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3662Y1 - 소금재생통이 교환장착되는 연수기용 필터 - Google Patents

소금재생통이 교환장착되는 연수기용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3662Y1
KR200363662Y1 KR20-2004-0013412U KR20040013412U KR200363662Y1 KR 200363662 Y1 KR200363662 Y1 KR 200363662Y1 KR 20040013412 U KR20040013412 U KR 20040013412U KR 200363662 Y1 KR200363662 Y1 KR 2003636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water
salt
exchange resin
cation ex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34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그린월드그린워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그린월드그린워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그린월드그린워터
Priority to KR20-2004-00134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36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36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366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on-exchan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eatment Of Water By Ion Exchan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금재생통이 교환장착되는 연수기용 필터에 관한것으로, 그 목적은 경수를 연수로 바꾸는 양이온교환수지를 재생시 양이온교환수지가 재생될 만큼만 정량으로 소금을 공급하고, 이러한 정량으로 소금을 제공하는 구조가 별도의 공급구조를 가지지 아니하고, 연수기에 장치되는 필터에 교체 장착함으로써 연수기의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는 소금재생통이 교환장착되는 필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구성은 급수된 원수를 양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하여 연수로 변환하고 이를 배출하는 수단으로 구성되는 연수기에 장치되어 수돗물에 함유된 부유물 또는 중금속 등을 제거하는 필터에 있어서, 상기 필터를 양이온교환수지가 충전된 수지통몸체의 하부에 장치하여 원수가 상부방향으로 유입되면서 필터링된 후 양이온교환수지에 공급되도록 하는 전처리필터로 설치구성하고, 이 전처리필터에 충전되는 필터 메디아는 필터몸체(111)에 충전되어 교환 장착되도록 구성하되, 평상시는 필터 메디아가 충전되는 필터용 필터몸체(111)를 장착하여 사용하고, 양이온교환수지를 재생시는 필터용 필터몸체(111)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소금이 충전된 소금재생통(111a)을 선택 장착하여 결합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소금재생통이 교환장착되는 연수기용 필터{Filter of water softner having exchangeable soltcase}
본 고안은 소금재생통이 교환장착되는 연수기용 필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수기에 장치되어 수돗물 내의 염소, 부유물을 제거하는 필터에 교환장착되는 양이온교환수지의 재생을 위한 소금재생통을 구비한 필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도물은 정화된 식수이기는 하지만, 수은이나 납, 아연, 크롬 및 마그네슘과 같은 중금속 성분 및, 각종 불순물이 함유된 경수이기 때문에 비누가 잘 풀리지 않을 뿐만 아니라 피부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치게 된다.
따라서, 수도물에 함유되어 있는 중금속 물질을 제거함으로써 경수를 피부에 해를 주지 않는 부드러운 물, 즉 연수로 만들어 사용하게 되면 인체에 좋은 물을 얻을 수 있게 되는 바, 이와 같이 수도물과 같은 경수에 함유된 각종 중금속 물질과 불순물을 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하여 흡착 제거함으로써 경수를 연수로 변환시켜주는 장치가 연수기이다.
상기와 같은 연수기의 기본 구성은 공지의 기술로 이러한 공지의 기본 구성을 바탕으로 한 출원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일예를 들어 연수기의 기본 구성장치를 설명하자면 주로 욕실에 설치되어 한쌍의 연수탱크에 각각 온수관과 냉수관이 연결되어 냉온수의 수도물을 연수로 변환시킨 후, 수도꼭지를 통해 적당한 온도로 혼합되어 배출되거나 샤워기를 통해 배출되도록 설치되는 구성이다. 한편, 연수탱크 내에 충전된 이온교환수지는 연수탱크에 유입된 경수로부터 이온화된 불순물을 흡착하고 대신에 나트륨이온을 방출함으로써 경수를 연수로 변화시키게 된다. 이때, 이온교환수지는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그 표면에 경수로부터 흡착한 불순물에 의해 제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이온교환수지를 세척(재생)하기 위하여 연수탱크 내에 일정량의 소금(정제염)을 투입한 다음, 연수탱크를 흔들어 소금과 이온교환수지를 반응시켜 이온교환수지의 표면에 부착된 불순물을 제거하여 재생하거나, 연수탱크 내에 일정량의 소금(정제염)을 투입한 다음 연수탱크내에 수도물이나 지하수를 공급하여 이온교환수지를 세척(재생)하고, 불순물과 함께 연수탱크의 외부로 배출하여 이온교환수지의 세척(재생)작업을 마무리하게 되는 구성을 가진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연수기의 기본 구성으로는 양질의 연수 및 재생과정을 가질 수 없고, 설치의 불편함, 원수속에 잔류하고 있는 부유물 및 미생물등을 필터링하는 구성등이 없다는 단점이 있어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연수기 관련 출원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즉, 양질의 원수속의 부유물 및 미생물등을 제거하기 위해서 여러 가지 다양한 필터(복합전처리필터, TRC필터, 제올라이트필터)등을 사용하여 필터링하는 기능을 부여하고, 연수기 장치의 편리한 설치를 위해서는 냉수 및 원수관과의 결합위치를 편리하게 조정할 수 있는 기능을 부여하고, 재생과정의 편리성을 위해서는 소금(정제염)의 공급 관련한 장치 및 공급경로에 대한 구성을 부여하여 출원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량한 기 출원건들은 양이온수지의 재생을 위한 소금(정제염) 공급구조가 복잡하다는 단점과, 양이온교환수지의 재생시 얼마만큼의 양이 투입되어야 하는지 알 수 없어 재생시 소금이 적게 들어가거나 많이 들어간다는 점이 있어 편리하고 정량으로 양이온수지를 재생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경수를 연수로 바꾸는 양이온교환수지를 재생시 양이온교환수지가 재생될 만큼만 정량으로 소금을 공급하고, 이러한 정량으로 소금을 제공하는 구조가 별도의 공급구조를 가지지 아니하고, 연수기에 장치되는 필터에 교체 장착함으로써 연수기의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는 소금재생통이 교환장착되는 필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a는 본 고안에 따른 전체 조립도이고,
도 1b는 본 고안에 따른 연수기의 상부 평단면도 및 벽체의 취부구조도이며,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주요부의 분해도이고,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주요부의 조립도이며,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전처리필터의 분해도이고,
도 3b는 본 고안에 다른 전처리필터의 조립도이며,
도 4a는 본 고안에 따른 수지통의 분해도이고,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수지통의 조립도이며,
도 5a는 본 고안에 따른 후처리필터의 분해도이고,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후처리필터의 조립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수전밸브(좌, 우)의 분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 유량센서 및 디스플레이장치간의 개략적인 회로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처리필터 (2) : 수지통
(3) : 후처리필터 (4) : 수전밸브
(5) : 전원공급장치 (6) : 케이스백
(7) : 케이스프론트 (8) : 디스플레이장치
(111) : 필터몸체 (111a) : 소금재생통
(224) : 필터케이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고안은 급수된 원수를 양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하여 연수로 변환하고 이를 배출하는 수단으로 구성되는 연수기에 장치되어 수돗물에 함유된 부유물 또는 중금속등을 제거하는 필터에 있어서,
상기 필터를 양이온교환수지가 충전된 수지통몸체의 하부에 장치하여 원수가 상부방향으로 유입되면서 필터링된 후 양이온교환수지에 공급되도록 하는 전처리필터로 설치구성하고, 이 전처리필터에 충전되는 필터 메디아는 필터몸체(111)에 충전되어 교환장착되도록 구성하되, 평상시는 필터 메디아가 충전되는 필터용 필터몸체(111)를 장착하여 사용하고, 양이온교환수지를 재생시는 필터용 필터몸체(111)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소금이 충전된 소금재생통(111a)을 선택 장착하여 결합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인 구성과 그 작용을 첨부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는 본 고안에 따른 전체 조립도이고, 도 1b는 본 고안에 따른 연수기의 상부 평단면도 및 벽체의 취부구조도이며,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주요부의 분해도이고,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주요부의 조립도를 도시하고 있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 고안의 연수기 구성은 연수기를 구성하는 일반적 구성인 급수된 원수를연수화하는 양이온교환수지를 충전하고 있는 수지통(2)과; 이 수지통에 온수 및 냉수를 공급하는 급수용 수전연결호수(441)와; 수지통을 지나면서 연수로 된 물을 배출하는 파이프 구성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원고안의 구성을 설명하겠다.
본원고안은 온수용 및 냉수용으로 이루어진 2개의 수지통(2)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러한 수지통의 외부를 감싸는 케이스백(6)과 케이스프론트(7)로 구성되어 있다.
즉, 케이스백(6) 내부에 2개의 수지통이 위치하여 결합 고정되고, 이를 케이스프론트(7)가 덮어 보호하게 된다.
수지통(2)은 이중관 형태로 구성되어 내부 하부에 필터케이스(224)가 장치되 고, 상하부는 개방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수지통(2)의 하부 개방부에 설치된 필터케이스(224)에는 전처리필터(1)가 삽입되어 결합 구성되고, 이 전처리필터(1)의 하부에는 원수인 수돗물을 공급하는 급수용 수전연결호스(441)가 결합된다.
또한 수지통(2)의 상부 개방부에는 후처리필터(3)가 결합구성되고, 이 후처리필터(3)의 상부에는 연수로 변환된 물을 배출하는 파이프(336)가 결합된다.
또한 케이스백(6) 내부의 하부에는 온도센서, 유량센서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전원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5)가 구성된다.
또한 케이스프론트(7)에는 필터의 교체시기를 알려주는 디스플레이장치(8)가구비된다.
또한 케이스백(6)은 후면부에 고정플레이트(61)가 설치 조립되어 도 1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벽체에 고정된 벽체고정플레이트(62)에 고정플레이트(61)가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수직 결합되어 고정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전처리필터의 분해도이고, 도 3b는 본 고안에 다른 전처리필터의 조립도를 도시하고 있는데, 전처리필터(1)의 세부 구성을 보면 상하부가 개방되고 필터 메디아가 충전되는 필터몸체(111)와;
이 필터몸체의 개방부를 막도록 결합되는 상부필터메쉬망(112)이 구비된 상부필터망마개(113)와;
상기 필터몸체(111)의 하부 개방면에 일부가 끼워져 결합되도록 상부단면이 돌출 가공되고, 내측 중앙부가 수직으로 천공되며, 외측둘레에 나사산이 형성된 필터덮게(116)와;
이 필터덮게의 상부 개방부에 결합되는 하부필터메쉬망(114)을 구비한 하부필터망마게(115)와;
상기 필터덮게(116)의 외측 둘레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결합되도록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외측둘레에는 하부수지통캡의 홈에 끼워지도록 일부 구간이 돌출형성된 삽입용돌기(1171)를 구비한 핸들플렌지(117)와;
상기 핸들플렌지(117)의 하부가 내측에서 끼워지도록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 중앙부에는 상부의 개방부보다 작게 단차를 가지고 천공된 개방부를 가지는 핸들(118)과;
상기 핸들(118)의 하부 단차지게 형성된 개방부에 삽입 결합되도록 요철 형상의 둘레 형상을 가지고, 내부가 천공된 핸들어뎁터(119)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필터메쉬망(112)이 구비된 상부필터망마개(113)는 필터몸체의 상부 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끼워진다.
상기 핸들플렌지(117)는 상부 둘레에 홈이 형성되어 필터오링(120)이 끼워지고, 내측 중앙부에는 동일평면상에서 반경을 달리하는 홈이 형성되어 큰 반경을 홈 쪽에는 제 1 핸들플렌지 오링(121)이 끼워지고, 작은 반경을 가진 홈에는 제 2 핸들 플렌지 오링(122)이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핸들어뎁터(119)의 하부쪽에는 원수를 공급하는 급수용 수전연결호수(441)가 결합된다.
상기 필터몸체(111)의 재질은 수지나 금속류로 형성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수지로 가공하여 하부 방향으로의 무게를 줄이는 것이 좋다.
또한 이 필터몸체(111)는 평상시는 필터 메디아가 충전되는 필터용 필터몸체(111)를 장착하여 사용하고, 양이온교환수지를 재생시는 필터용 필터몸체(111)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소금이 충전된 소금재생통(111a)을 장착하여 사용한다. 필터몸체와 소금재생통의 형상은 동일하고 충전된 내용물만 다를 뿐이다. 하지만 하나의 몸체에 두가지 성격의 충전물을 번갈아 충전하기보다는 각각 별도의 전용 필터몸체 및 소금재생통을 사용하는 것이 연수의 질을 위해서는 바람직하다.
상기 전처리필터의 필터몸체(111)에 충전되는 필터 메디아는 활성탄과 은활성탄이 충전되어 구성되는데, 부피비로 활성탄 90vol%와 은활성탄 10vol%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메디아의 충전에 의해 원수속에 남아 있는 잔류염소를 제거하게 되고, 미세 은이온 방출을 통해 수지 내에서 서식할 수 있는 미생물의 서식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에서 수치 한정한 이유는 은활성탄의 수치가 상기보다 적으면 미세 은이온 방출에 의한 미생물의 서식 억제력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도 4a는 본 고안에 따른 수지통의 분해도이고,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수지통의 조립도를 도시하고 있는데, 수지통(2)은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양이온교환수지가 충전되는 수지통 몸체(221)와;
상기 수지통몸체(221)의 상부 개방부에 용접되어 결합되고 후처리필터(3)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상부수지통캡(222)과;
상기 수지통몸체(221)의 하부 개방부에 용접되어 결합되고 전처리필터(1)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하부수지통캡(223)과;
상기 하부수지통캡(223)의 상부와 결합되어 전처리필터의 필터몸체(111)가 삽입되는 필터케이스(224)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수지통캡(222)은 하부가 완전 개방되고, 상부평면은 중앙부쪽만 개방된 구조로 형성되는데, 이 중앙부쪽 개방부는 하부 수직방향으로 절곡되어 돌출형성되어, 그 내측에 나사산(2221)이 형성되어 후처리필터와 나사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하부수지통캡(223)은 상부가 완전 개방되고, 하부는 중앙부쪽만 개방된 구조로 형성되는데, 이 중앙부쪽 개방부는 상하부 양쪽을 관통하는 슬라이드블럭(2231)이 형성되며, 슬라이드블럭의 하부쪽은 전처리필터의 삽입용돌기(1171)가 삽입되도록 일부만 홈을 형성하여 이 홈에 삽입되는 삽입용돌기(1171)를 회전시켜 전치리필터가 빠지지 않도록 구성하고, 슬라이드블럭의 상부쪽은 필터케이스(224)의 하부와 용접등의 결합수단으로 결합된다.
상기 필터케이스(224)는 하부 둘레방향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관통홀(2241)이 형성되고, 이 관통홀(2241)에는 필터메쉬망(2242)을 구비한 필터망마게(2243)로 막아 양이온교환수지의 유출을 막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하부 둘레방향에 관통홀(2241)이 형성됨으로써 양이온교환수지에 공급되는 원수의 유로가 하부에서 상부로 흐르게 되는 상향식으로 되어 양이온수지의 이온교환 능력이 극대화된다.
상기에서 필터케이스(224)의 내경은 전처리필터의 필터몸체보다 큰 반경을 가지도록 형성하여 전처리필터를 통과한 원수가 하부로 유로를 변경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상부수지통캡(222)은 상부 표면에 나사산(2221)보다 큰 반경을 갖도록 홈이 형성되어 수지통캡오링(2222)이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도 5a는 본 고안에 따른 후처리필터의 분해도이고,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후처리필터의 조립도를 도시하고 있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후처리필터(3)는 상부가 개방되고, 상부 둘레부에 나사산(3311)이 형성되며, 상부를 제외한 둘레부에는 다수의 천공부(3312)가 형성되어 필터링용 메디아가 충전되는 후처리필터몸체(331)와;
후처리필터의 상부쪽에 삽입되어 필터메디아의 유출을 막도록 메디아보다 작은 다수의 구멍(3321)으로 천공된 후처리필터캡(332)과;
후처리필터캡의 상부에 형성된 원형홈(3322)에 끼워지는 필터메쉬망(333)을 구비한 필터망마개(334)와;
하부는 후처리필터몸체(331)와 결합되도록 개방되고, 상부는 연수가 배출되는 파이프(336)와 결합하도록 하부보다 작은 반경을 가진 원통관(3354)이 수직 상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이 원통관의 일측에 형성된 관통홀에 직각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온도센서장착구(3355)와 원통관의 일측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형성된 유량센서(3356)가 형성된 센서몸체(335)와;
일측은 상기 센서몸체(335)의 원통관(3354) 상부와 나사산(335)부와 접촉하여 결합되도록 파이프너트(3362)가 끼워져 설치되고, 타측은 파이프플랜지(337)에 결합되어 배출용 수전연결호수(442)와 결합되는 파이프(336)와;
상기 센서몸체(335)의 원통관(3354) 상부와 파이프(336) 사이에 위치하는 파이프오링(3361)으로 구성된다.
상기 파이프플랜지(337)의 하부 둘레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수전연결호수와 결합된다.
상기 유량센서(3356)는 센서몸체(335)의 연수가 지나가는 곳에 설치된 임펠러(3359)의 회전을 검출하도록 장치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유량센서는 비접촉 센서 특히 적외선센서를 사용하여 임펠러의 날개가 감지범위 이내로 회전 날개의 끝단부가 접근시 이를 감지하여 회전수를 검출하고 이 검출된 내용을 디스플레이장치를 구성하는 PCB(인쇄회로기판- 81)내에 회로구성된 검출신호 누적부(도시 없음)에 보내 카운트하도록 한다. 이 누적부에서는 임펠러의 회전수에 해당하는 출수부 리터수를 계산하여 5단계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장치의 표시소자(LCD, LED, 전구0 82)와 연결함으로써 그 회전수에 따라 4000리터에 해당하는 표시소자, 8000리터에 해당하는 표시소자, 12000리터에 해당하는 표시소자, 16000리터에 해당하는 표시소자 및 20000리터 이상에 해당하는 표시소자를 점등하게 된다. 특히 20000리터 이상에 해당하는 표시소자는 점멸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센서몸체(335)는 후처리필터몸체(331)의 둘레에 형성된 나사산(3311)과 결합되는 나사산(3351)이 하부 내경부에 형성되고, 하부 외경부에는 상부수지통캡(222)의 나사산(2221)과 결합되는 나사산(3352)이 형성되며, 중앙부 둘레방향으로상부수지통캡(222)에 삽입되는 수지통캡오링(2222)보다 큰 반경을 가지고 이와 접촉되도록 돌출형성된 스톱퍼(3353)가 형성되고, 원통관(3354) 상부 둘레에는 파이프너트와 결합되는 나사산(3357)이 형성된다.
상기 후처리필터몸체(331)에는 하부에는 향균 세라믹볼이 충전되고, 그 상부에는 토르말린(전기석)이 적층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메디아의 충전으로 인해 미세전류 및 원적외선이 방사되고, 향균 세라믹볼을 통해 2차적인 미생물의 제거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온도센서장착구(3355)에는 온도센서(도시 없음)가 선택적으로 장치되는데, 온도센서가 장착되지 않을 경우 온도센서마게(3358)로 구멍을 막게 된다.
온도센서는 출수되는 연수의 실제 온도를 측정하여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도록 신호를 PCB에 보냄으로써 이와 연결된 표시소자에 온수 및 냉수의 온도가 표시되어 사용자가 이를 참고로 적당한 온도의 연수가 배출되도록 수전밸브의 온수 및 냉수 밸브를 조절하게 된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수전밸브(좌, 우)의 분해도를 도시하고 있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수전밸브(4)는,
원수가 공급되는 급수용 수전연결호스(441)와;
연수가 토출되는 배출용 수전연결호스(442)와;
상기 각각의 급수용 수전연결호스(441) 및 배출용 수전연결호스(442)와 결합되는 각각의 관(4431, 4432)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재생시 연수기 내부의 진공상태를 해소하기 위한 압력저하용 드레인플러그오링(444) 및 드레인플러그(445)가 장착되는 관(4433, 4434)이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직각방향으로 최종출수구(4435)가 형성된 수류밸브몸체(443)와;
수류몸체의 일측 방향으로는 원수, 연수 및 재생시에 맞도록 유량의 흐름을 제어하는 수류조절밸브(446)가 장치된다.
상기 최종출수구(4435)에는 통상의 수도밸브가 장착되어 유량을 조절하게 된다.
상기 급수용 수전연결호스(441)는 전처리필터를 통해 수지통에 원수(냉수, 온수)를 공급하는 급수용 수전연결호스이고, 배출용 수전연결호스(442)는 후처리필터를 통과한 파이프와 연결되는 연수 배출용 수전연결호스이다.
상기 수전연결호스는 모두 플랙시블한 주름관으로 구성되어 유로의 형성이 자유롭다.
도 7은 본 고안 유량센서 및 디스플레이장치간의 개략적인 회로구성을 보인 블록도로서 유량센서와 임펠러간의 비접촉 연결을 보여주고 있으며, 유량센서의 신호가 디스플레이장치와 연결되어 있음을 보여주고, 또한 디스플레이장치는 전원공급장치와 연결되어 있음을 간략하게 보여준다.
이하 본 고안의 연수과정 및 필터링 과정에 대한 작동 설명이다.
먼저 본 고안의 원수가 급수용 수전밸브호스를 통해 하부로부터 상부방향의 유로로 전처리필터로 공급되면 전처리필터의 필터몸체에 충전된 활성탄 및 은활성탄에 의해 원수의 염소와 부유물을 제거하고 미생물 등을 살균한 후 상부 필터메쉬망을 통해 배출되고, 이후 배출된 수지통의 필터케이스에 의해 다시 하부방향으로 유로가 변경된 후 필터케이스의 하부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수지통의 하부로 유출되게 된다, 수지통의 하부로 유출된 원수는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면서 수지통에 충전된 양이온교환수지에 의해 원수속의 칼슘, 마그네슘 등과 흡착하여 경수를 연수로 변환하여 준다. 이후 연수는 다시 수지통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수지통캡의 구멍으로 유출되면서 여기에 장치된 후처리필터를 통과하게 되는데, 여기서 마지막으로 향균세라믹볼과 전기석(토르말린)에 의해 연수를 이온화 하고 향균성을 가지는 물로 변환된 후 배출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을 구성하는 필터 중 향균세라믹볼은 영구필터로 교체가 필요치 않으며, 활성탄 및 은활성탄은 소모품으로 양질의 연수 생산을 위해 유량센서가 배출되는 유량을 검출하여 20,000리터의 연수가 배출되면 이를 감지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점멸시켜 교체시기를 알려주도록 구성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유량센서는 비접촉 센서 특히 적외선센서를 사용하여 임펠러의 날개가 감지범위 이내로 회전 날개의 끝단부가 접근시 이를 감지하여 회전수를 검출하고 이 검출된 내용을 디스플레이장치를 구성하는 PCB(인쇄회로기판-81)내에 회로구성된 검출신호 누적부(도시 없음)에 보내 카운트하도록 한다. 이 누적부에서는 임펠러의 회전수에 해당하는 출수부 리터수를 계산하여 5단계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장치의 표시소자(82)와 연결함으로써 그 회전수에 따라 4000리터에 해당하는 표시소자, 8000리터에 해당하는 표시소자, 12000리터에 해당하는 표시소자, 16000리터에 해당하는 표시소자 및 20000리터 이상에 해당하는 표시소자를 점등하게 된다. 특히 20000리터 이상에 해당하는 표시소자는 점멸하도록 구성한다.
이하 본 고안의 양이온교환수지의 재생 관련한 작동 설명이다.
양이온교환수지를 재생하기 위해 정제염이 들어있는 필터몸체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소금재생통을 핸들플렌지에 장착한 후 필터케이스에 삽입한 다음 급수하여 수도물이 재생통인 필터몸체에 유입되면 정제염이 용해되면서 소금물과 양이온 교환수지가 접촉하여 화학반응을 일으키게 되어 양이온교환수지에 결합되어 있던 금속성이온을 제거하는 대신 나트륨 이온이 양이온교환수지에 결합됨으로서 재생이 이루어져서 계속 이온교환수지로 반복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이온교환수지 재생시 발생된 불순물은 온.냉 연수유출구를 통하여 외부로 유출되며 이때 수지통 상부에 형성된 필터망에 의해서 양이온 교환수지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됨으로써 양이온 교환수지의 재충전 없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재생시 정량이 들어가는 필터몸체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소금재생통을 사용함으로써 소금의 농도조절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경수를 연수로 바꾸는 양이온교환수지를 재생시 양이온교환수지가 재생될 만큼만 정량으로 소금을 공급하고, 이러한 정량으로 소금을 제공하는 구조가 별도의 공급구조를 가지지 아니하고 소금재생통을 연수기에 장치되는 필터에 교체 장착함으로써 연수기의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과 정량을 사용함으로써 양이온교환수지의 재생력에 안정성을 가지게 되고 불필요한 소금의 낭비를 막을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 유용한 고안으로 산업상 이용이 크게 기대되는 고안이다.

Claims (4)

  1. 급수된 원수를 양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하여 연수로 변환하고 이를 배출하는 수단으로 구성되는 연수기에 장치되어 수돗물에 함유된 부유물 또는 중금속 등을 제거하는 필터에 있어서,
    상기 필터를 양이온교환수지가 충전된 수지통몸체의 하부에 장치하여 원수가 상부방향으로 유입되면서 필터링된 후 양이온교환수지에 공급되도록 하는 전처리필터로 설치구성하고, 이 전처리필터에 충전되는 필터 메디아는 필터몸체(111)에 충전되어 교환 장착되도록 구성하되, 평상시는 필터 메디아가 충전되는 필터용 필터몸체(111)를 장착하여 사용하고, 양이온교환수지를 재생시는 필터용 필터몸체(111)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소금이 충전된 소금재생통(111a)을 선택 장착하여 결합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금재생통이 교환장착되는 연수기용 필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필터(1)는 상하부가 개방되고 필터 메디아가 충전되는 필터몸체(111)와;
    이 필터몸체의 개방부를 막도록 결합되는 상부필터메쉬망(112)이 구비된 상부필터망마개(113)와;
    상부 필터몸체(111)의 하부 개방면에 일부가 끼워져 결합되도록 상부단면이돌출 가공되고, 내측 중앙부가 수직으로 천공되며, 외측둘레에 나사산이 형성된 필터덮게(116)와;
    이 필터덮게의 상부 개방부에 결합되는 하부필터메쉬망(114)을 구비한 하부필터망마게(115)와;
    상기 필터덮게(116)의 외측 둘레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결합되도록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외측둘레에는 하부수지통캡의 홈에 끼워지도록 일부 구간이 돌출형성된 삽입용돌기(1171)를 구비한 핸들플렌지(117)와;
    상기 핸들플렌지(117)의 하부가 내측에서 끼워지도록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 중앙부에는 상부의 개방부보다 작게 단차를 가지고 천공된 개방부를 가지는 핸들(118)과;
    상기 핸들(118)의 하부 단차지게 형성된 개방부에 삽입 결합되도록 요철 형상의 둘레 형상을 가지고, 내부가 천공된 핸들어뎁터(119)로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금재생통이 교환장착되는 연수기용 필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플렌지(117)는 상부 둘레에 홈이 형성되어 필터오링(120)이 끼워지고, 내측 중앙부에는 동일평면상에서 반경을 달리하는 홈이 형성되어 큰 반경을 홈 쪽에는 제 1 핸들플렌지 오링(121)이 끼워지고, 작은 반경을 가진 홈에는 제 2 핸들 플렌지 오링(122)이 끼워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금재생통이 교환장착되는 연수기용 필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몸체(111)에 충전되는 필터 메디아는 활성탄과 은활성탄의 혼합물이고, 그 구성비는 부피비로 활성탄 90vol%와 은활성탄 10vol%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금재생통이 교환장착되는 연수기용 필터.
KR20-2004-0013412U 2004-05-14 2004-05-14 소금재생통이 교환장착되는 연수기용 필터 KR2003636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3412U KR200363662Y1 (ko) 2004-05-14 2004-05-14 소금재생통이 교환장착되는 연수기용 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3412U KR200363662Y1 (ko) 2004-05-14 2004-05-14 소금재생통이 교환장착되는 연수기용 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3662Y1 true KR200363662Y1 (ko) 2004-10-07

Family

ID=49438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3412U KR200363662Y1 (ko) 2004-05-14 2004-05-14 소금재생통이 교환장착되는 연수기용 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366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89322B1 (en) Water purification device
US20040245174A1 (en) Water purification cartridge, water purifier and method for cleaning water purifier
US20060249442A1 (en) Water filtration system with improved performance
WO1989008083A1 (en) Portable water-purifying devices
US20100320135A1 (en) Water purification kettle
KR19980087057A (ko) 수정화장치 및 관련 필터 카트리지
JP5954346B2 (ja) 蛇口直結型浄水器
JP2010051879A (ja) 水処理装置
JP5090593B2 (ja) 浄水カートリッジ
KR200363662Y1 (ko) 소금재생통이 교환장착되는 연수기용 필터
KR200363664Y1 (ko) 필터를 구비한 연수통 구조
JP5578272B2 (ja) 浄水カートリッジおよび浄水器
KR200363663Y1 (ko) 연수기
KR200359692Y1 (ko) 필터의 교환주기를 알려주는 유량센서를 가진 연수기
CN109091943B (zh) 净水装置和热水器
JP2011200816A (ja) 蛇口直結型浄水器
JP5601544B2 (ja) 浄水カートリッジを備えている水栓
WO2022138517A1 (ja) 蛇口直結型浄水器
CN217578561U (zh) 一种船用饮用水的紫外线消毒装置
JPH1147733A (ja) 浄水器
KR200263029Y1 (ko) 항균 및 염소제거 필터링 수단이 내재된 재생탱크
KR200317263Y1 (ko) 정수기용 필터 카트리지
JP2587969Y2 (ja) 水道蛇口で交換可能な全体着脱式浄水器
WO2004063098A9 (en) Pulsed electric field sanitization system and system components
JP2022097852A (ja) 蛇口直結型浄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