사용할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여과 성능이 저하된 여과필터를 간편하게 교체하여 여과성능을 최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필터를 분해하여 입체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필터를 분해하여 도시한 측단면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필터에 물이 유입되어 여과되는 과정을 도시한 측단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장치에 여과필터가 결합된 상태의 측단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여과장치의 측단면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여과장치에 결합되는 여과필터의 분해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여과장치에서 덮개부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여과장치에서 물이 유입되어 여과되는 과정을 도시한 측단면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장치에서 덮개부작동장치에 의해 덮개부를 상승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작동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장치에서 덮개부를 회전시켜 여과탱크의 개구부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장치에서 수질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과정을 도시한 구성 예시도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여과필터(100)는 필터본체(110) 및 내측지지망(120)과 미세여과망(130), 그리고 섬유여과부(140)와 과립형여과재(1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여과필터(100)의 필터본체(110)는,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가지는 차단벽체(111)가 원통형 등의 형태로 이루어져 내부가 중공으로 되며, 차단벽체(111)에는 물이 쉽게 유통될 수 있도록 소정의 간격마다 소정의 크기로 유출공(112)이 관통 형성되며, 차단벽체(111) 일단의 개구부(113)는 차단판(115)에 의해 차단되고, 타측단 중앙부에는 삽입공(114)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내측지지망(120)은 필터본체(110)의 외측을 감싸며 결합되고 후술되는 미세여과망(13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미세여과망(130)은 내측지지망(120) 외측을 감싸며 결합되고 50 ~ 100 메쉬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미세여과망(130)에 의해 물에 포함된 미세한 이물질이 걸러지고, 물은 내측지지망(120)과 필터본체(110)의 차단벽체(111)에 형성된 유출공(112)을 통해 필터본체(110)의 내측으로 유입되게 된다.
섬유여과부(140)는 필터본체(110)의 내측에 삽입 결합되는 것으로서, 소정의 길이로 원통형으로 되는 지지프레임(141)이 구비되고, 마찬가지로 지지프레임(141)에도 물의 유출입이 용이하도록 유출공(142)이 관통 형성되며, 지지프레임(141) 외측에는 섬유포(143)가 감싸도록 씌워져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섬유포(143)는 500 ~ 2,000데니아의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또는 PP(polyeprophylene), 나일론 중 어느 하나의 섬유가 1 ~ 10중 합사되어 이루어지고, 이렇게 합사된 섬유가 1 ~ 5겹으로 중첩되어 겹쳐져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과립형여과재(150)는 필터본체(110)의 차단벽체(110)와 섬유여과부(140)의 사이 공간에 조밀하게 채워진다. 과립형여과재(150)는 물에 포함된 철성분 및 망간성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제철제망간여과재 또는 이온교환수지여과재일 수 있다. 과립형여과재(150)는 필터본체(110)의 삽입공(114) 측으로 섬유여과부(140)를 삽입 결합시킨 후 일단에 개방된 개구부(113)를 통해 삽입한다. 이때, 섬유여과부(140)에 의해 삽입공(114)이 차단된 상태가 되고, 개구부(113)는 차단판(115)에 의해 차단함으로써, 과립형여과재(150)가 외부로 인출되지 않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여과장치(200)는 각 가정마다 간편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우징(210)이 구비되고, 하우징(210)의 내부에 본 발명의 여과필터(100)를 삽입하고, 덮개부(220)로 차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210)은 소정의 공간부를 가지며 일단이 개방되어 개구부(211)가 형성되며, 개구부(211)의 내주연에는 나사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덮개부(220)는 하우징(210)의 개구부(211)에 결합되어 개구부(211)를 차단하게 되며, 개구부(211)의 나사와 대접되는 형태의 나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덮개부(220)에는 하우징(210)에 결합 시 하우징(210) 내부로 원수를 유입시키기 위한 유입관(221)이 결합되고, 여과필터(100)에 의해 여과된 여과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관(222)이 더 결합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여과장치(300)를 도시한 것으로서, 공지의 형태를 가지는 여과탱크(310)와, 여과탱크(310) 내부에 설치되는 구획판(320)과 여과필터(100), 그리고, 덮개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저수조(10)에 저장된 물을 일체로 여과처리한 후 각 가정으로 공급하여 주게 된다.
여기서 여과탱크(310)는 내부가 중공으로 되는 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상단부 일측에는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관(311)이 연통되도록 연결되며, 하단부 일측에는 여과탱크(310)에서 여과된 여과수가 배출되기 위한 배출관(312)이 연통되어 연결된다.
또한, 여과탱크(310)는 상부가 개방되고 별도의 덮개부(330)에 의해 덮혀 차단될 수 있으며,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획판(320)은 여과탱크(310) 내부를 상하로 구획하도록 중도부를 가로지르며 결합됨으로써, 내부의 상측을 여과공간(313)으로, 하측을 배출공간(314)으로 구획한다. 구획판(320)에는 본 발명의 여과필터(100)를 결합하기 위하여 소정의 간격마다 필터결합공(321)이 관통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여과필터(100)에 구비된 정수관(117)이 구획판(320)의 필터결합공(321) 마다 견고히 결합되며, 분해 조립이 용이하도록 나사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여과탱크(310)의 내부에 결합되는 여과필터(100)의 설치 및 교체를 위해서는 덮개부(330)를 분리하여 개방한 후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데, 덮개부(330)의 개방이 용이하도록 하고, 개방된 덮개부(330)의 처리가 용이하도록 덮개부작동장치(4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덮개부작동장치(400)는 여과탱크(310)의 일측에 고정 결합될 수 있으며, 덮개부(330)와 연결되는 연결대(410)와, 덮개부(330)를 승하강 시키기 위해 연결대(410)와 결합되는 로드(420) 및 로드(420)와 연결되는 잭(jack)(43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로드(420)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가 더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수조(10)의 수온, 탁도 등의 수질상태를 측정하기 위하여 저수조(10), 그리고 여과장치(200)에서 여과된 여과수의 수질상태를 자동으로 측정하기 위하여 여과장치(200) 후단에는 각각 자동수질측정장치(500)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자동수질측정장치(500)에서 측정된 수질 상태 데이터를 인터넷망을 통해 전달받는 관리자 단말기(510)가 구비되고, 관리자 단말기(510)에서 수집된 데이터는 다시 별도로 설치되는 전광판(520)과,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530)로 전달되어 실시간으로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여과필터(100) 및 여과장치(200)의 작동 관계를 설명한다.
여과장치(300)의 덮개부(330)를 개방한 상태에서 여과탱크(310)의 내부에 여과필터(100)를 설치한다. 이를 위해 덮개부(330)의 고정수단을 해정시킨 후, 여과탱크(310) 일측에 설치된 덮개부작동장치(400)의 잭(430)을 작동시켜 로드(420)를 인출시킨다. 로드(420)가 인출되면서 상승함에 따라 연결대(410)와 함께 덮개부(330)가 일체로 상승하게 되고, 덮개부(330)는 여과탱크(310)로부터 이격되어 분리되게 된다.
그리고, 모터의 작동에 의해 로드(420)를 일측으로 회전시키거나, 수동으로 덮개부(330)를 일측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여과탱크(310)의 상단부가 노출되게 된다. 따라서, 덮개부(330)를 여과탱크(310)로부터 분리시켜 별도의 장소로 이동시키지 않아도 여과탱크(310) 내부의 여과필터(100)의 설치 또는 교체가 가능하게 된다. 여과필터(100)는 구획판(220)의 필터결합공(221)에서 회전시킴으로써 나사 결합 또는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다시 덮개부(330)를 회전시켜 여과탱크(310)의 상측에 위치시킨 후, 덮개부작동장치(400)의 잭(430)을 작동시켜 로드(420)를 하강시킨다. 따라서, 연결대(410)와 덮개부(330)가 하강하면서 여과탱크(310)의 상면을 차단하게 되고, 별도의 고정수단에 의해 견고히 고정시켜 밀폐시킨다.
그리고, 밸브를 개방하여 여과하고자 하는 저수조(10)의 물을 본 발명의 여과장치(300) 측으로 공급시키면, 유입관(311)을 통해 여과탱크(310)의 상측 여과공간(313)으로 유입되어 채워진다. 채워진 원수는 여과필터(100)를 통해 이물질 등이 걸러져 여과된 후 구획판(320) 하단부의 배출공간(314)으로 배출되고, 배출관(312)을 통해 양질의 수돗물이 각 가정의 사용자 측으로 공급되게 된다.
여기서 여과공간(313) 측에 채워진 원수가 여과필터(100)에 의해 여과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미세여과망(130)에 의해 미세 이물질이 걸러져 여과된 후 내측의 내측지지망(120)과 차단벽체(111)에 형성된 유출공(112)을 통과하여 필터본체(110) 내측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다시 과립형여과재(150)에 의해 철 성분 및 망간 성분이 걸러진 후 섬유여과부(140)의 섬유포(143)와 지지프레임(141)의 유출공(142)을 통해 섬유여과부(140)의 내측 공간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하단의 정수관(117)을 통해 구획판(320) 하단부의 배출공간(314)으로 배출된다.
한편, 저수조(10)의 자동수질측정장치(500)에 의해 저수조(10)의 수온, 탁도 등의 수질 상태가 실시간으로 측정되며, 측정된 수질 데이터는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관리자 단말기(510)로 전달되어 수집된다. 또한, 여과장치(200,300)의 후단의 관에도 자동수질측정장치(500)가 설치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여과필터(100)와 여과장치(200,300)에 의해 여과된 물의 수질 상태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며, 마찬가지로 측정된 수질 데이터는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관리자 단말기(510)로 전달되어 수집된다.
그리고, 관리자 단말기(510)로 수집된 데이터는 별도로 설치된 전광판(520)에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 되며, 동시에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530)에도 전달이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실시간으로 수질 데이터를 모니터링 할 수 있으므로, 안심하고 수돗물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관리자 단말기(510)로 수집된 수질 데이터가 미리설정한 기준치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경보를 발생시키고, 관리자 단말기(510)에서 배관에 설치된 자동밸브(540)를 제어하여 가정으로의 수돗물 공급을 중단시킨다.
100 : 여과필터 110 : 필터본체
120 : 내측지지망 130 : 미세여과망
140 : 섬유여과부 150 : 과립형여과재
200,300 : 여과장치 210 : 하우징
220 : 덮개부 310 : 여과탱크
320 : 구획판 400 : 덮개부작동장치
410 : 연결대 420 : 로드
430 : 잭 500 : 자동수질측정장치

Claims (9)

  1. 삭제
  2. 내부가 중공으로 되고, 상단부 일측에는 저수조의 물이 유입되기 위한 유입관이 연통 연결되고 하단부 일측에는 배출관이 연통 연결되는 여과탱크;
    상기 여과탱크의 중도부를 가로지르며 결합되어 내부를 여과공간과 배출공간으로 구획하며 소정의 간격마다 필터결합공이 형성되는 구획판; 및
    소정의 길이와 폭의 차단벽체에 의해 둘러쌓여 내부가 중공으로 되며 상기 차단벽체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유출공이 관통 형성되며 일단의 개구부는 차단판에 의해 밀폐 차단되고 타단에는 중앙부에 삽입공이 관통 형성되는 필터본체와 상기 필터본체의 차단벽체 외측을 감싸며 결합되는 내측지지망과, 상기 내측지지망의 외측을 감싸며 결합되는 50 ~ 100 메쉬의 미세여과망과, 소정의 길이로 내부가 중공으로 되어 상기 필터본체의 내측에 삽입되어 일측 끝단이 니플과 연통되도록 연결되는 섬유여과부와, 수중의 철분,망간을 제거하기 위한 제철제망간여과재 또는 이온교환수지여과재로 되어 상기 필터본체의 차단벽체와 섬유여과부의 사이 공간에 채워지는 과립형여과재;를 포함하여 상기 여과공간에서 구획판의 필터결합공에 나사 결합되는 여과필터;로 구성되며,
    상기 섬유여과부는, 원통형으로 되어 소정의 간격으로 유출공이 관통 형성되는 지지프레임과, 지지프레임의 외측을 감싸도록 씌워져 구성되는 섬유포를 포함하며,
    상기 섬유포는 500 ~ 2,000데니아의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P, 나일론 중 어느 하나의 섬유로 되며, 1 ~ 10중 합사로 이루어지고, 1 ~ 5겹이 중첩되어 겹쳐져 씌워지며,
    상기 여과탱크의 상부는 개방되고 분리 가능한 덮개부에 의해 차단되되,
    상기 여과탱크의 일측에는 상기 덮개부를 승하강시키고 회전시켜 개방시키기 위하여, 덮개부와 연결되는 연결대, 덮개부를 승하강시키는 로드 및 잭을 포함하는 덮개부작동장치가 더 설치되며,
    상기 저수조 및 여과장치의 후단에는 자동수질측정장치가 각각 결합되고, 상기 자동수질측정장치에 의해 측정된 수질 데이터는 인터넷망을 통해 관리자 단말기로 실시간 전달되고,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 전달된 수질 데이터는 전광판 및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달되어 실시간으로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자동수질측정장치에 의해 측정된 수질 데이터가 위험 수준인 경우,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 여과장치 후단에 설치된 자동밸브를 제어하여 수돗물의 공급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저수조 수질정화를 위한 여과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210069863A 2021-05-31 2021-05-31 공동주택 저수조의 수질정화를 위한 여과필터 및 이를 이용한 여과장치 KR1024260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9863A KR102426003B1 (ko) 2021-05-31 2021-05-31 공동주택 저수조의 수질정화를 위한 여과필터 및 이를 이용한 여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9863A KR102426003B1 (ko) 2021-05-31 2021-05-31 공동주택 저수조의 수질정화를 위한 여과필터 및 이를 이용한 여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6003B1 true KR102426003B1 (ko) 2022-07-29

Family

ID=82606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9863A KR102426003B1 (ko) 2021-05-31 2021-05-31 공동주택 저수조의 수질정화를 위한 여과필터 및 이를 이용한 여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600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6206Y1 (ko) * 2000-01-11 2000-06-15 주식회사청수테크노필 섬유상 카본필터
KR20040106906A (ko) 2003-06-09 2004-12-18 주식회사 현진기업 다가구 주택용 물탱크의 여과 장치
KR101102117B1 (ko) * 2011-08-04 2012-01-02 민우배 수질 관리 시스템
KR101449901B1 (ko) * 2014-04-15 2014-10-13 김양기 필터 측면지지구를 구비한 여과장치
KR20150067664A (ko) * 2013-12-10 2015-06-18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필터
KR20170035474A (ko) * 2015-09-23 2017-03-31 현대제철 주식회사 여과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6206Y1 (ko) * 2000-01-11 2000-06-15 주식회사청수테크노필 섬유상 카본필터
KR20040106906A (ko) 2003-06-09 2004-12-18 주식회사 현진기업 다가구 주택용 물탱크의 여과 장치
KR101102117B1 (ko) * 2011-08-04 2012-01-02 민우배 수질 관리 시스템
KR20150067664A (ko) * 2013-12-10 2015-06-18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필터
KR101449901B1 (ko) * 2014-04-15 2014-10-13 김양기 필터 측면지지구를 구비한 여과장치
KR20170035474A (ko) * 2015-09-23 2017-03-31 현대제철 주식회사 여과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3249B1 (ko) 수용가에서의 혼탁수 재발방지를 위한 이물질 여과기능의 상수도 관로형 필터시스템
CN204625359U (zh) 一种时间流量双控报警净水器
KR102426003B1 (ko) 공동주택 저수조의 수질정화를 위한 여과필터 및 이를 이용한 여과장치
CN208049492U (zh) 预过滤可视y型过滤器、生活供水系统及循环供暖系统
CN111364582A (zh) 一种雨污智能分流系统和方法
KR20240014150A (ko) 소독기능이 포함된 공동주택 저수조의 수질정화 여과필터 및 이를 이용한 여과장치
RU184169U1 (ru) Устройство водоснабжения
CN211130674U (zh) 一种直饮水设备
CN208266990U (zh) 一种反冲洗水箱
CN106082398A (zh) 一种新型纯水机
CN208852503U (zh) 一种前置反冲洗过滤器
CN209155206U (zh) 可快速拆装的过滤箱
JP5714155B1 (ja) カートリッジ式ろ過装置一体型プール
KR200455101Y1 (ko) 물통 내부 확인이 가능한 정수기
CN118007750B (zh) 供水系统控制方法及具备水质监测与消毒功能的供水系统
CN214880711U (zh) 一种环境保护用污水净化装置
CN203469821U (zh) 一种反渗透系统冲洗清洗装置
CN211922897U (zh) 一种雨污智能分流系统
CN214437124U (zh) 一种带监测功能的二次供水精密过滤系统
CN211226387U (zh) 一种水处理净化装置
CN111195444A (zh) 一种生活污水处理用可调节的过滤装置
CN217013615U (zh) 一种实时水质监测远程报警的直饮水机
CN214233006U (zh) 一种一体式饮用水自清洁净化设备
CN214585344U (zh) 一种生活供水智能检测装置
CN202682926U (zh) 生产肠衣所用的过滤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