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9085Y1 - 산업용 고유량 필터 - Google Patents

산업용 고유량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9085Y1
KR200179085Y1 KR2019990026559U KR19990026559U KR200179085Y1 KR 200179085 Y1 KR200179085 Y1 KR 200179085Y1 KR 2019990026559 U KR2019990026559 U KR 2019990026559U KR 19990026559 U KR19990026559 U KR 19990026559U KR 200179085 Y1 KR200179085 Y1 KR 2001790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filter medium
water
high flow
purified wa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65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재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청수테크노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청수테크노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청수테크노필
Priority to KR20199900265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908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90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9085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7/00Cartridge filters of the throw-away typ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정밀 산업의 공업용수로 사용되는 정화수를 취출하기 위한 산업용 고유량 필터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내부에 원통형의 복층 여과재가 설치되어 오염수를 다단계 여과한 후 그 정화수를 배출하도록 된 필터에 있어서, 상기 복층의 여과재는 외부로부터 각각 소정의 두께로 적층 권취되고 내측으로 갈수록 미세한 크기의 메쉬를 갖는 1차 여과재, 2차 여과재 및 3차 여과재와, 상기 3차 여과재의 내주면 상에 설치되어 상기 다중의 여과재가 수압에 의해 변형되지 않도록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3차 여과재를 통과한 정화수를 집수할 수 있도록 된 코어파이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과도한 수압에도 필터 자체의 변형이 없으므로 고효율의 여과성능을 유지할 수 있고, 불순 미립자를 완전 여과할 수 있으며, 소요 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품질 및 제품의 신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산업용 고유량 필터{Industrial high-flow filter}
본 고안은 산업용 고유량 필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공이 점차 작아지는 다중의 여과재를 통과하면서 불순 미립자를 정밀하게 완전 여과할 수 있고, 순간 유입되는 다량의 오수를 작은 용적 내에서 정수 처리할 수 있어 소요 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으며, 품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산업용 고유량 필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용 고유량 필터는 정밀 여과를 필요로 하는 액정디지털 전자제품 등과 같은 각종 정밀산업에 필요한 정화수를 공급하기 위한 대형 여과처리장치로서, 고유량의 카트리지 포어필터(Cartridge pore filter)를 사용하게 되는데, 현재 국내에서는 생산 및 개발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전량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의 산업용 고유량 필터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터덮개(3)가 구비된 필터케이스(1)와, 그 내부에 설치되는 필터(2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필터덮개(3)는 오염된 물을 유입하기 위한 유입구(4)가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필터덮개(3)의 중앙에는 내부의 필터(20)를 통해 여과된 정화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5)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5)의 내측 둘레에는 상기 필터(20)를 고정할 수 있는 필터고정판(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필터케이스(1)는 필터(20)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부가 구비되고, 그 내측 저면 중앙부에는 상기 필터(20)를 지지하기 위한 필터고정용 돌기(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필터(20)는 내측으로 중공부를 갖는 원통형의 적층체로서, 메쉬(Mesh ; 기공)가 큰 1차 여과재(22)가 외부를 감싸고 있고, 상기 1차 여과재(22)에 비해 메쉬가 미세한 2차 여과재(21)가 내측 둘레에 구비되어 있으며, 그 재질은 일종의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 이를 '멜트브라운(Melt brown)'이라고도 함) 섬유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산업용 고유량 필터는 유입구(4)를 통해 오염된 물이 유입되어 필터케이스(1)의 둘레로 충전되면, 상기 오염수는 메쉬가 큰 1차 여과재(22)를 통과하면서 그 속에 함유된 비교적 큰 불순 미립자를 여과시키고, 다시 2차 여과재(21)를 통과하면서 보다 미세한 불순 미립자를 여과시킨 후 중공부 쪽으로 빠져 나오게 되며, 상기 중공부에 모아진 정화수는 배출구(5)를 통해 외부로 흡출되어 필요로 하는 공업용수로 보내진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산업용 고유량 필터는 중공부를 지지하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못하므로 수압에 의하여 필터(20) 자체가 변형되기 쉽고, 특히 1차 여과재(22) 및 2차 여과재(21)의 메쉬 구조가 유사하여 통상적인 2 ∼ 2.5 kgf/cm2정도의 여과압력에 의해서도 메쉬가 변형되면서 기준치 이상의 크기를 갖는 불순 미립자를 통과시키게 됨으로써 여과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은 고정밀 산업에 있어서 제품 불량의 직접적인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여과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필터 개발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과도한 수압이 작용하여도 필터 자체의 변형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고효율의 여과성능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고, 불순 미립자를 정밀하게 완전 여과할 수 있으며, 순간 유입되는 다량의 오수를 작은 용적 내에서 정수 처리할 수 있어 소요 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품질 및 제품의 신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산업용 고유량 필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산업용 고유량 필터의 종단면도이다.
도2는 본 고안에 적용된 코어파이프의 구조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산업용 고유량 필터의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필터케이스 2 ; 필터고정용 돌기
3 ; 필터덮개 4 ; 유입구
5 ; 배출구 6 ; 필터고정판
10, 20 ; 필터 11 ; 코어파이프
11a ; 미세구멍 12 ; 3차 여과재
13, 21 ; 2차 여과재 14, 22 ; 1차 여과재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산업용 고유량 필터는 내부에 원통형의 복층 여과재가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된 오염수를 다단계 여과한 후 그 정화수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된 산업용 고유량 필터에 있어서, 상기 복층의 여과재는 외부로부터 각각 소정의 두께로 적층 권취되고, 내측으로 갈수록 미세한 크기의 메쉬를 갖는 1차 여과재, 2차 여과재 및 3차 여과재와, 상기 3차 여과재의 내주면 상에 설치되어 상기 다중의 여과재가 수압에 의해 변형되지 않도록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3차 여과재를 통과한 정화수를 내측으로 집수할 수 있도록 된 코어파이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 여과재는 각각 그 메쉬의 크기를 달리하는 폴리프로필렌 소재의 부직포 섬유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코어파이프는 그 원통체를 따라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다수의 미세구멍이 관통 형성되고, 경도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산업용 고유량 필터는 필터덮개(3)가 구비된 필터케이스(1)와, 그 내부에 설치되는 필터(1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필터덮개(3)는 오염된 물을 유입하기 위한 유입구(4)가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필터덮개(3)의 중앙에는 내부의 필터(10)를 통해 여과된 정화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5)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5)의 내측 둘레에는 상기 필터(10)를 고정할 수 있는 필터고정판(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필터케이스(1)는 필터(10)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부가 구비되고, 그 내측 저면 중앙부에는 상기 필터(10)를 지지하기 위한 필터고정용 돌기(2)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필터덮개(3) 및 필터케이스(1)는 상기 필터(10)가 설치될 수 있는 일례를 도시한 것이므로 상기의 구조에 국한되지 않으며, 그 외에도 다양한 케이스 구조에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상기 필터(10)는 내측으로 중공부를 갖는 원통형의 적층체로서, 메쉬가 큰 1차 여과재(14)가 소정 두께로 외부를 감싸고 있고, 그 인접 내측으로 상기 1차 여과재(14)의 메쉬에 비해 미세한 2차 여과재(13)가 소정의 두께로 권취되어 있으며, 그 내측으로는 상기 2차 여과재(13)에 비해 더욱 미세한 정도의 메쉬를 이루는 최종 여과수단으로서의 3차 여과재(12)가 구비되어 있고, 그 내주면 상에는 미세구멍(11a)을 형성한 코어파이프(11)가 개재되어 상기 다중의 여과재(12)(13)(14)를 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 여과재(12)(13)(14)는 각각 그 메쉬의 크기를 달리하는 폴리프로필렌 소재의 부직포 섬유로 이루어지며, 상기 코어파이프(11)는 그 원통체를 따라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다수의 미세구멍(11a)이 관통 형성되고 2.5 kgf/cm2이상의 수압에 견딜 수 있는 정도의 경도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재질의 부직포는 화학적으로 안정되고, 인장강도가 매우 높으므로 통상적인 2 ∼ 2.5 kgf/cm2정도의 여과압력에도 조직 파괴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여기서, 본 고안에 따른 1차 여과재(14)의 메쉬 크기는 80 ∼ 100 μm, 2차 여과재(13)의 메쉬 크기는 50 ∼ 80 μm, 3차 여과재(12)의 메쉬 크기는 5 ∼ 50 μm 정도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산업용 고유량 필터는 유입구(4)를 통해 오염된 물이 유입되어 필터케이스(1)의 둘레로 충전되면, 상기 오염수는 메쉬가 큰 1차 여과재(14)를 통과하면서 그 속에 함유된 비교적 큰 불순 미립자를 여과시키고, 다시 2차 여과재(13) 및 3차 여과재(12)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보다 미세한 불순 미립자를 점진 여과시킨 후, 상기 코어파이프(11)의 미세구멍(11a)을 통해 중공부 쪽으로 빠져 나오게 되며, 상기 코어파이프(11) 내에 모아진 정화수는 배출구(5)를 통해 외부로 흡출되어 필요로 하는 공업용수로 보내진다.
따라서, 조직 변형이 발생하지 않는 3단계의 여과 과정을 거쳐 완전 여과가 이루어지고, 코어파이프(11)의 미세구멍(11a)을 통해 중공부로 집수된 후 외부로 배출되므로 현저한 여과효율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기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산업용 고유량 필터에 의하면, 중공부 쪽에 코어파이프가 구비되어 있어 과도한 수압이 작용하여도 필터 자체의 변형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고효율의 여과성능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고, 기공의 크기가 필터의 내측으로 갈수록 작아지는 다중의 여과재로 구성됨으로써 불순 미립자를 단계적이고도 정밀하게 완전 여과할 수 있으며, 순간 유입되는 다량의 오수를 작은 용적 내에서 정수 처리할 수 있어 소요 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품질 및 제품의 신뢰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하나의 바람직한 구체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으나, 상기의 구체예를 바탕으로 한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의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또한,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3)

  1. 내부에 원통형의 복층 여과재가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된 오염수를 다단계 여과한 후 그 정화수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된 산업용 고유량 필터에 있어서,
    상기 복층의 여과재는 외부로부터 각각 소정의 두께로 적층 권취되고, 내측으로 갈수록 미세한 크기의 메쉬를 갖는 1차 여과재, 2차 여과재 및 3차 여과재;
    상기 3차 여과재의 내주면 상에 설치되어 상기 다중의 여과재가 수압에 의해 변형되지 않도록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3차 여과재를 통과한 정화수를 내측으로 집수할 수 있도록 된 코어파이프;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고유량 필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여과재는 각각 그 메쉬의 크기를 달리하는 폴리프로필렌 소재의 부직포 섬유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산업용 고유량 필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파이프는 그 원통체를 따라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다수의 미세구멍이 관통 형성되고, 경도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산업용 고유량 필터.
KR2019990026559U 1999-11-30 1999-11-30 산업용 고유량 필터 Expired - Fee Related KR2001790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6559U KR200179085Y1 (ko) 1999-11-30 1999-11-30 산업용 고유량 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6559U KR200179085Y1 (ko) 1999-11-30 1999-11-30 산업용 고유량 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9085Y1 true KR200179085Y1 (ko) 2000-04-15

Family

ID=19598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6559U Expired - Fee Related KR200179085Y1 (ko) 1999-11-30 1999-11-30 산업용 고유량 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9085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4485B1 (ko) 2007-12-20 2010-06-21 주식회사 에코빅 오염수(汚染水)정화필터
KR101169682B1 (ko) 2008-08-21 2012-08-06 이베에스 필트란 쿤스츠토프-/메탈러조이그니세 게엠베하 필터장치
KR101271230B1 (ko) * 2011-04-06 2013-06-07 그린건설환경(자) 상수도 취수 장치
KR101280303B1 (ko) * 2012-12-18 2013-07-01 (주) 금산 압입 다중 여과 집수장치
KR101287539B1 (ko) 2007-08-15 2013-07-18 임브리엄 인터내셔널 리미티드 물로부터 침전물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7539B1 (ko) 2007-08-15 2013-07-18 임브리엄 인터내셔널 리미티드 물로부터 침전물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
KR101400257B1 (ko) 2007-08-15 2014-05-28 임브리엄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물로부터 침전물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
KR100964485B1 (ko) 2007-12-20 2010-06-21 주식회사 에코빅 오염수(汚染水)정화필터
KR101169682B1 (ko) 2008-08-21 2012-08-06 이베에스 필트란 쿤스츠토프-/메탈러조이그니세 게엠베하 필터장치
KR101271230B1 (ko) * 2011-04-06 2013-06-07 그린건설환경(자) 상수도 취수 장치
KR101280303B1 (ko) * 2012-12-18 2013-07-01 (주) 금산 압입 다중 여과 집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42113A (en) Solid-liquid separating filter medium for sewage, waste water, etc
KR101717307B1 (ko) 여과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20030222010A1 (en) Encapsulated filter cartridge
US20020185430A1 (en) Variable pore micro filter having simple and compact structure capable of side stream filtration and cross flow filtration
JP3131190B2 (ja) 可変フィルター層を有する濾過装置
KR100491513B1 (ko) 정수기용 복합필터
KR101912869B1 (ko) 정수기용 일체형 uf-세디먼트 필터
KR200179085Y1 (ko) 산업용 고유량 필터
KR20130076178A (ko) 가압식 막모듈 정수장치의 하부집수 조립체
KR200186206Y1 (ko) 섬유상 카본필터
JPH03196891A (ja) 浄水器
CN215327268U (zh) 一种工业设备过滤器
CN211367061U (zh) 一种具有精密过滤的水设备滤膜
US20080257838A1 (en) Cartridge based filter assembly for use in removing sub micronic particles from fluids
JP2001252507A (ja) ろ過体及びそれを用いた固液分離装置及びその方法
CN215327267U (zh) 新型工业过滤器
CN218709827U (zh) 一种超滤膜水处理装置
KR102454352B1 (ko) 메시망을 이용한 원형 여과장치
SU780855A1 (ru) Фильтр
KR19990076481A (ko) 섬유호스를 이용한 정밀여과방법 및 그 장치
CN220736381U (zh) 板框过滤装置及自动化过滤设备
KR200168478Y1 (ko) 역삼투압 정수기의 퇴수저항기
JP2001162110A (ja) 積層フィルター及びこれを用いる濾過装置
CN108434827A (zh) 一种具有多级过滤功能防异味的污水处理设备
JP2024173251A (ja) ろ過装置およびろ過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91130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207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19991201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00225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UT0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00508

Patent event code: UT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