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5838Y1 - 케이블 보호용 지지구 - Google Patents

케이블 보호용 지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5838Y1
KR200185838Y1 KR2020000000457U KR20000000457U KR200185838Y1 KR 200185838 Y1 KR200185838 Y1 KR 200185838Y1 KR 2020000000457 U KR2020000000457 U KR 2020000000457U KR 20000000457 U KR20000000457 U KR 20000000457U KR 200185838 Y1 KR200185838 Y1 KR 2001858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side wall
cable
support
cable pro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04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두진
Original Assignee
김두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두진 filed Critical 김두진
Priority to KR20200000004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58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58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583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62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 H02G3/0475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formed by a succession of articulated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3/00Chains
    • F16G13/12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 F16G13/16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with arrangements for holding electric cables, hos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케이블 보호용 지지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 하, 좌, 우로 유동이 가능함은 물론 조립 또한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배선을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그 구성을 기기 등에 설치되어 케이블을 보호하고자 사용되는 통상적인 케이블 보호용 지지구에 있어서, 양측에 상단으로 체결봉이 형성된 커버체결부가 형성되는 측벽부를 형성하되, 일측 측벽부의 일단과 타단에는 상호 대응되는 결합편과 결합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측벽부의 사이에는 단차진 바닥면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그 일측과 타측에는 상응되는 각각 결합공과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가 형성된 측으로 중심선 상에서 서로 다른 크기의 유동홈부가 형성된 몸체부재와; 상기 커버체결부의 체결봉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양측에 하향으로 끼움홈이 형성된 커버부재를 구비하여서 된 케이블 보호용 지지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케이블 보호용 지지구{a supportor for protecting the cable}
본 고안은 케이블 보호용 지지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 하, 좌, 우로 유동이 가능함은 물론 조립 또한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배선을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한 케이블 보호용 지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산업용 기기에는 그 기기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전선이나 에어관 또는 유압관과 같은 여러 종류의 케이블 등이 배선되어 지고, 그러한 배선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케이블을 보호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보호구를 설치하여 사용하였는 데, 즉, 케이블 등을 인입 및 인출 할 수 있는 형태인 다수의 지지구를 체인형태로 연결한 케이블체인(cableveyor)를 설치하여 사용하였다.
상기와 같이 케이블을 보호하기 위해 설치되는 종래의 케이블 보호용 지지구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종래 케이블 보호용 지지구를 나타낸 사시도로, 바닥면의 연결리이브(52) 양측으로 상단에 체결봉(57a)이 형성된 체결부(57)가 형성되고, 전후방에는 각각의 결합공(53) 및 결합돌기(56)가 형성된 측면부(55)로 구성되는 본체부재(50)와; 상기 체결봉(57a)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양단의 하측방향으로 개방되어진 체결홈(62)이 형성된 커버(60)로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케이블 보호용 지지구(1)에 있어서는 상기 측면부(55)에 형성된 각 결합공(53)과 결합돌기(56)를 사용하여 필요로 하는 길이 만큼 체결시킨 후에 필요에 따라 도 5에서와 같이 연결리이브(52)가 기기의 바닥면으로 고정되도록 고정하던가 아니면 측면부(55) 일측이 바닥면으로 고정되도록 고정시킨다.
그런 다음 상기 측면부(55)의 상단으로 형성된 체결부(57)의 체결봉(57a)으로 체결되어 있는 커버(60)의 일측을 이탈시키거나 완전히 이탈시킨 후 그 측면부(55) 사이로 인입시키고자 하는 전선 등을 인입시킨 다음 다시 커버(60)를 체결시키면 모든 설치공정이 완료되어 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케이블 보호용 지지구(1)는 그 대부분의 연결방식이 측면부(55)의 전,후방으로 형성된 결합공(53)과 결합돌기(56)에 의해 연속되게 체결되어 있는 관계로, 각 지지구(1)의 유동은 측면부(55)를 연결하는 연결리이브(52)의 일단과 끝단이 서로 맞닿아져 있는 부분을 기점으로 상측으로만 유동되어 지고 좌, 우측이나 하측으로는 유동성을 갖지 못하므로써, 단순한 산업용의 기계작동 등에는 문제될 것이 없었으나, 최근에 들어 사용되는 복잡한 산업용 기계나 다양한 형태의 기계작동에는 적합하지 못한 문제점이 초래되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여러 케이블 등의 배선이 원활하게 이루어 지지 않는 문제점과, 각 지지구(1)를 연결하는 작업상에 많은 불편함이 발생하였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상, 하, 좌, 우로 유동이 가능함은 물론 조립 또한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배선을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케이블 보호용 지지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기기 등에 설치되어 케이블을 보호하고자 사용되는 통상적인 케이블 보호용 지지구에 있어서, 양측에 상단으로 체결봉이 형성된 커버체결부가 형성되는 측벽부를 형성하되, 일측 측벽부의 일단과 타단에는 상호 대응되는 결합편과 결합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측벽부의 사이에는 단차진 바닥면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그 일측과 타측에는 상응되는 각각 결합공과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가 형성된 측으로 중심선 상에서 서로 다른 크기의 유동홈부가 형성된 몸체부재와; 상기 커버체결부의 체결봉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양측에 하향으로 끼움홈이 형성된 커버부재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공의 상단에는 단차진 재치홈부가, 상기 결합돌기의 상단에는 걸림턱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이 결합되어 설치되는 상태를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상, 하 유동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종래 케이블 보호용 지지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따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지구 10 : 몸체부재
12 : 커버체결부
12a : 체결봉
14 : 측벽부
140 : 결합편 142 : 결합홈부
15 : 바닥면부
150, 152 : 유동홈부
16 : 결합공
16a : 재치턱부
17 : 결합돌기
17a : 걸림턱부
20 : 커버부재 22 : 끼움홈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로, 기기 등에 설치되어 케이블을 보호하고자 사용되는 통상적인 케이블 보호용 지지구에 있어,
본 고안은 양측에 상단으로 체결봉(12a)이 형성된 커버체결부(12)가 형성되는 측벽부(14)를 형성하되, 일측 측벽부(14)의 일단과 타단에는 상호 대응되는 결합편(140)과 결합홈부(142)가 형성되고, 상기 측벽부(140)의 사이에는 단차진 바닥면부(15)가 일체로 형성되며, 그 일측과 타측에는 상응되는 각각 결합공(16)과 결합돌기(17)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17가 형성된 측으로 중심선 상에서 서로 다른 크기의 유동홈부(150)(152)가 형성된 몸체부재(10)와;
상기 커버체결부(12)의 체결봉(12a)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양측에 하향으로 끼움홈(22)이 형성된 커버부재(20)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에서, 결합공(16)의 상단에는 단차진 재치홈부(16a)가, 상기 결합돌기(17)의 상단에는 상기 재치홈부(16a)와 대응되는 걸림턱부(17a)를 형성시켜,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그 재치홈부(16a)와 걸림턱부(17a)의 단차진 높이 만큼 유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동홈부(150)(152)가 중심축 상에서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되는 것은, 일측 측벽부(14)에 형성된 결합편(140)과 결합홈부(142)가 각각의 지지구(1)를 연결시키고자 할 때 유동홈부(150)가 크게 형성된 측으로 연결되는 지지구(1)의 일단을 위치하여 결합공(16)과 결합돌기(17)를 압입하여 끼운 상태에서 상기 결합편(140)과 결합홈부(142)가 상응되도록 결합시키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결합편(140)과 결합홈부(142)가 결합될 경우에는 각 지지구(1)의 상하 지지력을 크게 가질 수 있는 조건을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결합편(140)이 결합되는 결합홈부(142)는 결합편(140)에 비해 약간 크게 형성된 약간의 상하 유동성을 갖는다.
도 2는 본 고안이 결합되어 설치되는 상태를 사시도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을 단차지게 형성된 바닥면부(15)의 결합공(16)과 결합돌기(17)를 사용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체결시킨 후, 필요한 경우에 따라 각 지지구(1)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유동시켜 다시말해서, 상기 결합돌기(17) 측으로 형성된 유동홈부(150)(152)의 유동폭 만큼 유동시켜 고정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상, 하 유동상태를 나타낸 측면도로, 상기한 바와 같이 각 지지구(1)가 바닥면부(15)에 형성된 결합공(16)과 결합돌기(17)에 의해 체결되는 상태에서 그 결합공(16)과 결합돌기(17)의 상단으로 형성된 재치홈부(16a)과 걸림턱부(17a)의 단차진 높이 만큼과 아울러 일측 측벽부(14)에 형성된 결합편(140)과 결합홈부(142)에 형성된 이격된 거리 만큼 상하측으로 유동되어 지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관계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다수의 지지구(1)를 바닥면부(15)에 형성된 결합공(16)과 결합돌기(17)를 사용하여 체결시키되, 이때, 지지구(1)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크게 형성된 유동홈부(150) 측으로 결합시키고자 하는 지지구(1) 바닥면부(15)의 일단을 위치하여 압입하여 결합시키면 간단하게 지지구(1)의 결합이 완료되어 지는 것이다.
그런 다음 측벽부(14)의 상단으로 형성된 커버체결부(12)의 체결봉(12a)에 결합되어 있는 커버부재(20)의 일측을 이탈시키거나 완전히 이탈시킨 후 인입시키고자 하는 케이블 등을 측벽부(14) 사이로 인입시킨 다음 다시 커버부재(20)를 결합시키면 모든 설치공정이 완료되어 진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지지구(1)를 연결하여 설치시에 필요에 따라 지지구(1)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유동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도 2에서와 같이 바닥면부(15)에 형성된 유동홈부(150)(152)의 유동폭 만큼 그 결합되어 지는 지지구(1)를 유동시킨 후 일반적인 고정방식에 의해 기기에 고정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구(1)는 약간의 상하 유동성을 갖고 있는 관계로, 즉 상기 바닥면부(15)에 형성된 결합공(16)과 결합돌기(17)의 상단으로 형성되어 있는 재치홈부(16a)와 걸림턱부(17a)의 단차진 높이와, 일측 측벽부(14)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편(140)과 결합홈부(142)의 이격된 거리 만큼 상하로도 유동되어 짐에 따라 설치시에 기기의 단차진 부분에서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조건을 구비함은 물론 상기 측벽부(14)에 형성된 결합편(140)과 결합홈부(142)에 의해 상하로 가해지는 많은 하중에도 지지력을 크게 가질 수 있는 조건 또한 갖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인 본 고안은 기기에 설치되는 여러 형태의 케이블을 보호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다수개가 연결되어 설치되는 지지구에서 상, 하, 좌, 우로 유동이 가능함은 물론 한번의 압입작업에 의해 조립 또한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배선을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2)

  1. 기기 등에 설치되어 케이블을 보호하고자 사용되는 통상적인 케이블 보호용 지지구에 있어서, 양측에 상단으로 체결봉(12a)이 형성된 커버체결부(12)가 형성되는 측벽부(14)를 형성하되, 일측 측벽부(14)의 일단과 타단에는 상호 대응되는 결합편(140)과 결합홈부(142)가 형성되고, 상기 측벽부(14)의 사이에는 단차진 바닥면부(15)가 일체로 형성되며, 그 일측과 타측에는 상응되는 각각 결합공(16)과 결합돌기(17)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17)가 형성된 측으로 중심선 상에서 서로 다른 크기의 유동홈부(150)(152)가 형성된 몸체부재(10)와; 상기 커버체결부(12)의 체결봉(12a)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양측에 하향으로 끼움홈(22)이 형성된 커버부재(20)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보호용 지지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공(16)의 상단에는 단차진 재치홈부(16a)가, 상기 결합돌기(17)의 상단에는 걸림턱부(17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보호용 지지구.
KR2020000000457U 2000-01-08 2000-01-08 케이블 보호용 지지구 KR2001858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0457U KR200185838Y1 (ko) 2000-01-08 2000-01-08 케이블 보호용 지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0457U KR200185838Y1 (ko) 2000-01-08 2000-01-08 케이블 보호용 지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5838Y1 true KR200185838Y1 (ko) 2000-06-15

Family

ID=19636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0457U KR200185838Y1 (ko) 2000-01-08 2000-01-08 케이블 보호용 지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583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03277B2 (en) Electrical box mounting bracket
KR102225868B1 (ko) 건축용 케이블 트레이 스페이서
KR100232832B1 (ko) 다기능형 콘딧
KR200436537Y1 (ko) 박스의 브라켓결합구조
KR200416740Y1 (ko) 가변형 케이블 트레이
KR101752381B1 (ko) 1 볼트 타입 정션박스
KR200185838Y1 (ko) 케이블 보호용 지지구
KR101843356B1 (ko) 사이드 레일 연결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KR200451739Y1 (ko) 고정부재가 구비된 배선용 박스
KR200293923Y1 (ko) 케이블베어의 케이블 고정브라켓
KR200236410Y1 (ko) 탄성결합식 조명등 현수간
KR100783163B1 (ko) 정션박스
JPS6019614Y2 (ja) オフイス用机
KR19980068315U (ko) 컴팩트 디스크 케이블 고정클립
KR0185336B1 (ko) 와이어링 하니스 제작 보오드
KR200169453Y1 (ko) 전선 배관용 덕트
KR100211042B1 (ko) 배터리 케이블 결합구조
KR200195889Y1 (ko) 사무용 책상
KR100559857B1 (ko) 버스 루프의 와이어 고정 구조
KR100398325B1 (ko) 와이어링 하니스 유동방지용 고정 클립
KR200149302Y1 (ko) 컨넥터 박스
KR0152740B1 (ko) 프런트 범퍼의 체결구조
KR100321091B1 (ko) 광케이블 보호용 지지구
JP3482906B2 (ja) 電気接続箱
KR200221067Y1 (ko) 통신용 단자블록의 고정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0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