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4728Y1 - 코드 권취 장치 - Google Patents

코드 권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4728Y1
KR200344728Y1 KR20-2003-0040337U KR20030040337U KR200344728Y1 KR 200344728 Y1 KR200344728 Y1 KR 200344728Y1 KR 20030040337 U KR20030040337 U KR 20030040337U KR 200344728 Y1 KR200344728 Y1 KR 2003447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bobbin
cord
wound
sh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403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규
Original Assignee
명성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명성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명성통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403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472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47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472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33Cables or cables storage, e.g. cable re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oring, Repeated Paying-Out, And Re-Storing Of Elongated Articles (AREA)

Abstract

일방향 무접점 코드 권취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코드 권취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서로 다른 반경을 가지는 두 부분으로 나뉘는 보빈, 상기 보빈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나선형 스프링, 상기 보빈의 회전을 락킹하는 스토퍼 및 상기 보빈에 중간이 고정되고, 상기 중간으로부터 제1 종단까지의 제1부분은 상기 보빈의 반경이 큰 부분에 권취되며 종단이 상기 하우징 외부로 당기면 풀어져서 하우징 외부로 인출되며, 상기 중간으로부터 제2종단까지의 제2부분은 상기 보빈의 반경이 작은 부분에 감기고 상기 제1부분의 하우징 외부로 인출시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풀어지다가 상기 반경이 작은 부분에 역방향으로 감기는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 코드는 상기 제2 부분이 하우징 내부에서 풀어질 때 풀어진 부분이 서로 꼬여서 엉기는 것을 방지하고 내부의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절연심선을 각각 실드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각각 대응하는 절연심선에 감기는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실드선을 구비한다. 상기 코드는 상기 실드선의 토션 방향이 서로 달라 상기 코드에 작용되는 토션이 서로 상쇄되므로 상기 코드 권취 장치에서 감김과 풀림이 반복되더라도 꼬임이 방지된다.

Description

코드 권취 장치{Apparatus for winding a cord}
본 고안은 일방향 무접점 코드 권취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서 풀림과 감김이 반복되더라도 코드가 꼬여 엉키는 현상이 방지되는 일방향 무접점 코드 권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 MP3 플레이어, CD플레이어 등 휴대용 전자제품의 소형화와 사용자들의 급증과 연령의 다양성으로 여러 가지 형태의 제품이 판매 및 보급되어 사용을 하는데 이때 사용자는 외부에서 전달되는 소음을 차단하고 깨끗한 통화 및 음악을 청취할 수 있도록 코드의 일단에 연결된 플러그를 선택된 기기와 연결하고, 코드의 타단에 연결된 이어폰을 귀에 꽂아 사용한다.
그러나, 최근에는 이어폰을 사용하는 경우가 보편화되면서 이어폰이 연결된코드가 필요한 길이보다 더 많이 노출되고, 늘어진 코드는 하나의 간섭요인으로 전락되어 사람이 많이 붐비는 장소인 지하철, 버스 등 사람들의 신체접촉과 외부구조물 등에 걸리면서 이어폰과 플러그에 연결된 코드의 접촉불량이 발생하고 미사용 시에는 이어폰과 연결된 코드를 보관하기가 마땅하지가 않아 사용자의 주머니, 가방, 핸드백에 담고 다니다가 재사용 시에는 코드가 서로 엉켜서 풀어서 사용해야하는 사용상 번거로움을 내재하고있으며 보관 및 휴대 시에도 많은 불편을 가지고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런 불편을 없애기 위하여 이어폰에 연결된 코드를 소정의 길이만큼 하우징에서 인출 및 권취될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이 제기되었다. 통상적으로 코드를 나선형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보빈 또는 릴에 권취하고 사용시에는 코드를 잡아 당겨서 풀어 사용하는 코드 권취 장치들이 소개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코드 권취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코드 권취 장치는 하우징(60)의 내부에 회전축이 서로 다른 지름을 가지는 두 부분으로 나뉘는 보빈(70)이 구비되고, 나선 스프링(80)은 보빈(70)의 내측 홈에 수납되고, 복원력에 의해 코드(50)가 보빈(70)에 감기도록 회전력을 제공하며, 스토퍼(90)는 보빈(70)의 회전을 락킹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코드 권취 장치는 이어폰과 연결된 코드를 잡아 당겨 코드(50)를 인출하고, 나선 스프링(80)에 복원력에 의해 코드(50)는 보빈(70)에 감겨진다. 이때 플러그와 연결되는 코드(50)는 하우징(60) 내부에서 풀림과 감김이 반복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코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코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이어 마이크용 코드(50)는 이어폰용의 이어폰선(10a)과 접지선(10b)과, 마이크용의 마이크선(10c)과 접지선(10d)이 서로 분리되는 심선(10)이 사용된다. 본체에서는 이어폰으로 음성신호를 출력하고, 마이크를 통하여 음성신호를 입력하며, 상기 두 신호간에 간섭으로 인한 음질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각각의 심선(10)은 실드선(30)에 의해 실드되고, 실드선(30)도 서로 독립적으로 사용된다.
도 4 및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코드를 제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와 같은 코드(50)는 4심 절연코드로 각각 심선(10)은 각각 절연체(20)로 절연 피복되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연체(20) 상에 일측, 예컨대 우연(S연) 나선방향으로 다수의 실드선(30)을 감아서 내부 심선(10)을 실드시키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드된 4가닥의 실드선을 나란하게 인접 배치한 상태에서 연선기를 통하여 원형으로 외부를 절연 피복함으로써, 4가닥 심선구조의 4심 나선형 실드 절연코드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코드(50)는 각 실드선들(30)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두 시계방향 즉 우연(S연, 실선방향)으로 꼬아진 상태이므로, 이 꼬아진 상태가 풀리는 방향, 반시계방향(점선방향)으로 풀어지려는 힘을 받게 된다. 그러므로, 코드 권취 장치에서 사용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드(50)가 실드선(30)이 풀리는 방향으로 뒤틀리게 되므로 플러그와 연결된 코드(50)가 하우징(60) 내부에서 꼬여 상기 코드 권취 장치로부터 이어폰과 연결된 코드(50)가 매끄럽게 인출되지 않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코드(50)는 코드 권취 장치에서 사용하기에 부적합하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하우징 내부에서 보빈에 감김과 풀림이 반복되더라도 꼬임이 방지되는 코드를 구비한 코드 권취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코드 권취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코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코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코드를 제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코드 권취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코드 권취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후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코드 권취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6에 도시된 꼬임 방지용 코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꼬임 방지용 코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6에 도시된 다른 꼬임 방지용 코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꼬임 방지용 코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3 내지 도 15는 상기 실시예들에 따른 꼬임 방지용 코드를 제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제1 하우징 110 : 제1 반원판
155 : 스토퍼 160 : 스톱레버
170 : 코일 스프링 180 : 캠
200 : 제2 하우징 210 : 제2 반원판
240 : 수납케이스 300 : 보빈
330 : 제1 권취홈 340 : 제1 권취홈
400 : 중심축 500 : 고정핀
550 : 나선 스프링 600 : 하우징
640 : 이어폰 650 : 플러그
700, 800 : 코드 710, 810 : 심선
720, 820 : 내부 절연체 730, 830 : 실드선
740, 840 : 외부 절연체 750 : 우연 절연 심선
850 : 좌연 절연 심선 930, 932 : 실드기
950 : 연선기 730, 830 : 동선
760, 860 : 실드 절연 심선
910, 912, 920, 922, 940, 942, 960 : 보빈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서로 다른 반경을 가지는 두 부분으로 나뉘는 보빈과, 상기 보빈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나선형 스프링과, 상기 보빈의 회전을 락킹하는 스토퍼 및 상기 보빈에 중간이 고정되고, 상기 중간으로부터 제1 종단까지의 제1부분은 상기 보빈의 반경이 큰 부분에 권취되며 종단이 상기 하우징 외부로 당기면 풀어져서 하우징 외부로 인출되며, 상기 중간으로부터 제2종단까지의 제2부분은 상기 보빈의 반경이 작은 부분에 감기고 상기 제1부분이 하우징 외부로 인출시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풀어지다가 상기 반경이 작은 부분에 역방향으로 감기는 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코드는 상기 제2 부분이 하우징 내부에서 풀어질 때 풀어진 부분이 서로 꼬여서 엉기는 것을 방지하고 내부의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절연심선을 각각 실드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각각 대응하는 절연심선에 감기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실드선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 무접점 코드권취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코드의 절연심선을 구성하는 심선은 여러 가닥의 동선들이 나선 방향으로 감겨져 형성된다. 상기 각각의 심선의 나선 방향과 각각의 상기 심선을 실드하기 위한 실드선의 나선 방향은 서로 반대 방향이 되도록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일방향 무접점 코드 권취 장치는 상기 코드의 실드선의 토션 방향이 서로 달라 상기 코드에 작용되는 토션이 서로 상쇄되므로,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코드가 반경이 작은 부분의 보빈을 따라 풀림과 감김을 반복하더라도 꼬임이 방지된다. 따라서 상기 코드가 사용되는 상기 코드 권취 장치에서의 권취 동작이 부드럽게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일방향 무접점 코드 권취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코드 권취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코드 권취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후면 분해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코드 권취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코드 권취 장치는 크게 하우징(600), 보빈(300), 나선 스프링(550), 스토퍼(155) 및 코드(700, 800)로 구성된다.
하우징(600)은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200)으로 구성된다. 제1 하우징(100) 및 제2 하우징(200)은 각각 제1 반원판(110) 및 제2 반원판(210)으로 구성된다. 제1 반원판(110) 및 제2 반원판(210)은 각각 내측면과 외측면을 가지며, 중앙에는 상기 내측면과 외측면을 관통하는 제1 중심축 삽입공(112) 및 제2 중심축 삽입공(212)이 각각 형성된다. 제1 반원판(110) 및 제2 반원판(210)의 가장자리 부위에는 각각의 내측면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측벽(120) 및 제2 측벽(220)이 각각 형성된다.
제1 반원판(110)의 직선 부위에 위치한 제1 측벽(120)에는 제1 홈(122) 및 제2 홈(124)이 형성된다. 제2 반원판(210)의 직선 부위에 위치한 제2 측벽(220)에도 제3 홈(222) 및 제4 홈(224)이 형성된다. 제2 반원판(210)의 곡선 부위에 위치한 제2 측벽(220)에는 제5 홈(226)이 형성된다.
상기에서 제1 홈(122)과 제3 홈(222) 및 제2 홈(124)과 제4 홈(224)은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제1 반원판(110)의 내측면 가장자리 부위에는 제1 반원판(110)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결합핀(116)이 형성되어 있다. 제2 반원판(210)의 내측면 가장자리 부위에는 제2 반원판(210)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결합홈(214)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핀(116)과 결합홈(214)은 결합을 위해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적어도 3개 정도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반원판(110)에는 제1 중심축 삽입공(112)을 중심으로 그 둘레를 따라 제1 캡(130)을 연결하기 위한 제1 고정홈(118)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반원판(110)의 모서리에는 제3 캡(140)을 연결하기 위한 제3 고정홈(119)이 형성되어 있다.
제2 반원판(210)에는 제2 중심축 삽입공(212)을 중심으로 그 둘레를 따라 제2 캡(230)을 연결하기 위한 제2 고정홈(219)이 형성되어 있다. 제1 고정홈(118) 및 제2 고정홈(219)은 제1 캡(130) 및 제2 캡(230)을 각각 안정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적어도 2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반원판(110)에는 제1 중심축 삽입공(112)과 각각 연결되며 서로 평행한 두 개의 관통홈이 형성된다. 상기 두 개의 관통홈에 의해 제1 중심축 삽입공(112)의 일측까지 연장되는 핀 클러치(114)가 형성된다.
제1 하우징(100)의 제1 측벽(120)과 제2 하우징(200)의 제2 측벽(220)의 종단면이 서로 면접하고, 결합핀(116)과 결합홈(214)이 결합된다. 이로써 측벽(120, 220)과 반원판(110, 210)들에 의해 하우징(600)의 내부 공간이 형성된다.
제1 홈(122)과 제3 홈(222) 및 제2 홈(124)과 제4 홈(224)이 각각 서로 맞물리도록 결합되어 제1 개구부(610) 및 제2 개구부(620)를 형성한다. 제5 홈(226)은 제1 하우징(100)과 제2 하우징(200)의 결합에 의해 제3 개구부(830)를 형성한다. 따라서 제1 개구부(610)를 통하여 이어폰(640)과 연결되는 코드(700, 800)가 출입되고, 제3 개구부(830)를 통하여 플러그(650)과 연결되는 코드(700, 800)가 출입된다. 제2 개구부(620)에는 수납케이스(240)가 고정된다.
도 8을 참조하면, 보빈(300)은 제1 하우징(100)의 내측면과 마주하는 제1 면(310)과 제2 하우징(200)의 내측면과 마주하는 제2 면(320)을 갖는다. 보빈(300)의 중앙 부위에는 상기 제1 면(310)과 제2 면(320)을 관통하여 제3 중심축 삽입공(302)이 형성되어 있다. 보빈(300)은 상기 제1 면(310)과 제2 면(320) 사이의 외주면을 따라 제1 권취홈(33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면(310)에는 제3 중심축 삽입공(302)과 동일한 중심을 가지며 소정의 깊이를 가지는 원형의 삽입홈(314)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면(310)에는 제3 중심축 삽입공(302)과 동일한 중심을 가지며 상기 제1 면(310)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링(ring) 모양의 돌출부(316)가 형성된다. 돌출부(316)에는 돌출부(316)의 반지름 방향으로 즉, 상기 제1 면(310)과 평행한 방향으로 다수개의 걸림턱(318)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면(310)과 삽입홈(314)의 측벽에 걸쳐 제1 슬릿(312)이 형성된다.
돌출부(316)는 후술하는 스토퍼(155)의 스톱레버(160)와 맞물리도록 형성되어, 보빈(300)이 제1 하우징(100)의 내측면에 대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회전이 가능하지만 보빈(300)이 제1 하우징(100)의 내측면에 대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돌출부(316)가 스톱레버(160)에 걸려 회전이 정지된다.
상기 제2 면(320)에는 보빈(300)의 회전축의 둘레를 따라 제2 권취홈(340)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축은 상기 제2 면(320)보다 소정 길이만큼 더 돌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 면(320)에는 상기 제2 면(320)의 가장자리로부터 'L'자형태의 제2 슬릿(3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에서 제1 권취홈(330)이 형성된 부위의 회전축 지름은 제2 권취홈(340)이 형성된 부위의 회전축 지름보다 크다.
중심축(400)은 일단부(410) 및 타단부(420)에 제1 및 제2 하우징(100, 200)과의 연결을 위해 각각 제1 축홈(412) 및 제2 축홈(422)이 형성된다. 중심축(400)은 일단부(410)가 제1 하우징(100)의 제1 중심축 삽입공(112)에 끼워진다. 중심축(400)은 일단부(410)의 구조에 의해 제1 하우징(100)의 내측면을 기준으로 중심축(400)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에는 핀 클러치(114)에 의해 고정되고,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에는 고정되지 않는다. 또한 중심축(400)의 일단부(410)에는 축방향을 따라 걸림홈(430)이 형성되어 있고, 걸림홈(430)에 나선 스프링(550)의 내측단(560)이 끼워진다. 중심축(400)은 보빈(300)의 제3 중심축 삽입공(302)을 관통하여 지난다. 중심축(400)의 타단부(420)는 제2 하우징(200)의 제2 중심축 삽입공(212)에 끼워진다. 따라서 보빈(300)은 하우징(600) 내부의 공간에서 중심축(400)을 기준으로 회전한다.
상기에서 중심축(400)의 양단부(410, 420)가 제1 하우징(100) 및 제2 하우징(200)에 각각 결합될 때 제1 하우징(100) 및 제2 하우징(200)의 외측면으로부터 소정 돌출된다.
제1 캡(130)은 제1 고정핀(132)이 제1 고정홈(118)에 삽입되어 제1 하우징(100)의 제1 반원판(110)의 외측면에 고정된다. 이때 제1 캡(130)의 내측면을 가로질러 형성된 제1 돌기(134)는 중심축(400)의 제1 축홈(412)에 끼워져 중심축(400)을 고정한다.
제2 캡(230)은 제2 고정핀(232)이 제2 고정홈(219)에 삽입되어 제2 하우징(200)의 제2 반원판(210)의 외측면에 고정된다. 마찬가지로 제2 캡(230)의 내측면을 가로질러 형성된 제2 돌기(234)는 중심축(400)의 제2 축홈(4212)에 끼워져 중심축(400)을 고정한다. 제1 캡(130) 및 제2 캡(230)은 중심축(400)을 고정하고, 하우징(600)의 미관을 좋게 한다.
제3 캡(140)은 제3 고정홈(199)에 삽입되어 제1 하우징(100)의 제1 반원판(110)의 외측면에 고정된다. 제3 캡(140)은 제1 반원판(110)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어 미관을 더욱 유려하게 한다.
수납 케이스(240)는 이어폰(640)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몸체(242), 고정부(244) 및 지지부(246)로 구성된다.
몸체(242)는 이어폰(640)을 수납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와 일측면이 개방된 중공의 사각 상자 형태를 가진다. 몸체(242)의 저면은 이어폰(640)의 외측면과 밀착되도록 라운딩된 형상을 갖는다. 몸체(242)의 내부 형상은 이어폰(640)의 외부 형상과 유사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부(246)는 몸체(242)의 양측에서 각각 돌출되어 몸체(242)에 수납되는 이어폰(640)의 양 측면을 지지하여 고정한다. 고정부(244)는 몸체(242)의 하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제2 개구부(620)에 제1 하우징(100)과 제2 하우징(200)의 결합에 의해 고정된다.
수납 케이스(240)에 이어폰(640)이 고정되므로, 하우징(600)의 외부에 위치한 이어폰(640)이 흔들려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고정핀(500)은 제2 하우징(200)의 제2 반원판(210)의 외측면에 부착되어 하우징(600)을 허리 벨트나 상의의 호주머니에 부착한다. 고정핀(500)은 소정의 폭을 갖는 갈고리 모양으로 고리 부위에 걸림홈(502)이 형성되어 있다. 제2 하우징(200)의 제2 반원판(210)의 외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제1 고정핀 고정부(216)에 고정핀(500)의 고리 부위가 삽입된다. 고정핀(500)의 걸림홈(502)에 제2 하우징(200)의 제2 반원판(210)의 외측면에 돌출된 제2 고정핀 고정부(217)가 끼워져 고정핀(500)이 제2 하우징(200)의 제2 반원판(210)의 외측면에 고정된다. 제2 하우징(200)의 제2 반원판(210)의 외측면의 하부에는 돌출부(218)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218)는 고정핀(218)과 접하면서 고정핀(500)의 고정력을 강화한다.
나선 스프링(550)은 상기 제1 면(310)의 삽입홈(314)에 삽입되어 구비된다. 나선 스프링(550)의 내측단(560)은 중심축(400)의 걸림홈(430)에 끼워져 고정되고, 외측단(570)은 제1 슬릿(312)에 고정된다. 따라서, 나선 스프링(550)은 보빈(300)이 제1 하우징(100)의 내측면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중심축(400)에 감기고, 반시계 방향으로 풀어지려는 복원력을 가지게 된다.
스토퍼(155)는 스톱레버(160), 코일 스프링(170) 및 캠(180)으로 구성되며, 보빈(300)을 고정하거나 또는 고정을 해제하여 보빈(300)의 회전을 제어한다.
스톱레버(160)는 제1 슬라이드부(161), 레버(162), 돌출부(163), 제2 슬라이드부(164) 및 롤러(165)로 구성된다.
제1 슬라이드부(161)는 제1 홈(122)과 인접한 위치에서 제1 하우징(100)의 내측면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제1 가이드홈(117) 및 상기 제1 가이드홈(117)에 결합되는 가이드(150)에 삽입되어 가이드(150)를 따라 수평 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한다.
레버(162)는 제1 하우징(100)의 내측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제1 슬라이드부(161)와 수직하도록 제1 슬라이드부(161)의 일측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보빈(300)의 제1 면(310)에 형성된 걸림턱(318)과 맞물린다. 레버(162)의 일측 단부는 걸림턱(318)과 보다 정확하게 맞물리기 위해 일정 각도 구부러져 형성된다. 레버(162)는 걸림턱(318)과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보빈(300)이 제1 하우징(100)에 대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회전이 가능하지만, 보빈(300)이 제1 하우징(100)에 대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걸림턱(318)이 레버(162)에 걸려 회전이 정지된다.
돌출부(163)는 레버(162)를 기준으로 제1 슬라이드부(161)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레버(162)로부터 제1 하우징(100)의 내측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 슬라이드부(164)는 제1 하우징(100)의 내측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레버(162)로부터 연장되어 단부가 제2 하우징(200)의 내측면에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제2 가이드홈(215) 삽입된다. 제2 슬라이드부(164)도 제2 가이드홈(215)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한다.
롤러(165)는 관 형태로 제2 슬라이드부(164)에 회전가능하도록 삽입된다. 롤러(165)는 제2 슬라이드부(164)를 축으로 회전하므로 코드(700, 800)의 인출과 권취를 부드럽게 한다.
코일 스프링(170)은 일측 단부가 돌출부(183)에 삽입 고정되고, 타측 단부가 제1 측벽(120)에 고정되어 구비된다. 따라서, 스톱레버(160)는 코일 스프링(170)에 의해 항상 우측 방향으로 탄성력을 받게 되어 레버(162)가 걸림턱(318)에 맞물리는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된다. 코드(700, 800)를 잡아당기게 되면, 제2 슬라이드부(164)에 코드(700, 800) 장력이 인가되어 스톱레버(160)가 좌측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여 레버(162)와 걸림턱(318)과의 맞물림이 해제된다. 코드(700, 800) 장력이 해소되면 코일 스프링(170)에 의해 스톱레버(160)는 우측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여 복원되게 된다.
캠(180)은 제1 하우징(100)의 내측면에 형성된 캠홈(182) 및 제1가이드홈(117)의 타측 단부에 연결되어 캠홈(182) 내에서 회전 운동하는 핀(184)을 포함한다. 캠홈(182)은 오목 위치와 볼록 위치를 갖는 하트 모양으로 형성된다.
코드(700, 800)는 일부분이 제1 권취홈(330)에 묶인 상태로 고정된다. 코드(700, 800)로부터 연장되는 일단부는 제1 권취홈(330)에 권취되고 제1 개구부(610)를 지나 이어폰(640)과 연결된다. 코드(700, 800)로부터 연장되는 타단부는 제2 슬릿(322)을 통해 제2 권취홈(340)에 권취되고 제3 개구부(630)를 지나 플러그(650)과 연결된다. 연장된 코드(700, 800)의 양단부는 각각 서로 다른 지름을 가지는 회전축에 서로 다른 속도로 감긴다. 즉 이어폰(640)과 연결된 코드(700, 800)는 큰 회전축을 가지는 제1 권취홈(330)에 빠른 속도로 감기고, 플러그(650)와 연결된 코드(700, 800)는 작은 회전축을 가지는 제2 권취홈(340)에 느린 속도로 감긴다.
제1 권취홈(330)에 감겨진 코드(700, 800)는 이어폰(640)과 연결된 코드(700, 800)가 잡아당겨짐에 따라 하우징(600)이 외부로 인출되고, 나선 스프링(550)의 복원력에 의해 보빈(300)의 제1 권취홈(330)에 감겨진다. 제2 권취홈(340)에 감겨진 코드(700, 800)는 이어폰(640)과 연결된 코드(700, 800)가 잡아당겨짐에 따라 하우징(600)의 내부에서 제2 권취홈(340)으로부터 풀려지고, 나선 스프링(550)의 복원력에 의해 하우징 내부에서 제2 권취홈(340)에 감겨진다. 플러그(650)과 연결된 코드(700, 800)는 하우징(600) 내에서 풀림과 감김을 반복하므로 하우징(600) 외부로 노출된 플러그(650)의 길이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도 9는 도 6에 도시된 꼬임 방지용 코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꼬임 방지용 코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꼬임 방지용 4심 코드(700)는 네 개의 심선들(710)과, 네 개의 심선들(710)을 각각 피복하는 네 개의 내부 절연체들(720)과, 네 개의 내부 절연체들(720) 중 두 개의 절연체(720a, 720d) 상에 우연(S연) 나선방향으로 각각 감겨지고, 나머지 두 개 의 절연체(720b, 720c) 상에 좌연(Z연) 나선방향으로 감겨져 심선들(710)을 각각 실드시키기 위한 네 개의 실드선들(730) 및 같은 방향으로 실드된 심선들(710)이 서로 대각 방향에 위치하도록 배치하고, 실드선들(730)을 외부와 절연시키기 위하여 실드선들(730)을 피복하는 외부 절연체(740)를 구비한다.
심선들(710)은 코드(700)에 전류를 흐르도록 하기 위한 도체로, 제1 심선(710a), 제2 심선(710b), 제3 심선(710c) 및 제4 심선(710d)으로 구성된다. 심선들(710)의 재질은 일반적으로 전기 전도도가 높은 구리가 사용되며, 알루미늄이 사용될 수도 있다.
제1 심선(710a)과 제4 심선(710d)은 여러 가닥의 동선들이 좌연(Z연) 나선 방향으로 감겨진 것이고, 제2 심선(710b)과 제3 심선(710c)은 여러 가닥의 동선들이 우연(S연) 나선 방향으로 감겨진 것이다.
내부 절연체들(720)은 심선들(710)을 피복하여 사용 전압에 견디고 각각의 심선들(710)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제1 내부 절연체(720a)는 제1 심선(710a)을,제2 내부 절연체(720b)는 제2 심선(710b)을, 제3 내부 절연체(720c)는 제3 심선(710c)을, 제4 내부 절연체(720d)는 제4 심선(710d)을 각각 피복한다.
내부 절연체들(720)은 구분을 위해 일반적으로 각각 색깔을 가지는데, 그 색깔은 흑색, 백색, 적색, 녹색이다. 내부 절연체들(720)의 재질은 PVC와 같은 재질로 구성된다.
실드선들(730)은 절연심선들(710, 720)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실드선들(730)의 재질로는 구리가 주로 사용되며, PVC 주석쉴드선, 테플론 은도금 등이 사용된다.
제1 절연심선(710a, 720a)은 여러 가닥의 제1 실드선(730a)이 제1 내부 절연체(720a) 상에 우연(S연) 나선 방향으로 감겨져 실드된다. 제2 절연심선(710b, 720b)은 여러 가닥의 제2 실드선(730b)이 제2 내부 절연체(720b) 상에 좌연(Z연) 나선 방향으로 감겨져 실드된다. 제3 절연심선(710c, 720c)은 여러 가닥의 제3 실드선(730c)이 제3 내부 절연체(720c) 상에 좌연(Z연) 나선 방향으로 감겨져 실드된다. 제4 절연심선(710d, 720d)은 여러 가닥의 제4 실드선(730d)이 제4 내부 절연체(720d) 상에 우연(S연) 나선 방향으로 감겨져 실드된다.
실드 절연 심선들(710, 720, 73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사각형 형태를 이루도록 배치된다. 즉 서로 대각 위치에 배치되는 제1 실드 절연 심선(710a, 720a, 730a)과 제4 실드 절연 심선(710d, 720d, 730d), 제2 실드 절연 심선(710b, 720b, 730b)과 제3 실드 절연 심선(710c, 720c, 730c)은 각각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실드선들(730)이 실드된다.
외부 절연체(740)는 코드(700)의 외피, 즉 자켓으로, 실드 절연 심선(710, 720, 730)의 보호 피복을 말한다. 외부 절연체(740)의 재질로는 PVC 등의 플라스틱 류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은 도 6에 도시된 다른 꼬임 방지용 코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꼬임 방지용 코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꼬임 방지용 4심 코드(800)는 제1 실시예에 따른 꼬임 방지용 4심 코드(700)와 심선들(810) 및 실드선들(830)의 나선 방향을 제외하고는 구성이나 재질 등에서는 동일하다. 따라서 심선들(810) 및 실드선들(830)의 나선 방향을 제외한 설명은 생략한다.
꼬임 방지용 4심 코드(800)는 네 개의 심선들(810)과, 네 개의 심선들(810)을 각각 피복하는 네 개의 내부 절연체들(820)과, 네 개의 내부 절연체들(820) 중 두 개의 절연체(820a, 820d) 상에 우연(S연) 나선방향으로 각각 감겨지고, 나머지 두 개 의 절연체(820b, 820c) 상에 좌연(Z연) 나선방향으로 감겨져 심선들(810)을 각각 실드시키기 위한 네 개의 실드선들(830) 및 서로 다른 방향으로 실드된 심선들(810)이 서로 대각 방향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실드선들(830)을 외부와 절연시키기 위하여 실드선들(830)을 피복하는 외부 절연체(840)를 구비한다.
심선들(810)은 제1 심선(810a), 제2 심선(810b), 제3 심선(810c) 및 제4 심선(810d)으로 구성된다. 제1 심선(810a)과 제2 심선(710b)은 여러 가닥의 동선들이 좌연(Z연) 나선 방향으로 감겨진 것이고, 제3 심선(710c)과 제4 심선(710d)은 여러가닥의 동선들이 우연(S연) 나선 방향으로 감겨진 것이다.
실드선들(830)은 절연심선들(810, 820)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제1 절연심선(810a, 820a)은 여러 가닥의 제1 실드선(830a)이 제2 내부 절연체(720a) 상에 우연(S연) 나선 방향으로 감겨져 실드된다. 제2 절연심선(810b, 820b)은 여러 가닥의 제2 실드선(830b)이 제2 내부 절연체(820b) 상에 우연(S연) 나선 방향으로 감겨져 실드된다. 제3 절연심선(810c, 820c)은 여러 가닥의 제3 실드선(830c)이 제3 내부 절연체(820c) 상에 좌연(Z연) 나선 방향으로 감겨져 실드된다. 제4 절연심선(810d, 820d)은 여러 가닥의 제4 실드선(830d)이 제4 내부 절연체(820d) 상에 좌연(Z연) 나선 방향으로 감겨져 실드된다.
실드 절연 심선들(810, 820, 83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사각형 형태를 이루도록 배치된다. 즉 서로 대각 위치에 배치되는 제1 실드 절연 심선(810a, 820a, 830a)과 제4 실드 절연 심선(810d, 820d, 830d), 제2 실드 절연 심선(810b, 820b, 830b)과 제3 실드 절연 심선(810c, 820c, 830c)은 각각 서로 반대 방향으로 실드선들(830)이 실드된다.
도 13 내지 도 15는 상기 실시예들에 따른 꼬임 방지용 코드를 제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우연으로 감아진 절연 심선들(750)이 보빈(910)에 감겨진 상태에서 좌연 실드기(930)에 공급되고, 복수의 보빈들(920)에 각각 감겨진 동선(730, 실드선)들이 좌연 실드기(930)에 공급되어 절연심선들(750)의 절연체들(720, 820) 상에 동선(730)들이 좌연(Z연) 나선방향으로 감겨지게 된다.이와 같이 동선(730)들이 좌연(Z연)으로 감겨져 형성된 좌연 실드 절연심선(760)이 보빈(940)에 감겨진다.
한편, 도 14를 참조하면, 좌연으로 감아진 절연심선들(850)이 보빈(312)에 감겨진 상태에서 우연 실드기(932)에 공급되고, 복수의 보빈들(920)에 각각 감겨진 동선(830, 실드선)들이 우연 실드기(932)에 공급되어 절연심선들(850)의 절연체들(720, 820) 상에 동선(830)들이 우연 나선방향으로 감겨지게 된다. 이와 같이 동선(830)들이 우연으로 감겨져 형성된 우연 실드 절연심선들(860)이 보빈(942)에 감겨진다.
도 15를 참조하면, 보빈(940)들에 감겨진 좌연 실드 절연심선(760)들과 보빈(942)들에 감겨진 우연 실드 절연심선(860)들은 동시에 연선기(950)에 공급되어 외부 절연체(740, 840)가 원형을 이루도록 피복됨으로써 꼬임 방지 4심 코드(700, 800)가 형성되어 보빈(960)에 감기게 된다.
연선기(950)는 무독성 절연 컴파운드를 가압하여 금형을 통과하는 네 개의 절연 심선들(760, 860)에 공급함으로써 네 개의 절연 심선들(760, 860)이 외부 절연체(740, 840)로 피복되도록 한다.
상기에 설명된 바와 같이 제조된 꼬임 방지용 4심 코드(700, 800)는 보빈(300)에 일부분이 고정되고, 상기 고정된 일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양단부가 동일한 방향으로 각각 서로 다른 지름을 가지는 회전축에 서로 다른 속도로 감기게 된다. 꼬임 방지용 4심 코드(700, 800)는 꼬임이 방지되어 상기 보빈에서 부드럽게 풀림과 감김이 반복된다. 특히, 플러그와 연결되는 코드(700, 800)는 하우징(600)의 내부에서 풀림과 감김이 반복되더라도 코드(700, 800)의 토션이 서로 상쇄되므로 꼬임이 방지되어 풀림과 감김이 부드럽게 이루어진다.
다음에서 코드 권취 장치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이어폰(640)과 연결된 코드가 하우징(600)의 외부로 인출되어 사용 중인 정지상태에서 코드(700, 800)를 잡아당기면, 코드 장력에 의해 스톱레버(160)가 좌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핀(184)은 상부의 캠홈(182)을 따라 이동한다. 코드를 잡아당기는 것을 멈추면, 코드 장력이 제거되어 코일 스프링(170)의 복원력에 의해 스톱레버(160)가 우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핀(184)은 캠홈(182)에 걸려 고정된다. 스톱레버(160)의 레버(162)와 걸림턱(318)의 맞물림이 해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나선 스프링(550)의 복원력에 의해 보빈(30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코드(700, 800)는 제1 권취홈(330)과 제2 권취홈(340)에 각각 감겨진다.
코드(700, 800)가 보빈(300)에 감져진 해제 상태에서 이어폰(640)에 연결된 코드(700, 800)를 잡아당기면, 코드 장력에 의해 스톱레버(160)가 다시 좌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나선 스프링(550)은 중심축(400)에 감겨지고, 제2 권취홈(340)에 감겨있던 코드(700, 800)는 하우징(600)의 외부로 인출되지 않고 제2 하우징(200)의 내측면과 보빈(300)의 제2 면(320)이 형성하는 공간 내에 풀려진다(도 8 참조). 핀(184)은 이동하면서 캠홈(182)에 걸렸던 것이 해제된다. 코드(700, 800)를 잡아당기는 것을 멈추면, 코드 장력이 제거되어 코일 스프링(170)의 복원력에 의해 스톱레버(160)가 다시 우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핀(184)은 하부의 캠홈(182)을 따라 이동되어 고정된다. 스톱레버(160)의레버(162)와 걸림턱(318)의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일방향 무접점 코드 권취 장치는 꼬임 방지용 코드를 사용하여 서로 다른 반경을 가지는 두 부분으로 나뉘는 보빈에 권취된다. 상기 코드는 각각의 심선의 나선 방향과 상기 심선을 실드하기 위한 실드선의 나선 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을 가지도록 감겨지고, 상기 실드선 중 두 개의 실드선은 하나의 나선방향으로 각각 감겨지고, 나머지 두 개의 실드선은 상기 하나의 나선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감겨져 토션이 서로 상쇄되어 꼬임이 방지된다. 따라서 상기 코드는 하우징 내에서 작은 반경을 갖는 보빈을 따라 풀림과 감김이 반복되더라고 꼬여 엉키는 현상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권취 장치의 동작이 부드럽고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실용신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3)

  1.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서로 다른 반경을 가지는 두 부분으로 나뉘는 보빈;
    상기 보빈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나선형 스프링;
    상기 보빈의 회전을 락킹하는 스토퍼; 및
    상기 보빈에 중간이 고정되고, 상기 중간으로부터 제1 종단까지의 제1부분은 상기 보빈의 반경이 큰 부분에 권취되며 종단이 상기 하우징 외부로 당기면 풀어져서 하우징 외부로 인출되며, 상기 중간으로부터 제2종단까지의 제2부분은 상기 보빈의 반경이 작은 부분에 감기고 상기 제1부분이 하우징 외부로 인출시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풀어지다가 상기 반경이 작은 부분에 역방향으로 감기는 코드를 구비하고,
    상기 코드는 상기 제2 부분이 하우징 내부에서 풀어질 때 풀어진 부분이 서로 꼬여서 엉기는 것을 방지하고 내부의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절연심선을 각각 실드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각각 대응하는 절연심선에 감기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실드선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 무접점 코드권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심선의 심선은 여러 가닥의 동선들이 나선 방향으로 감겨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 무접점 코드권취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심선의 나선 방향과 각각의 상기 심선을 실드하기 위한 실드선의 나선 방향은 서로 반대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 무접점 코드권취장치.
KR20-2003-0040337U 2003-12-27 2003-12-27 코드 권취 장치 KR2003447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40337U KR200344728Y1 (ko) 2003-12-27 2003-12-27 코드 권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40337U KR200344728Y1 (ko) 2003-12-27 2003-12-27 코드 권취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4728Y1 true KR200344728Y1 (ko) 2004-03-18

Family

ID=49344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40337U KR200344728Y1 (ko) 2003-12-27 2003-12-27 코드 권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472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64109B2 (en) Cable reel
US5241593A (en) Telephone and telephone cord retraction device, and method of making
US4713497A (en) Self-storing cord and reel assemblies for shielded cables
US6702077B2 (en) Nested cables and reel assembly
US8720657B2 (en) Rewindable electrical cable extension device
US8657087B2 (en) Retractable cord reel
JP2002544093A (ja) 巻き取り式コード装置
US20020040945A1 (en) Retractable cable assembly
JP2000502981A (ja) 改良コードリールアセンブリ
KR200461079Y1 (ko) 휴대폰 케이스
US5655726A (en) Uni-directional cord take-up device
KR200344728Y1 (ko) 코드 권취 장치
KR200462044Y1 (ko) 이어폰 권취장치
KR200440626Y1 (ko) 전선 정리 장치
JP4771978B2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巻取器
US6059080A (en) Wire wheel with continuous electrical connection
KR101147853B1 (ko) 코드 및 목걸이 줄 권취 장치
CN204280901U (zh) 一种线缆及其端部器件的收纳装置
KR19980071968A (ko) 이어폰 코드 자동감김 장치가 구비된 핸드폰용 이어폰
KR20100033504A (ko) 케이블 정리기
KR200355142Y1 (ko) 스테레오 이어폰 수납 케이스
KR101477982B1 (ko) 전선의 정리가 가능한 전선 연장 장치
CN218334587U (zh) 卷线器
KR200327203Y1 (ko) 동축 상 복수개의 회전 릴을 구비한 집선 장치
KR200185631Y1 (ko) 이어폰선 꼬임방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