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6149Y1 - 천정판 설치용 클립 바아와 캐링 채널을 서로 체결시키기 위한 섹션형 클립 - Google Patents

천정판 설치용 클립 바아와 캐링 채널을 서로 체결시키기 위한 섹션형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6149Y1
KR200186149Y1 KR2019970033821U KR19970033821U KR200186149Y1 KR 200186149 Y1 KR200186149 Y1 KR 200186149Y1 KR 2019970033821 U KR2019970033821 U KR 2019970033821U KR 19970033821 U KR19970033821 U KR 19970033821U KR 200186149 Y1 KR200186149 Y1 KR 2001861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clip bar
carrying channel
bar
ext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38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3198U (ko
Inventor
오병철
Original Assignee
오병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병철 filed Critical 오병철
Priority to KR20199700338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6149Y1/ko
Publication of KR9800031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319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61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614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 E04B9/12Connections between non-parallel member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16Connections between non-parallel member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the members lying in different pl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클립 바아 및 천정판의 하중을 감당할 만한 체결력을 유지하여 천정판을 안정적으로 현수시키면서도, 신속 용이하고 안전한 체결 작업에 의해 클립 바아 및 캐링 채널을 체결 결합시킬 수 있는 섹선형 클립이 개시되었다. 본 고안의 섹션형 클립은 행거 클립에 의해 콘크리트 슬라브 천정면에 고정되는 캐링 채널에, 천정판을 파지하여 현수하기 위한 클립 바아를 결합시키기 위한 클립으로서, 장방형 평판형상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캐링 채널을 파지하는 파지부와, 그리고 상기 본체부의 양측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클립 바아를 지지하는 한쌍의 지지 아암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천정판 설치용 클립 바아와 캐링 채널을 서로 체결시키기 위한 섹션형 클립
본 고안은 건축물의 천정판 설치용 클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클립 바아 및 천정판의 하중을 감당할 만한 체결력을 유지하여 천정판을 안정적으로 현수시키면서도, 신속 용이하고 안전한 체결 작업에 의해 클립 바아 및 캐링 채널을 채결 결합시킬 수 있는 섹션형 클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정판은 건축물의 내부 천정에 설치되어 설치 공간내에 장식적 미감을 가져오는 이외에도, 위생 및 보온 등의 측면에서도 건축물에 대해 부가적 효과를 제공하는 건축 소재이다.
따라서, 근래의 건축에 있어서 천정판의 설치는 거의 필수적이며, 이러한 천정판을 설치하기 위해 천정판과 건물 슬라브 천정면 사이에는 복잡한 여러 가지 구조물들이 설치되고 있는데, 제1도에는 이와 같은 종래의 구조물들의 일 형태가 개략적인 일부 사시도로서 도시되었다.
제1도를 참조하면, 건물 슬라브 천정면(도시 생략)에는 행거 볼트(hanger bolt; 42)에 의해 행거 클립(hanger clip; 40)이 고정되고, 다수의 행거 클립(40)에 의해 다수의 캐링 채널(carrying channel; 30)이 현수(suspended)된다. 한편, 캐링 채널(30)에 대해 직각으로 연장하는 다수의 클립 바아(clip bar; 20)는 다수의 와이어 클립(wire clip; 60)에 의해 다수의 캐링 채널(30)에 결합 유지된다.
이때, 와이어 클립(60)들은 클립 바아(20)들과 캐링 채널(30)들의 매 교차지점마다에서 이들을 각각 체결시키거나, 또는 클립 바아(20) 및 천정판(50)의 현수에 필요한 최소한의 체결력 이상을 유지할 수 있는 수의 와이어 클립(60)들이 소정의 교차점들에서 클립 바아(20)들과 캐링 캐널(30)들을 서로 체결시킬 수 있다.
클립 바아(20) 각각은 클립 바아 상판(22)으로부터 하향 내측으로 경사지게 서로 수렴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한쌍의 경사판(24)를 구비하고 각각의 경사판(24)의 하단부 근방에는 아치형 굴곡부(26)가 형성되어 있어서, 두 개의 아치형 굴곡부(26) 사이에는 갈라진 원통 형상의 수납 홈(27)이 형성된다. 한편, 천정판(50)의 천정판 측벽(52)에는 다수의 돌출부(54)들이 형성되어 있는데, 돌출부(54)들은 수납 홈(27)내에 삽입 체결된다. 이와 같은 캐링 채널(30)과 행거 클립(40), 클립 바아(20)와 캐링 채널(30), 그리고 수납 홈(27)과 돌출부(54) 사이의 체결 결합에 의해 천정판(50)은 건물 슬라브 천정면에 현수 유지되는 것이다.
여기서, 클립 바아(20)와 캐링 채널(30) 사이의 체결은 전술한 바와 같이 다수의 와이어 클립(60)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제1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각의 와이어 클립(60)은 와이어 형상을 가지며, 그 와이어 형성의 와이어 클립(60) 각각을 먼저 캐링 채널(30)의 상부에 걸친 후에 와이어 클립(60)의 양단을 절곡(bending)하여 클립 바아 상판(22)의 양측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각각의 와이어 클립(60)이 클립 바아(20)와 캐링 채널(30)을 서로 체결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와이어 클립(60)에 의한 클립 바아(20)와 캐링 채널(30)의 체결 작업은 요구되는 모든 와이어 클립(60)에 대해 일일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와이어 클립(60)의 굽힘 강도가 소정의 값 이하일 때에는 와이어 클립(60)의 양단의 절곡이 용이하여 각각의 체결을 위한 수작업은 용이하나 클립 바아(20) 및 천정판(50)의 하중을 감당할 만한 체결력을 유지하지 못하여 천정판이 현수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와이어 클립(60)의 굽힘 강도가 클립 바아(20) 및 천정판(50)의 하중을 감당할 만한 체결력을 유지할 수 있는 정도 이상의 값을 가져야 하는데, 이때에는 와이어 클립(60)의 양단의 절곡이 상당히 어렵고 심지어 체결 작업을 하는 자에게 부상을 초래하는 경우마저 흔히 발생하는 것이 현실이다. 특히, 모든 와이어 클립(60)에 대해 일일이 그 양단부가 수작업으로 절곡되어야 하므로, 이러한 어려움과 부상의 위험은 건축물의 천정 공사 전반에 있어 대단히 큰 단점으로 작용할 뿐 아니라, 공사를 지연시키고 따라서 공사 비용의 증가를 초래하는 단점마저 있다.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클립 바아 및 천정판의 하중을 감당할 만한 체결력을 유지하여 천정판을 안정적으로 현수시키면서도, 신속 용이하고 안전한 체결 작업에 의해 클립 바아 및 캐링 채널을 체결 결합시킬 수 있는 섹션형 클립을 제공하는데 있다.
제1도는 종래의 와이어 클립의 체결 형태를 보여 주기 위한 천정판 상부 구조의 일부 개략 사시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섹션형 클립의 사시도이고,
제3도는 제2도의 섹션형 클립이 체결된 상태의 천정판 상부 구조의 일부 개략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클립 바아 22 : 클립 바아 상판
24 : 경사판 26 : 아치형 굴곡부
30 : 캐링 채널 40 : 행거 클립
50 : 천정판 52 : 천정판 측벽
54 : 돌출부 60 : 와이어 클립
70,70a,70b : 섹션형 클립 71 : 본체부
72 : 파지부 73 : 정부
74 : 다리부 75 : 지지 아암
76 : 클립 바아 지지 단부 77 : 어깨부
78 : 보강 리브 79 : 수납 공간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행거 클립에 의해 콘크리트 슬라브 천정면에 고정되는 캐링 채널에, 천정판을 파지하여 현수하기 위한 클립 바아를 결합시키기 위한 클립으로서, 장방형 평판 형상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캐링 채널을 파지하는 파지부와, 그리고 상기 본체부의 양측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클립 바아를 지지하는 한쌍의 지지 아암을 포함하는 섹션형 클립 바아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파지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직각으로 일측으로 연장하며, 상기 한쌍의 지지 아암 각각은 상기 본체부의 양측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직각으로 상기 파지부의 연장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함과 동시에 상기 본체부의 하단 아래로 연장하며, 상기 지지 아암의 하단에는 상기 지지 아암의 하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한쌍의 지지 아암 쌍방을 향하여 소정의 길이 만큼 연장하는 한쌍의 클립 바아 지지 단부가 형성되고, 따라서 상기 본체부와 상기 한 쌍의 클립 바아 지지 단부 사이에는 수납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클립 바아는 상기 수납 공간을 관통하여 상기 클립 바아 지지 단부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지지 아암의 상단에는 상기 본체부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파지부의 연장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고 연장하는 어깨부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 아암과 상기 클립 바아 지지 단부에는 그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보강리브가 절곡 형성된다. 상기 파지부는 정부와 한쌍의 다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정부는 상기 본체부로부터 소정의 길이까지 일체로서 연장하고, 상기 한쌍의 다리부는 상기 정부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정부와 동일 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한쌍의 다리부는 작업자의 손에 의해 쉽게 절곡될 수 있도록 상기 정부에 비해 낮은 굽힘 강도를 가지며, 상기 수납 공간의 연직 길이는 상기 캐링 채널의 길이 및 상기 클립 바아의 상판 두께의 합과 동일한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정판 설치용 클립 바아 및 캐링 채널의 체결을 위한 섹션형 클립에 대해 설명한다.
제2도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섹션형 클립의 사시도가 도시되었으며, 제3도에는 제2도의 섹션형 클립이 체결된 상태의 천정판 상부 구조의 일부 개략사시도가 도시되었다.
먼저, 제2도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섹션형 클립(70)은 장방형 평판 형상의 본체부(71), 본체부(71)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된 파지부(把持部, holding portionl; 72), 그리고 본체부(71)의 양측단에 일체로 형성된 한쌍의 지지 아암(75)을 구비한다.
파지부(72)는 본체부(71)의 상단으로부터 절곡되어 본체부(71)의 일측 방향으로 직각으로 연장하며, 한쌍의 지지 아암(75) 각각은 본체부(71)의 양측단으로부터 절곡되어 파지부(72)의 연장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직각으로 연장함과 동시에 본체부(71)의 하단 아래로 연장한다.
지지 아암(75)의 하단에는 지지 아암(75)의 하단으로부터 절곡되어 한쌍의 지지 아암(75) 쌍방을 향하여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하는 한쌍의 클립 바아 지지 단부(76)가 형성되고, 따라서 본체부(71)와 한쌍의 클립 바아 지지 단부(76)사이에는 수납 공간(79)이 형성된다.
수납 공간(79)의 연직 방향 길이는 캐링 채널(30)의 폭 및 클립 바아(20)의 상판(22)의 두께의 합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 아암(75)의 상단에는 본체부(71)의 상단으로부터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고 하향 연장하는 어깨부(77)가 형성되어 있어서, 지지 아암(75)의 상단에 모서리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고, 따라서 그 모서리에 의해 작업자가 다칠 수 있는 잠재적 가능성을 제거한다.
지지 아암(75)과 클립 바아 지지 단부(76)에는 그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보강리브(rid; 78)가 압연 등의 방법에 의해 절곡 형성된다. 보강 리브(78)은 지지 아암(75) 및 클립 바아 지지 단부(76)의 강도를 보강하여, 클립 바아(20) 및 천정판(50)의 하중을 충분히 지탱할 수 있게 한다.
파지부(72)는 정부(頂部, apex; 73)와 한쌍의 다리부(74)를 포함한다. 정부(73)는 본체부(71)로부터 소정의 길이까지 일체로서 연장하고, 한쌍의 다리부(74)는 정부(73)로부터 분기되어 정부(73)와 동일 방향으로 연장하는데, 한쌍의 다리부(74)는 작업자의 손에 의해 쉽게 절곡될 수 있도록 정부(73)에 비해 낮은 굽힘 강도를 가진다.
한편, 제3도를 참조하면, 건물 슬라브 천정면(도시 생략)에는 행거 볼트(42)에 의해 행거 클립(40)이 고정되고, 다수의 행거 클립(40)에 의해 다수의 캐링 채널(30)이 현수된다. 한편, 캐링 채널(30)에 대해 직각으로 연장하는 다수의 클립바아(20)는 다수의 섹션형 클립(70)에 의해 다수의 캐링 채널(30)에 결합 유지된다.
이때, 섹션형 클립(70)들은 클립 바아(20)들과 캐링 채널(30)들의 매 교차지점마다에서 이들을 각각 체결시키거나, 또는 클립 바아(20) 및 천정판(50)의 현수에 필요한 최소한의 체결력 이상을 유지할 수 있는 수의 섹션형 클립(70)들이 소정의 교차점들에서 클립 바아(20)들과 캐링 채널(30)들을 서로 체결시킬 수 있다.
클립 바아(20)의 상판(22)은 수납 공간(79)을 관통하여 클립 바아 지지 단부(76)에 의해 지지되며, 파지부(72)는 캐링 채널(30)의 상면을 감싸도록 절곡되어 캐링 채널(30)을 파지한다.
클립 바아(20) 각각은 클립 바아 상판(22)으로부터 하향 내측으로 경사지게 서로 수렴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한쌍의 경사판(24)를 구비하고 각각의 경사판(24)의 하단부 근방에는 아치형 굴곡부(26)가 형성되어 있어서, 두 개의 아치형 굴곡부(26) 사이에는 갈라진 원통 형상의 수납 홈(27)이 형성된다. 한편, 천정판(50)의 천정판 측벽(52)에는 다수의 돌출부(54)들이 형성되어 있는데, 돌출부(54)들은 수납 홈(27)내에 삽입 체결된다.
이하에서는, 이상과 같은 구성을 구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섹션형 클립의 체결을 포함한 천정판(50) 상부의 구조물들의 설치 작업에 대해 제3도를 참조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각각의 조마다 하나씩의 캐링 채널(30)을 현수하는 다수의 조의 행거 클립(40)을 행거 볼트(42)에 의해 건물 슬라브 천정면에 고정한다.
다음에, 소정의 개수의 섹션형 클립(70)을 각각의 섹션형 클립(70)의 수납공간(79)에 클립 바아(20))의 클립 바아 상판(22)이 삽입되도록 서로 결합한 후, 제3도의 섹션형 클립(70a)과 같이 각각의 섹션형 클립(70)의 정부(73)에 대응하는 캐링 채널(30)의 상면에 걸쳐지도록 배치한다. 그리고 난 후, 각각의 섹션형 클립(70)의 다리부(74)를 캐릭 채널(30)의 측면쪽으로 절곡시켜 섹션형 클립(70b)과 같이 결합한다. 이때, 다리부(74)는 섹션형 클립(70)의 다른 부분에 비해서는 굽힘 강도가 약하기 때문에 용이하게 절곡되며, 뿐만아니라 클립 바아(20)와 천정판(50)의 하중에 의한 응력과 굽힘 모멘트의 대부분을 담당하는 본체부(71)과 정부(73) 사이의 연결부, 그리고 정부(73)는 대단히 큰 굽힘 강도를 가지기 때문에 클립 바아(20) 및 천정판(50)의 현수에 필요한 충분한 체결력을 가진다.
비록 제3도에는 클립 바아(20)와 캐링 캐널(30)의 각 교차점마다 하나씩의 섹션형 클립(70)이 체결된 것이 도시되었지만, 필요하다면, 캐링 채널(30)의 양측으로 두 개씩의 섹션형 클립(70)이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체결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섹션형 클립(70)에 의해 클립 바아(20)와 캐링 캐널(30)이 체결된 후, 돌출부(54)들을 수납 홈(27)내에 삽입 체결함으로써, 천정판(50)상부의 구조물들의 설치 작업이 완료된다. 따라서, 전술한 캐링 채널(30)과 행거 클립(40), 클립 바아(20)와 캐링 채널(30), 그리고 수납 홈(27)과 돌출부(54) 사이의 체결 결합에 의해 천정판(50)은 건물 슬라브 천정면에 현수 유지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섹션형 클립(70)에서는, 섹션형 클립(70)의 다른 부분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굽힘 강도가 약하며 비교적 넓적한 형상을 가지는 다리부(74)를 캐링 채널(30)의 측면쪽으로 절곡시키는 작동만에 의해 클립 바아(20)와 캐링 채널(30)이 결합되기 때문에 그 체결 작동이 신속 용이하고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 아니라, 상대적으로 대단히 큰 굽힘 강도를 가지는 정부(73) 및 그와 본체부(71) 사이의 연결부에 의해 클립 바아(20)와 천정판(50)의 하중에 의한 응력과 굽힘 모멘트의 대부분이 감당되기 때문에 천정판(50)의 안정적인 현수가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클립 바아 및 천정판의 하중을 감당할 만한 체결력을 유지하여 천정판을 안정적으로 현수시키면서도, 신속 용이하고 안전한 체결작업에 의해 클립 바아 및 캐링 채널을 체결 결합시킬 수 있는 섹션형 클립이 제공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몇가지 실시예에 따라 본 고안이 설명되었지만,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는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사상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하다.

Claims (1)

  1. 행거 클립(40)에 의해 콘크리트 슬라브 천정면에 고정되는 캐링 채널(30)에, 천정판을 파지하여 현수하기 위한 클립 바아(20)를 결합시키기 위한 클립(70)에 있어서, 장방형 평판 형상의 본체부(71)와, 상기 본체부(71)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캐링 채널(30)을 파지하는 파지부(72), 그리고 상기 본체부(71)의 양측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클립 바아(20)를 지지하는 한쌍의 지지 아암(75)을 포함하며, 상기 파지부(72)는 상기 본체부(71)의 상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직각으로 일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파지부(72)는 정부(73)와 한쌍의 다리부(74)를 포함하며, 상기 정부(73)는 상기 본체부(71)로부터 소정의 길이까지 일체로서 연장되고, 상기 다리부(74)는 상기 정부(71)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정부(73)와 동일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다리부(74)는 작업자의 손에 의해 쉽게 절곡될 수 있도록 상기 정부(73)에 비해 낮은 굽힘 강도를 가지며, 상기 지지 아암(75) 각각은 상기 본체부(71)의 양측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직각으로 상기 파지부(72)의 연장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함과 동시에 상기 본체부(71)의 하단 아래로 연장되며, 상기 지지 아암(75)의 상단에는 상기 본체부(71)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파지부(72)의 연장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고 연장되는 어깨부(77)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 아암(75)의 하단에는 상기 지지 아암(75)의 하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지지 아암(75) 쌍방을 향하여 소정의 길이 만큼 연장되는 한쌍의 클립 바아 지지 단부(76)가 형성되고, 따라서 상기 본체부(71)와 상기 클립 바아 지지 단부(76) 사이에는 수납 공간(79)이 형성되어, 상기 클립 바아(20)는 상기 수납 공간(79)을 관통하여 상기 클립 바아 지지 단부(76)에 의해 지지되며, 이때 상기 수납 공간(79)의 연직 길이는 상기 캐링 채널(30)의 길이 및 상기 클립 바아(20)의 상판 두께의 합과 동일하고, 상기 지지 아암(75)과 상기 클립 바아 지지 단부(76)에는 그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보강리브(78)가 절곡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섹션형 클립.
KR2019970033821U 1997-11-25 1997-11-25 천정판 설치용 클립 바아와 캐링 채널을 서로 체결시키기 위한 섹션형 클립 KR2001861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3821U KR200186149Y1 (ko) 1997-11-25 1997-11-25 천정판 설치용 클립 바아와 캐링 채널을 서로 체결시키기 위한 섹션형 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3821U KR200186149Y1 (ko) 1997-11-25 1997-11-25 천정판 설치용 클립 바아와 캐링 채널을 서로 체결시키기 위한 섹션형 클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3198U KR980003198U (ko) 1998-03-30
KR200186149Y1 true KR200186149Y1 (ko) 2000-07-01

Family

ID=19515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3821U KR200186149Y1 (ko) 1997-11-25 1997-11-25 천정판 설치용 클립 바아와 캐링 채널을 서로 체결시키기 위한 섹션형 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6149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35921A1 (en) * 2006-09-19 2008-03-27 Kyun-Ha Kim Channel connector and clip for ceiling closing
WO2009094300A2 (en) * 2008-01-22 2009-07-30 Ford Contracting, Inc. Panel connector
KR101235253B1 (ko) * 2010-11-05 2013-02-19 상명엔프라(주) 캐링 클립
KR200489137Y1 (ko) 2018-11-06 2019-05-07 이상권 천정판 설치용 클립 바와 캐링 채널의 결합 구조
KR102224280B1 (ko) 2020-09-03 2021-03-08 광동에스티(주) 내진용 천정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20220001913U (ko) 2021-01-29 2022-08-05 이상권 천정 구조물용 텐션 클립
KR102667805B1 (ko) * 2023-11-13 2024-05-22 이상은 건물 청소용 로프 고정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35921A1 (en) * 2006-09-19 2008-03-27 Kyun-Ha Kim Channel connector and clip for ceiling closing
WO2009094300A2 (en) * 2008-01-22 2009-07-30 Ford Contracting, Inc. Panel connector
WO2009094300A3 (en) * 2008-01-22 2009-10-29 Ford Contracting, Inc. Panel connector
KR101235253B1 (ko) * 2010-11-05 2013-02-19 상명엔프라(주) 캐링 클립
KR200489137Y1 (ko) 2018-11-06 2019-05-07 이상권 천정판 설치용 클립 바와 캐링 채널의 결합 구조
KR102224280B1 (ko) 2020-09-03 2021-03-08 광동에스티(주) 내진용 천정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20220001913U (ko) 2021-01-29 2022-08-05 이상권 천정 구조물용 텐션 클립
KR102667805B1 (ko) * 2023-11-13 2024-05-22 이상은 건물 청소용 로프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3198U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37604A (en) Concrete form wall spacer
US20060005495A1 (en) Concealed accessible suspended ceiling system
KR200186149Y1 (ko) 천정판 설치용 클립 바아와 캐링 채널을 서로 체결시키기 위한 섹션형 클립
KR20120095763A (ko) 천장틀의 설치구조
KR100503120B1 (ko) 경량철골 천정판 설치용 구조
CN215888880U (zh) 一种装配式简挂吊顶安装结构
KR200352553Y1 (ko) 천장틀 고정장치
CN210976442U (zh) 扣件
CN113530071A (zh) 一种装配式简挂吊顶安装结构
KR200152037Y1 (ko) 전선거치대
KR200402360Y1 (ko) 행거
JPH0734115U (ja) フラットデッキ
KR200321633Y1 (ko) 전기배선박스의 간격유지구 결합장치
JPH1061090A (ja) 建造物における天井部材の構築機構
CN217128701U (zh) 一种吊顶基层结构
JP2567539Y2 (ja) システム天井へのパーティションの固定構造
KR200183629Y1 (ko) 천정용 골조틀의 결합구조
KR100383792B1 (ko) 조립성을 개선한 천정구조물
KR200151125Y1 (ko) 교량 보강 철근 결착용 클립
KR200280024Y1 (ko) 건설용 철근 지지구
KR200141309Y1 (ko) 분전반 베이스의 철근 고정용 후크
KR970006113Y1 (ko) 철근받침용 스페이서의 결속구조
JPS6231558Y2 (ko)
KR200343844Y1 (ko) 케이블용 행거
KR910000282Y1 (ko) 경량 철골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4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