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5631Y1 - 이어폰선 꼬임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이어폰선 꼬임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5631Y1
KR200185631Y1 KR2020000001155U KR20000001155U KR200185631Y1 KR 200185631 Y1 KR200185631 Y1 KR 200185631Y1 KR 2020000001155 U KR2020000001155 U KR 2020000001155U KR 20000001155 U KR20000001155 U KR 20000001155U KR 200185631 Y1 KR200185631 Y1 KR 2001856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earphone
close contact
case
earphone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11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영
Original Assignee
김주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영 filed Critical 김주영
Priority to KR20200000011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563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56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563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33Cables or cables storage, e.g. cable re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테이프, CD, MP3 플레이어 등의 휴대용 음향기기용 이어폰(또는 헤드폰)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용 플레이어에 사용되는 이어폰 케이블이 꼬여서 쉽게 고장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케이스, 이어폰선이 감기며 케이스하부의 보스에 삽입되어 회전하는 감개, 감개의 내부에 삽입되어 감개가 탄성적으로 한 방향으로 감기도록 하는 태엽, 감개의 내부면과 밀착되는 감개멈치로 구성된다. 감개멈치의 밀착부는 감개의 마찰면과 접촉함으로써 감개가 태엽의 탄성력에 의해 풀리는 것이 방지되고, 감개멈치는 스프링에 의해 감개와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어폰선 꼬임방지 장치{Apparatus for prevent earphone wire from entanglement}
본 고안은 테이프, CD, MP3 플레이어 등의 휴대용 음향기기용 이어폰(또는 헤드폰)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용 플레이어에 사용되는 이어폰 케이블이 꼬여서 쉽게 고장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카세트 테이프를 비롯하여 CD, MP3 플레이어등 휴대용 음향기기에는 이어폰이나 헤드폰이 필수적으로 필요하다. 이어폰이나 헤드폰은 3~5가닥의 동축선으로 이루어지는 가는 이어폰선을 통해 소켓과 리시버(12)가 연결되어 구성되는데, 이어폰선은 휴대의 필요상 가늘고 길게 마련이다. 따라서, 이어폰을 주머니나 가방에 넣고 다니며 사용하다 보면, 이어폰선이 쉽게 꼬여서 내부 도체가 단선되고 피복이 벗겨지거나, 묶여서 풀리지 않는 등의 문제가 자주 발생한다.
최근에 이어폰은 휴대용 음향기기 뿐만 아니라, 가정용 음향기기, 휴대전화에도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이어폰선의 꼬임을 방지하는 기술이 여러가지로 개발되고 있다. 일례를 들면, 미국특허 5,422,957은 이어폰선을 감아서 보관할 수 있는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래칫(ratchet)구조를 이용하여 마치 줄자와 같이 이어폰선을 감아서 휴대할 수 있도록 만든 케이스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케이스는 매우 복잡한 스풀(spool)구조와 래칫구조를 갖고, 이어폰선을 얇은 리본형으로 만들어야 하는 등 생산성과 경제성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한 기술이다.
적은 단가와 간단한 기술을 이용하여 이어폰선의 꼬임을 방지할 수 있다면, 이어폰을 오래 사용할 수 있게 되어 휴대용 음향기기의 유지비용을 줄이고, 자원낭비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고안자는 종래의 이어폰을 그대로 이용하면서, 이어폰을 감아서 휴대할 수 있도록 이어폰 케이스를 마련하고 필요시에 풀어서 쓸 수 있는 장치를 연구하여, 중심축과 감개와의 마찰력만으로 감개의 되감김을 방지할 수 있어, 간단한 구조로 손쉽게 사용하고 휴대할 수 있는 이어폰선 꼬임방지 장치를 개발하였다.
본 고안의 목적은 태엽을 이용하여 이어폰선을 감아서 휴대하고 사용시에는 감긴 이어폰선을 풀어서 사용하지만, 감개의 멈춤기구가 매우 간단한 구조로 되어 있어, 단가가 낮고 효과가 우수한 이어폰선 꼬임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외관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단면도.
도4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단면도.
도5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단면도.
실시예 1
도1은 본 고안의 외관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전체적으로, 케이스(10)와, 리시버(12)측 이어폰선(14) 또는 플러그측(16) 이어폰선(18)을 감는 감개(20)로 구성된다. 이어폰선(14 또는 18)의 어느 한 부분이 고정되고 다른 부분이 감개(20)에 감겨서 케이스(10) 내에 수납되므로 휴대상 사용상 이어폰선이 꼬이지 않는다.
도2는 본 고안의 내부 단면도이다. 도2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고안은, 케이스(10), 이어폰선이 감기며 케이스하부의 보스(11)에 삽입되어 회전하는 감개(20), 감개(20)의 내부에 삽입되어 감개(20)가 탄성적으로 한 방향으로 감기도록 하는 태엽(22), 감개(20)의 내면과 밀착되는 감개멈치(24)로 구성된다.
감개(20)는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어폰선(14)이 감기는 부분이 테이퍼되어 있다. 이어폰선이 차곡차곡 감기도록 하면서 케이스의 이어폰선 관통구(12)를 이어폰선이 막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감개(20)의 내부에는 태엽(22)과 감개멈치(24)가 삽입되는 공간이 있다. 태엽(22)의 외측 일단은 감개(20)의 내부면에 고정되는데, 감개(20)의 내부공간살에 홈을 형성하여 여기에 태엽(22)의 외측 일단을 꽂으면 된다.
감개(20) 내부에 삽입된 태엽(22)의 내측 일단은 감개멈치(24)에 고정된다. 이 역시 감개멈치(24)의 일부에 홈을 형성하고 여기에 태엽(22)의 내측 일단을 꽂음으로서 이루어진다. 감개멈치(24)에는 감개(20)의 내면(21)과 밀착되는 밀착부(25)가 있다. 또한, 감개멈치(24)는 감개(20) 내부 공간에서 스프링(26)에 의해 위쪽으로 밀리는 힘을 받고 있다.
감개(20)의 하부는 케이스(10)의 보스(11)에 회전가능토록 결합되는데, 보스(11)가 삽입되는 회전홈(28)은 안으로 보스(11)로부터 더 깊게 형성되어 있고, 이 회전홈(28)과 감개(20) 외부표면은 관통공(30)에 의해 관통되어 있다. 보스(11)에는 보스홈(13)이 형성되어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태엽(22)의 내측 일단은 감개멈치(24)에 고정되고 외측 일단은 감개(20)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감개(20)를 감으면 태엽(22)이 감기면서, 도로 풀리려고 하는 탄성력이 생긴다. 감개(20)를 감을 때에는 감개(20)에 이어폰선이 함께 감기도록 한다.
감개(20)에 감기는 이어폰선의 한쪽은 감개(20)에 고정되어야 하기 때문에, 도2의 회전홈(28)과 관통공(30)을 이용하고 있다. 즉, 감개에 감기는 이어폰선(14)의 반대쪽(18)을 관통공(30)을 통해 회전홈(28)으로 삽입한 다음에, 보스홈(13)을 통해서 빼내면 된다. 이 때에 관통공(30)에 삽입된 이어폰선은 관통공(30) 내에 꼭 끼도록 관통공(30)의 내경을 이어폰선보다도 좁게 형성하여야 한다. 또한, 보스홈(13)의 내경도 이어폰선보다 좁게 형성하여 이어폰선이 보스홈(13)에 꼭 끼이도록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이어폰선이 감개(20)의 관통공(30)에 고정되어 나머지 이어폰선을 감개(20)에 감을 수 있게 된다.
그러나, 감개(20)가 회전하므로, 회전홈(28) 내에서 이어폰선이 당겨지게 되므로 감개(20)가 회전하지 않게 된다. 이를 막기 위하여, 회전홈(28) 내에서 이어폰선을 여러 회전 감아놓는다. 이를 도2의 '32'번으로 나타낸다. 이어폰선을 감는 횟수는 감개(20)의 회전하는 횟수에 따라 결정된다.
이렇게, 감개(20)에 이어폰선이 감긴 채로 감개(20)의 태엽(22)이 감기면 태엽(22)의 탄성력에 의해 감개(20)는 역방향으로 풀리려고 하지만, 본 고안에서는 감개멈치(24)의 밀착부(25)가 감개 내부의 마찰면(21)에 밀착되어 마찰되고 있기 때문에 감개(20)는 풀리지 않는다. 따라서, 본 고안을 구현하려면 감개멈치(24)를 위로 미는 스프링(26)의 힘이 태엽(22)의 탄성력보다 커야 할 것이다.
감개멈치(24)에 의해 태엽(22)이 감긴 채로 이어폰선이 감겨있기 때문에 이어폰선은 감개(20)에 감겨서 케이스(10) 내에 보관될 수 있다. 이어폰을 사용하기 위해 외부에서 이어폰선을 풀면, 감개(20)가 역방향으로 강제로 풀릴 것이다. 감개멈치(24)의 밀착부(25)와 감개(20)의 마찰면(21)이 마찰력만으로 접촉하여 있기 때문에, 사람이 이어폰선을 푸는 힘이 마찰력보다 크기만 하면 감개(20)는 큰 저항없이 풀릴 수 있다. 필요한 길이만큼 이어폰선을 풀고 사람이 손을 놓으면 밀착부(25)와 마찰면(21)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감개(20)는 그 자리에 멈추게 되므로 불필요하게 이어폰선이 나오지 않는다.
다음에, 이어폰선을 도로 감개(20)에 감아 넣으려면, 감개멈치(24)를 손으로 눌러주면 된다. 감개멈치(24)를 손으로 누르면, 밀착부(25)와 마찰면(21) 사이의 마찰력이 해제되면서 감개(20)가 태엽(22)에 의해 되감기게 된다. 필요한 길이만큼 이어폰선이 감긴 다음에 감개멈치(24)를 눌렀던 손을 떼면 다시 밀착부(25)와 마찰면(21)이 접촉되면서 감개(20)가 정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매우 간단한 구조와 원리로써 이어폰선을 케이스(10) 내부에 감아서 휴대하고 사용할 수 있다. 감개(20)와 감개멈치(24) 사이의 메카니즘으로서 여러가지 방식을 생각해 볼 수 있다. 다음에 설명하는 실시예2는 실시예1에서와 다른 방식으로 감개(20)가 풀리지 않도록 하는 구조를 나타낸다.
실시예 2
도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본 실시예의 감개멈치(24')는, 태엽(22)의 내측일단을 고정하는 중심축(34)에 삽입된다. 본 실시예의 감개멈치(24')는 중심축(34)에 스프링(26')을 통해 삽입되어 항상 위쪽으로 밀리는 힘을 받는다. 중심축(34)의 윗부분에는 상벽(34a, 34b)이 형성되어 있는데, 각 상벽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감개멈치(24')에는 좌우로 2개의 밀착부(25')가 회전되도록 밀착부회전축(36a, 36b)에 의해 결합되는데, 각 밀착부(25')는 중심축(34) 상벽(34a, 34b)의 관통공을 통해 감개(20)의 윗면과 근접하고 있다.
이어폰선을 풀어서 감개(20)가 풀려지면 태엽(22)이 안으로 되감기려고 하지만, 스프링(26')에 의해 감개멈치(24')가 위로 밀리고 있기 때문에 감개멈치(24')의 밀착부(25')가 상벽(34a, 34b)의 관통공을 고정점으로 하여 아래로 향하는 힘을 받아, 감개(20)의 윗면에 밀착된다. 따라서, 감개(20)는 되감기지 않고 그 자리에 정지해 있게 된다.
이어폰선을 감으려면, 감개멈치(24')을 누른다. 그러면, 감개멈치(24')가 아래로 내려가면서 밀착부(25')이 위로 들리게 되어, 감개(20) 윗면과의 밀착상태가 해제되면서 감개(20)는 원위치로 감기게 된다.
실시예 3
도4는 다른 방식에 의한 감개멈치(24'')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4에서 감개멈치(24'')는 케이스의 측벽에 수직으로 스프링(26'')을 통해 삽입된다. 감개멈치(24'')의 밀착부(25'')는 감개(20)의 표면을 아래에서 위로 밀착하고 있다. 감개멈치(24'')를 누르면 감개(20)와 밀착부(25'')의 밀착상태가 해제된다. 전체적 동작은 실시예1 및 2와 동일하다.
실시예 4
도5는 또다른 방식에 의한 감개멈치(24''')의 구조를 나타낸다. 감개(20)의 윗면에 마찰홈(21''')이 형성되고, 이 마찰홈(21''')의 내면에 밀착부(25''')가 측면으로 밀착된다. 감개멈치(24''')는 케이스에 스프링(26''')을 통해 삽입되어 측면으로 밀리는 힘을 받는다. 따라서, 평소에는 밀착부(25''')가 마찰홈(21''')을 측면에서 밀어 고정하고 있다가, 감개멈치(''')를 오른쪽으로 밀면 마찰홈(21''')과 밀착부(25''')간의 밀착상태가 해제되어, 감개(20)가 되감긴다.
실시예 5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을 활용하여, 감개(20)를 두 개 설치할 수 있다. 실시예1에서는 감개(20)를 한 개 설치하여 이어폰선을 감았지만, 이어폰선의 양쪽, 즉, 리시버(12)측 이어폰선과 플러그측 이어폰선을 각각 감개(20)에 감아서 케이스(10)에 넣으면, 필요한 부분의 이어폰선만 풀어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한층 더 효과적으로 이어폰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5에서 개별적인 감개(20)의 구조는 도2 및 도3과 같다.
기타 변형 실시예
상기 실시예들 모두에 부가될 수 있는 실시예로서, 감개(20)의 일부 표면을 케이스(10)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을 처음 제작할 때에 태엽(22)에 의해서 이어폰선이 감개(20)에 감기는데, 사용하다가 태엽(22)의 탄성력이 떨어지거나 다른 요인에 의해서 감개(20)가 제위치로 되감기지 않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케이스(10)에 감개(20)의 일부면을 노출시켜서 손으로 되감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조작의 편의성을 위해, 감개(20)의 상부에 톱니를 형성해 놓고 케이스(10) 외부로 노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당업자가 임의로 설계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이어폰에 케이스(10)가 부착되는 것이기 때문에, 통상 이어폰선 중간에 설치하는 리모콘을 케이스(10)에 부착할 수 있다. 따라서, 통상의 이어폰 리모콘보다 많은 기능을 리모콘으로 실현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왕에 사용되는 케이스(10)를 활용하여 리모콘을 제작하는 것이기 때문에 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리모콘 기능을 갖도록 제작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휴대용 음향기기의 이어폰이나 헤드폰의 휴대시나 사용시에 이어폰선이 꼬일 염려가 없기 때문에, 영구적으로 이어폰을 사용할 수 있고 휴대와 사용이 간편해지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각종 기능을 리모콘화할 수 있기 때문에, 휴대 음향기기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케이스,
    이어폰선이 감기며 케이스하부의 보스에 삽입되어 회전하는 감개,
    감개의 내부에 삽입되어 감개가 탄성적으로 한 방향으로 감기도록 하는 태엽,
    감개의 내부면과 밀착되는 감개멈치로 구성되는 이어폰선 꼬임방지 장치.
  2. 청구항 1에서,
    감개멈치에는 밀착부가 형성되어 감개와 접촉함으로써, 감개가 태엽의 탄성력에 의해 풀리는 것이 방지되고,
    밀착부는 스프링에 의해 감개와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선 꼬임방지 장치.
  3. 청구항 2에서, 밀착부(25')는 감개멈치(24')에 좌우로 2개가 회전되도록 결합되어, 각 밀착부(25')가 중심축(34) 상벽(34a, 34b)의 관통공을 통해 감개(20)의 윗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선 꼬임방지 장치.
  4. 청구항 2에서, 밀착부(25'')는 케이스의 측벽에 수직으로 스프링(26'')을 통해 삽입되어, 밀착부(25'')가 감개(20)의 표면을 아래에서 위로 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선 꼬임방지 장치.
  5. 청구항 2에서, 밀착부(25''')는 감개(20)의 윗면에 형성된 마찰홈(21''')의 내면에 측면으로 밀착되도록, 감개멈치(24''')가 케이스에 스프링(26''')을 통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선 꼬임방지 장치.
  6. 청구항 1~5 중 어느 한 항에서, 감개가 복수개 설치되는 이어폰선 꼬임방지 장치.
  7. 청구항 1~5중 어느 한 항에서, 감개의 일부가 케이스 외부로 노출되어, 손으로 감개를 돌려 이어폰선을 감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선 꼬임방지 장치.
KR2020000001155U 2000-01-17 2000-01-17 이어폰선 꼬임방지 장치 KR2001856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1155U KR200185631Y1 (ko) 2000-01-17 2000-01-17 이어폰선 꼬임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1155U KR200185631Y1 (ko) 2000-01-17 2000-01-17 이어폰선 꼬임방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5631Y1 true KR200185631Y1 (ko) 2000-06-15

Family

ID=19637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1155U KR200185631Y1 (ko) 2000-01-17 2000-01-17 이어폰선 꼬임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563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61979A (zh) * 2018-10-30 2019-02-19 嘉兴市华阳电器有限公司 一种具有收线机构的多媒体耳机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61979A (zh) * 2018-10-30 2019-02-19 嘉兴市华阳电器有限公司 一种具有收线机构的多媒体耳机
CN109361979B (zh) * 2018-10-30 2024-01-23 广东小林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收线机构的多媒体耳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59213A (en) Reel device
US7546969B2 (en) Systems and methods of winding a portable cord
US6736346B1 (en) Apparatus for winding cord
KR101752771B1 (ko) 이어폰 줄 자동 감김 장치
KR200346207Y1 (ko) 동축 와이어 권취용 휠장치
JP2000502981A (ja) 改良コードリールアセンブリ
US20130084734A1 (en) Wire winding device structure
KR101673414B1 (ko) 와이어 단선 방지를 위해 리트랙터블 구조가 개선된 블루투스 이어폰
KR200185631Y1 (ko) 이어폰선 꼬임방지 장치
US5655726A (en) Uni-directional cord take-up device
US6502777B2 (en) Wire-winding box capable of unidirectionally winding wire
KR19980071968A (ko) 이어폰 코드 자동감김 장치가 구비된 핸드폰용 이어폰
KR200376631Y1 (ko) 케이블을 자동으로 감거나 인출할 수 있는 롤형 기기
JP4247226B2 (ja) 光ファイバコードリール
KR200381677Y1 (ko) 기어를 이용하여 케이블을 자동으로 감거나 인출할 수있는 롤형 기기
KR200328862Y1 (ko) 휴대용 오디오 재생기기
KR200303295Y1 (ko) 양립 릴이 구비된 케이블
KR20060100649A (ko) 코드 및 목걸이 줄 권취 장치
JPH0130797Y2 (ko)
KR200371355Y1 (ko) 줄 길이가 조절되는 이어폰
KR200185633Y1 (ko) 휴대폰 또는 카세트 플레이어용 이어폰/마이크로폰
CN2285039Y (zh) 可收纳免持听筒的耳机和麦克风线的装置
KR200175162Y1 (ko) 이어폰 코드의 권취장치
KR200321350Y1 (ko) 이어폰 및 플러그에 적용되는 와이어 권취구조
JPH06269073A (ja) イヤホンおよびイヤホンコードの巻取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