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87057A - 수정화장치 및 관련 필터 카트리지 - Google Patents

수정화장치 및 관련 필터 카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87057A
KR19980087057A KR1019980017453A KR19980017453A KR19980087057A KR 19980087057 A KR19980087057 A KR 19980087057A KR 1019980017453 A KR1019980017453 A KR 1019980017453A KR 19980017453 A KR19980017453 A KR 19980017453A KR 19980087057 A KR19980087057 A KR 199800870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cartridge
housing
filter
hole
platf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7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레리 스티브
란돌프 하틀레이 필립
크리스티안 코울라한 켈빈
앨리슨 헤론 매튜
앤드레폰트 스티브
두플랜티스 스코트
유진 데비스 로렌스
존 바르테레미 매튜
Original Assignee
베레쓰 스티븐 피이.
선비임 프로덕트스 인코퍼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레쓰 스티븐 피이., 선비임 프로덕트스 인코퍼레이티드 filed Critical 베레쓰 스티븐 피이.
Publication of KR199800870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705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60Cleaning devices
    • A47J31/605Water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43Filter condition indicators
    • B01D35/1435Filter condition indicators with alarm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6Filter mounting adap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02F1/003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using household-type filters for producing potable water, e.g. pitchers, bottles, faucet mounted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29Filter cartridge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05Processes using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 C02F2209/006Processes using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comprising a software program or a logic diagr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 Treatment Of Water By Ion Exchange (AREA)

Abstract

가정용 주방 조리대 수정화기는 하우징, 착탈식 비여과수 저장원, 모터, 펌프, 여과요소를 포함한 착탈식 필터 카트리지 및 여과수 출구를 포함하며, 물이 저장원으로부터 여과요소로 펌프질되며 여과수 출구로 분배된다.

Description

수정화장치 및 관련 필터 카트리지
본 발명은 식수 필터, 특히 바람직하지 않은 약품, 냄새, 광물질, 및 박테리아와 같은 생물학적 작용제를 제거하기 위해서 식수를 더욱 정제하는데 사용되는 가정용 또는 사무실용 필터에 관계한다.
염소, 냄새, 원치않은 광물질(납과 같은) 및 박테리아를 제거하도록 식수를 보충 여과하기 위한 필터의 사용은 공지되며 널리 사용중이다. 이러한 필터는 수도꼭지 또는 샤워헤드의 단부에 연결되는 유니트, 물을 중력에 의해 물주전자 또는 다른 용기에 흐르게 하는 유니트, 병의 단부에 직접 부착되는 유니트, 및 다양한 형태의 주방용조리대 유니트를 포함하는 다양한 종류로 나타나며, 이들의 대개는 호오스를 통해 수도꼭지로의 부착부를 필요로 한다. 추가로, 가정 식수 본관에 직접연결되어 모든 물을 여과하는 유니트가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여과장치는 두가지 범주로 나누어진다. 제 1 범주는 비여과수가 중력에 의해 장치의 여과요소를 통과하는 여과장치를 포함한다. 제 2 범주는 지역 수도회사로 부터 직접 공급되는 압력이나 여과장치내에 위치되는 펌프에 의해 물이 장치의 여과요소를 통과하는 여과장치를 포함한다.
물에서 불순물을 제거하는데 이러한 장치의 효율은 다양한 크기의 입자를 여과하는 필터요소의 능력에 직접관계한다. 일반적으로 필터요소가 여과할 수 있는 입자가 작을수록 활성탄소와 같은 여과매체가 더욱 조밀하게 충진되어야 하므로 물이 사용되는 여과매체를 삼투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매우 작은 입자, 예컨대 2 마이크론 미만의 입자를 여과할 수 있는 필터는 중력을 사용하여 일정량의 물을 여과하는데 장시간이 걸리며 압력하에서 물이 여과 매체를 통과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다른한편, 단지 큰 입자만을 여과할 수 있는 필터는 중력에 의해 물이 여과매체를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물을 여과할 수 있다.
중력에 의해 물이 여과요소를 통과하는 필터는 공지된다. 이러한 종류의 필터는 미국특허 5,536,396 (Mudra) 및 미국특허 4,528,095 (Byrne)에 나타낸다. 상기 필터는 여과매체로서 활성화된 느슨한 숯과 숯을 유지하는 여과지를 사용한다. 이러한 필터는 10 마이크론 이상의 입자를 여과할 수 있으며 물에서 염소냄새 및 맛을 제거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필터는 보통 3-4 마이크론으로 훨씬 적은 편모층 및 크립토스포리듐(cryptosporidium) 박테리아와 같은 작은 입자를 제거할 수 없다.
물이 여과요소를 통과하도록 수도물에 압력을 가하는 필터는 미국특허 5,454,944 (Clack), 미국특허 5,078,864 (Whittier) 및 미국특허 4,744,895 (Gales)에 기술된다. 이들 필터는 앞서 기술된 중력흐름 필터 보다 훨씬 작은입자를 여과할 수 있으며 Whittier의 특허에 기술된 역삼투압 필터의 경우에 콜레라 야기 박테리아, 디프테리아 및 대장균을 포함하는 0.01 마이크론 까지의 입자를 여과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필터의 문제점은 물을 여과매체를 통과시키는 수도물 압력에 대한 의존성이다. 이것은 수압이 산발적인 시골이나 신뢰성있는 상수시스템이 없는 지역에서는 문제이다.
이러한 문제는 물을 여과매체에 통과시키도록 수동 또는 전기펌프를 가지는 필터를 사용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다(미국특허 5,039,402 (Heimelstein), 미국특허 5,268,093(Hembree)참조). 물을 여과매체를 통과시키도록 펌프를 가지는 필터를 사용할 때 수도물 압력에 의존할 필요가 없다. 게다가, 펌프의 사용은 수도꼭지와 여과유니트간에 연결부를 가질 필요성을 제거한다.
Heimelstein의 특허에 기술된 전기펌프를 가지는 여과장치의 문제점은 물이 필요에 따라 여과되지 않고 배치(일회분)식으로 여과된다는 점이다. 이것은 사용에 앞서 여과수를 방치시켜 주변공기와의 접촉을 통해 여과수가 재오염될 가능성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선호된 구체예는 필요에 따라 여과수를 제공할 수 있으며 전기펌프, 착탈식 비여과수 저장원을 갖는 식수필터를 발표한다.
용기의 하우징은 비여과수 저장원을 안착시키는 플랫포옴을 제공한다. 충진을 위해 플랫포옴에서 제거될 때 비여과수 저장원의 베이스에 있는 스프링장착 밸브는 물이 탈출하는 것을 막는다. 비여과수 저장원이 플랫포옴상에 위치될 때 밸부가 개방되어 물이 비여과수 저장원에서 플랫포옴의 베이스로 빠져나가게 할 수 있다.
전기모터와 펌프의 조합은 물을 플랫포옴의 베이스로부터 빼내서 필터 카트리지를 통과시키고 하우징의 여과수 출구밖으로 나오게 한다. 기다란 접촉스위치는 여과수 출구 아래로 하우징 외부상에 위치되어서 출구 아래에 놓여서 스위치에 대해 고정된 유리 또는 물주전자가 모터와 펌프를 작동시키게 한다. 선호되는 구체예에서 스위치는 출구 아래로 주방용 조리대상에 놓일 때 스위치를 접촉하도록 단락되는 주발을 충진할 때 모터와 펌프를 수동으로 켜도록 스위치가 제공된다.
선호되는 구체예는 카본블랙형 여과요소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필터 카트리지를 포함한다. 이 카트리지는 착탈식이고 약 250 갤론의 물을 충진한 후 대체될 필요가 있다. 정수장치는 모터와 펌프가 작동하는 시기를 추적하는 계수기를 포함한다. 펌프의 유속은 알려져 있기 때문에 250 갤론의 물을 펌프질하기 위해서 펌프가 얼마간 작동되어야 하는지 계산될 수 있다. 펌프가 약 190 갤론의 물을 펌프질 할 때 사용자는 필터 카트리지가 곧 교체되어야 한다는 경고를 받는다. 250 갤론을 충진한 후 필터 카트리지가 교체될때까지의 유니트는 작동하지 않는다. 선호되는 구체예에서 190 갤론의 물이 여과된후 주어지는 경고는 하우징 외부상에 위치된 깜박이 광 형태를 취한다. 250 갤론의 물이 여과된후에 깜박이광은 켜진채 유지된다.
본 발명의 선호되는 구체예에는 비여과수 저장원이 비거나 필터 카트리지가 유니트에 없을 때 유니트작동을 방지하는 안정장치 및 연동장치가 설비된다. 이들 연동장치는 물이 유니트로부터 넘쳐흐르는 것을 방지하며 모터가 타는 것을 방지한다.
도 1 은 수정화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 는 수정화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도 3 은 수정화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4 는 수정화장치의 우측사시도이다.
도 5 는 수정화장치의 좌측면도이다.
도 6 은 물주전자(pitcher)가 제거된 수정화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7 은 물주전자(pitcher)가 제거된 수정화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도 8 은 물주전자 하부의 상세도이다.
도 9 는 도 3 의 9-9 지대를 통한 수정화장치의 물주전자 및 베이스의 단면도이다.
도 10 은 도 3 의 9-9 지대를 통한 수정화장치의 물주전자 및 베이스의 밸브 어셈블리의 확대된 단면도이다.
도 11 은 필터 카트리지가 제거된 수정화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12 는 도 11 의 12-12 지대를 통한 수정화장치의 메인하우징의 사시단면도이다.
도 13a 는 필터 카트리지의 정면도이다.
도 13b 는 필터 카트리지의 우측면도이다.
도 13c 는 도 13a 의 13-13 을 통한 필터카트리지의 단면도이다.
도 13d 는 필터 카트리지의 평면도이다.
도 14a 는 필터 카트리지의 좌측 배면 사시도이다.
도 14b 는 필터 카트리지의 우측 정면 사시도이다.
도 15 는 수정화장치의 기능을 발휘시키는 샘플회로이다.
도 16 은 도 15 의 회로의 논리순서도를 보여준다.
도면에 중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하우징 12 ... 스위치
14 ... 여과수 출구 16 ... 온스위치
18 ... 오프스위치 20 ... 경고광
22 ... 리세트 버턴 24 ... 엔진실
30 ... 베이스 34 ... 밸브
36 ... 플런저 37 ... 시일
40 ... 피처 42 ... 핸들
44 ... 뚜껑 46 ... 밸브
47 ... 스프링 48 ... 시일
49 ... 코터 50 ... 펌프
52 ... 회로 53 ... 인쇄회로기판
58,60 ... 피팅 68 ... 하우징
69 ... 공동 70 ... 필터 카트리지
72 ... 리세스 74 ... 탭
76 ... 출구 78 ... 입구
82 ... 필터요소 86 ... 단부캡
88 ... 축방향구멍 90 ... O-링
92 ... 캐치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같이, 수정화장치는 두 개의 수직구조물인 하우징(10)과 물주전자(40)로 구성된다. 하우징(10)은 필터 카트리지(70), 모터(49), 펌프(50) 및 인쇄회로기판(53)을 포함한다. 하우징(10) 외부에서 상부근처에 엔진실(nacelle, 24)이 있는데, 이것은 하측부상에 여과수 출구(14)와 상부의 사용자제어부(16, 18, 20, 22)를 포함한다. 하우징(10)은 모터(49)를 시동시키는 스위치(12)를 포함한다. 피처(40)는 베이스(30)상부에 놓이며, 베이스는 하우징(10)과 일체가 된다.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피처(40)는 장치의 여과장치에 의한 여과 및 분배에 앞서서 비여과수를 저장하는데 사용된다. 피처(40)는 충진 및 세정을 위해 베이스(30)로부터 제거가능하다. 핸들(42)은 사용자가 피처(40)를 취급하는 것을 보조하며 뚜껑(44)은 피처(40)가 물로 충진될 때 제거될 수 있다.
비여과수는 도 8, 도 9 및 도 10 에 도시된 피처의 하측부상에 위치된 밸브(46)를 경유해서 도 7, 도 9 및 도 10 에 도시된 베이스(30)상부에 위치된 결합밸브(34)를 통해 피처(40)로부터 분배된다. 도 10 에서, 피처(40)가 베이스(30)상에 위치되지 않을 때 스터드(48)가 스피링(47)에 의해 하향으로 당겨져서 피처(40)의 벽에 대해 밀폐를 시키며 밸브(46)를 폐쇄시켜 피처(40)를 밀폐시켜 물이 새는 것을 방지한다. 추가로, 플런저(30)가 스프링(35)에 의해 상향으로 당겨져서 베이스(30)벽에 있는 시일(37)에 대해 플런저(36)를 유지하여 밸브(34)를 폐쇄한다. 이것은 장치에 남아있는 비여과수가 밸브(34)를 통해 오목부(32)로 범람하는 것을 방지한다.
피처(40)가 베이스(30)상에 위치될 때 밸브(46)는 밸브(34)와 통하여 물이 피처(40)에서 베이스(30)에 흐르게 할 수 있다. 플런저(36)와 스터드(48)는 서로 밀어서 밸브(46, 34)를 개방시킨다. 물의 경로(39)는 도 10 에 피처(40)에서 베이스(30)로 흐르게 도시된다.
밸브(34)는 피처(40)로부터 물을 필터 카트리지(70)를 통해 엔진실(24) 하측부상에 위치된 여과수 출구(14)밖으로 펌프질하는 펌프(50)의 상류단부에 대해 수직이다. 고정된 유리 또는 피처에 의해 적용된 압력을 통해 스위치(12)를 누르면 도 12 에 도시된 모터(49)가 시동되어 도 12 에 도시된 펌프(50)를 구동한다. 접촉스위치가 모터(49) 시동에 사용될지라도 사용자와 고정물간에 접촉없이 수도꼭지를 개폐시켜 변기를 물로 씻어내리기 위해서 공공화장실에 통상 사용되는 장치와 같이 용기와 장치간의 물리적 접촉없이 여과수 출구(14)아래에 고정된 용기의 존재를 탐지하는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도 3 및 도 5, 도 13a-d 및 도 14a-b 에 필터 카트리지(70)가 도시되는데 하우징(10)의 배면에 있는 리세스(72)에 위치된다. 필터 카트리지(70)는 하우징(10)의 외부로 부터 접근가능하므로 사용수명에 도달한후에 사용자에 의해 쉽게 교체가능하다.
선호된 구체예에서 필터 카트리지(70)의 하우징(68)은 프리즘형태이며 구형 삼각형의 평평한 투사체형태의 단면을 가진다. 즉, 하우징(68)의 단면은 삼각형 모양이지만 블록한 또는 아치형 측부를 가진다. 리세스(72)는 필터 카트리지(70)를 수용하는 모양이다.
필터 카트리지(70)는 리세스(72)의 코너에 먼저 삽입되어서 입구(78) 및 출구(76)가 도 11 에 도시된 피팅(58, 60)에 각각 맞물린다. 따라서 필터 카트리지(70)는 하우징(68)의 선행 가장자리 코너로부터 돌출하는 출구(76)와 하우징(68)의 한면의 중앙에서 돌출하는 입구(78)를 가져서 입구(78)와 출구(68)가 서로 평행하고 동일 수직 평면에 있다. 이것은 도 13a-d에 최상으로 도시된다. 위에서 기술된 필터 카트리지(70)의 구성은 사용자가 카트리지(70)를 잘못 삽입할 수 없도록 단지 한가지 방식으로 카트리지가 리세스(72)내에 삽입될 수 있게한다.
도 11 은 리세스(72)로부터 필터 카트리지(70)가 제거된 하우징(10)의 배면을 보여준다. 리세스(72)내의 피팅(58)은 펌프(50)의 하류단부에 대해 수직이며 필터 카트리지(70)의 물입구(78)에 연결된다. 피팅(60)은 여과수출구(14)에 대해 수직이며 필터 카트리지(70)의 물출구(76)에 연결된다.
여과요소(82)는 필터 카트리지(70)내에 배치되며 당해분야에 공지된 종류의 여과요소로 구성된다. 선호된 구체예에서, KX 인더스트리스(코네티컷, 오렌지)로부터 Matrix Pb1 필터로 구매가능한 압출된 카본블랙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여과요소는 3-4미크론의 입자를 여과할 수 있다. 또다른 구체예에서, 여과요소(82)는 부직포 예비여과재료로된 제 1 층과 친수성 미세다공질재료로된 제 2 층으로 구성된 막으로 싸여져 여과능력을 향상시켜서 0.1미크론까지의 입자를 여과할 수 있다. 이러한 여과요소는 KX 인더스트리스(코네티컷, 오렌지)로부터 Gen3 필터로 구매가능하다.
도 13c 는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여과요소(82)는 일반적으로 관통하는 축방향 구멍(88)을 갖는 관형 모양을 가진다. 필터요소(82)의 한단부는 단부캡(86)에 의해 캐핑되어서 축방향구멍(88)의 단부를 밀폐한다. 출구(76)는 리세스972)에 위치된 피팅(60)에 연결된다. 따라서, 물이 피팅(58)을 경유해서 펌프(50)로부터 입구(78)로 밀폐 카트리지에 들어가고 공동(69)에 통과한다. 공동(69)은 필터 카트리지의 하우징(68)에 형성되는데, 한 구체예에서 불투명 플라스틱과 필터요소(82)의 외벽으로 구성된다. 공동(69)을 빠져나가기 위해서 물은 필터요소(82)의 벽을 통해 축방향 구멍(88)으로 삼투해서 출구(76)를 통해 축방향 구멍(88)을 빠져나가야 한다.
피팅(58)과 필터 카트리지 입구(78), 피팅(60)과 필터 카트리지 출구(76)간의 연결부는 도 13a-d 에 도시된 고무와 같이 탄성재료로 구성된 O-링(90)에 의해 필터 카트리지 하우징(68)의 상부단면에 위치된 탭(74)은 도 12 에 도시되면 리세스(72)에 위치된 캐치(92)에 맞물려서 O-링(90)을 압축하여 방수시일을 형성함으로써 리세스(72)내에 필터 카트리지(70)를 단단하게 고정한다. 추가로, 하우징(68)은 입구(78) 및 출구(76)를 제외하고는 방수성이다.
필터 카트리지 하우징(68)의 상부 단부에 위치되며 도 13d 및 14a-b 에 도시된 오목부(80) 및 볼록부(79)는 사용자가 필터 카트리지(70)를 설치하고 리세스(72)로부터 제거하는 것을 돕는다. 사용자는 필터 카트리지 하우징(68)의 바닥에 형성되고 돌출부(도시안된, 93)와 맞물림으로써 리세스(72)내에 필터 카트리지(70)를 설치한다. 이후에 탭(74)이 캐치(92)와 맞물림으로써 피팅(58, 60)과 입구 및 출구(78, 76)간에 연결을 시킨다. 사용자는 오목부(80)에 손가락을 위치시키고 볼록부(79)의 도움을 받아 밖으로 당겨서 탭(74)을 캐치(92)에서 연결해제시키고 필터 카트리지(70)를 상승시키고 노치(75)로부터 돌출부(92)의 연결을 해제시킴으로써 리세스(72)로부터 필터 카트리지(70)를 제거한다.
엔진실(24)상부에 온 스위치(18) 및 오프스위치(16)가 위치된다. 이들 스위치는 스위치(12)를 접촉하기에는 너무 짧은 주방용조리대상에 위치된 주발을 채울경우와 같이 스위치(12)를 통해 모터(49)를 시동하는 것이 불편할 때 모터(49)를 켜거나 끄는데 사용된다. 또한 엔진실(24)의 상부에 경고광(20)이 있다. 경고등(20)은 필터 카트리지(70)가 유용수명 근처에 있을 때 깜박거리기 시작하는데, 이것은 약 190 갤론의 물이 여과될 경우에 일어난다. 필터 카트리지가 유용수명 근처에 있을 경우 대략 250 갤론의 물을 여과한 후 경고등(20)은 계속 밝혀져있다. 필터의 유용수명후 유니트의 경고 및 차단을 위해 단일한 등이 사용될지라도 시각적 경고 대신에 오디오 경고와 같은 두가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5 는 하우징(10)에서 인쇄회로기판(53)상에 위치된 회로(52) 샘플을 도시하는데, 필터 카트리지(70)가 리세스(72)에 없거나 피처(40)가 비어 있거나 베이스(30)에 없을 때 모터(49) 작동을 방지하는 안전장치를 제공한다. 회로(52)는 리세스(72)에 위치된 인터록 스위치에 의해 필터 카트리지(70)가 없을때는 탐지한다. 인터록 스위치는 필터 카트리지(70)가 리세스(72)내에 있을 때 폐쇄된다. 회로(52)는 모터(49)에 인해 인출되는 전류의 감소를 탐지함으로써 피처가 비어있는 시기를 탐지한다.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회로(52)는 피처(40)가 없는 시기를 탐지한다.
회로(52)는 필터 카트리지(70)의 유용수명이 지난 후 모터(49)를 무능화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것은 모터(49)와 펌프(50)가 작동한 시간을 계수하고 필터 카트리지(70)를 통과한 물의 양을 계산함으로써 행해진다. 사용자가 필터 카트리지(70)를 교체한 후에 엔진실(24)의 상부에 위치된 리세트 버턴(22)이 눌러져서 여과수 갤론 카운터를 0으로 리세트시켜서 모터(49)를 재가능화 시키고 경고등(20)을 끈다. 혹은 리세트 버턴(22)은 필터 카트리지(70)의 일시적인 부재를 주목하여 필터 카트리지(70)가 교체될 시기를 탐지하고 이후에 자동으로 여과수 갤론 카운터를 0으로 리세트시키고 경고등(20)을 끄고 모터(49)를 재가능화 시킴으로써 제거될 수 있다.
도 16 은 도 15 에 도시된 회로(52)에 의해 제공된 기능의 논리적 순서도이다. 도 15 에 도시된 회로는 위에서 기술된 특징을 제공하는 회로의 실시를 보여줄 뿐이며 위의 특징을 제공하는 임의의 회로가 도 15 의 회로를 대신할 수 있다. 위에서 기술된 특징은 도 16 의 순서도에 부합하지 않은 회로에 의해서도 실시될 수 있다.
본 제품의 가장 일반적인 용도는 식수의 여과이지만 임의의 액체를 여과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물의 여과에만 국한되지는 않는다.

Claims (86)

  1. a. 외면을 갖는 하우징;
    b.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어 구멍을 형성시키는 측벽을 가지는 비여과 액체 저장원;
    c. 상기 하우징에 의해 한정되며 상기 비여과 액체 저장원을 수용하는 플랫포옴;
    d. 필터 요소가 내부에 배치되는 교체가능한 필터 카트리지;
    e. 상기 하우징에 의해 한정된 여과액체 출구;
    f. 상기 비여과 액체 저장원으로부터 비여과 액체를 상기 필터 카트리지를 통해 상기 여과 액체 출구 밖으로 펌프질하는 펌프를 포함하는 액체여과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가 기계식펌프를 구동하는 전기모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를 켜거나 끄는 장치를 더욱 포함하는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를 켜고 끄는 장치가 푸쉬형 스위치이며 상기 스위치가 눌러질 때 상기 모터가 켜지고 상기 스위치가 해제될 때 상기 모터가 꺼짐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가 상기 여과액체 출구 아래에 위치되어서 여과된 액체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여과액체 출구 아래에 유지된 용기가 상기 스위치와 접촉하여 상기 모터를 켤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를 켜고 끄는 상기 장치가 한쌍의 푸쉬버턴형 스위치이며 하나의 스위치를 밀면 모터를 켜고 다른 하나의 스위치를 밀면 모터를 끔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포옴이 상기 비여과 액체 저장원을 수용할 오목부를 내부에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여과 액체 저장원이 상기 베이스에 배치된 제 2 밸브를 가지며 상기 제 1 밸브는 상기 저장원이 상기 플랫포옴상에 놓일 때 개방되며 상기 저장원이 상기 플랫포옴에서 제거될 때 폐쇄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포옴이 제 2 밸브에 의해 덮히는 구멍을 한정하여 상기 저장원이 상기 플랫포옴상에 놓일 때 상기 제 2 밸브가 개방되며 상기 저장원이 플랫포옴에서 제거될 때 상기 제 2 밸브가 폐쇄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밸브가 상기 제 2 밸브와 통하여서 액체가 상기 저장원으로부터 상기 제 1 및 제 2 밸브를 통해 상기 플랫포옴에 있는 상기 구멍에 흐르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는 상기 플랫포옴에 있는 상기 구멍으로부터 물을 끌어당김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필터 카트리지 유지수단을 더욱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필터 카트리지가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고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도록 구멍을 한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하우징이 상기 필터 카트리지를 수용하는 리세스를 한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카트리지를 상기 리세스내의 위치에 고정시키는 메카니즘을 더욱 포함하는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메카니즘이 상기 공동내에 형성된 캐치를 맞무는 상기 필터 카트리지상에 한정된 탭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메카니즘이 상기 리세스내에 형성된 돌출부를 맞무는 상기 필터 카트리지상에 형성된 노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카트리지가 3개의 아치형 측부와 두 개의 단부를 가진 삼각형 프리즘 형태이며 상기 리세스가 상기 필터 카트리지를 수용하는 모양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카트리지가 플라스틱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카트리지가 불투명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카트리지가 물 입구 피팅과 물 출구 피팅을 더욱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이 상기 필터 카트리지의 물 입구 피팅과 물출구피팅과 결합하는 비여과수 구멍을 한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여과수 구멍이 상기 펌프에 연결되고 상기 여과수 구멍이 상기 여과수 출구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요소가 카본블랙형 필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요소가 1미크론 이상의 직경을 가지는 입자를 여과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요소가 미세다공성 막으로 싸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요소가 0.1미크론 이상의 직경을 가지는 입자를 여과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7.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카트리지가 부재인 시기를 탐지하는 수단을 더욱 포함하는 장치.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카트리지가 부재인 시기들 탐지하는 수단이 인터록 스위치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9.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질수단은 상기 필터 카트리지가 부재인 경우에 작동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비여과수 저장원이 비어있는 시기를 탐지하는 수단을 더욱 포함하는 장치.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비여과수 저장원이 비어있는 시기를 탐지하는 수단이 상기 모터에 의해 소모되는 전류의 감소를 탐지하는 장치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2.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질 수단은 상기 비여과수 저장원이 비어있다면 작동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비여과수 저장원이 부재일 시기를 탐지하는 수단을 더욱 포함하는 장치.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비여과수 저장원이 부재일 시기를 탐지하는 수단이 상기 모터에 의해 소모되는 전류의 감소를 탐지하는 장치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5.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질 수단은 상기 비여과수 저장원이 부재일 경우에 작동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카트리지는 제한된 유용수명을 가지며 상기 필터 카트리지가 상기 유용수명 근처에 있는 시기를 결정하는 수단을 더욱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7.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카트리지가 유용수명 근처에 있음을 경고하는 수단; 상기 필터가 유용수명 근처에 있음을 나타내는 수단을 더욱 포함하는 장치.
  38.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카트리지가 유용수명 근처에 있는 시기를 결정하는 상기 수단이 상기 펌프질 수단이 작동한 시간을 계수하는 카운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9.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가 특정 유속을 가지며 상기 카운터가 상기유속을 상기시간과 곱해서 필터 카트리지를 통해 물이 통과한 양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을 상기 필터 카트리지의 유용수명과 비교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0. 제 38 항에 있어서, 눌려질 때 상기 카운터를 0으로 리세트 시키는 리세트 버턴을 더욱 포함하는 장치.
  41.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카트리지가 교체될 때 상기 계수기가 0으로 리세트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2.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외면상에 장착되는 경고 등을 더욱 포함하며 상기 경고수단이 깜박거리는 등이며 상기 표시수단이 밝혀진채 유지되는 등 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3.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면상에 장착된 한쌍의 등을 더욱 포함하며 상기 경고수단은 상기 쌍중의 하나의 등을 밝히는 것이며 상기 표시수단이 상기 쌍중의 다른 한 등을 밝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4.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수단과 표시수단을 끄는 리세트 버턴을 더욱 포함하는 장치.
  45.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수단과 표시수단을 끄는 리세트 버턴을 더욱 포함하는 장치.
  46.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 및 표시수단은 상기 필터 카트리지가 교체될 때 꺼짐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7.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 및 표시수단은 상기 필터 카트리지가 교체될 때 꺼짐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8. 제 37 항에 있어서, 가청 알람을 더욱 포함하고 상기 경고 및 표시수단이 상기 가청 알람을 울리는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9. 제 37 항에 있어서, 약 190 갤론의 물을 여과한 후에 상기 필터 카트리지가 유용수명 근처에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0. 제 37 항에 있어서, 약 250 갤론의 물을 여과한 후에 상기 필터 카트리지가 유용수명에 도달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1.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카트리지가 상기 유용수명에 도달한 후 상기 필터 카트리지가 교체될 때 까지는 상기 펌프질 수단이 작동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2.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카트리지가 상기 유용수명에 도달한 후 상기 리세트 버턴이 눌려질 때 까지는 상기 펌프질 수단이 작동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3. a. 하우징;
    b.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는 측벽을 가지며 구멍을 한정하는 비여과수 저장원;
    c. 상기 하우징에 의해 한정되며 상기 비여과수 저장원을 수용하기 위해 내부에 형성된 오목부를 갖는 상부가 있는 플랫포옴;
    d. 상기 비여과수 저장원이 상기 플랫포옴상에 위치될 때 개방되고 상기 비여과수 저장원이 상기 플랫포옴에서 제거될 때 폐쇄되며 상기 비여과수 저장원상에 위치되는 제 1 밸브;
    e. 상기 비여과수 저장원이 상기 플랫포옴상에 위치될 때 개방되고 상기 비여과수 저장원이 상기 플랫포옴에서 제거될 때 폐쇄되는 제 2 밸브 의해 덮히는 상기 플랫포옴 상부에 한정된 구멍;
    f. 상기 하우징에 의해 한정된 리세스에 착탈식으로 장착되는 제한된 유용수명의 교체가능한 필터 카트리지;
    g. 상기 하우징에 의해 한정된 여과수 출구;
    h. 스위치;
    I. 상기 스위치가 눌려질 때 상기 모터가 작동하며 상기 스위치가 해제될 때 작동을 멈추는 전기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기계식 펌프로서, 상기 플랫포옴에 있는 구멍의 물을 상기 필터 카트리지를 통해 상기 비여과수 출구밖으로 펌프질하며, 상기 필터 카트리지가 없거나 비여과수 저장원이 비어있거나 상기 필터 카트리지가 유용수명을 초과할 때 상기 모터는 작동을 하지 않는 기계식 펌프;
    j. 상기 필터 카트리지가 상기 유용수명 근처에 있을 때 깜박거리며 상기 필터 카트리지가 상기 유용수명을 초과할 때 밝혀진채 유지되는 경고등;
    k. 하나의 푸쉬 버턴을 누르면 상기 모터가 작동하고 다른 하나의 푸쉬 버턴을 누르면 상기 모터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한쌍의 푸쉬버턴형 스위치를 포함하는 식수여과장치.
  54. a. 비여과 액체를 수용하기 위한 상부 구멍을 포함하며, 비여과 액체를 담는 수용부;
    b. 필터;
    c. 상기 수용부에서 나오는 액체를 받아들이며 상기 액체를 필터를 통해 펌프질하는 펌프;
    d. 상기 필터를 유지시키고 여과액체를 분배하는 분배구멍을 포함하는 필터 홀더;
    e. 여과액체를 수용하는 용기가 상기 분배구멍 아래에 놓일 때 펌프질 싸이클을 개시시켜 상기 펌프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상기 수용부의 액체를 상기 필터를 통해 상기 용기에 수집을 위한 분배구멍 밖으로 펌프질시키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액체여과시스템.
  55. 제 54 항에 있어서, a. 비여과 액체를 분배하기 위해 상기 수용부에 한정되며 충진동안 폐쇄하여 상기 수용부에 액체를 유지하며 분배동안 개방되어 액체를 분배하는 밸브를 포함하는 하부구멍;
    b. 상기 수용부를 수용하며 상기 수용부가 상기 플랫포옴상에 위치될 때 상기 밸브와 통하여 상기 밸브를 개방시키며 상기 펌프와 통하는 연결구멍을 포함하는 플랫포옴을 더욱 포함하는 시스템.
  56. 제 5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가 상기 플랫포옴상에 놓일 때 상기 연결구멍이 개방되고 상기 수용부가 상기 플랫포옴에서 제거될 때 상기 연결구멍이 폐쇄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57. 제 54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가 상기 필터홀더로부터 제거가능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내에 배치된 필터요소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58. a. 하우징;
    b. 상기 하우징내에 배치된 필터요소;
    c. 상기 하우징에 의해 한정된 제 1 구멍;
    d. 상기 하우징에 의해 한정된 제 2 구멍;
    e. 상기 제 1 구멍에 연결된 제 1 관형 피팅;
    f. 상기 제 2 구멍에 연결된 제 2 관형 피팅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구멍에 들어오는 물이 상기 제 2 구멍을 빠져나가기 이전에 상기 필터요소를 통과함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카트리지.
  59. 제 5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관형 피팅이 근접 단부, 원거리 단부 및 제 1 외경을 가지며 상기 원거리 단부가 상기 제 1 구멍에 연결되며 상기 근접 단부는 쇼울더와 플랜지를 한정하고 상기 플랜지는 상기 제 1 외경보다 작은 제 2 외경을 가지며 상기 제 2 관형 피팅은 근접단부, 원거리단부 및 제 1 외경을 가지며 상기 원거리단부는 상기 제 2 구멍에 연결되고 상기 근접단부는 쇼울더와 플랜지를 한정하고 상기 플랜지는 제 1 외경보다 작은 제 2 외경을 가지며, 상기 쇼울더에 인접한 상기 제 1 관형 피팅의 상기 플랜지 주위에 배치되는 제 1 O-링과 상기 쇼울더에 인접한 상기 제 2 관형 피팅의 상기 플랜지 주위에 배치되는 제 2 O-링을 더욱포함하는 필터 카트리지.
  60. 제 5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O-링이 고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카트리지.
  61. 제 5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관형 피팅이 상기 하우징의 단면내에 있는 원의 방사선인 라인을 따라 상기 제 2 구멍으로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카트리지.
  62. 제 6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관형 피팅과 상기 제 2 관형 피팅이 평행하고 하우징의 우측 단면에 의해 한정된 평면에 있도록 상기 제 1 관형 피팅이 상기 제 1 구멍으로부터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카트리지.
  63. 제 6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이 3개의 코너를 한정하는 3개의 측부와 두 개의 단부를 가지는 프리즘 모양임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카트리지.
  64. 제 63 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가 삼각형 모양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카트리지.
  65. 제 63 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가 볼록하고 상기 단부가 구형 삼각형의 평평한 투사체 모양임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카트리지.
  66. 제 6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관형 피팅이 상기 두측부간에 있는 상기 코너중 하나에서 상기 제 2 구멍으로부터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카트리지.
  67. 제 6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관형 피팅이 상기 코너에 인접한 한 측부상의 상기 제 1 구멍으로부터 연장하여 이로부터 상기 제 2 관형피팅이 연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카트리지.
  68. 제 58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요소가 압출된 카본블랙임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카트리지.
  69. 제 68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요소가 액체로부터 3 미크론 이상의 직경을 가지는 입자를 제거함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카트리지.
  70. 제 68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요소가 미세다공성막으로 싸임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카트리지.
  71. 제 70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요소가 액체로부터 0.1 미크론 이상의 직경을 가지는 입자를 제거함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카트리지.
  72. 제 58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요소가 외벽, 두 개의 단부 및 상기 단부를 통해 연장되는 축방향 구멍을 가지는 원통모양임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카트리지.
  73. 제 72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요소의 상기 한단부에서 상기 축방향 구멍을 폐쇄하는 캡을 더욱 포함하는 필터 카트리지.
  74. 제 7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멍이 상기 캡 맞음편의 상기 여과요소의 단부상의 상기 축방향 구멍에 수직임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카트리지.
  75. 제 7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멍이 상기 하우징에 의해 한정된 공간과 상기 여과요소의 외벽과 통함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카트리지.
  76. 제 58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이 상기 비여과수 입구와 출구를 제외하고는 방수성임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카트리지.
  77. 제 58 항에 있어서, 비여과수가 상기 하우징의 제 1 구멍으로 들어가고 상기 여과요소의 외벽과 상기 여과요소의 상기 축방향 구멍을 통과하여 상기 제 2 구멍을 통해 상기 하우징을 빠져나감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카트리지.
  78. 제 58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요소가 여과된 갤론으로 측정된 제한된 유용수명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카트리지.
  79. 제 78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요소는 약 250 갤론의 물을 여과한 후에 제한된 유용수명에 도달함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카트리지.
  80. 제 6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상에 한정된 탭과 돌출부를 더욱 포함하는 필터 카트리지.
  81. 제 80 항에 있어서, 상기 탭은 상기 하우징의한 단부로부터 돌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카트리지.
  82. 제 8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다른 단부에 형성된 노치를 더욱 포함하는 필터 카트리지.
  83. 제 6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한 단부에 형성된 오목부를 더욱 포함하는 필터 카트리지.
  84. 제 83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내에 형성된 복수의 볼록부를 더욱 포함하는 필터 카트리지.
  85. 제 58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이 플라스틱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카트리지.
  86. 제 85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이 불투명함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카트리지.
KR1019980017453A 1997-05-16 1998-05-15 수정화장치 및 관련 필터 카트리지 KR1998008705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5762697A 1997-05-16 1997-05-16
US8/857,626 1997-05-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7057A true KR19980087057A (ko) 1998-12-05

Family

ID=25326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7453A KR19980087057A (ko) 1997-05-16 1998-05-15 수정화장치 및 관련 필터 카트리지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JP (1) JPH10337565A (ko)
KR (1) KR19980087057A (ko)
AU (1) AU7366798A (ko)
BR (1) BR9801189A (ko)
CA (1) CA2237536A1 (ko)
GB (1) GB2325179A (ko)
WO (1) WO199805162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4594B1 (ko) * 2002-11-13 2005-06-10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일체식 필터 구성을 갖는 역삼투 정수기
KR100494593B1 (ko) * 2002-11-13 2005-06-13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일체형 필터 하우징을 구비한 역삼투 정수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91811B2 (en) 2000-11-22 2002-12-10 Fantom Technologies Inc. Sensor for a water treatment apparatus
JP2008023481A (ja) * 2006-07-24 2008-02-07 Seiwa Pro:Kk 浄水器
AU2008221526B2 (en) * 2007-09-19 2014-08-28 Sunbeam Corporation Ltd Water Dispenser
DE102008005362B4 (de) * 2008-01-21 2009-11-12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affeevollautomat mit Serviceanzeige
WO2011026184A1 (en) * 2009-09-02 2011-03-10 Poolrite Research Pty Ltd A filtration unit system
ITVI20110064A1 (it) * 2011-03-23 2012-09-24 Beghelli Spa Dispositivo portatile per la disinfezione e sterilizzazione dell' acqua
DE102011111177A1 (de) 2011-08-25 2013-02-28 Aquis Wasser-Luft-Systeme Gmbh, Lindau, Zweigniederlassung Rebstein Reinigungsdosierer
US20140332478A1 (en) 2012-05-13 2014-11-13 Aquasana, Inc. Pitchers, filtration units, and filtration systems and methods
CN104602782B (zh) * 2012-05-13 2017-07-18 阿普莎娜股份有限公司 壶、过滤单元、过滤系统和方法
EP2881021A1 (de) * 2013-12-06 2015-06-10 Jura Elektroapparate Ag Getränkebereitungsmaschine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Getränkebereitungsmaschine
ITAN20130241A1 (it) * 2013-12-14 2015-06-15 Actica Srl Elettrodomestico multifunzione
US9517958B2 (en) * 2014-01-30 2016-12-13 Response Products Limited System for water filtration
MX2017015112A (es) * 2015-05-27 2018-05-17 Flow Control LLC Bomba de cartucho.
US20170095757A1 (en) 2015-05-27 2017-04-06 Flow Control LLC Cartridge Accumulator
CA3041722A1 (en) 2016-11-09 2018-05-17 Pepsico, Inc. Carbonated beverage makers, methods, and systems
KR102071130B1 (ko) * 2018-03-14 2020-01-29 이평호 착탈식 필터 카트리지를 갖는 정수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50253A (en) * 1972-11-20 1976-04-13 Dynek Corporation Domestic water filtration apparatus
US4683054A (en) * 1986-06-23 1987-07-28 Turnbull William E Appliance for purifying water
US5039402A (en) * 1989-11-15 1991-08-13 Himelstein Walter D Water purifier
GB2257429B (en) * 1990-11-14 1994-06-22 Kenwood Marks Ltd Water filters
GB9101772D0 (en) * 1991-01-28 1991-03-13 Philips Electronic Associated A water cleaning device
US5290442A (en) * 1991-09-24 1994-03-01 Clack Corporation Self-contained, purified drinking water refrigerator storage apparatu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4594B1 (ko) * 2002-11-13 2005-06-10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일체식 필터 구성을 갖는 역삼투 정수기
KR100494593B1 (ko) * 2002-11-13 2005-06-13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일체형 필터 하우징을 구비한 역삼투 정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7366798A (en) 1998-12-08
CA2237536A1 (en) 1998-11-16
WO1998051628A1 (en) 1998-11-19
JPH10337565A (ja) 1998-12-22
GB2325179A (en) 1998-11-18
GB9810255D0 (en) 1998-07-15
BR9801189A (pt) 1999-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87057A (ko) 수정화장치 및 관련 필터 카트리지
EP2089322B1 (en) Water purification device
US7670479B2 (en) Fluid container having an additive dispensing system
US4744895A (en) Reverse osmosis water purifier
US5676824A (en) Water purifier with means for indicating when filter replacement is due and for automatically initiating a membrane washing step
US8192619B2 (en) Portable filtration and ozonation apparatus
US20070209984A1 (en) Water Purifier
KR100503021B1 (ko) 물 정화 및 분배 장치
JPH0538491A (ja) 浄水装置
EP1893536A1 (en) A cartridge for an additive dispensing system
JPH09500053A (ja) 逆浸透浄水装置
US5686893A (en) Water leakage detecting apparatus of water purifier
WO2008059340A1 (en) Water filtration and sterilisation device
RU206571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хранения и очистки пищевой жидкости
JP2677211B2 (ja) 浄水器付き電気貯湯容器
WO2004063098A2 (en) Pulsed electric field sanitization system and system components
KR200363664Y1 (ko) 필터를 구비한 연수통 구조
WO2000037363A1 (en) Water filtration pitcher with pressure fill
JP3152146B2 (ja) ミネラル化貯水容器
KR200363662Y1 (ko) 소금재생통이 교환장착되는 연수기용 필터
MXPA01007458A (en) Water filtration pitcher with pressure fi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