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5101Y1 - 물통 내부 확인이 가능한 정수기 - Google Patents

물통 내부 확인이 가능한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5101Y1
KR200455101Y1 KR2020090004844U KR20090004844U KR200455101Y1 KR 200455101 Y1 KR200455101 Y1 KR 200455101Y1 KR 2020090004844 U KR2020090004844 U KR 2020090004844U KR 20090004844 U KR20090004844 U KR 20090004844U KR 200455101 Y1 KR200455101 Y1 KR 2004551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indow
cold
hot water
water pur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48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0722U (ko
Inventor
구왕근
Original Assignee
구왕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왕근 filed Critical 구왕근
Priority to KR20200900048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5101Y1/ko
Publication of KR201000107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072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51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510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8Heating or cooling the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2201/309Housings with transparent par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물통 내부 확인이 가능한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부덮개(2)가 다수개의 나사(2')로 결합된 몸체(1) 내부로 상부실(11)과 하부실(12)이 격판(13)으로 분리구성되어, 그 상부실(11)에는 연결관(31)에 의해 상호 연결된 다수개의 정수필터체(3)와, 그 중심부에 상기 정수필터체(3) 중 하나의 정수필터체(3)와 연결관(31)으로 연결됨과 동시에 하부면에 냉수용배출구멍(41)과 온수용배출구멍(42)을 가지는 물통(4)이 구성되고, 몸체(4) 하부실(12)로는 물통(4)에서 공급되는 정수를 냉,온수로 변화시키는 공급밸브(14)를 가지는 냉각장치(15)와 가열장치(16)가 각각 구성되는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몸체(1) 상부에 결합된 상부덮개(2) 중심위치로 투명의 PVC재질로 된 투시창(7)을 구성하고, 몸체(1) 내측의 물통(4)으로는 투명의 PVC재질로 된 냉,온수공급분리판(6)을 안치하여 냉,온수공급분리판(6)의 하부 연결대(61)가 물통(4) 바닥의 온수용배출구멍(42)에 끼움되도록 함과 동시에 그 물통(4) 상부로 이물질걸름망(51)이 끼워진 공기공급공(52)을 가지는 투명의 PVC재질로 된 물통덮개(5)를 설치구성하되, 상기 투시창(7)은 상부덮개(2)의 중심부에 마련된 투시창(7)과 동일 형상으로 된 투시창결합공(2a) 내에 안치하여 투시창(7) 외주연으로 하향돌출된 끼움돌부(7a)를 투시창결합공(2a) 내주연에 하향돌출된 걸림돌부(2a-1)에 끼워 상호 결합구성되도록 한 것으로, 정수기의 사용자가 투시창을 통해 외부에서 정수기의 물통내부 상태를 육안으로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정수기, 물통, 투시창, 정수필터체, 가열장치

Description

물통 내부 확인이 가능한 정수기{The purifier where the water bottle internal confirmation is possible}
본 고안은 물통 내부 확인이 가능한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정수기 내측에 구성된 물통의 위생상태를 정수기 외부에서 간단/편리하게 육안으로 확인가능토록 하여 정수기의 위생적 사용을 보다 증진시켜 주도록 함에 그 목적을 두고 안출된 고안이다.
근래에 들어 대부분의 가정이나, 사무실 및 각종 음식점 등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정수기는 통상, 첨부된 도면 도 5에서와 같이 상부덮개(2)가 다수개의 나사(2')로 결합된 몸체(1) 내부로 상부실(11)과 하부실(12)이 격판(13)으로 분리구성되어,
그 상부실(11)로 연결관(31)에 의해 상호 연결된 다수개의 정수필터체(3)와 그 중심부에 상기 정수필터체(3) 중 하나의 정수필터체(3)와 연결관(31)으로 연결됨과 동시에 하부면에 냉수용배출구멍(41)과 온수용배출구멍(42)을 가지는 물통(4)이 구성되고,
몸체(1) 하부실(12)로는 물통(4)에서 공급되는 정수(淨水)를 냉,온수로 변화시키는 공급밸브(14)를 가지는 냉각장치(15)와 가열장치(16)가 각각 구성되어지는데,
이때, 상기 물통(4)은 그 내부로 냉수와 온수가 분리 배출될 수 있도록 물통(4) 바닥에서 일정높이로 상향 구성된 냉,온수공급분리판(6)의 연결대(61)를 온수용배출구멍(42)과 연결구성하고, 그와 동시에 물통(4) 상부에 이물질걸름망(51)이 끼워진 공기공급공(52)을 가지는 물통덮개(5)를 구성하게 된다.
따라서, 위와 같이 구성된 통상의 정수기는 다수개의 정수필터체를 통해 수돗물이 반복적으로 여과되면서 물통 내에 정수가 저장되고 그와 동시에 저장된 정수가 공급분리판에 의해 냉각장치와 가열장치로 분리 공급되어 공급밸브를 통해 외부로 냉,온정수가 공급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과 작용으로 이루어지는 종래의 정수기는 수돗물을 다수개의 정수필터체를 통해 보다 양질의 정수를 얻을 수 있는 이점은 있었으나, 그와 반대로 장시간 사용시 물통 내부를 실시간으로 확인 불가능하여 정수필터체에서 발생되는 이물질 및 물때, 그리고 물통 상부의 공기공급공을 통한 오염물질(벌레,먼지 등)유입시, 그 정수의 위생적 관리가 매우 미흡하였던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정수기의 장기간 사용시 정수기의 물통내에는 다수개의 정수필터체에서 발생되는 이물질 및 물때가 발생하게 되고 그와 동시에 물통덮개에 구성된 공기공급공으로 오염물질(벌레,먼지 등)이 자주 유입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문제발생시 종래의 정수기는 정수기 몸체 상부덮개가 나사로 결합됨과 동시에 불투명재질이고 또 내부 물통덮개 역시 불투명 PCV재질이어서
정수기의 사용자는 정수기의 물통내 오염상태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어 오염된 정수를 그대로 공급 및 섭취하는 위생적 문제를 초례하였다.
단, 위 문제를 감안하여 사용자가 물통 내부를 수시로 확인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사용자는 정수기의 상부덮개와 물통덮개를 일일이 개별 분리하여 물통 내부를 확인하여야 하므로 그 분리/결합의 번거로움은 물론 잦은 확인시 이물질이 그 과정에서 추가로 유입될 수 있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또한 다른 문제점으로는 상기 정수기는 대부분 업체를 통한 위탁관리를 실시하여 일정기간 마다 정수기의 정수필터체 교체 및 물통청소를 대행하고는 있는데, 이때 사용자가 관리자의 물통 내부 관리상태 확인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어, 불필요한 관리비용의 낭비를 초례할 수 있음은 물론 업체를 통한 관리상의 믿음 성을 저하시킬 수 있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본 고안은 위 설명한 종래의 정수기가 가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 된 것으로서, 특히 정수기의 상부 덮개로 투시창을 구성함과 동시에 물통덮개와 냉온수공급분리판을 투명의 PVC재질로 구성하여 사용자가 언제든지 실시간으로 정수기의 물통 내부를 투시창으로 확인하여 그 위생상태를 보다 편리하고 안정적으로관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 제시하는 수단은 첨부된 도면 도 2에서와 같이,
상부덮개(2)가 다수개의 나사(2')로 결합된 몸체(1) 내부로 상부실(11)과 하부실(12)이 격판(13)으로 분리구성되어, 그 상부실(11)에는 연결관(31)에 의해 상호 연결된 다수개의 정수필터체(3)와, 그 중심부에 상기 정수필터체(3) 중 하나의 정수필터체(3)와 연결관(31)으로 연결됨과 동시에 하부면에 냉수용배출구멍(41)과 온수용배출구멍(42)을 가지는 물통(4)이 구성되고, 몸체(4) 하부실(12)로는 물통(4)에서 공급되는 정수를 냉,온수로 변화시키는 공급밸브(14)를 가지는 냉각장치(15)와 가열장치(16)가 각각 구성되는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몸체(1) 상부에 결합된 상부덮개(2) 중심위치로 투명의 PVC재질로 된 투시창(7)을 구성하고,
몸체(1) 내측의 물통(4)으로는 투명의 PVC재질로 된 냉,온수공급분리판(6)을 안치하여 냉,온수공급분리판(6)의 하부 연결대(61)가 물통(4) 바닥의 온수용배출구 멍(42)에 끼움되도록 함과 동시에 그 물통(4) 상부로 이물질걸름망(51)이 끼워진 공기공급공(52)을 가지는 투명의 PVC재질로 된 물통덮개(5)를 설치구성하되,
상기 투시창(7)은 상부덮개(2)의 중심부에 마련된 투시창(7)과 동일 형상으로 된 투시창결합공(2a) 내에 안치하여 투시창(7) 외주연으로 하향돌출된 끼움돌부(7a)를 투시창결합공(2a) 내주연에 하향돌출된 걸림돌부(2a-1)에 끼워 상호 결합구성되도록 한 것으로, 정수기의 사용자가 투시창을 통해 외부에서 정수기의 물통내부 상태를 육안으로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위 설명한 과제의 해결수단과 같이 본 고안은 정수기의 몸체 상부덮개로 투명의 PVC재질로 된 투시창을 구성함과 동시에 그 내의 물통덮개와 냉,온수공급분리판을 모두 투명의 PVC재질로 구성하여, 사용자가 상기 투시창을 통해 물통 내부를 육안으로 간단/편리하게 확인하여 그 오염상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특별한 분해 등의 조치없이 누구든지 물통 내부의 오염상태(이물질, 물때, 오염물질 등이 정수에 포함되거나 물통내주면에 부착 되는 등)를 수시로 확인하여그 위생상태를 점검할 수 있도록 도모하므로 사용자 뿐 아니라 관리자가 정수기에 대한 관리감독이 매우 위생적이면서 편리해지고,
더욱이 사용자는 물통 내부확인 가능으로 인해 보다 위생적인 정수를 선택적으로 섭취할 수 있음과 동시에 위탁관리 시 그 관리상태를 철저히 감독할 수 있어, 올바른 관리를 유도함과 동시에 불필요한 작업을 배제시켜 비용적 손실을 예방하고 반대로 관리자들에게는 정수기 물통의 오염상태를 사용자들로 하여금 실시간으로 연락받아 그 상태를 간접적으로 확인 할 수 있으므로 그에 따른 관리횟수가 늘어나 비용 창출효과의 증가를 꾀할 수 있게 되고, 또 정수기의 관리후 그 관리상태를 사용자에게 정수기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시켜 그 신뢰성을 높여줄 수 있는 부과적인 효과까지 얻을 수 있게 해주는 특징이 있다.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아래와 같다.
첨부된 도면 도 1,2에서와 같이 가정이나 사무실 그리고 음식점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정수기는,
통상적으로 상부덮개(2)가 다수개의 나사(2')로 결합된 정수기 몸체(1) 내부로 상부실(11)과 하부실(12)이 격판(13)에 의해 분리구성되어, 그 상부실(11)로 연결관(31)에 의해 상호 연결된 다수개의 정수필터체(3)와, 그 중심부에 상기 정수필터체(3) 중 하나의 정수필터체(3)와 연결관(31)으로 연결됨과 동시에 하부면에 냉수용 배출구멍(41)과 온수용 배출구멍(42)을 가지는 물통(4)이 구성되고,
몸체(1) 하부실(12)로는 물통(4)에서 공급되는 정수를 냉,온수로 변화시키는 공급밸브(14)를 가지는 냉각장치(15)와 가열장치(16)가 각각 구성되어져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의 종래 정수기는 정수기 내부의 물통 위생상태를 외부 에서 육안으로 확인불가능 하여 몸체의 상부 덮개를 분해한 다음 물통의 물통덮개와 그 내부의 냉,온수분리판을 모두 분해하여야만 물통 내부의 위생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되므로 불편함과 번거로움을 가지고 된다.
하여 본 고안은 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의 정수기에,
상기 몸체(1) 상부에 결합된 상부덮개(2) 중심위치로 투명의 PVC재질로 된 투시창(7)을 구성하고,
몸체(1) 내측의 물통(4)으로는 투명의 PVC재질로 된 냉,온수공급분리판(6)을 안치하여 냉,온수공급분리판(6)의 하부 연결대(61)가 물통(4) 바닥의 온수용배출구멍(42)에 끼움되도록 함과 동시에 그 물통(4) 상부로 이물질걸름망(51)이 끼워진 공기공급공(52)을 가지는 투명의 PVC재질로 된 물통덮개(5)를 설치구성하되,
상기 투시창(7)은 상부덮개(2)의 중심부에 마련된 투시창(7)과 동일 형상으로 된 투시창결합공(2a) 내에 안치하여 투시창(7) 외주연으로 하향돌출된 끼움돌부(7a)를 투시창결합공(2a) 내주연에 하향돌출된 걸림돌부(2a-1)에 끼워 상호 결합구성되도록 정수기를 개량 고안 하였다
이는 사용자가 상기 정수기의 상부덮개에 마련된 투명의 PVC재질의 투시창을 통해 물통 내부의 오염상태를 정수기 외부에서 간단/편리하게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 것으로 종래에 대두되었던 번거로움과 불편함을 한번에 해결수 있게 된다.
즉, 본 고안은 상부의 투시창을 통해 물통내부가 투시된 상태를 나타낸 도 3,4에서와 같이 정수기의 상부덮개로 투명의 투시창을 구성함과 동시에 그 내의 물통덮개와 냉,온수공급분리판을 모두 투명의 PVC재질로 제작하여 사용자가 정수기 외부에서 상기의 투시창을 통해 물통 내부의 오염상태를 실시간으로 신속/편리하게 확인 가능토록 한 것이다.
아울러 본 고안에서 제시하는 투시창은 그 필요에 따라 원형, 사각형, 삼각형, 직사각형 등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하여도 무관하고 또 투명의 유리로 제작하여도 효과 및 작용을 동일하게 얻을 수 있게 되므로 같은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또한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정수기는 냉,온수 정수기 및 일반 수돗물을 정수하여 바로 공급하는 일반 정수기와 같이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으나, 이들 모두 본 고안에서 제시하는 구성을 동일 적용할 수 있으므로 그에 따른 효과와 작용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서 제시하는 정수기의 상부덮개를 분리한 평면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에서 제시하는 정수기의 부분 측단면 예시도,
도 3은 정수기 상부의 투시창을 통해 물통 내부의 투시상태를 나타낸 평면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에서 제시하는 정수기의 물통 내부 확인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예시도,
도 5는 종래 정수기의 부분 분해 단면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몸체 11 : 상부실
12 : 하부실 13 : 격판
2 : 상부덮개 2' : 나사
2a : 투시창결합공 2a-1 : 걸림돌부
3 : 정수필터체 31 : 연결관
4 : 물통 41 : 냉수용배출구멍
42 : 온수용배출구멍 5 : 물통덮개
51 : 이물질걸름망 52 : 공기공급공
6 : 냉,온수공급분리판 61 : 연결대
7 : 투시창 71 : 끼움돌부

Claims (1)

  1. 상부덮개(2)가 다수개의 나사(2')로 결합된 몸체(1) 내부로 상부실(11)과 하부실(12)이 격판(13)으로 분리구성되어, 그 상부실(11)에는 연결관(31)에 의해 상호 연결된 다수개의 정수필터체(3)와, 그 중심부에 상기 정수필터체(3) 중 하나의 정수필터체(3)와 연결관(31)으로 연결됨과 동시에 하부면에 냉수용배출구멍(41)과 온수용배출구멍(42)을 가지는 물통(4)이 구성되고, 몸체(4) 하부실(12)로는 물통(4)에서 공급되는 정수를 냉,온수로 변화시키는 공급밸브(14)를 가지는 냉각장치(15)와 가열장치(16)가 각각 구성되는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몸체(1) 상부에 결합된 상부덮개(2) 중심위치로 투명의 PVC재질로 된 투시창(7)을 구성하고,
    몸체(1) 내측의 물통(4)으로는 투명의 PVC재질로 된 냉,온수공급분리판(6)을 안치하여 냉,온수공급분리판(6)의 하부 연결대(61)가 물통(4) 바닥의 온수용배출구멍(42)에 끼움되도록 함과 동시에 그 물통(4) 상부로 이물질걸름망(51)이 끼워진 공기공급공(52)을 가지는 투명의 PVC재질로 된 물통덮개(5)를 설치구성하되,
    상기 투시창(7)은 상부덮개(2)의 중심부에 마련된 투시창(7)과 동일 형상으로 된 투시창결합공(2a) 내에 안치하여 투시창(7) 외주연으로 하향돌출된 끼움돌부(7a)를 투시창결합공(2a) 내주연에 하향돌출된 걸림돌부(2a-1)에 끼워 상호 결합구성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물통 내부 확인이 가능한 정수기.
KR2020090004844U 2009-04-23 2009-04-23 물통 내부 확인이 가능한 정수기 KR2004551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4844U KR200455101Y1 (ko) 2009-04-23 2009-04-23 물통 내부 확인이 가능한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4844U KR200455101Y1 (ko) 2009-04-23 2009-04-23 물통 내부 확인이 가능한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722U KR20100010722U (ko) 2010-11-02
KR200455101Y1 true KR200455101Y1 (ko) 2011-08-17

Family

ID=44203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4844U KR200455101Y1 (ko) 2009-04-23 2009-04-23 물통 내부 확인이 가능한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510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5530B1 (ko) * 2016-08-22 2018-09-11 김동호 냉온수기
KR102449784B1 (ko) * 2020-10-19 2022-09-29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부분적 투시 구조를 지닌 정수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6069Y1 (ko) 1998-04-14 2000-04-15 이수웅 수도물정수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6069Y1 (ko) 1998-04-14 2000-04-15 이수웅 수도물정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722U (ko) 2010-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51904C (en) Outlet for shower or faucet head
US20170239680A1 (en) Outlet for shower or faucet head
US20040026449A1 (en) Water cooler drip tray drainage apparatus
KR101106649B1 (ko)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를 갖는 정수기
KR200455101Y1 (ko) 물통 내부 확인이 가능한 정수기
KR19980087057A (ko) 수정화장치 및 관련 필터 카트리지
CN101991983A (zh) 袋式通道流体过滤器组件
KR101621869B1 (ko) 정수기의 코크 살균 장치
KR102035216B1 (ko) 빗물 정화장치
US20220176279A1 (en) Air conditioner condensate filtration device
KR102426003B1 (ko) 공동주택 저수조의 수질정화를 위한 여과필터 및 이를 이용한 여과장치
KR20140000810U (ko) 스마트형 파우셋
CN205988620U (zh) 滤心
CN210855640U (zh) 一种龙头净水器
TWI694255B (zh) 餐飲飲水過濾監控系統
CN217139538U (zh) 一种配合智能马桶使用的过滤器
KR200485231Y1 (ko) 용수 여과기
KR200336807Y1 (ko) 배수구 커버
KR920000938Y1 (ko) 보조 정수기
KR20170097928A (ko) 일자형 스트레이너
TWM641610U (zh) 重力滴濾式環保濾水器模組
CN204661433U (zh) 一种多功能家用净水装置
KR101618091B1 (ko) 정수기용 외부공기 차단노즐
JPH11319434A (ja) 集毛・集塵器
CN104083933A (zh) 一种自来水进水入户过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