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8794B1 - Usb 메모리 분실방지장치 - Google Patents

Usb 메모리 분실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8794B1
KR101478794B1 KR20140002679A KR20140002679A KR101478794B1 KR 101478794 B1 KR101478794 B1 KR 101478794B1 KR 20140002679 A KR20140002679 A KR 20140002679A KR 20140002679 A KR20140002679 A KR 20140002679A KR 101478794 B1 KR101478794 B1 KR 1014787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b memory
torsion spring
reel
latch
st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02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영
Original Assignee
김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준영 filed Critical 김준영
Priority to KR20140002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87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87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87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88Detecting or preventing theft or lo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을 사용하면, 목걸이를 목에 건 채로 USB 메모리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USB 메모리를 분실할 염려가 없다.
또한, 본 발명을 사용하면, 크기가 다른 USB 메모리의 분실을 모두 방지할 수 있다. 즉, 다양한 두께 및 길이를 가진 USB 메모리를 누름판으로 눌러 안착부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누름판을 전후로 이동시켜 단자를 단자공 바깥으로 돌출시켜 컴퓨터 USB포트에 꽂을 수 있다.

Description

USB 메모리 분실방지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LOST OF UNIVERSAL SERIAL BUS MEMORY STICK}
본 발명은 USB 메모리 분실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불특정 다수가 공통으로 사용하는 학교, 학원의 컴퓨터로 업무를 처리할 때, 보안상 중요한 자료는 컴퓨터에 저장하지 않고, 개인적으로 사용하는 USB 메모리에 저장한다.
한편, 컴퓨터 작업이 끝난 후 USB 메모리를 컴퓨터에 꽂아둔 채로 가버려, USB 메모리를 분실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 공개특허(공개번호:10-2012-0023945)는, USB 메모리가 결합된 팬던트와 팬던트와 연결된 연장가능한 줄로 구성된 목걸이를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목걸이를 사용하면, 목걸이를 목에 건 채로 USB 메모리를 사용할 수 있어, USB 메모리를 분실할 염려가 없다.
그러나, 한국 공개특허에 개시된 목걸이는 특정한 크기를 가진 USB 메모리만 팬던트에 결합시킬 수 있어, 크기가 다른 USB 메모리를 목걸이에 결합시켜 그 분실을 방지할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크기가 다른 USB 메모리의 분실을 모두 방지할 수 있는 USB 메모리 분실방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USB 메모리 분실방지장치는,
목걸이;
래치공과 줄배출공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릴과, 상기 릴에 감긴 상태로 상기 줄배출공 바깥으로 빠져나온 줄과, 상기 릴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상기 릴에 상기 줄을 감는 힘을 제공하는 제1토션스프링과, 상기 릴의 양측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릴의 바깥으로 상기 줄이 빠지지 않게 막아주는 가이드판과, 상기 가이드판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톱니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톱니와 일단이 맞물리고 타단이 상기 래치공 바깥으로 돌출된 래치와, 상기 래치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상기 래치의 일단이 상기 제1톱니에 맞물리는 힘을 제공하는 제2토션스프링으로 구성된, 상기 목걸이와 연결되는 줄감개; 및
전면에 단자공이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에 형성되며 USB 메모리가 놓여지고 제2톱니가 내주면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전면이 개방되어 상기 단자공과 연결된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에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2톱니와 맞물려 타고 넘어가는 제3톱니가 양측면에 각각 형성된 이동블록과, 상기 이동블록에 상하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안착부에 놓여진 상기 USB 메모리의 상면을 눌러서 상기 안착부에 상기 USB 메모리를 고정시키는 누름판과, 상기 누름판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상기 누름판에 상기 USB 메모리의 상면을 누르는 힘을 제공하는 제3토션스프링과, 상기 케이스를 개폐하는 뚜껑으로 구성된, 상기 줄에 연결된 USB 메모리 보관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사용하면, 목걸이를 목에 건 채로 USB 메모리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USB 메모리를 분실할 염려가 없다.
또한, 본 발명을 사용하면, 크기가 다른 USB 메모리의 분실을 모두 방지할 수 있다. 즉, 다양한 두께 및 길이를 가진 USB 메모리를 누름판으로 눌러 안착부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누름판을 전후로 이동시켜 단자를 단자공 바깥으로 돌출시켜 컴퓨터 USB포트에 꽂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SB 메모리 분실방지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줄감개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래치의 일단이 제1톱니와 맞물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래치의 일단이 제1톱니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USB 메모리 보관함의 뚜껑을 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누름판이 길이가 긴 USB 메모리를 누른 상태로 이동블록을 조금 전진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누름판이 길이가 짧은 USB 메모리를 누른 상태로 이동블록을 많이 전진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SB 메모리 분실방지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SB 메모리 분실방지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SB 메모리 분실방지장치(1)는, 목걸이(10), 줄감개(20), USB 메모리 보관함(30)으로 구성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줄감개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래치의 일단이 제1톱니와 맞물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래치의 일단이 제1톱니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줄감개(20)는, 본체(21), 릴(22), 줄(23), 제1토션스프링(24), 가이드판(25), 제1톱니(26), 래치(27), 제2토션스프링(28)으로 구성된다.
본체(21)는 원통형상을 가진다. 물론, 본체(21)의 형상을 삼각형, 사각형으로 다양하게 만들 수도 있다.
본체(21)의 외주면에는 래치공(21a)과 줄배출공(21b)이 형성된다.
본체(21)의 외주면에는 목걸이고리(21c)가 구비된다. 목걸이고리(21c)에 목걸이(10)가 연결된다.
릴(22)은, 본체(21)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줄(23)은 릴(22)에 감긴다. 줄(23)은, 사용자가 목걸이(10)를 목에 걸고 컴퓨터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컴퓨터의 USB포트에 USB 메모리(M)의 단자(M1)를 꽂을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가진다.
줄(23)의 끝단은 줄배출공(21b) 바깥으로 빠져나온다.
제1토션스프링(24)은, 릴(22)의 회전축에 설치된다. 릴(22)에 감겨진 줄(23)을 잡아 당기면, 릴(22)이 줄(23)이 풀리는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1토션스프링(24)을 비튼다.
가이드판(25)은, 릴(22)의 양측면에 각각 설치되어, 릴(22)의 바깥으로 줄(23)이 빠지지 않게 막아준다. 가이판(25)의 형상은 원형이다.
제1톱니(26)는, 가이드판(25)의 외주면에 형성된다.
래치(27)는, 본체(21)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래치(27)의 일단(27a)은 제1톱니(26)와 맞물린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래치의 일단이 제1톱니와 맞물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곡선화살표는 릴에서 줄이 풀려질 때 릴의 회전방향을 나타내고, 직선화살표는 줄이 당겨지는 방향을 나타낸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줄(23)이 풀리는 방향으로 릴(22)이 회전하는 경우에만 래치(27)의 일단(27a)이 제1톱니(26)를 타고 넘어 갈 수 있고, 줄(23)이 감기는 방향으로 릴(22)이 회전하는 경우에는 래치(27)의 일단(27a)이 제1톱니(26)를 타고 넘어갈 수 없도록, 제1톱니(26)는 후방으로 휘어지고, 래치(27)의 일단(27a)은 전방 아래로 휘어진다.
이로 인해, 래치(27)의 일단(27a)이 제1톱니(26)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줄(23)을 당겨 풀 수 있지만, 줄(23)을 릴(22)에 감을 수는 없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래치의 일단이 제1톱니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곡선화살표는 릴에 줄이 감겨질때 릴의 회전방향을 나타내고, 직선화살표는 줄이 감겨지는 방향을 나타내고, 점선화살표는 래치의 타단을 손가락으로 누르는 방향을 나타낸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래치(27)의 타단(27b)은 래치공(21a) 바깥으로 돌출된다. 사용자가 래치(27)의 타단(27b)을 누르면, 래치(27)의 일단(27a)이 들려서, 제1톱니(26)와 분리된다.
제2토션스프링(28)은, 래치(27)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래치(27)의 일단(27a)이 제1톱니(26)와 맞물리는 힘을 제공한다. 사용자가 래치(27)의 타단(27b)을 누르지 않으면, 래치(27)의 일단(27a)을 내려서, 제1톱니(26)와 지속적으로 결합시킨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USB 메모리 보관함의 뚜껑을 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USB 메모리 보관함(30)은, 케이스(31), 안착부(32), 이동블록(33), 누름판(34), 제3토션스프링(35), 뚜껑(36)으로 구성된다.
케이스(31)는 사각형상을 가진다. 물론, 케이스(31)의 형상을 삼각형, 원형으로 다양하게 만들 수도 있다.
케이스(31)의 표면에는 아름다운 무늬나 재치 있는 캐릭터 등을 그려 넣을 수도 있다.
케이스(31)는, 저렴한 알루미늄판이나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다.
케이스(31)의 전면에는 단자공(31a)이 형성된다. 단자공(31a)에 고무마개를 끼워서, 단자공(31a)을 통해서 케이스(31) 내부로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케이스(31)의 외주면에는 줄고리(31b)가 구비된다. 줄고리(31b)에는 줄배출공(21b) 바깥으로 빠져나온 줄(23)의 끝단이 연결된다.
안착부(32)는 케이스(31)의 바닥면에 형성된다. 안착부(32)의 형상은 직사각형이다. 안착부(32)에는 USB 메모리(M)가 놓여진다. 안착부(32)의 전면은 개방되어 단자공(31a)에 연결된다.
안착부(32)는 다양한 크기의 USB 메모리(M)가 놓여질 수 있는 폭을 가진다.
일반적으로, USB 메모리(M)는 크기가 다르더라도, 그 폭에서는 차이가 별로 없고, 그 길이와 높이에서만 차이가 난다. 따라서, 안착부(32)의 폭은 20mm 내외 로 만들면 충분하다.
안착부(32)의 양측면에는 제2톱니(32a)가 형성된다.
이동블록(33)은, 안착부(32)에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동블록(33)의 양측면에는 제2톱니(32a)와 맞물려 타고 넘어가는 제3톱니(33a)가 형성된다.
누름판(34)은, 이동블록(33)에 상하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누름판(34)은, 안착부(32)에 놓여진 USB 메모리(M)의 상면을 눌러서, USB 메모리(M)를 안착부(32)에 고정시킨다. 누름판(33)이 USB 메모리(M)의 상면을 누른 상태에서 이동블록(32)를 전진시키면, 단자공(31a) 바깥으로 USB 메모리(M)의 단자(M1)가 돌출된다.
제3토션스프링(35)은, 누름판(34)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누름판(34)에 USB 메모리(M)의 상면을 누르는 힘을 제공한다.
뚜껑(36)은, 케이스(31)의 상면을 개폐한다. 뚜껑(36)은 케이스(31)에 힌지결합된다. 뚜껑(36)을 연 상태에서 뚜껑(36)을 놓으면 뚜껑(36)이 자동적으로 케이스(31)의 상면을 덮을 수 있도록, 힌지결합부분에는 제4토션스프링(36a)이 설치된다. 뚜껑(36)은, 저렴한 알루미늄판이나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SB 메모리 분실방지장치의 사용방법을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목걸이를 목에 건다. 컴퓨터 의자에 앉는다.
뚜껑(36)을 연다. 누름판(34)을 들어 올린다. 안착부(32)에 USB 메모리(M)를 놓는다. 누름판(34)을 내려 놓는다. USB 메모리(M)의 두께가 두꺼우면, 그 두께로 인해 누름판(34)을 들어 올리고 내리는 거리가 작아지고, USB 메모리(M)의 두께가 얇으면, 그 두께로 인해 누름판(34)을 들어올리고 내리는 거리가 커진다. 따라서, 누름판(34)을 사용하면 다양한 두께를 가진 USB 메모리(M)를 안착부(32)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제3토션스프링(35)이 누름판(34)이 USB 메모리(M)의 상면을 누르는 힘을 제공한다.
단자공(31a) 바깥으로 USB 메모리(M)의 단자(M1)가 돌출되도록, 이동블록(33)을 전진시킨다. 제3톱니(33a)가 제2톱니(32a)를 타고 넘으면서 전진한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누름판이 길이가 긴 USB 메모리를 누른 상태로 이동블록을 조금 전진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짧은 실선화살표는 이동블록의 전진 거리 및 방향을 나타낸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USB 메모리(M)의 길이가 긴 경우는 이동블록(33)을 조금만 전진시키면 단자공(31a) 바깥으로 USB 메모리(M)의 단자(M1)가 돌출된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누름판이 길이가 짧은 USB 메모리를 누른 상태로 이동블록을 많이 전진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긴 실선화살표는 이동블록의 전진 거리 및 방향을 나타낸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USB 메모리(M)의 길이가 짧은 경우는 이동블록(33)을 많이 전진시켜야 단자공(31a) 바깥으로 USB 메모리(M)의 단자(M1)가 돌출된다.
따라서, 이동블록(33)을 사용하면, 다양한 길이를 가진 USB 메모리(M)의 단자(M1)를 단자공(31a) 바깥으로 돌출시켜 컴퓨터 USB포트에 꽂을 수 있다.
뚜껑(36)을 놓는다. 제4토션스프링(36a)이 제자리로 복귀하면서 케이스(31)의 상면에 뚜껑(36)을 덮는다.
도 1,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케이스(31)를 잡아당긴다. 래치(27)의 일단(27a)이 제1톱니(26)를 타고 넘어간다. 릴(22)에 감겨진 줄(23)이 풀린다. 단자공(31a) 바깥으로 돌출된 USB 메모리(M)의 단자(M1)를 컴퓨터의 USB포트에 꽂는다.
컴퓨터를 사용하여, USB 메모리(M)에 자료를 저장한다.
컴퓨터 사용이 끝나면, 컴퓨터의 USB포트에서 USB 메모리(M)의 단자(M1)를 뺀다. 사용자가 USB 메모리(M)의 단자(M1)를 컴퓨터의 USB포트에 꽂은 것을 잊어버려도, 목걸이(10)가 USB 메모리 보관함(30)을 당겨 USB 메모리(M)의 단자(M1)를 컴퓨터의 USB포트로 빼내므로, USB 메모리(M)를 분실할 염려가 없다.
뚜껑(36)을 연다. 이동블록(33)을 후진시킨다. 제3톱니(33a)가 제2톱니(32a)를 타고 넘으면서 후진한다. USB 메모리(M)의 단자(M1)가 단자공(31a) 안으로 들어간다.
뚜껑(36)을 놓는다. 제4토션스프링(36a)이 제자리로 복귀하면서 케이스(31)의 상면에 뚜껑(36)을 덮는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래치(27)의 타단(27b)을 누른다. 래치(27)의 일단(27a)이 제1톱니(26)와 분리된다.
제1토션스프링(24)이 제자리로 복귀하면서, 릴(22)이 줄(23)을 감는 힘을 제공한다. 릴(22)에 줄(23)이 감긴다. 릴(22)에 줄(23)이 다 감기면 래치(27)의 타단(27b)을 놓는다. 래치(27)의 일단(27a)이 제1톱니(26)와 다시 결합된다.
사용자는 컴퓨터 의자에서 일어나 이동한다.

Claims (4)

  1. 목걸이;
    래치공과 줄배출공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릴과, 상기 릴에 감긴 상태로 상기 줄배출공 바깥으로 빠져나온 줄과, 상기 릴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상기 릴에 상기 줄을 감는 힘을 제공하는 제1토션스프링과, 상기 릴의 양측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릴의 바깥으로 상기 줄이 빠지지 않게 막아주는 가이드판과, 상기 가이드판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톱니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톱니와 일단이 맞물리고 타단이 상기 래치공 바깥으로 돌출된 래치와, 상기 래치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상기 래치의 일단이 상기 제1톱니에 맞물리는 힘을 제공하는 제2토션스프링으로 구성된, 상기 목걸이와 연결되는 줄감개; 및
    전면에 단자공이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USB 메모리가 놓여지고 제2톱니가 내주면 양측에 각각 형성된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에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2톱니와 맞물려 타고 넘어가는 제3톱니가 양측면에 각각 형성된 이동블록과, 상기 이동블록에 상하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안착부에 놓여진 상기 USB 메모리의 상면을 눌러서 상기 안착부에 상기 USB 메모리를 고정시키는 누름판과, 상기 누름판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상기 누름판에 상기 USB 메모리의 상면을 누르는 힘을 제공하는 제3토션스프링과, 상기 케이스를 개폐하는 뚜껑으로 구성된, 상기 줄에 연결된 USB 메모리 보관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메모리 분실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톱니는 후방으로 휘어지고, 상기 래치의 일단은 전방 아래로 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메모리 분실방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상기 케이스에 힌지결합되며, 힌지결합된 부분에는 제4토션스프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메모리 분실방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공에 고무마개가 끼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메모리 분실방지장치.
KR20140002679A 2014-01-09 2014-01-09 Usb 메모리 분실방지장치 KR1014787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02679A KR101478794B1 (ko) 2014-01-09 2014-01-09 Usb 메모리 분실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02679A KR101478794B1 (ko) 2014-01-09 2014-01-09 Usb 메모리 분실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8794B1 true KR101478794B1 (ko) 2015-01-02

Family

ID=52587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02679A KR101478794B1 (ko) 2014-01-09 2014-01-09 Usb 메모리 분실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87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0814B1 (ko) * 2020-04-21 2020-10-27 주식회사 중부구조안전기술단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안전모 분실 방지용 연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8832Y1 (ko) 2004-02-20 2004-12-03 조세 웨이 케이스를 이용한 케이블 저장장치
KR20060118645A (ko) * 2005-05-16 2006-11-24 김영창 이어폰전선 자동감개
KR20090115851A (ko) * 2006-12-29 2009-11-09 쌘디스크 코포레이션 커넥터를 연장하고 수축시키는 듀얼 슬라이더 액추에이터를 구비한 전자 디바이스
KR20100123135A (ko) * 2009-05-14 2010-11-24 정광선 아이디카드와 휴대폰 겸용 목걸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8832Y1 (ko) 2004-02-20 2004-12-03 조세 웨이 케이스를 이용한 케이블 저장장치
KR20060118645A (ko) * 2005-05-16 2006-11-24 김영창 이어폰전선 자동감개
KR20090115851A (ko) * 2006-12-29 2009-11-09 쌘디스크 코포레이션 커넥터를 연장하고 수축시키는 듀얼 슬라이더 액추에이터를 구비한 전자 디바이스
KR20100123135A (ko) * 2009-05-14 2010-11-24 정광선 아이디카드와 휴대폰 겸용 목걸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0814B1 (ko) * 2020-04-21 2020-10-27 주식회사 중부구조안전기술단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안전모 분실 방지용 연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1620E1 (en) Chalk line with viewing window
AU2017307087B2 (en) Pet leash device
WO2007005216A3 (en) Cassette spool lock
JP6703657B1 (ja) 鉛筆収納ケース
KR20130020817A (ko) 지갑 수납 기능 강화를 위한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
KR101478794B1 (ko) Usb 메모리 분실방지장치
US2596716A (en) Carrying case for keys and driver's license
US20050247089A1 (en) Retractable silent key holder
US9528543B2 (en) Flash drive with a snap hook
CN105655792B (zh) 一种卡连接器保护装置及电子设备
CN207328311U (zh) 用于车辆的终端和具有其的车辆
KR101168293B1 (ko) 방수 케이스
KR200476433Y1 (ko) 잠금부 수납 구조를 갖는 휴대 단말기 보호 케이스
CN206096769U (zh) 一种高密封性的带有usb闪存盘的手表
CN206312952U (zh) 一种电池翻盖机构
CN202995552U (zh) 具有u盘固定结构的笔记本
CN201781703U (zh) 一种迷你纽扣优盘
CN216659416U (zh) 一种环保石狮子
CN209252643U (zh) 一种多功能纸筒
KR200467970Y1 (ko) 콤팩트 용기
CN207373969U (zh) 一种名片盒
CN209291730U (zh) 一种自动卷线式移动电源
TWI629001B (zh) Cord buckle structure with anti-off function
KR20160000387U (ko) 다이어리형 휴대폰 수납 케이스
CN103670013B (zh) 防忘取钥匙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