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8832Y1 - 케이스를 이용한 케이블 저장장치 - Google Patents

케이스를 이용한 케이블 저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8832Y1
KR200368832Y1 KR20-2004-0022959U KR20040022959U KR200368832Y1 KR 200368832 Y1 KR200368832 Y1 KR 200368832Y1 KR 20040022959 U KR20040022959 U KR 20040022959U KR 200368832 Y1 KR200368832 Y1 KR 2003688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cable storage
storage device
case
empty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29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세 웨이
Original Assignee
조세 웨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세 웨이 filed Critical 조세 웨이
Priority to KR20-2004-00229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88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88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883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0Means for supporting coupling part when not engag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2Means for accommodating flexible lead within the hol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33Cables or cables storage, e.g. cable r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케이스를 이용한 케이블 저장장치로 그 특징은 다음과 같다:케이블 저장장치는 크게 좌,우 부분, 회전체 및 축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탄성을 이용한 회전력을 가진 회전체는 축을 이용해 축 중심을 회전시킬 수 있으며 케이블 저장바퀴 A,B 두 개를 가지고 있다. 하나의 연속형 통신케이블은 회전체의 케이블 저장바퀴 A,B 위에 감긴다. 적당한 위치에 한 개의 고정부분 걸이를 이용하여 케이블 저장바퀴 A,B로 고정시키고 서로 반대 방향으로 케이블 저장바퀴 A,B 위에 케이블이 감기어 상,하 케이블을 형성한다. 케이스에 있는 하나의 빈공간에 통과구를 만들어 아래케이블이 나오게 하고 상,하 케이블이 케이블 저장바퀴 A, B에 감긴 후 케이블 저장장치가 빈공간으로 이동되어 정해진 위치에 보관된다. 「케이블 저장장치」는 케이블이 저장된(감긴) 상태에서 하나의 고정된 케이스 안에 보관 되므로 케이블 저장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외부 노출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으로 이어 마이크의 윗케이블을 출력할 때 케이블 저장장치 자체까지 당겨지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외부 힘에 의해 눌려 케이블 저장장치 본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케이스를 이용한 케이블 저장장치{CABLE STORAGE DEVICE USING CASE}
본 고안은 케이스를 이용한 케이블 저장장치로 하나의 빈공간을 가진 케이스를 가진 케이블 저장장치이다. 케이블 저장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정해진위치로 회수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부 힘에 의해 눌려 발생하는 케이블 저장장치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종래 통신용 케이블 저장장치와 관련된 대만 특허 공고 제539321호「엉킴 방지 이어폰 상자 구조 개량」은 하나의 통신케이블을 이용하여 상,하 케이블 방식으로 균등한 직경의 바퀴에 감아 이어폰 줄이 밖으로 출력될 때, 바퀴가 축을 이용해 축 중심을 일 회전할 때 이어폰 줄의 출력된 길이와 아래 잭 부분 줄의 출력한 길이가 같아서 이어폰 줄이 당겨져 출력될 때, 전체「케이블 저장장치본체」의 상,하 케이블은 서로 대등하게 이동한다. 하지만, 장기적으로 사용하였을 때 다음과 같은 결점을 가지고 있다. (1).사용자의 잦은 조작 부주의로 인해 케이블 저장장치 전체를 손으로 잡아 당기는 일이 발생하여 아래 케이블은 출력되고 윗케이블은 출력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한다(풀리지 않음). 그러나, 바퀴는 계속 회전하여 윗케이블이 불필요하게 비좁고 케이블 저장 공간의 정리가 필요하여 케이블이 걸리는 현상이 쉽게 발생한다. 특히 사용자가 상술한 상황을 고려하지 않은 경우, 아직 출력되지 않은 윗케이블을 잡아 당겨 매듭이 생기게 되고 만약 다시 힘껏 잡아 당기면 케이블이나 케이블 저장장치 구조가 쉽게 손상된다. (2).케이블 저장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 케이블 저장장치는 밖으로 노출 되어 쉽게 눌리거나 딱딱한 물질과 닿아 쉽게 손상되었다(예: 지갑 속에 보관). (3).케이블 저장장치가 전기장치(예: 컴퓨터 메인보드, 마우스, 충전기)와 전원 사이에서 사용될 때, 전기장치(예: 컴퓨터 메인보드)와 전기장치 사이의 연결용으로 사용될 때, 혹은 상,하 케이블을 가진 케이블 저장장치가 감긴 상태일 때(즉 사용하지 않을 때) 등 이 3가지 경우 모두결점을 가지고 있는데 케이블 저장장치 전체가 외부로 노출될 뿐 아니라 매우 먼지가 쌓이기 쉽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하나의 고정된 케이스 내에 "케이블 저장장치"를 보관할 수 있는 장치를 개발하는 것을 연구 과제로 한다.
본 고안의 목적은 한 개의 케이스를 가진 케이블 저장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케이블 저장장치를 케이스에 고정된 케이스의 빈공간에 보관하여, 사용자가 윗케이블을 잡아 당겼을 때, 케이블 저장장치 본체를 계속 잡아 당기는 현상을 방지하여 손으로 케이블 저장장치 본체를 잘못 조작하는 현상을 방지하여 케이블 저장장치가 외부의 누르는 힘을 받아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케이스를 이용한 케이블 저장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케이블 저장장치」가 케이블이 저장된(감긴) 상태에서 전체 케이블 저장장치가 케이스의 정해진 위치에 보관하여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외부 노출을 방지하고 먼지가 쌓이지 않게 한다.
도1은 본 고안이 핸드폰에 응용되어 케이블이 출력된 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이 핸드폰에 응용되어 케이블이 출력된 단면도이고,
도3은 도2의 부분확대도이고,
도4는 본 고안이 핸드폰에 응용되어 선이 감긴 단면도이고,
도5는 본 고안이 두 개의 전기장치 사이에서 응용되어 선이 감긴 단면도이고,
도6은 본 고안이 두 개의 전기장치 사이에서 응용되어 케이블이 출력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7은 본 고안과 하나의 목걸이용 끈이 연결된 사시도이고,
도8은 본 고안이 마우스에 응용되어 동작하는 단면도이고,
도9는 본 고안이 충전기에 응용되어 동작하는 단면도이다.
[도면부호의 설명]
10 ... 케이블 저장장치 12 ... 왼쪽부분
15 ... 축 16 ... 오른쪽부분
19 ... 목걸이용 끈 20 ... 회전체
21 ... 사이드 홈 22 .... 케이블 저장바퀴 A
23 ... 케이블 저장바퀴 B 30 ... 통신케이블
31 ... 고정부분 33 ... 윗케이블
36, 36′... 아래케이블 37 ... 끼우개
50 ... 케이스 52 ... 빈공간
54 ... 통과구 58 ... 집게걸이
60 ... 이어 마이크 62 ... 잭(플러그)
666 ... USB 접속 부분 70 ... 옷
75 ... 마우스 80 ... 태엽
85 ... 충전기 90 ... 핸드폰
92 ... 신호전송부분 95,96 ... 전기장치
361 ... 고정부분 335 ... 잭
362 ... 고정부분 951, 961 ... 포트
D, d ... 외경 L .. 간격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목적, 작용, 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그리고 작동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 장치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케이블 저장장치(10)은 크게 좌,우 부분(12, 16) 회전체(20) 및 축(15)로 구성되어 있다. 탄성을 이용한 회전력을 가진 회전체는 20은 축 15로 축 중심을 회전시키는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케이블 저장바퀴 A(22), B(23)을 가지고 있다.
하나의 연속형 통신케이블(30)을 적당한 위치에 한 개의 고정부분(3)의 걸이로 케이블 저장바퀴 A,B(22,23) 사이의 적당한 위치에 고정시키고 케이블 저장바퀴 A(22), B(23)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감기어 상,하 케이블(33, 36)을 형성한다.
케이스(50)의 한 개의 빈공간(52) 내부에 통과구를 만들어(54) 아래케이블(36)을 통과시키고, 상,하 케이블(33,36)은 케이블 저장바퀴 A(22), B(23)에 감긴 후, 케이블 저장장치(10)은 빈공간(52)로 이동하여 정해진 위치에 보관된다. 상술한 주요 특징에 근거하여, 케이블 저장바퀴 A(22)의 외경D는 케이블 저장바퀴 B(23)의 외경d 보다 크게 설계할 수 있다.
상술한 주요 특징에 근거하여, 케이블 저장바퀴 A(22)의 외경D는 케이블 저장바퀴 B(23)의 외경d과 같게 설계할 수 있다. 상술한 주요 특징에 근거하여, 케이블 저장바퀴 A(22)의 외경D는 케이블 저장바퀴 B(23)의 외경d보다 작게 설계할 수 있다.  상술한 주요 특징에 근거하여, 케이스(50)은 마우스(75)의 입구 부분에 직접 설치될 수 있고, 아래케이블36의 전기 연결 고정부분(362)은 마우스(75)의 내부구조에 직접 고정되고, 윗케이블(33)의 바깥 부분은 한 개의 잭(혹은 플러그)(335)과 연결되며 케이블 저장장치(10)는 빈공간(52)에 보관된다(도7 참고).
상술한 주요 특징에 근거하여, 케이스(50)을 충전기(85)의 내부(혹은 입구부분)에 직접 설치할 수 있고, 빈공간(52)의 공간은 충전기(85)의 끝에 위치하며, 아래케이블(36)의 전기 연결 고정부분(362)은 마우스(75)의 내부구조에 직접 고정된다. 윗 케이블(33)의 바깥 부분과 잭(혹은 플러그)(335)은 연결되며, 케이블 저장장치(10)을 빈공간(52)에 담아 보관하게 된다(도9 참고).
상술한 주요 특징에 근거하여, 아래케이블(36)의 적당한 위치에 한 개의 끼우개(37)을 통과구(54)에 끼워서 고정시켜 하나의 고정부분(361)을 형성한다(도2 참고). 상술한 주요 특징에 근거하여, 케이스(50)의 뒷면에 탄성을 가진 집게걸이(58)을 설정하여 옷(70) 위에 걸 수 한다(도2, 3 참고). 상술한 주요 특징에 근거하여, 윗케이블(33)의 바깥 부분을 이어 마이크(60, 또는 이어폰)에 연결될 수 있으며 아래케이블36의 바깥 부분과 한 개의 잭(플러그,62)가 연결된다(도1, 2 참고).
상술한 주요 특징에 근거하여, 윗케이블(33)와 아래케이블(36)의 바깥 부분은 각각 USB 접속 부분66과 연결된다(도5, 5 참고).  상술한 주요 특징에 근거하여, 회전체20의 내부의 사이드 홈21은 한 개의 태엽 80과 연결되고 그 내부는 축15에 연결 고정되어, 회전체20은 탄성을 가진 부품이 된다(도2 참고).
  상술한 주요 특징에 근거하여, 케이스50의 측면을 한 개의 목걸이용 끈19로 연결하여 목에 걸 수 있다(도7 참고).
- 고안의 적용 -
(1)도2는 케이블이 출력된 상태로, 회전체20에서 케이블 저장바퀴 A(22)의외경D는 케이블 저장바퀴 B(23)의 외경d 보다 크다.(즉 D>d) 집게걸이(58)을 이용하여 착용한 옷(70)에 걸 수 있다(예: 벨트), 잭(플러그)(62)을 핸드폰 (90)의 신호전송부분92에 꽂아 전화가 걸려오면 사용자는 손으로 이어 마이크(60,또는 이어폰)에서 윗케이블(33)을 출력시킨다. 회전체(20)이 축(15)로 축 중심을 회전시키면 태엽(80)은 팽팽하게 잡아 당긴 상태가 된다. 케이블 저장바퀴 A(22), B(23)은 같은 축으로 동시에 회전되므로 윗케이블(33)를 잡아 당겨서 출력된 길이는 아래케이블(36)의 출력된 길이보다 길다(즉 외경D>d). 반면에, 상,하 케이블(33,36)이 케이블을 출력할 때에는 좌,우 부분(12, 16)를 포함하는 케이블 저장장치(10) 전체는 빈공간(52) 밖(위)로 이동하여 이동한 간격L의 크기와 두 외경 D:d의 비의 크기는 정비례한다. 두 외경 D:d=1:1 일 때, 상,하 케이블 33, 36 출력한 길이가 같고, 간격L값은 가장 크다. 외경D가 다른 외경 보다 클 때(특히 회전체(20)이 같은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윗케이블(33)의 출력된 길이는 아래케이블(36)의 출력된 길이보다 길다(크다). 케이블 저장장치(10) 전체가 빈공간(52) 밖으로 이동한 간격L은 외경D:d=1:1일 때 간격은 작다. 따라서 케이블 저장장치(10)이 케이스의 빈공간에 위치할 때(도4, 4 참고), 손으로 잡아 당길 경우 케이블 저장장치(10) 잡아 당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손으로 이어 마이크(60)을 위로 잡아 당겨 윗케이블(33)이 출력되지 않는 경우를 방지하고 윗케이블(33)이 케이블 저장바퀴 A(22)에 묶여 꼬일 가능성을 줄인다. (2)도4, 4는 케이블이 감긴 상태로, 이어 마이크60를 당겨서 출력한 후, 태엽(80)의 탄성은 수축 회복되며 회전체(20)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윗케이블(33)과 아래케이블(36)은 각각 반대 방향으로 케이블 저장바퀴 A(22), B(23)에 감기게 된다. 케이블 감기가 끝나면 케이블 저장장치(10) 본체가 빈공간52에 완전히 들어오고, 케이블 저장장치(10)은 사용되지 않을 때, 케이스(50) 내부에 보관되어 케이블 저장장치(10)이 옷(70) 밖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특히 케이블 저장장치 전체가 케이스(50)으로 보호되어 외부 압력으로 인한 손상을 막을 수 있다. (3).도2, 3과 같이, 본 고안에서 또 다른 응용 사례로는 한 개의 끼우개(37)로 통과구(54)의 적당한 위치에 아래케이블(36)을 고정시킨다. 아래케이블(36)은 하나의 고정부분361이 있고 케이스(50) 밖으로 출력된 아래케이블(36′)길이는 항상 일정하다.
잭(플러그,62)은 핸드폰(90)의 신호전송부분(구멍,92)에 꽂아 핸드폰(90)의 신호를 전송한다. 또한 고정부분(31)의 용도는 하나의 통신케이블(30)를 상,하 케이블(33,36)로 나누는 것으로 고정부분(31)은 상,하 케이블(33,36)을 잡아 당겨 마지막 걸이의 고정점까지 잡아당기게 한다. (4).도7과 같이, 본 고안에서는 목걸이용 끈(19)를 이용하여 목에 걸면 케이스(50)가 가슴에 놓이게 되어 손으로 이어 마이크(60)를 쉽게 조작할 수 있다. 도8과 같이, 본 고안에서 케이스(50)을 마우스(75)의 입구 부분에 직접 설정할 수 있고, 아래케이블(36)을 고정부분(362)으로 마우스(75) 내부의 구조에 고정시킬 수 있다. 잭(335)이 출력되면 상,하 케이블 (33, 36) 모두 각각 출력되고, 케이블 저장장치(10)은 빈공간(52) 밖으로 이동하여 사용된다. 잭(335)에 잡아당기던 힘을 놓게 되면, 상,하 케이블(33, 36)는 케이블 저장장치(10)의 케이블 저장바퀴 A(22), B(23)에 감기고 케이블 저장장치(10)는 다시 빈공간(52)에 보관되어 보호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잭(335)를 잡아당길 때, 케이블저장장치(10) 본체까지 잡아당기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도9과 같이, 본 고안에서 케이스(50)을 충전기(85)의 내부(혹은 주변)에 직접 설치할 수 있으며, 아래케이블(36)을 고정부분(362)에 연결하여 충전기(85) 내부 구조에 고정시키고 잭(335)를 당겨서 출력할 때, 상,하 케이블(33, 36)이 각각 출력되면 케이블 저장장치(10)는 빈공간(52) 밖으로 나온다. 마찬가지로, 잭 (335)에 잡고 있던 힘을 놓게 되면, 상,하 케이블(33, 36)은 다시 감겨 케이블 저장장치(10)은 반대로 빈공간(52)으로 이동하여 안전하게 보관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잭(335)을 밖으로 잡아 당길 때, 케이블 저장장치(10)의 본체까지 잡아 당기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5).도5, 5와 같이, 본 고안에서 케이블 저장장치(10)의 상,하 케이블(33,36)의 바깥 부분과 USB 접속부분(66)은 연결되어 있다. 이때 아래케이블(36)은 하나의 고정부분(361)이 있어 한 개의 USB 접속 부분(66)을 한 대의 전기장치(95)의 포트(951)에 꽂아서 연결할 수 있으며 윗케이블(33)과 연결된 USB 접속 부분(66) 역시 밖으로 당겨 또 다른 한 개의 전기장치(96)의 포트(961)에 꽂아 연결한다. 이때 상,하 케이블(33,36)는 일정한 길이를 출력하게 된다. 케이블 저장장치(10)이 빈공간(52) 밖으로 이동되고, 윗케이블(33)이 당겨져 출력되면 상,하 케이블(33, 36)은 반대 방향으로 회전체(20) 위에 감기고 케이블 저장장치(10)은 빈공간(52)로 이동하여 보관되게 된다. 이때 케이블 저장장치(10) 본체 전부가 빈공간(52)에 보관된다. 따라서 손으로 USB 접속 부분(66)을 잡아 당길 때, 케이블 저장장치(10)까지 잡아당길 가능성을 배제할 수 있다.
상술한 본 고안에 의한 케이스를 이용한 케이블 저장장치에 의하면 케이블이 저장된(감긴) 상태에서 하나의 고정된 케이스 안에 보관되므로 케이블 저장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외부 노출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으로 이어 마이크의 윗케이블을 출력할 때 케이블 저장장치 자체까지 당겨지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외부 힘에 의해 눌려 케이블 저장장치 본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참고로,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 가능한 예 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함을 밝혀 둔다.

Claims (12)

  1. 케이스를 이용한 케이블 저장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저장장치는 크게 좌,우 부분, 회전체 및 축으로 구성되며 상기 회전체는 탄성을 이용한 회전력을 갖고 축을 이용해 축 중심을 회전시키고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케이블 저장바퀴 A,B를 가지며, 하나의 연속형 통신케이블의 적당한 위치에 한 개의 고정부분 걸이를 케이블 저장바퀴 A,B 사이의 적당한 위치에 고정하여, 서로 반대 방향으로 케이블 저장바퀴 A,B 위에 감기어 상,하 케이블을 형성하고 상기 케이스의 빈공간 내부에 통과구를 만들어 아래케이블을 통과시키고 상기 상,하 케이블은 케이블 저장바퀴 A,B에 감긴 후, 케이블 저장장치 빈공간으로 이동되어 정해진 위치에 보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를 이용한 케이블 저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저장바퀴 A의 외경은 케이블 저장바퀴 B의 외경보다 크게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를 이용한 케이블 저장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저장바퀴 A의 외경은 케이블 저장바퀴 B의 외경과 같게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를 이용한 케이블 저장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저장바퀴 A의 외경은 케이블 저장바퀴 B의 외경 보다 작게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를 이용한 케이블 저장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를 마우스의 입구 부분에 직접 설치할 수 있고 아래케이블의 전기 연결 고정부분을 마우스의 내부구조에 직접 고정시켜, 윗케이블의 바깥 부분을 한 개의 잭(혹은 플러그)과 연결하면, 케이블 저장장치는 빈공간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를 이용한 케이블 저장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충전기의 내부(혹은 입구 부분)에 직접 설치되고 빈공간을 충전기의 끝에 두고 아래케이블의 전기 연결 고정부분을 마우스의 내부구조와 직접 연결하여 고정시키고, 윗케이블의 바깥 부분을 잭(혹은 플러그)과 연결하면 케이블 저장장치를 빈공간에 수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를 이용한 케이블 저장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한 개의 끼우개로 통과구(54(의 적당한 위치에 아래케이블을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를 이용한 케이블 저장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케이스의 뒷 면에 탄성이 있는 집게걸이를 설정하여 옷에 걸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를 이용한 케이블 저장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윗케이블의 바깥 부분은 이어 마이크(또는 이어폰)과 연결되고, 아래케이블의 바깥 부분은 한 개의 잭(플러그)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를 이용한 케이블 저장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윗케이블 및 아래케이블의 바깥 부분을 각각 USB 접속 부분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를 이용한 케이블 저장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회전체의 내부의 사이드 홈은 한 개의 태엽과 연결되고 그 태엽의 내부는 축과 연결 고정되어 있어 탄성을 가진 회전체 부품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를 이용한 케이블 저장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케이스의 측면을 한 개의 목걸이용 끈에 연결하여 목에 걸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를 이용한 케이블 저장장치.
KR20-2004-0022959U 2004-02-20 2004-08-11 케이스를 이용한 케이블 저장장치 KR2003688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2959U KR200368832Y1 (ko) 2004-02-20 2004-08-11 케이스를 이용한 케이블 저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3104382 2004-02-20
KR20-2004-0022959U KR200368832Y1 (ko) 2004-02-20 2004-08-11 케이스를 이용한 케이블 저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8832Y1 true KR200368832Y1 (ko) 2004-12-03

Family

ID=49356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2959U KR200368832Y1 (ko) 2004-02-20 2004-08-11 케이스를 이용한 케이블 저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883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8794B1 (ko) 2014-01-09 2015-01-02 김준영 Usb 메모리 분실방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8794B1 (ko) 2014-01-09 2015-01-02 김준영 Usb 메모리 분실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28868B2 (en) Wire-winding device for two kinds of cables
US6474585B2 (en) Wire winding box with increasing usable area
US6439491B1 (en) Wire winding box
KR200346207Y1 (ko) 동축 와이어 권취용 휠장치
AU2007200528A1 (en) Cord management device, and cord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same
EP2197079B1 (en) Earphone line retracting device, automatic line retracting earphone, non-radiation wire mobile phone and electronic device
KR200368832Y1 (ko) 케이스를 이용한 케이블 저장장치
US20100122834A1 (en) Wire organization structure
KR200235821Y1 (ko) 선이 고정되는 이어폰
US20050183915A1 (en) Device for accommodating wire storage structure
JP2018061092A (ja) コード付電子機器
US20160293293A1 (en) Cable Management System
KR200396764Y1 (ko) 이어폰
US11434667B2 (en) Adapter collection ring structure
KR102075681B1 (ko) 이어폰 전선 꼬임 방지장치
US20120163647A1 (en) Microphone-and-earphone set with functions of wire arrangement and winding
KR20100033504A (ko) 케이블 정리기
KR200426046Y1 (ko) 이어폰 고정이 가능한 엠피쓰리 플레이어 케이스
KR100317725B1 (ko) 목걸이형 이어폰세트
KR200327203Y1 (ko) 동축 상 복수개의 회전 릴을 구비한 집선 장치
KR200262893Y1 (ko) 이어폰 줄 및 플러그 단자 수납 케이스
KR100500218B1 (ko) 휴대폰용 목걸이형 이어폰
KR101393844B1 (ko) 이어폰
CN210838211U (zh) 一种加固抗拉音频线
KR101410537B1 (ko) 휴대용 이어폰 수납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