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6631Y1 - 케이블을 자동으로 감거나 인출할 수 있는 롤형 기기 - Google Patents

케이블을 자동으로 감거나 인출할 수 있는 롤형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6631Y1
KR200376631Y1 KR20-2004-0034524U KR20040034524U KR200376631Y1 KR 200376631 Y1 KR200376631 Y1 KR 200376631Y1 KR 20040034524 U KR20040034524 U KR 20040034524U KR 200376631 Y1 KR200376631 Y1 KR 2003766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cable
terminal
coupled
typ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45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남춘
김동구
Original Assignee
(주)가원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가원시스템 filed Critical (주)가원시스템
Priority to KR20-2004-00345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663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66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663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0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mobile or transportable
    • B65H75/406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mobile or transportable hand-held during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8Automatic re-storing devices
    • B65H75/48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he spring mo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33Cables or cables storage, e.g. cable r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9Other types of filamentary materials or special applications
    • B65H2701/3919USB, earphones, audio or video cables, e.g. for connecting small electronic devices such as MP3 players or mobile telepho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oring, Repeated Paying-Out, And Re-Storing Of Elongat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종래의 롤형 기기가 케이블을 하나의 롤에 감기때문에 일단을 잡아당기면 다른 쪽이 풀리거나 엉키는 문제가 발생하는 점에 착안하여,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하며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를 구비하는 2개의 롤과, 상기 2개의 롤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각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양면 PCB를 포함하는 롤형 기기에 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사용자가 롤형 기기에 결합된 케이블 양단을 동시에 잡아당기지 않고, 일단만 잡아당기더라도 다른 쪽의 케이블이 풀리거나 엉키지 않게 되어 사용자의 편익을 크게 증진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케이블을 자동으로 감거나 인출할 수 있는 롤형 기기{Roll shaped device which a cable can be automatically wound around or drawn from}
본 고안은 이어폰 케이블이나 USB 케이블 등을 감을 수 있는 롤형 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 중에 케이블이 엉키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데 특징이 있다.
카세트 플레이어나 MP3 플레이어와 같은 재생장치를 청취하기 위해서 이어폰을 많이 사용하는데 이러한 이어폰은 기본적으로 귀에 부착되는 스피커 부분과, 재생장치에 연결되는 연결잭과, 양자를 연결하는 케이블로 이루어진다.
이어폰의 케이블은 통상 1m 정도의 길이를 가지기 때문에, 깔끔하게 보관하기가 어렵고 소지하기도 거추장스러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등장한 것이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롤형 기기(10)이다.
즉, 스피커(30)와 연결잭(40) 사이의 케이블(20)을 롤형 기기(10)에 수납시킴으로써 사용자가 간편하게 보관 및 소지할 수 있도록 하였고, 사용시에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스피커(30)와 연결잭(40)을 잡고 양쪽에서 잡아당겨 수납된 케이블(20)을 인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도 2를 참조하여 종래 롤형 기기(10)의 구성을 자세히 살펴보면, 제1 몸체(11) 및 제2 몸체(16) 사이에 케이블(20)을 감은 채 회전할 수 있는 롤(13)과 상기 롤(13)에 복원력을 부여하는 스프링(15)이 결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제1 몸체(11)는 결합돌기(12)와 미도시된 결합홀을 구비하며, 제2 몸체(16)는 상기 제1 몸체(11)의 상기 결합돌기(12) 및 결합홀에 각각 대응하는 결합홀(18) 및 결합돌기(19)를 가진다.
제2 몸체(16)의 중앙에는 롤결합부(17)가 돌출되어 있는데, 상기 롤 결합부(17)는 원기둥 형상으로서 롤(13)이 결합되어 회전하는 축 역할을 하며 스프링(15)의 일단을 끼워서 고정할 수 있도록 중앙에 절개부(17a)가 세로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롤(13)은 하면이 개구된 원통형상으로서, 상면 중앙에는 상기 롤결합부(17)가 끼워지는 관통홀(13a)이 형성되며, 측벽에는 케이블(20)이 삽입되는 제1 케이블삽입홈(13b)과 제2 케이블삽입홈(13d)이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되는데, 각 케이블삽입홈을 통해 롤(13) 밖으로 연장되는 케이블이 서로 중첩되지 않고 롤(13)의 외주에 감길 수 있도록 각 케이블삽입홈(13b,13d)의 높이를 서로 다르게 형성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케이블삽입홈(13b)을 롤(13) 측벽의 중앙부에서 상단까지 세로로 형성하면, 대향하는 위치의 제2 케이블삽입홈(13d)은 롤(13) 측벽의 중앙부에서 하단까지 형성한다.
롤(13)의 측벽에는 스프링(15)을 고정하기 위한 스프링삽입홈(13c)도 형성되어 있는데, 스프링(15)은 롤(13)의 내부에 삽입되어 일단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몸체(16)의 롤 결합부(17)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스프링삽입홈(13c)에 결합된다.
롤(13) 상면에 원주방향으로 다수 형성되어 있는 요홈은 베어링이동홈(14)으로서 제1 몸체(11)의 하면에 부착되어 있는 볼베어링(미도시)이 이동하면서 롤(13)을 회전상태에서 고정상태로, 고정상태에서 회전상태로 변환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3은 케이블(20)과 스프링(15)이 롤(13)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인데, 롤(13) 내부에는 측벽에 인접하여 케이블 고정돌기(13d)가 원주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어 롤(13)의 내벽과 케이블 고정돌기(13e)의 사이에 케이블(20)을 꽉 끼움 방식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일단이 가운데의 롤 결합부(17)에 결합되는 스프링(15)의 타단은 스프링삽입홈(13c)을 지나 롤(13)의 외주를 따라 연장되어 제1 케이블삽입홈(13b)에 고정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케이블(20)은 중심부가 롤(13) 내부의 케이블 고정돌기(13e)와 케이블삽입홈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으므로, 양쪽의 케이블(20a,20b)은 롤(13)이 회전함에 따라 동시에 롤(13)의 외주에 감기거나 풀리게 되는데, 이때 양쪽의 케이블(20a,20b)이 서로 중첩되지 않아야 하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제1,2 케이블삽입홈(13b,13d)의 높이를 달리하여 양쪽의 케이블이 롤(13) 외주의 서로 다른 부분에 감기도록 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 방식의 롤형 기기(10)는 일견 편리해 보이지만 실제 사용시에는 큰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데, 그것은 바로 감긴 상태의 케이블을 인출하기 위해서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드시 사용자가 케이블 양단을 동시에 잡아당겨야 한다는 점이다. 즉 스피커(30)와 연결잭(40)을 동시에 잡고 반대쪽으로 잡아당겨야 원활하게 케이블이 풀리게 된다.
그렇지 않고 일측의 케이블만을 잡아 당기게 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의 케이블(20b)은 당겨지는 방향대로 인출되지만, 타측의 케이블(20a)은 롤(13)의 회전에 의하여 풀리기는 하는데 외부에서 당겨주는 힘이 없기 때문에 롤형기기(10)의 내부에서 풀려버려 케이블 엉킴현상이 발생한다는 점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굳이 케이블 양단을 동시에 잡아당기지 않고 일단만 잡고 당기더라도 케이블의 엉킴이 발생하지 않는 롤형 기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1 몸체와; 상기 제1 몸체와 결합하여, 상기 제1 몸체와의 사이에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는 제2 몸체와; 상기 제1 몸체 또는 상기 제2 몸체로부터 상기 공간으로 돌출되는 기둥형상의 롤 결합부와; 원통형상으로서 내부에 스프링이 결합되고 중심부에 상기 롤 결합부가 끼워지는 제1 관통홀을 가지며, 하면에는 제1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단자가 하부로 돌출되는 제1 롤(roll)과; 원통형상으로서 내부에 스프링이 결합되고 중심부에 상기 롤 결합부가 끼워지는 제2 관통홀을 가지며, 상면에는 제2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단자가 상부로 돌출되는 제2 롤(roll)과; 상기 제1 롤과 제2 롤의 사이에 위치하는 원판형의 절연체로서 가운데에 상기 롤 결합부가 끼워지는 제3 관통홀을 구비하며, 상면에는 상기 제1 단자와 접촉하는 원주방향의 제1 금속배선을 가지며, 하면에는 상기 제1 금속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한편 상기 제2 단자와 접촉하는 원주방향의 제2 금속배선을 가지는 양면PCB를 포함하는 롤형 기기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1 몸체와 제2 몸체에는 볼 베어링이 각각 결합되며, 상기 제1 롤의 상면과 상기 제2 롤의 하면에는 상기 각 볼 베어링이 이동하거나 정지하면서 선택적으로 각 롤의 회전을 정지시키거나 다시 회전시키는 기능을 하는 베어링 이동홈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1,2 금속배선은 케이블의 가닥수와 같은 개수의 동심원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2 단자도 각 금속배선에 대응하는 개수만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종래 롤형 기기의 경우 케이블이 하나의 롤에 감기기 때문에 전술한 문제점이 발생하는 점에 착안하여,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2개의 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롤형 기기(100)의 분해사시도로서, 제1 몸체(11)와 제2 몸체(16)의 사이에 제1 롤(110), 양면 PCB(130), 및 제2 롤(120)이 순서대로 적층되어 구성됨을 알 수 있다.
제1,2 몸체(11,16)의 구성은 종래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며, 다만 종래처럼 제2 몸체(16)에만 롤 결합부(17)가 돌출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롤 결합부(17)는 제1 몸체(11)나 제1,2 몸체 모두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1 롤(110)은 납작한 원통형상으로서 상면과 하면에 롤 결합부(17)가 끼워지는 제1 관통홀(114)을 구비하며, 측벽에는 제1 케이블(140)이 인입되는 제1 케이블 삽입홈(111)이 형성되어 있다. 상면에 형성되는 베어링 이동홈(116)은 제1 몸체(11)의 저면에 구비되는 미도시된 볼베어링과 상호 작용하여 제1 롤(110)을 정지시키거나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1 케이블(140)은 제1 롤(110)의 측벽에 감기게 되며, 제1 롤(110)의 내부에는 회전시 복원력을 부여하기 위한 스프링(미도시)이 설치되는데, 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롤 결합부(17)의 절개부(17a)에 고정되고 타단은 제1 롤(110)의 측벽에 고정된다.
도 5의 Ⅰ-Ⅰ선에 따른 단면도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롤(110)의 저면에는 제1 단자(112)가 제1 케이블(140)의 가닥수만큼 형성되는데, 제1 롤(110)의 내부에 위치하는 제1 단자(112)의 일단은 제1 케이블(140)의 일단과 납땜 등으로 결합되고 제1 롤(110)의 외부로 돌출되는 제1 단자(112)의 타단은 후술하는 양면 PCB(130)의 금속배선과 접하게 된다.
도 6에는 내부에 실장되는 스프링을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제1 롤(110)이 회전과 복원을 반복함에 따라 스프링 역시 수축 및 복원을 반복하게 되므로, 스프링의 동작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내부로 인입되는 제1 케이블(140)을 제1 롤(110)의 저면에 밀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자가 제1 케이블(110)을 잡아당기더라도 제1 단자(112)와의 결합이 끊어지지 않도록 제1 케이블(110)을 강하게 고정할 수 있는 케이블 고정부재를 제1 롤(110)에 부가할 수도 있다.
다시 도 5에서 제2 케이블(150)과 연결되는 제2 롤(120)은 제1 롤(110)과 사실상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즉 납작한 원통형 구조로서 측벽에 제2 케이블(150)이 인입되는 제2 케이블 삽입홈(121)이 형성되고 상,하면에 제2 관통홀(124)을 가지며 내부에 회전시 복원력을 부여하는 스프링(미도시)을 포함하는데, 다만, 후술하는 양면 PCB(130)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제2 단자(122)가 상면에 형성되고, 베어링 이동홈(미도시)이 하면에 형성되는 점만 다를 뿐이다.
양면 PCB(130)는 얇은 원판형 절연체의 상면과 하면에 원주방향의 금속배선을 형성하고 상면과 하면의 금속배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한 것으로서, 상면 금속배선(132)은 제1 롤(110)이 회전하더라도 제1 단자(112)와 전기적 연결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며, 도면에 보이지는 않지만 하면 금속배선도 제2 롤(120)이 회전하더라도 제2 단자(122)와 전기적 연결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원주방향으로 형성된다.
금속배선은 각 단자에 대응하는 개수만큼 원주방향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각 롤(110,120)이 1회전 이상 회전하는 경우에는 원으로 형성되어야 하므로, 단자가 2이상인 경우에는 동심원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면 PCB(130)의 중앙에는 롤 결합부(17a)가 끼워지는 제3 관통홀(134)이 형성된다.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제1 롤(110), 양면 PCB(130), 제2 롤(120)이 적층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제2 케이블(150), 제2 단자(122), 하면 금속배선(136)을 통해 전달되는 전기적 신호가 상면 금속배선(132), 제1 단자(112), 제1 케이블(140)로 전달되기 위해서는 상면 금속배선(132)과 하면 금속배선(136)이 비아홀 등을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롤형 기기(100)의 동작을 살펴보면, 미사용 상태에서는 제1 케이블(140)은 제1 롤(110)의 외주에, 제2 케이블(150)은 제2 롤(120)의 외주에 감겨 있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예를 들어 제1 케이블(140)을 잡아당기면 제1 케이블(140)이 인출되면서 제1 롤(110)이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제1 롤(110)에 내장된 스프링이 수축되어 복원력이 증가하기 시작한다. 사용자가 잡아당기는 동작을 중단하면 제1 롤(110)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베어링 이동홈(116)과 제1 몸체(11)의 저면에 결합되어 있는 볼 베어링(미도시)의 상호작용으로 스프링의 복원력으로 인한 제1 롤(110)의 회전이 억제되므로 제1 케이블(140)은 인출된 상태에서 고정되게 된다.
그런데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롤형 기기의 경우 사용자가 제1 케이블(140)을 잡아당기면 제1 롤(110)만이 회전하고 제2 롤(120)에는 아무 영향이 없으므로 제2 롤(120)에 감긴 제2 케이블(150)이 풀리거나 엉키는 일은 발생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제2 케이블(150)을 잡아당기더라도 제1 롤(110)이 회전하여 제1 케이블(140)이 풀리거나 엉키는 경우는 발생하지 아니한다.
또한 제1,2 롤(110,120)이 회전하더라도, 제1 케이블(140)과 제2 케이블(150)은 제1 단자(112), 양면 PCB(130), 제2 단자(122)를 통해 전기적 연결 상태가 지속된다.
사용을 마친 이후에는 연장된 케이블을 살짝 당겨서 놓기만 하면, 상기 볼베어링(미도시)이 베어링 이동홈(116)과 다른 방식으로 작용하면서 롤의 고정상태가 해제되므로 스프링의 복원력으로 인하여 각 롤(110,120)이 회전하면서 제1,2 케이블(140,150)이 롤형 기기(100)속에 수납되게 된다.
한편 이상에서는 이어폰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어서 USB 케이블 등과 같은 다른 제품에도 당연히 적용될 수 있고 나아가 휴대용이 아닌 대형의 롤형 기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사용자가 롤형 기기에 결합된 케이블 양단을 동시에 잡아당기지 않고, 일단만 잡아당기더라도 다른 쪽의 케이블이 풀리거나 엉키지 않게 되어 사용자의 편익을 크게 증진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 롤형 기기를 스피커에 이용한 사용상태도
도 2는 종래 롤형 기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종래 롤형 기기의 단면도
도 4는 케이블 일단만을 당겼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롤형 기기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5의 Ⅰ-Ⅰ선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각 롤이 양면 PC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롤형 기기 11 : 제1 몸체
12, 19 : 결합돌기 13 : 롤
13a : 관통홀 13b, 111 : 제1 케이블 삽입홈
13c : 스프링삽입홈 13d, 121 : 제2 케이블 삽입홈
13e : 케이블 고정돌기 14, 116 : 베어링이동홈
15 : 스프링 16 : 제2 몸체
17 : 롤 결합부 17a : 절개부
18 : 결합홀 20 : 케이블
30 : 스피커 40 : 연결잭
110 : 제1 롤 112 : 제1 단자
114, 124, 134 : 제1,2,3 관통홀 120 : 제2 롤
122 : 제2 단자 130 : 양면 PCB
132 : 상면 금속배선 136 : 하면 금속배선
140, 150 : 제1,2 케이블

Claims (3)

  1. 제1 몸체와;
    상기 제1 몸체와 결합하여, 상기 제1 몸체와의 사이에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는 제2 몸체와;
    상기 제1 몸체 또는 상기 제2 몸체로부터 상기 공간으로 돌출되는 기둥형상의 롤 결합부와;
    원통형상으로서 내부에 스프링이 결합되고 중심부에 상기 롤 결합부가 끼워지는 제1 관통홀을 가지며, 하면에는 제1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단자가 하부로 돌출되는 제1 롤(roll)과;
    원통형상으로서 내부에 스프링이 결합되고 중심부에 상기 롤 결합부가 끼워지는 제2 관통홀을 가지며, 상면에는 제2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단자가 상부로 돌출되는 제2 롤(roll)과;
    상기 제1 롤과 제2 롤의 사이에 위치하는 원판형의 절연체로서 가운데에 상기 롤 결합부가 끼워지는 제3 관통홀을 구비하며, 상면에는 상기 제1 단자와 접촉하는 원주방향의 제1 금속배선을 가지며, 하면에는 상기 제1 금속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한편 상기 제2 단자와 접촉하는 원주방향의 제2 금속배선을 가지는 양면PCB
    를 포함하는 롤형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와 제2 몸체에는 볼 베어링이 각각 결합되며, 상기 제1 롤의 상면과 상기 제2 롤의 하면에는 상기 각 볼 베어링이 이동하거나 정지하면서 선택적으로 각 롤의 회전을 정지시키거나 다시 회전시키는 기능을 하는 베어링 이동홈을 가지는 롤형 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금속배선은 케이블의 가닥수와 같은 개수의 동심원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2 단자도 각 금속배선에 대응하는 개수만큼 형성되는 롤형 기기
KR20-2004-0034524U 2004-12-06 2004-12-06 케이블을 자동으로 감거나 인출할 수 있는 롤형 기기 KR2003766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4524U KR200376631Y1 (ko) 2004-12-06 2004-12-06 케이블을 자동으로 감거나 인출할 수 있는 롤형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4524U KR200376631Y1 (ko) 2004-12-06 2004-12-06 케이블을 자동으로 감거나 인출할 수 있는 롤형 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6631Y1 true KR200376631Y1 (ko) 2005-03-11

Family

ID=43678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4524U KR200376631Y1 (ko) 2004-12-06 2004-12-06 케이블을 자동으로 감거나 인출할 수 있는 롤형 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663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6870B1 (ko) * 2016-04-01 2017-03-27 부전전자 주식회사 전자기기용 줄 자동 감김 장치
KR20190034459A (ko) 2017-09-23 2019-04-02 김남훈 롤타입 노트북 어댑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6870B1 (ko) * 2016-04-01 2017-03-27 부전전자 주식회사 전자기기용 줄 자동 감김 장치
KR20190034459A (ko) 2017-09-23 2019-04-02 김남훈 롤타입 노트북 어댑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19042B1 (en) Rewindable electrical cable extension device
KR101289244B1 (ko) 자동 감김 장치를 적용한 이어셋
US6942079B2 (en) Power cord winding and releasing device
KR101752771B1 (ko) 이어폰 줄 자동 감김 장치
US6439491B1 (en) Wire winding box
KR200346207Y1 (ko) 동축 와이어 권취용 휠장치
US9060225B2 (en) Wireless earphone
JP2000502981A (ja) 改良コードリールアセンブリ
KR200461079Y1 (ko) 휴대폰 케이스
KR101716870B1 (ko) 전자기기용 줄 자동 감김 장치
KR200376631Y1 (ko) 케이블을 자동으로 감거나 인출할 수 있는 롤형 기기
KR100842667B1 (ko) 휴대용 전선 테이핑장치
KR200381677Y1 (ko) 기어를 이용하여 케이블을 자동으로 감거나 인출할 수있는 롤형 기기
KR200385089Y1 (ko) 이어폰 줄 수납장치
KR200185631Y1 (ko) 이어폰선 꼬임방지 장치
JP2003112857A (ja) ケーブル巻取り装置
KR200303295Y1 (ko) 양립 릴이 구비된 케이블
KR102128775B1 (ko) 자동 줄 감김 장치
KR200321973Y1 (ko) 이어폰 줄 및 전선의 수납이 가능한 휴대용 음향장치컨트롤러
KR200164183Y1 (ko) 코드감이가부착된이어폰장치
KR200221512Y1 (ko) 자동형 이어폰 케이스
JP2002101484A (ja) イヤホンコードの巻き取り装置
KR200321350Y1 (ko) 이어폰 및 플러그에 적용되는 와이어 권취구조
JPH06269073A (ja) イヤホンおよびイヤホンコードの巻取り装置
KR20030056058A (ko) 이어마이크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