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8862Y1 - 휴대용 오디오 재생기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오디오 재생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8862Y1
KR200328862Y1 KR20-2003-0020689U KR20030020689U KR200328862Y1 KR 200328862 Y1 KR200328862 Y1 KR 200328862Y1 KR 20030020689 U KR20030020689 U KR 20030020689U KR 200328862 Y1 KR200328862 Y1 KR 2003288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el
case
portable audio
lever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06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20-2003-00206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88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88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8862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26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 G11B15/32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through the reels or cores on to which the record carrier is woun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75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 G11B15/67544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with movement of the cassette parallel to its main side and subsequent movement perpendicular thereto, i.e. front loa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1/00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 G11B31/02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with automatic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G11B33/022Cases
    • G11B33/025Portable ca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12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distributing signals to two or more loudspeak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용 오디오 재생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용 오디오 재생기기에 있어서, 케이스 내측에 구비되는 오디오신호출력단자에 연결되어 케이스의 외측으로 인출되는 복수의 와이어 각각에 연결되며, 휴대용 오디오 재생기기로부터 재생되는 오디오를 들을 수 있는 복수 쌍의 이어폰과, 케이스 내측에 설치되며, 오디오신호출력단자로부터 인출되는 복수의 와이어를 감아서 케이스 내측에 수납하는 와이어감개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어폰이 복수 쌍으로 구비되어 두 명 이상의 사용자가 동시에 스테레오로 완벽한 오디오 청취를 가능하게 하며, 복수 쌍의 이어폰에 연결된 복수의 와이어를 케이스 내측에 간단하게 수납할 수 있도록 하여 취급 및 사용을 편리하게 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오디오 재생기기{PORTABLE AUDIO PLAYER}
본 고안은 휴대용 오디오 재생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어폰이 복수 쌍으로 구비되어 두 명 이상의 사용자가 동시에 스테레오로 완벽한 오디오 청취를 가능하게 하며, 복수 쌍의 이어폰에 연결된 복수의 와이어를 케이스 내측에 간단하게 수납할 수 있는 휴대용 오디오 재생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니 카세트 플레이어, 휴대용 CD 플레이어,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휴대용 오디오 재생기기는 스피커가 별도로 마련되어 있지 않으며, 혼자서 오디오를 듣기 때문에 보통 한 쌍의 이어폰이 구비된다.
그러므로 종래의 휴대용 오디오 재생기기를 두 명이 들을 경우 각자가 하나의 이어폰을 한 쪽 귀로 들어야 하기 때문에 제대로 오디오를 감상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매우 불편하며, 특히 스테레오로 재생되는 음악의 경우 완벽한 음악 감상이 힘들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므로, 휴대용 오디오 재생기기를 두 명 이상의 사용자가 편리하게 청취함과 아울러 스테레오로 완벽한 오디오 청취의 구현을 위해 복수 쌍의 이어폰이 구비될 필요성이 있으며, 복수 쌍의 이어폰이 구비될 경우 복수 쌍의 이어폰에 각각 연결되는 많은 수의 와이어가 꼬이지 않도록 쉽게 정리될 수 있는 휴대용 오디오 재생기기의 개발 필요성이 존재하였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필요성에 의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이어폰이 복수 쌍으로 구비되어 두 명 이상의 사용자가 동시에 스테레오로 완벽한 오디오 청취를 가능하게 하며, 복수 쌍의 이어폰에 각각 연결된 복수의 와이어를 케이스 내측에 간단하게 수납할 수 있도록 하여 취급 및 사용에 편리한 휴대용 오디오 재생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휴대용 오디오 재생기기에 있어서, 케이스 내측에 구비되는 오디오신호출력단자에 연결되어 케이스의 외측으로 인출되는 복수의 와이어 각각에 연결되며, 휴대용 오디오 재생기기로부터 재생되는 오디오를 들을 수 있는 복수 쌍의 이어폰과, 케이스 내측에 설치되며, 오디오신호출력단자로부터 인출되는 복수의 와이어를 감아서 케이스 내측에 수납하는 와이어감개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오디오 재생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오디오 재생기기의 요부를 도시한 평단면도로서, 와이어가 풀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오디오 재생기기의 요부를 도시한 평단면도로서, 와이어가 감긴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오디오 재생기기의 요부를 도시한 측단면도로서, 와이어가 풀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오디오 재생기기의 요부를 도시한 측단면도로서, 외어어가 감긴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케이스 200 : 이어폰
210 : 와이어 300 : 와이어감개장치
310 : 고정축 320 : 릴
330 : 태엽 340 : 릴회전제어수단
341 : 치 342 : 레버
343 : 스톱퍼 344 : 스프링
이하,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오디오 재생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오디오 재생기기의 요부를 도시한 평단면도로서, 와이어가 풀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오디오 재생기기의 요부를 도시한 평단면도로서, 와이어가 감긴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오디오 재생기기의 요부를 도시한 측단면도로서, 와이어가풀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오디오 재생기기의 요부를 도시한 측단면도로서, 외어어가 감긴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오디오 재생기기(10)는 케이스(100)의 외측으로 인출되는 복수의 와이어(210) 각각에 연결되는 복수 쌍의 이어폰(200)과, 케이스(100) 내측에 설치되어 복수의 와이어(210)를 감는 와이어감개장치(300)를 포함한다.
이어폰(200)은 내측에 구비되는 오디오신호출력단자(120)에 연결되어 케이스(100)의 외측으로 인출되는 복수의 와이어(210) 각각에 연결되고, 복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휴대용 오디오 재생기기(10)로부터 재생되는 오디오를 들을 수 있으며, 도 1 내지 도 5의 실시예에서는 두 쌍으로 이루어짐을 나타낸다.
이어폰(200) 각각에 연결된 와이어(210)는 오디오신호출력단자(120)로부터 케이스(100)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110)를 통해 외측으로 인출되며, 케이스(100) 내측에 설치되는 와이어감개장치(300)에 의해 필요에 따라 감겨져서 케이스(100) 내측에 수납된다.
와이어감개장치(300)는 케이스(100) 내부의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축(310)과, 고정축(32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릴(320)과, 릴(320)의 내측에 설치되는 태엽(330)과, 릴(320)의 회전을 제어하는 릴회전제어수단(340)을 포함한다.
고정축(310)은 내측에 오디오신호출력단자(120)가 구비되며, 오디오신호출력단자(120)에 연결된 와이어(210)가 외주면에 형성된 통과홀(311)을 통과하여 외측으로 인출된다.
고정축(310)이 케이스(100) 내측에 고정되기 위하여 양단에 고정돌기(312)를 형성하여 고정돌기(312)가 케이스(100)의 내측면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릴(320)은 원통형의 몸체(321)와 몸체(321)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휠(322,323)로 이루어지고, 휠(322,323)이 고정축(310)의 외주면에 끼워짐으로써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고정축(310)의 외주면으로부터 인출되는 와이어(210)가 몸체(321)에 형성된 통과홀(321a)을 통해 외측으로 인출되어 몸체(321)의 외주면에 감겨진다.
태엽(330)은 고정축(310)의 외주면과 릴(320)의 내주면에 양단이 각각 고정되며, 릴(320)로부터 와이어(210)가 풀릴 때 감겨짐으로써 릴(320)에 풀린 와이어(210)가 감겨지기 위한 회전력을 제공한다.
릴회전제어수단(340)은 릴(320)의 일측에 구비되는 휠(323)에 형성되는 복수의 치(341)와, 치(341)에 인접하여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레버(342)와, 레버(342)의 하단에 결합되는 스톱퍼(343)와, 레버(342)를 탄성지지하는 스프링(344)을 포함한다.
치(341)는 릴(320)의 몸체(321)의 양측에 구비되는 휠(322,323)중 하측에 위치하는 휠(323)에 테두리를 따라 복수로 형성된다.
레버(342)는 복수의 치(341)중 어느 하나의 치(341)에 인접하여 케이스(100)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가이드부재(130)에 삽입되어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단이 케이스(100)의 상부로 돌출된다.
스톱퍼(343)는 레버(342)의 하단에 결합되며, 치(341)에 결합되어 릴(320)의회전을 억제한다.
스톱퍼(343)가 레버(342)의 누름에 의해 치(341)와 동일한 높이로부터 하측으로 이동시 삽입되기 위하여 케이스(100)의 내측면에 삽입홈(140)이 형성된다.
스프링(344)은 스톱퍼(343)가 치(341)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레버(342)에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레버(342)에 끼워져서 가이드부재(130)와 레버(342)에 의해 양단이 지지된다.
스프링(344)은 가이드부재(130)와 레버(342)에 의해 양단이 지지되기 위하여 레버(342)에 끼워져 가이드부재(130)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단이 레버(342)의 외주면에 형성된 지지돌기(342a)에 지지된다. 따라서, 스프링(344)은 탄성력에 의해 레버(342)를 일정 높이에 위치시킴으로써 스톱퍼(343)가 치(341)와 동일높이에 위치한 상태로 결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휴대용 오디오 재생기기의 동작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오디오 재생기기는 이어폰(200)이 복수 쌍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복수의 사용자가 양쪽 귀에 각각 이어폰을 꽂고서 스테레오로 완벽한 오디오를 청취할 수 있으며, 와이어감개장치(300)에 의해 복수 쌍의 이어폰(200) 각각에 연결되는 복수의 와이어는 필요에 따라 케이스(100) 내측에 감아서 수납할 수 있다.
와이어감개장치(300)는 도 3 및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릴(320)에 와이어(210)가 감긴 상태에서 케이스(100) 외측으로 돌출된 레버(342)를 누르게 되면스톱퍼(343)가 휠(323)의 테두리에 형성된 치(341)로부터 이탈됨으로써 릴(320)이 고정축(310)으로부터 회전 가능해지므로 사용자는 케이스(100)의 외측에 위치하는 이어폰(200)을 당기면 릴(320)로부터 와이어(210)가 풀린다.
사용자가 사용에 필요한 정도로 와이어(210)를 릴(320)로부터 풀면 레버(342)로부터 손을 떼서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프링(344)에 의해 레버(342)가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하여 스톱퍼(343)가 휠(323)의 테두리에 형성된 치(341)에 결합되어 릴(320)이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도록 한다.
사용자가 이어폰(200)의 사용을 마치고 릴(320)에 와이어(210)를 감고자 하는 경우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레버(342)를 누르면 릴(320)로부터 와이어(210)를 풀 때 감겨졌던 태엽(330)이 풀리면서 릴(320)이 와이어(210)를 감게 된다.
릴(320)에 와이어(210)가 모두 감기면 레버(342)로부터 손을 떼서 스프링(344)에 의해 레버(342)가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하여 스톱퍼(343)가 치(341)와 결합되어 릴(320)의 회전을 억제토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어폰이 복수 쌍으로 구비되어 두 명 이상의 사용자가 동시에 스테레오로 완벽한 오디오 청취를 가능하게 하며, 복수 쌍의 이어폰에 연결된 복수의 와이어를 케이스 내측에 간단하게 수납할 수 있도록 하여 취급 및 사용에 편리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오디오 재생기기는 이어폰이 복수쌍으로 구비되어 두 명 이상의 사용자가 동시에 스테레오로 완벽한 오디오 청취를 가능하게 하며, 복수 쌍의 이어폰에 연결된 복수의 와이어를 케이스 내측에 간단하게 수납할 수 있도록 하여 취급 및 사용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오디오 재생기기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3)

  1. 휴대용 오디오 재생기기에 있어서,
    케이스 내측에 구비되는 오디오신호출력단자에 연결되어 상기 케이스의 외측으로 인출되는 복수의 와이어 각각에 연결되며, 상기 휴대용 오디오 재생기기로부터 재생되는 오디오를 들을 수 있는 복수 쌍의 이어폰과,
    상기 케이스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오디오신호출력단자로부터 인출되는 복수의 와이어를 감아서 상기 케이스 내측에 수납하는 와이어감개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오디오 재생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와이어감개장치는,
    상기 케이스 내부의 일측에 고정되고, 내측에 상기 오디오신호출력단자가 구비되며, 상기 오디오신호출력단자에 연결된 와이어가 외주면을 통과하여 외측으로 인출되는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의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고정축으로부터 인출된 상기 와이어가 외측으로 인출되어 감겨지는 릴과,
    상기 고정축의 외주면과 상기 릴의 내주면에 양단이 각각 고정되며, 상기 와이어가 상기 릴로부터 풀릴 때 감겨지는 태엽과,
    상기 릴의 회전을 제어하는 릴회전제어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오디오 재생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릴회전제어수단은,
    상기 릴의 일측에 구비되는 휠에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치와,
    상기 복수의 치중 어느 하나의 치에 인접하여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가이드부재에 삽입되어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단이 상기 케이스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레버와,
    상기 레버의 하단에 결합되며, 상기 치에 결합되어 상기 릴의 회전을 억제하는 스톱퍼와,
    상기 스톱퍼가 상기 치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레버에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레버에 끼워져서 상기 가이드부재와 상기 레버에 의해 양단이 지지되는 스프링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오디오 재생기기.
KR20-2003-0020689U 2003-06-30 2003-06-30 휴대용 오디오 재생기기 KR2003288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0689U KR200328862Y1 (ko) 2003-06-30 2003-06-30 휴대용 오디오 재생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0689U KR200328862Y1 (ko) 2003-06-30 2003-06-30 휴대용 오디오 재생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8862Y1 true KR200328862Y1 (ko) 2003-10-04

Family

ID=49338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0689U KR200328862Y1 (ko) 2003-06-30 2003-06-30 휴대용 오디오 재생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886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6318B1 (ko) 2012-05-24 2012-12-27 전복집 이어폰 줄의 감김 기능을 가지는 휴대폰 케이스
KR20200001442A (ko) * 2018-06-27 2020-01-06 주식회사 이엠텍 자동 와이어 감김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6318B1 (ko) 2012-05-24 2012-12-27 전복집 이어폰 줄의 감김 기능을 가지는 휴대폰 케이스
KR20200001442A (ko) * 2018-06-27 2020-01-06 주식회사 이엠텍 자동 와이어 감김 장치
KR102085841B1 (ko) * 2018-06-27 2020-03-06 주식회사 이엠텍 자동 와이어 감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84980B2 (en) Low-profile, retractable earbud storage system
KR101970190B1 (ko) 사용자 제공 헤드폰용 권취기 릴 조립체를 갖는 휴대장치 케이스
US5422957A (en) Cable take-up for earphones
US6480611B2 (en) Headphone having a cord reel
KR101752771B1 (ko) 이어폰 줄 자동 감김 장치
US20140198927A1 (en) Wireless earphone
KR101292337B1 (ko) 이어폰 보관 장치
KR200328862Y1 (ko) 휴대용 오디오 재생기기
KR101755324B1 (ko) 다목적 넥밴드형 이어폰
KR20090003689A (ko) 이어폰 수납장치
JP3140184U (ja) 外掛け型無線イヤフォン
KR200397507Y1 (ko) 이어폰 또는 헤드폰용 줄감개
KR20140135342A (ko) 이어폰 일체형 휴대용 기기 케이스
JP3655573B2 (ja) イヤフォン整理具
TWM454688U (zh) 無線耳機
JPS6316231Y2 (ko)
TW200526058A (en) Flat compact-type earphone line case, reel assembly thereof, and method for connecting earphone line to jack line
KR20060100649A (ko) 코드 및 목걸이 줄 권취 장치
KR200185631Y1 (ko) 이어폰선 꼬임방지 장치
KR200233079Y1 (ko) 목걸이형 커플 이어폰
JP2601521Y2 (ja) イヤホンの耳当て部係止具
KR102634803B1 (ko) 이어폰 코드의 꼬임 방지구
JP3117240U (ja) コード巻き付け式携帯型音楽再生装置用ケース
KR200342206Y1 (ko) 귀걸이형 이어폰 코드 권취 장치
KR200165525Y1 (ko) 이어폰선 자동 감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