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6895B1 - 이어폰 와이어 권회장치 - Google Patents

이어폰 와이어 권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6895B1
KR100556895B1 KR1020030067194A KR20030067194A KR100556895B1 KR 100556895 B1 KR100556895 B1 KR 100556895B1 KR 1020030067194 A KR1020030067194 A KR 1020030067194A KR 20030067194 A KR20030067194 A KR 20030067194A KR 100556895 B1 KR100556895 B1 KR 1005568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phone
rotating body
jack
wound
w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7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1031A (ko
Inventor
권성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67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6895B1/ko
Publication of KR20050031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10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6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68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어폰 와이어 권회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가 상하로 배치되어 하부 케이스의 중앙부에 형성된 축에 상부 케이스가 고정되고, 상,하부 케이스의 사이에는 상,하측 권회부를 구비한 회전체가 상기 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회전체의 하측 권회부에 구비된 수용부에는 상기 회전체를 복동시키기 위한 태엽이 설치되고, 이어폰이 일단부에 고정됨과 아울러 잭이 타단부에 고정된 이어폰 와이어가 상기 회전체의 중간부에 연결되며 이어폰측 인출부와 잭측 인출부가 상기 회전체의 상,하측 권회부에 권회되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이어폰측 인출부가 감기는 상측 권회부와 잭측 인출부가 감기는 하측 권회부는 원통 직경 D1, D2가 D1:D2 = 1 :2∼3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기존의 릴 타입 이어폰은 단지 양 쪽으로만 이어폰과 이어 잭을 인출하는 구조였으나, 본 발명은 이어폰과 이어 잭의 인출 길이 비율을 1:2∼3으로 할 수 있도록 구조를 만들고 이어폰 케이스에 마이크로폰을 설치하여 이어폰과 마이크로폰이 인체의 구조에 맞도록 구현함으로써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어폰과 이어 잭이 감기는 원통 구조 사이에 분리 벽이 형성되어 줄이 감길 때 서로 엉키지 않고 동작이 원활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이어폰 와이어 권회장치{APPARATUS WINDING EAR PHONE WIR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어폰 와이어 권회장치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이어폰 와이어 권회장치의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상부 케이스 20 : 하부 케이스
21 : 축 30 : 회전체
31 : 상측 권회부 32 : 하측 권회부
32a : 수용부 33 : 분리벽
40 : 태엽 50 : 이어폰 와이어
50a : 이어폰측 인출부 50b : 잭측 인출부
51 : 이어폰 52 : 잭
60 : 마이크로폰
본 발명은 이어폰 와이어 권회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용 단말기에서 통화 시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핸즈프리 이어폰의 구조를 개선한 것이 며, 기존의 줄로 되어 있는 이어폰(earphone)은 가지고 다니기에 불편하므로 자동으로 권회할 수 있는 구조를 구성하고, 이어폰과 잭 리드선이 1:2∼3로 인출되는 구조를 채택하여 휴대하면서 편리하게 사용하도록 하고, 신체 구조에 맞도록 한 이어폰 와이어 권회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리트랙터블 이어폰(retractable earphone)은 예를 들어 선행특허 출원번호 제2000-0045144호(명칭: 측면개방형 이어폰코드 양방향 권취장치)로 알려지고 있다. 이 양방향 권취장치는 권취케이스의 양측면을 개방되게 하고, 내측으로 그 중심부 사이에 권취롤을 축으로 하여금 회동토록 구성하여, 이어폰의 코드 중간지점에 삽설하는데, 이때, 이어폰측 코드와 플러그측 코드가 두줄로 나뉘어 감겨지도록 코드삽입공을 서로 엇갈린 편중심이 되게하면서, 이 각각의 코드삽입공과 직선으로 일치하도록 케이스에도 입출공을 형성하여, 이어폰측 코드와 플러그측 코드가 각각의 입출공으로 인입되도록 하면서, 인입되는 양방향의 코드는 권취롤에 두줄이 한쪽 방향으로 겹쳐져 감기도록 하는데, 이 권취롤의 양측에 일측에는 스프링을 장착하고, 다른 일측에는 잠금과 해제의 기능으로, 코드를 한번 당겼을때는 임의 길이만큼 인출하여 사용하고, 또 한번 당겼다 놓으면 코드가 인입되면서 권취롤에 정립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알려지고 있는 종래의 이어폰 와이어 권회장치는 이어폰 케이스에서 양 쪽으로 이어폰(earphone)과 이어 이어 잭(ear jack)을 동일한 길이로 인출하도록 되어 있고, 마이크로폰(microphone)의 위치가 적절치 못하여 사용 시 불편한 점이 있다. 또한 줄이 자동으로 감길 시 이어폰 줄과 이어 잭 줄이 서로 엉키는 불편함을 안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 및 결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특히 휴대용 단말기에서 통화 시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핸즈프리 이어폰의 구조를 개선한 것이며, 기존의 줄로 되어 있는 이어폰(earphone)은 가지고 다니기에 불편하므로 자동으로 권회할 수 있는(retractable) 구조를 구성하고, 이어폰과 잭 리드선이 1:2∼3로 인출되는 구조를 채택하여 휴대하면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고, 신체 구조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이어폰 와이어 권회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이어폰 와이어 권회장치는 3G 단말기를 포함한 각종 휴대용 단말기에서 화상 및/또는 음성 통화 시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핸즈프리 이어폰의 구조로 구성된다. 또, 기존의 줄로 되어 있는 이어폰은 가지고 다니기에 불편하므로 리트랙터블(retractable) 구조로 휴대하기 편리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잭 리드선이 이어폰 리드선에 비해 비례적으로 더 긴 길이(예를 들어 1:2∼3)으로 인출되는 구조를 채택하여 신체에 맞는 구조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이어폰 와이어 권회장치는 보다 구체적으로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가 상하로 배치되어 하부 케이스의 중앙부에 형성된 축에 상부 케이스가 고정되고, 상,하부 케이스의 사이에는 상,하측 권회부를 구비한 회전체가 상기 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회전체의 하측 권회부에 구비된 수용부에는 상기 회전체를 복동시키기 위한 태엽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어폰이 일단부에 고정되고 잭이 타단부에 고정된 이어폰 와이어가 상기 회전체의 중간부에 연결되어 이어폰측 인출부와 잭측 인출부가 상기 회전체의 상,하측 권회부에 권회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이어폰측 인출부가 감기는 상측 권회부와 잭측 인출부가 감기는 하측 권회부는 잭 리드선이 이어폰 리드선에 비해 비례적으로 더 긴 길이로 인출되도록 즉, 원통 직경 D1, D2가 D1〈 D2가 되는 인출 구조를 채택하여 신체에 맞는 구조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D1:D2 = 1 :2∼3이 되도록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이어폰 와이어 권회장치의 평면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이어폰 와이어 권회장치의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시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10)와 하부 케이스(20)가 상하로 배치되어 하부 케이스(20)의 중앙부에 형성된 축(21)에 상부 케이스(10)가 예를 들어 스크류(11)로 체결되어 고정되고, 상,하부 케이스(10),(20)의 사이에는 중간 분리벽(33)의 양측에 상,하측 권회부(31),(32)를 구비한 회전체(30)가 상기 축(2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회전체(30)의 하측 권회부(32)에 구비된 수용부(32a)에는 상기 회전체(30)를 복동시키기 위한 태엽(40)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어폰(51)이 일단부에 고정되고 이어 잭(52)이 타단부에 고정된 이어폰 와이어(50)가 상기 회전체(30)의 중간부에 연결되어 이어폰측 인출부(50a)와 잭측 인출부(50b)가 상기 회전체(30)의 상,하측 권회부(31),(32)에 권회된 구성으로 되 어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체(30)에는 마이크로폰(60)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이어폰 와이어 권회장치는 회전체(30)에 감긴 이어폰측 인출부(50a)와 잭측 인출부(50b)를 잡아 당기면 회전체(30)가 회전하여 줄이 풀어지고 이 때 회전체(30)의 수용부(32a)에 설치된 태엽(40)은 감겨져 회전체(30)의 복원력이 축적되며, 줄이 완전히 풀어지고 나면 회전체(30)가 로킹된다.
그리고 사용후 로킹을 해제하면 상기 태엽(40)의 복원력에 의해 회전체(30)가 회전하면서 이어폰측 인출부(50a)와 잭측 인출부(50b)의 줄이 회전체(30)의 상,하측 권회부(31),(32)에 다시 감기게 된다.
여기서, 상기 이어폰측 인출부(50a)이 감기는 상측 권회부(31)와 잭측 인출부(50b)가 감기는 하측 권회부(32)는 원통 직경 D1, D2가 D1:D2 = 1 :2∼3이 되도록 만들어 줌으로써 회전체(30)가 한 번 회전할 때에 이어폰측 인출부(50a)와 잭측 인출부(50b)의 줄 길이가 1 :2∼3로 빠지게 한다.
그리고, 회전체(30)의 상측부에 마이크로폰(MIC; micophone)이 부착되어 있어 통화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어폰 와이어 권회장치는 리트랙터블 타입(retractable type)으로 이어폰 줄을 편리하게 인출하고 자동으로 감기도록 하는 구조는 기존 장치와 유사하나, 이어폰과 이어 잭선이 인출되는 인출되는 길이 비율을 다르게 할 수 있고 이어폰 케이스(earphone case)에 마이크를 설치하여 화상 통화 시 가능한 마이크를 입에 가까이 가져갈 수 있도록하는 특징이 다르다.
기존의 릴 타입 이어폰은 단지 양 쪽으로만 이어폰과 이어 잭을 인출하는 구조였으나, 본 발명은 이어폰측 인출부가 감기는 상측 권회부와 잭측 인출부가 감기는 하측 권회부를 잭 리드선이 이어폰 리드선에 비해 비례적으로 더 긴 길이로 인출되도록 즉, 원통 직경 D1, D2가 D1〈 D2(예를 들어 D1:D2 = 1 :2∼3)가 되는 인출 구조로 만들고 이어폰 케이스에 마이크로폰을 설치하여 이어폰과 마이크로폰이 인체의 구조에 맞도록 구현함으로써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어폰과 이어 잭이 감기는 원통 구조 사이에 분리 벽이 형성되어 줄이 감길 때 서로 엉키지 않고 동작이 원활한 이점이 있다.

Claims (4)

  1. 삭제
  2. 상,하부 케이스(10),(20)의 회전체(30)가 축(2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회전체(30)의 하측 수용부(32a)에 복동용 태엽(40)이 설치되며, 상기 회전체(30)에 이어폰 와이어(50)가 연결되어 권회된 이어폰 와이어 권회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 와이어(50)의 이어폰측 인출부(50a)가 감기는 상기 회전체(30)의 상측 권회부(31)와, 상기 이어폰 와이어(50)의 잭측 인출부(50b)가 감기는 상기 회전체(30)의 하측 권회부(32)는 잭 리드선이 이어폰 리드선에 비해 비례적으로 더 긴 길이로 인출되도록 상,하측 권회부(31),(32)의 원통 직경 D1, D2가 D1〈 D2가 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와이어 권회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30)에는 마이크로폰(60)이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와이어 권회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 직경 D1:D2 = 1 :2∼3이 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와이어 권회장치.
KR1020030067194A 2003-09-27 2003-09-27 이어폰 와이어 권회장치 KR1005568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7194A KR100556895B1 (ko) 2003-09-27 2003-09-27 이어폰 와이어 권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7194A KR100556895B1 (ko) 2003-09-27 2003-09-27 이어폰 와이어 권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1031A KR20050031031A (ko) 2005-04-01
KR100556895B1 true KR100556895B1 (ko) 2006-03-10

Family

ID=37236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7194A KR100556895B1 (ko) 2003-09-27 2003-09-27 이어폰 와이어 권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68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01211A (zh) * 2020-07-01 2020-08-28 嘉兴麦远文化传媒有限公司 一种方便收取的耳机线收纳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03116A (zh) * 2017-02-08 2017-04-26 广东霍德韦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终端硬件特征采集设备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01211A (zh) * 2020-07-01 2020-08-28 嘉兴麦远文化传媒有限公司 一种方便收取的耳机线收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1031A (ko) 2005-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28868B2 (en) Wire-winding device for two kinds of cables
US20070108333A1 (en) Miniature cord reel
KR200461079Y1 (ko) 휴대폰 케이스
KR100556895B1 (ko) 이어폰 와이어 권회장치
US5655726A (en) Uni-directional cord take-up device
CN106790868A (zh) 一种方便收纳耳机的手机壳
CN204280901U (zh) 一种线缆及其端部器件的收纳装置
CN213028509U (zh) 一种可自动伸缩的耳机线
CN2377776Y (zh) 电话机线的双向卷收装置
KR200221512Y1 (ko) 자동형 이어폰 케이스
JP3124168U (ja) マイク付イヤホンコード巻取り装置
CN209233882U (zh) 一种多功能数字通信固定电话
CN202737291U (zh) 有线话机机线打拧解除器
CN201167407Y (zh) 耳机
KR100389694B1 (ko) 송.수화부 간격조절이 가능한 이어폰
KR200364568Y1 (ko) 코드선의 길이 조절이 용이한 이어폰
CN201222800Y (zh) 带卷线套的耳机
CN220232763U (zh) 一种高音质的无线耳机连接线
KR101118058B1 (ko) 휴대 단말기용 이어폰 인입 및 인출 장치
CN221058423U (zh) 一种蓝牙耳机
KR200175325Y1 (ko) 이어마이크폰의 자동되감기장치
KR200344728Y1 (ko) 코드 권취 장치
CN115134703B (zh) 脖戴式语音交互智能设备
KR200262893Y1 (ko) 이어폰 줄 및 플러그 단자 수납 케이스
KR200233029Y1 (ko) 핸즈프리용 송화기를 갖는 수화기의 권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