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1512Y1 - 자동형 이어폰 케이스 - Google Patents

자동형 이어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1512Y1
KR200221512Y1 KR2020000032826U KR20000032826U KR200221512Y1 KR 200221512 Y1 KR200221512 Y1 KR 200221512Y1 KR 2020000032826 U KR2020000032826 U KR 2020000032826U KR 20000032826 U KR20000032826 U KR 20000032826U KR 200221512 Y1 KR200221512 Y1 KR 2002215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phone
case
rotating shaft
string
receiv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28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천일
Original Assignee
박천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천일 filed Critical 박천일
Priority to KR20200000328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15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15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1512Y1/ko

Links

Landscapes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용 카세트레코더나 엠피3(MP3) 및 핸드폰(휴대용 전화기)등에 꽂아서 소리를 듣는데 사용하는 이어폰을 수납하기 위한 이어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며, 특히 이어폰줄이 자동으로 감기도록 할 수 있는 자동형 이어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잭 인출구와 마이크가 형성된 상부 케이스와 이어폰 인출구가 형성된 하부케이스가 결합되어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한 케이스 본체와, 상기 케이스 본체의 중앙에 수직으로 장착되는 회전축과, 상기 케이스 본체의 내부공간을 스파이어럴 스프링 수납층과 이어폰줄 수납층으로 분리하는 분리판과, 상기 스파이어럴 스프링 수납층에는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감기거나 풀리도록 일단은 회전축에 고정되고 타단은 케이스 본체의 내벽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스파이어럴 스프링과, 상기 이어폰줄 수납층에 수납되는 이어폰줄로 구성된다.
상기 이어폰줄 수납층은 상부와 하부의 두개로 구성되되 상부 이어폰줄 수납층에는 잭이 연결된 쪽의 이어폰줄이 감설되고 하부 이어폰줄 수납층에는 이어폰이 연결된 쪽의 이어폰줄이 감설되어 회전축 내부를 통하여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자동형 이어폰 케이스{An automatic earphone case}
본 고안은 휴대용 카세트레코더나 엠피3(MP3) 및 핸드폰(휴대용 전화기)등에 꽂아서 소리를 듣는데 사용하는 이어폰을 수납하기 위한 이어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며, 특히 이어폰줄이 자동으로 감기도록 할 수 있는 자동형 이어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음악이나 어학공부를 할때 주위사람들에게 피해를 주지 않기 위해서는 이어폰이나 해드폰을 사용하여야 한다. 이어폰의 경우는 휴대용 카세트레코더 및 엠피3나 휴대폰 등을 가지고 다닐 때 같이 가지고 다니며, 언제나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사용되는 이어폰은 귀에 꽂는 이어폰과 카세트와 같은 기계에 꽂는 잭을 줄로 연결하여 사용하며, 헨드폰에 사용되는 이어폰은 이어폰과 잭 사이에 마이크를 형성하여 사용한다.
그러나 종래의 이어폰의 경우는 이어폰과 잭을 연결하는 줄이 길어 휴대가 용이하지 못하기 때문에 가방이나 주머니에 넣어 휴대하고 다니다가, 사용하기 위해서 이어폰을 꺼내면 이어폰 줄이 서로 엉키는 일이 많았으며, 엉켜진 줄은 풀기가 쉽지 않고 줄을 풀때 스트레스를 많이 받게된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서 이어폰 케이스를 사용하게 되는데, 종래의 이어폰 케이스는 손으로 돌려서 권취시켜야 하거나, 스프링 등을 이용하여 케이스의 내부 수납실 자체를 회전시키는 방식을 취하고 있으므로 스프링에 걸리는 부하가 대단히 커서 그에 대항할 수 있게하기 위해서는 스프링의 탄성을 매우 강하게 하여야 하므로 제작이 곤란하며, 이렇게 강한 탄성복원력으로 인하여 이어폰 줄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어폰 줄이 잭에 연결된 쪽과 이어폰에 연결된 쪽이 동일한 길이로 함께 입출되게 되므로 잭쪽의 줄의 길이와 이어폰쪽의 줄의 길이의 비를 임의로 조절할 수가 없으므로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점을 갖고있다.
또한 내부 수납실 자체를 회전시킴에 따라 강한 부하를 받게되며 스프링은 피로한도 이상의 응력을 받게되어 쉽게 탄성력을 잃고 소성변형되며, 따라서 고장이 잦다는 문제점을 갖고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이어폰 케이스가 갖고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이어폰줄의 수납이 용이하며, 이어폰줄의 인출길이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으며, 잭쪽의 이어폰줄과 이어폰쪽의 이어폰줄을 각각 독립적으로 인출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이 더욱 편리한 자동형 이어폰 케이스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스프링이 중앙의 회전축을 회전시키도록 하여 회전이 용이함과 동시에 내구성을 더욱 높일 수 있는 자동형 이어폰 케이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은 스파이어럴 스프링을 회전축의 회전과 함께 감기거나 풀리도록 구성하며, 이어폰줄은 잭쪽의 이어폰줄과 이어폰쪽의 이어폰줄이 각각 별개로 인출되도록 구성하며, 이어폰줄이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감기도록 구성한 본 고안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이하에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종단면도.
도3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의 종단면도.
도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회전축 부근의 종단면도.
도5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줄의 종단면도.
도6은 본 고안의 고정구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상부 케이스 2: 하부 케이스
3: 이어폰 4: 잭
5: 스파이어럴 스프링 8: 중앙분리판
9: 상부분리판 10: 하부분리판
11: 상부 회전축 12: 하부 회전축
13: 지지돌기 14: 스프링
15: 고정구
도1은 본 고안의 전체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부에 마이크(90)가 형성되며 일측면에 잭 인출구(18)가 형성된 상부 케이스(1)와, 이어폰 인출구가 형성된 하부케이스(2)가 결합되어 케이스 본체(40)을 형성한다.
상기 케이스 본체의 내부는 공간을 형성하여 수납공간으로 형성한다. 상기 잭 인출구로는 카세트 레코더등에 접속하기 위한 잭(4)이 인출되며, 이어폰 인출구(19)로는 이어폰이 인출된다(도2참조).
본 고안의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는 그 연결단부에 홈을 형성하여 결합하는 통상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볼트등의 체결수단을 사용할 수 도 있다.
도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종단면도를 나타낸다. 상기 도면에서와 같이 본 실시예는 잭 인출구(18)와 마이크(90)가 형성된 상부 케이스(1)와 이어폰 인출구(19)가 형성된 하부케이스(2)가 결합되어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한 케이스 본체(40)와, 상기 케이스 본체의 중앙에 수직으로 장착되는 회전축과, 상기 케이스 본체(40)의 내부공간을 스파이어럴 스프링 수납층과 이어폰줄 수납층으로 분리하는 분리판과, 상기 스파이어럴 스프링 수납층에 설치되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감기거나 풀리도록 일단은 회전축에 고정되고 타단은 케이스 본체(40)의 내벽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스파이어럴 스프링(5,5′)과, 상기 이어폰줄 수납층에 수납되는 이어폰줄로 구성된다.
상기 이어폰줄 수납층은 상부와 하부의 두개로 구성되되 상부 이어폰줄 수납층(70)에는 잭(4)이 연결된 쪽의 이어폰줄(30)이 감설되고 하부 이어폰줄 수납층(70′)에는 이어폰이 연결된 쪽의 이어폰줄(30 ′)이 감설되어 회전축 내부를 통하여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분리판을 중앙분리판(8)과 상부분리판(9)과 하부분리판(10)으로 형성하여 상기 분리판에 의해서 위에서 부터 상부 스파이어럴 스프링 수납층(60), 상부 이어폰줄 수납층(70), 하부 이어폰줄 수납층(70′), 및 하부 스파이어럴 스프링 수납층(60′)을 형성하였다(도2,도4참조).
상기 분리판(8,9,10)은 회전축과는 약간 이격되도록 하여 회전축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축은 도4에서와 같이 상부회전축(11)과 하부회전축(12)으로 구성되되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서로 슬라이딩 접촉하며, 상기 상부회전축(11)과 하부회전축(12)의 타단에는 지지홈(33)을 형성하여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의 내측에 형성된 지지돌기(13)에 상기 지지홈(33)이 끼워져 지지되며, 상기 지지돌기(13)와 지지홈(33) 사이에는 스프링(14)을 설치하며, 상부회전축(11)과 하부회전축(12)의 일단에는 내주통전단자(20)와 외주통전단자(21)가 동심원 상에 형성되어 있어서 상부회전축(11)의 내주통전단자(20) 및 외주통전단자(21)와 하부회전축(12)의 내주통전단자(20′) 및 외주통전단자(21′)가 서로 접접을 이루도록 마주하며, 상기 상부회전축의 내주통전단자 및 외주통전단자에는 잭(4)이 연결된 쪽의 이어폰줄(30)의 코어를 접속하고, 하부회전축의 내주통전단자 및 외주통전단자에는 이어폰(3)이 연결된 쪽의 이어폰줄(30′)의 코어를 접속시켰다.
상기의 스프링(14)은 상부회전축과 하부회전축을 중앙으로 밀어주어 내주통전단자간과 외주통전단자간의 접촉을 더욱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상부회전축과 하부회전축은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게되며, 이어폰줄은 상기 내주통전단자(20,20′)와 외주통전단자(21,21′)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각각의 회전축이 별개로 회전한다 하더라도 이어폰줄이 꼬이는 일이 없게된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잭에 연결된 이어폰줄(30)은 잭 인출구(18)를 통하여 상부 이어폰줄 수납층(70)으로 들어와 감기면서 상부회전축 내부로 유입되어 상부 회전축의 내주통전단자(20) 및 외주통전단자(21)와 고착 접속된다.
이어폰(3)에 연결된 이어폰줄(30′)은 이어폰 인출구(19)를 통하여 하부 이어폰줄 수납층(70′)으로 들어와 감기면서 하부회전축 내부로 유입되어 하부회전축의 내주통전단자(20′) 및 외주통전단자(21′)와 고착 접속한다.
상기 상부회전축의 내주통전단자 및 외주통전단자와 하부회전축의 내주통전단자 및 외주통전단자는 서로 전기적 통전상태를 항상 유지하므로 이어폰줄은 잭과 이어폰이 항상 통전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3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의 종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분리판을 2개만 형성하여, 스파이어럴 스프링 수납층은 중앙에 형성되고 그 상하에 이어폰줄 수납층이 형성되며, 상하의 이어폰줄 수납층의 이어폰줄은 회전축 내부를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은 하나의 단일 중공축으로 형성되어 그 내부로 이어폰줄이 연결되도록 구성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파이어럴 스프링 수납층은 중앙에만 하나 형성하였다. 따라서 스파이어럴 스프링(50)의 일단은 회전축에 고정되고 타단은 케이스 본체의 내벽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축이 단일의 하나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하나의 단일 회전축의 내부로 상부의 이어폰줄 수납층의 이어폰줄(30)과 하부의 이어폰줄 수납층의 이어폰줄(30′)이 들어가서 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부의 이어폰줄과 하부의 이어폰줄은 함께 풀리거나 감기게 된다.
본 고안의 잭 인출구(18)와 이어폰 인출구(19)에는 도6에서와 같은 이어폰줄을 인출 또는 권취된 상태로 고정하는 고정구(15)를 형성한다. 상기 고정구는 중앙에 이어폰줄이 통과하는 안내공(16)이 형성되며, 하단은 스프링(24)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프링이 안정적으로 거치되도록 잭 인출구와 이어폰 인출구의 하부와 고정구의 하단에는 스프링 지지용 홈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상기 고정구(15)는 스프링(24)에 의해서 상부로 올라가려고 하며, 이 상태에서 안내공(16)을 관통하는 이어폰줄(30,30′)이 잭 인출구(18) 또는 이어폰 인출구(19)의 상부를 막게되어 고정구가 더이상 상승하지 못하게 되어 이어폰줄은 고정구의 상방향의 압압력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며, 상기 고정구의 상부를 누르면 고정공이 하강하게 되어 고정공의 공간이 확보되어 이어폰줄은 자유로이 출입가능하게 된다.
도5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줄의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코어가 있는 통상적인 이어폰줄의 내부에 둥글게 감겨지는 탄성력 강한 금속재질의 긴 박편(80)을 첨가하였다. 상기 박편은 일방향으로 밴딩되는 탄성부재를 사용하여 외력을 가하지 않으면 감기도록 하는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박편에 의해서 이어폰줄은 자체적으로 감기는 힘을 받게 되므로 스스로 권취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1과 실시예2에서 상기 실시예3에 따른 이어폰줄을 사용하면 더 우수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조를 갖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실시예1은 이어폰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이어폰줄은 케이스본체에 권취되어 있으며, 이어폰을 사용할 때는 고정구(15)를 누르고 잭(4)과 이어폰(3)을 밖으로 당기면 케이스본체 내부의 이어폰줄 수납층에 권취수납되어 있던 이어폰줄이 풀리면서 잭인출구(18)와 이어폰 인출구(19)로 인출되어 나오게 된다.
사용에 적당한 길이 만큼 이어폰줄이 인출되어 나오면 누르고 있던 고정구를 놓아서 이어폰줄이 고정구에 의해 인출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한다.
이어폰줄이 인출되어 나오면서 회전축도 함께 회전하게 되며, 회전축이 회전함에 따라 회전축에 일단이 고정된 스파이어럴 스프링도 함께 회전하게 되어 스파이어럴 스프링은 감기게 된다. 또한 이어폰 줄이 고정구에 의해 인출된 상태로 고정되게 되면 스파이어럴 스프링 또한 감긴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어폰의 사용을 마치게 되면 잭인출구와 이어폰 인출구에 형성된 고정구(15)를 누르기만 하면 이어폰줄은 고정상태에서 해방되게 되며, 감겨있던 스파이어럴 스프링은 자체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풀리면서 회전축을 함께 회전시키며, 회전축이 회전됨에 따라 이어폰줄은 감기면서 이어폰줄 수납층에 다시 권취되게 된다.
특히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는 잭쪽의 이어폰줄의 인출과 이어폰쪽의 이어폰줄의 인출을 각각 별개로 돌립적으로 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이어폰의 권취와 인출이 매우 용이하며, 특히 잭과 이어폰의 인출길이를 각각 별도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태에 따라 적절하게 인출시킬 수 있어서 사용을 더욱 편리하게 한다.
또한 본 고안은 권취를 스파이어럴 스프링에 의한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서 자동으로 할 수 있으며,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서 이어폰줄과 스파이어럴 스프링이 함께 권취 또는 인출가능하게 되어 작동이 원할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이어폰줄의 중간이 내주 통전단자(20,20′)와 외주 통전단자(21,21′)에 의해서 안정적으로 통전된 상태를 상시 유지하게 되므로 안정적인 음질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스파이어럴 스프링은 회전축을 회전시키게 되므로 권취와 인출에 부하가 적게 걸리게 되며, 따라서 종래보다 내구성이 더욱 우수하게 된다.

Claims (8)

  1. 잭인출구(18)와 마이크(90)가 형성된 상부 케이스(1)와 이어폰 인출구(19)가 형성된 하부케이스(2)가 결합되어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한 케이스 본체(40)와, 상기 케이스 본체의 중앙에 수직으로 장착되는 회전축과, 상기 케이스 본체(40)의 내부공간을 스파이어럴 스프링 수납층과 상부와 하부의 이어폰줄 수납층(70,70′)으로 분리하는 분리판과, 상기 스파이어럴 스프링 수납층에 설치되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감기거나 풀리도록 일단은 회전축에 고정되고 타단은 케이스 본체(40)의 내벽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스파이어럴 스프링과, 상기 이어폰줄 수납층에 수납되는 이어폰줄(30,30′)로 구성되며, 상기 하나의 이어폰줄 수납층(70)에는 잭(4)이 연결된 쪽이 감설되고 다른 이어폰줄 수납층(70′)에는 이어폰이 연결된 쪽이 감설되어 회전축 내부를 통하여 연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형 이어폰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상부회전축(11)과 하부회전축(12)으로 구성되되 각각 별개로 회전가능하도록 서로 슬라이딩 접촉하며, 상기 상부회전축(11)과 하부회전축(12)의 타단에는 지지홈(33)을 형성하여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의 내측에 형성된 지지돌기(13)에 상기 지지홈(33)이 끼워져 지지되며, 상기 지지돌기(13)와 지지홈(33) 사이에는 스프링(14)을 설치하며, 상부회전축(11)과 하부회전축(12)의 일단에는 내주통전단자(20)와 외주통전단자(21)가 동심원 상에 형성되어 있어서 상부회전축(11)의 내주통전단자(20) 및 외주통전단자(21)와 하부회전축(12)의 내주통전단자(20′) 및 외주통전단자(21′)가 서로 접접을 이루도록 마주하며, 상기 상부회전축의 내주통전단자 및 외주통전단자에는 잭(4)이 연결된 쪽의 이어폰줄(30)이 접속되고 하부회전축의 내주통전단자 및 외주통전단자에는 이어폰(3)이 연결된 쪽의 이어폰줄(30′)이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형 이어폰 케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잭인출구(18)와 이어폰 인출구(19)에는 중앙에 이어폰줄이 통과하는 안내공(16)이 형성되며 하단은 스프링(14)에 의해 지지되는 고정구(15)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자동형 이어폰 케이스.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파이어럴 스프링 수납층은 상부 스파이어럴 스프링 수납층(60)과 하부 스파이어럴 스프링 수납층(60′)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형 이어폰 케이스.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파이어럴 스프링 수납층은 중앙에 형성되고 그 상하에 이어폰줄 수납층이 형성되며, 상하의 이어폰줄 수납층의 이어폰줄은 회전축 내부에서 직접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은 하나의 단일 중공축으로 형성되어 그 내부로 이어폰줄이 연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형 이어폰 케이스.
  6.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어폰줄의 내부에는 둥글게 감겨지는 탄성력 강한 금속재질의 긴 박편(8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형 이어폰 케이스.
  7. 제4항에 있어서;
    이어폰줄의 내부에는 둥글게 감겨지는 탄성력 강한 금속재질의 긴 박편(8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형 이어폰 케이스.
  8. 제5항에 있어서;
    이어폰줄의 내부에는 둥글게 감겨지는 탄성력 강한 금속재질의 긴 박편(8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형 이어폰 케이스.
KR2020000032826U 2000-11-23 2000-11-23 자동형 이어폰 케이스 KR2002215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2826U KR200221512Y1 (ko) 2000-11-23 2000-11-23 자동형 이어폰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2826U KR200221512Y1 (ko) 2000-11-23 2000-11-23 자동형 이어폰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1512Y1 true KR200221512Y1 (ko) 2001-04-16

Family

ID=73060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2826U KR200221512Y1 (ko) 2000-11-23 2000-11-23 자동형 이어폰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151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898U (ko) * 2016-02-05 2017-08-16 손상묵 이어폰 케이블 권취장치
CN108377438A (zh) * 2018-04-25 2018-08-07 周智坚 一种耳机的便捷收纳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898U (ko) * 2016-02-05 2017-08-16 손상묵 이어폰 케이블 권취장치
KR200485875Y1 (ko) * 2016-02-05 2018-03-07 손상묵 이어폰 케이블 권취장치
CN108377438A (zh) * 2018-04-25 2018-08-07 周智坚 一种耳机的便捷收纳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28868B2 (en) Wire-winding device for two kinds of cables
US6474585B2 (en) Wire winding box with increasing usable area
US20040129820A1 (en) Wire-winding box structure with increased use area
US20150129702A1 (en) Retractable ear bud case
US6371398B1 (en) Positioning device of a wire groove in a wire winding box
KR101187262B1 (ko) 핸드폰용 이어폰 권취장치
KR200221512Y1 (ko) 자동형 이어폰 케이스
KR200385089Y1 (ko) 이어폰 줄 수납장치
KR101147853B1 (ko) 코드 및 목걸이 줄 권취 장치
KR19980059970U (ko) 이어폰의 전선 권취장치
TW200526058A (en) Flat compact-type earphone line case, reel assembly thereof, and method for connecting earphone line to jack line
KR200181930Y1 (ko) 휴대폰용 권취릴형 핸드프리 이어폰
KR100377977B1 (ko) 다용도 이어폰 장치
KR200262893Y1 (ko) 이어폰 줄 및 플러그 단자 수납 케이스
KR200371355Y1 (ko) 줄 길이가 조절되는 이어폰
KR100556895B1 (ko) 이어폰 와이어 권회장치
CN2285039Y (zh) 可收纳免持听筒的耳机和麦克风线的装置
KR200321350Y1 (ko) 이어폰 및 플러그에 적용되는 와이어 권취구조
CN203691598U (zh) 一种收纳耳机线的卷线轮
CN211128129U (zh) 一种有线头戴耳机
CN212064269U (zh) 一种便携式音箱
CN206596184U (zh) 具有自动收线器的蓝牙耳机
KR200164126Y1 (ko) 이어폰 케이스
KR200200154Y1 (ko) 이어폰이 구비된 목걸이
JP5580161B2 (ja) 電線コード巻取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