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7977B1 - 다용도 이어폰 장치 - Google Patents

다용도 이어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7977B1
KR100377977B1 KR10-2001-0028999A KR20010028999A KR100377977B1 KR 100377977 B1 KR100377977 B1 KR 100377977B1 KR 20010028999 A KR20010028999 A KR 20010028999A KR 100377977 B1 KR100377977 B1 KR 1003779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cord
communication terminal
connection jack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8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90449A (ko
Inventor
송경조
송병조
Original Assignee
송경조
송병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경조, 송병조 filed Critical 송경조
Priority to KR10-2001-0028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7977B1/ko
Publication of KR20020090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04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7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79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33Cables or cables storage, e.g. cable re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좌,우측 스피커폰 및 연결잭 부분의 코드선 길이를 각각 별도로 조절할 수 있으면서, 하나의 이어폰으로 카세트 등의 음향기기와 휴대폰 등의 통신단말기에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다용도 이어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용도 이어폰 장치는, 하부커버(10)와 상부 커버(20)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며, 측면 3곳에 코드선 통과 구멍(11)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10); 상기 각 코드선 통과 구멍(11)에 대응하여 케이스(10)의 내측에 회전불가하게 고정되는 3개의 도전성 고정축(30); 상기 3개의 고정축(30)중 하나로부터 나머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내장 코드선(40); 상기 각 고정축(3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됨과 동시에 스파이럴 스프링(4)에 의하여 일방향으로 회전되려는 힘이 부여되며, 측방으로 상기 케이스(10)의 각 구멍(11)에 대응한 코드선 통과 구멍(53)이 형성되어 있는 보빈(50); 상기 케이스(10)의 각 구멍(11)과 각 보빈(50)의 구멍(53)을 통과한 코드선(40)의 단부가 해당 도전성 고정축(30)의 외주연에 각각 미끄럼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해당 보빈(50)의 회전에 의하여 권취되거나 인출되는 음향기기 연결잭(60) 및 좌,우 스피커폰(70)(80); 및 상기 케이스(10)의 중앙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조작함에 따라 상기 보빈(50)의 회전을 단속하는 제동수단(9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용도 이어폰 장치는, 스피커폰측 코드선과 연결잭측 코드선의 길이를 독립적으로 인출되므로 통신단말기이나 음향기기의 휴대위치에 따라편리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고 코드선의 늘어짐도 방지할 수 있으며, 케이스의 위치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통신단말기용 연결잭과 음향기기용 연결잭이 같이 구비되면서 이들을 분리/결합할 수 있으므로 통신단말기와 음향기기를 사용전환 하는데 매우 편리하다.

Description

다용도 이어폰 장치{Apparatus for Multipurpose Earphone}
본 발명은 다용도 이어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좌측 스피커폰, 우측 스피커폰 및 연결잭 부분의 코드선 길이를 각각 별도로 조절할 수 있으면서, 하나의 이어폰으로 카세트 등의 음향기기와 휴대폰 등의 통신단말기에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다용도 이어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잘 아는 바와 같이 이어폰은 휴대폰, 카폰 등의 통신단말기에 연결하여 음성통화를 하거나, 소형 카세트, CD 플레이어, 소형 라디오 등의 음향기기에 연결하여 음향을 청취하는데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이어폰은 통신단말기나 음향기기측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잭과, 이 연결잭으로부터 코드로써 연결된 스피커폰을 갖춘 형태로 되어 있고, 통신단말기용 이어폰에는 상대방과 통화를 위한 마이크로폰도 갖추고 있으며, 양자 모두 코드를 권취하기 위한 보관 케이스를 갖추고 있는 것이 통상적이라고 할 수 있는데, 휴대폰용 이어폰은 하나의 연결잭과 하나의 스피커폰 및 하나의 마이크로폰을 갖추게 되고, 음향기기용 이어폰은 하나의 연결잭과 두 개의 스피커폰을 갖추게 된다.
상기한 종래의 이어폰 보관 케이스는 연결잭측의 코드선과 스피커폰측의 코드선을 동시에 권취하는 구조로 제공되기 때문에, 음향기기 중에서 미니 카세트용 이어폰을 예로들면, 연결잭측의 코드선과 양측 스피커폰측의 코드선이 항상 동일한 길이로 인출될 수 밖에 없어 보관 케이스의 위치를 조절하기 어렵고, 미니 카세트의 휴대 위치에 따라서 한쪽 스피커폰 측의 코드선이 늘어질 수 밖에 없는 실정이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음향기기용 이어폰과 통신단말기용 이어폰이 서로 구분되어 별도로 제공되기 때문에 양자를 모두 지니고 다녀야 함으로써, 예컨대, 미니 카세트와 휴대폰을 함께 휴대하고 다니는 사용자가 미니 카세트용 이어폰을 착용하고 음악을 청취하다가 휴대폰을 통화하고자 하면, 착용하고 있던 음향기기 이어폰을 빼고 통신단말기용 이어폰으로 교체하여 착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첫번째 목적은, 음향기기용 이어폰 장치에서 그의 연결잭과 두 개의 스피커폰의 길이가 각자 독립적으로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코드선의 늘어짐을 방지하면서 케이스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다용도 이어폰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러한 다용도 이어폰 장치 하나로 음향기기의 청취와 통신단말기 통화를 편리하게 전환하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이어폰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이어폰 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이어폰 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이어폰 장치의 평면도로서, 상부커버와 보빈을 제거하여 내장 코드선의 배치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이어폰 장치의 평면도로서, 상부커버가 제거된 상태에서 보빈과 제동수단이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이어폰 장치의 연결잭의 작동관계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이어폰 장치로 음향기기를 청취할 경우의 사용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이어폰 장치로 휴대폰 통화를 할 경우의 사용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케이스 4 : 스파이럴 스프링
10 : 하부커버 11 : 코드선 통과 구멍
12 : 고정홈 13 : 환형 가이더
14 : 가이더 15 : 결합돌기
20 : 상부커버 21 : 원형돌부
22 : 결합홈 23 : 슬라이딩공
24 : 결합돌기 30 : 도전성 고정축
32 : 요홈 40 : 내장 코드선
50 : 보빈 51 : 통공
52 : 권취 요홈 52 : 코드선 통과용 구멍
54 : 하측 원통부 55 : 상측 원통부
60 : 음향기기 연결잭 60a : 통신단말기 연결잭
61,71,81 : 코드선 61a, 62 : 접속단자
62a : 접속구 63,63a : 가이드핀
70 : 좌측 스피커폰 80 : 우측 스피커폰
82 : 마이크로폰 83 : 통화스위치
90 : 제동수단 91 : 제동버튼
92 : 마찰판 93 : 누름부
94 : 슬라이딩축 95 : 마찰패드
100 : 탄력가압부재 110 : 클립부재
120 : 집게부재 200 : 링크부재
201 : 장홈 202,203,204 : 걸림홈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이어폰 장치는, 하부커버와 상부 커버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며, 측면 3곳에 코드선 통과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 상기 각 코드선 통과 구멍에 대응하여 케이스의 내측에 회전불가하게 고정되는 3개의 도전성 고정축; 상기 3개의 고정축중 하나로부터 나머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내장 코드선; 상기 각 고정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됨과 동시에 스파이럴 스프링에 의하여 일방향으로 회전되려는 힘이 부여되며, 측방으로 상기 케이스의 각 구멍에 대응한 코드선 통과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보빈; 상기 케이스의 각 구멍과 각 보빈의 구멍을 통과한 코드선의 단부가 해당 도전성 고정축의 외주연에 각각 미끄럼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해당 보빈의 회전에 의하여 권취되거나 인출되는 음향기기 연결잭 및 좌,우 스피커폰; 및 상기 케이스의 중앙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조작함에 따라 상기 보빈의 회전을 단속하는 제동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이어폰 장치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이어폰 장치는, 하부커버(10)와 상부커버(20)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케이스(2)와, 이 케이스(2)의 내부에 회전불가하게 고정되는 3개의 도전성 고정축(30)과, 이 3개의 도전성 고정축(30)중 하나로부터 나머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내장 코드선(40)과, 스파이럴 스프링(4)에 의하여 일방향으로 회전되려는 힘이 부여되어서 상기 각 고정축(3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코드선 권취용 보빈(50)과, 상기 도전성 고정축(30)의 외주연에 각각 미끄럼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각 보빈(50)의 회전에 의하여 각각의 코드선(61)(71)(81)이 보빈(50)에 권취되거나 보빈(50)으로부터 인출되는 음향기기 연결잭(60) 및 좌,우 스피커폰(70)(80)과, 상기 케이스(2)의 중앙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조작함에 따라 상기 보빈(50)의 회전을 단속하는 제동수단(90)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커버(10)의 측면 3곳에는 코드선 통과 구멍(11)이 형성되어 각각의 구멍(11)에 상기 음향기기 연결잭(60)의 코드선(61)과 좌,우 스피커폰(70)(80)의 코드선(71)(81)이 통과한다. 상기 각 구멍(11)에 대응하는 내측 바닥에는 상기 도전성 고정축(30)이 고정되는 고정홈(12)이 형성되고, 이 고정홈(12)의 둘레에 환형 가이더(13)가 돌출된다. 도시된 예에서, 상기 고정홈(12)의 일측에는 평면부(12a)가 형성되고, 고정축(30) 단부에도 이에 대응하는 평면부(31)가 형성되어서 상호 결합됨으로써 고정축(30)이 회전되지 않도록 한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상기 상부커버(20)는 내측면에 상기 하부커버(10)의 각 환형가이더(13)와 마주보는 원형돌부(21)가 형성되고, 이 원형돌부(21)의 중앙에 상기 하부케이스(10)의 고정홈(12)에 대응하여 상기 고정축(30) 상단이 결합되는 결합홈(22)이 형성되어 있다.
도면부호 '6'은 상기 하부커버(10)와 상부커버(20)를 결합시키기 위한 '스크류'를 나타내는 바, 하부커버(10)와 상부커버(20)의 내측에 보스(8) -도시된 예에서는 하부커버(10)측의 보스(8)만 보이나 상부커버(20)측도 이와 마찬가지임- 를 형성하고, 상기 스크류(6)를 보스(8)에 체결하여 조립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스크류결합에 보조하여, 도 3에서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커버(10)와 상부커버(20)의 대향 단부 둘레에 서로 탄성적으로 맞물리는 결합돌기(15)(24)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고정축(30)은 그 중간 원주둘레로 요홈(32)이 형성되어서 이의 요홈(32)에 상기 음향기기 연결잭(60)의 코드선(61) 및 좌,우 스피커폰(70)(80)의 코드선(71)(81)이 각각 미끄럼회전 가능한 상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내장 코드선(40)은 도전성 고정축(30)중 음향기기 연결잭(60)이 연결되기 위한 것으로부터 나머지 좌,우 스피커폰(70)(80)이 연결되기 위한 고정축(30)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이는 통상의 전기적 연결 방법과 같이, 연결잭(60)으로부터의 코드선을 좌,우 스피커폰(70)(80)에 맞게 분기시키고, 각 단부의 피복을 벗겨 내부의 전선을 상기 고정축(30) 아래쪽에 용접등의 방법으로 고정한다.
상기 각 보빈(50)은 그 몸통 중간의 통공(51)을 통하여 상기 도전성 고정축(3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고정축(30)의 요홈(32)에 대응한 몸통의 외주연에 각 코드선이 권취되는 권취요홈(52)이 형성되며, 이 권취요홈(52)의 일측방으로 코드선 통과용 구멍(53)이 형성되어 이에 상기 고정축(30)의 요홈(3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기 위한 음향기기 연결잭(60)의 코드선(61) 및 좌,우 스피커폰(70)(80)의 코드선(71)(81)이 통과된다. 따라서, 보빈(50)이 회전하면, 상기 각코드선(61)(71)(81)은 그 단부가 상기 고정축(30)의 요홈(32) 표면을 미끄럼회전하면서 상기 보빈(50)의 권취요홈(52)에 권취되거나 이로부터 풀리게 된다.
또한, 보빈(50)의 몸통 하단에는 원통부(54)가 형성되어 상기 하부커버(10)의 환형가이더(13)에 미끄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몸통의 상단에도 원통부(55)가 형성되어 상기 상부커버(20)의 원형돌부(21)에 미끄럼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4)은 상기 보빈(50)의 상측 원통부(55)내에 장입되어서 양단이 각각 상측 원통부(55)와 상기 고정축(30)에 고정되어 보빈(50)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려는 탄력을 제공한다.
상기 음향기기 연결잭(60) 및 좌,우 스피커폰(70)(80)은 그의 코드선(61)(71)(81)들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각 케이스(10) 측면의 구멍(11)과 각 보빈(50) 측면의 구멍(53)을 통과하여 해당하는 고정축(30)의 요홈(32)에 각각 미끄럼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상기 음향기기 연결잭(60)에는 통신단말기 연결을 위한 연결잭(60a)이 병설되고, 좌,우 스피커폰(70)(80)중 하나에는 통신단말기 통화를 위한 마이크로폰과 통화스위치가 병설된다. 상기 마이크로폰(82)과 통화스위치(83)는 종래의 일반적인 예와 같이 스피커폰의 코드선 중간에 설치할 수도 있는데, 바람직하기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 스피커폰(80)에 일체로 형성한다.
상기 통신단말기 연결잭(60a)은 코드선이 없는 형태를 갖추어 통신단말기 접속단자(61a) 반대측에 상기 음향기기 연결잭(60)의 접속단자(62)가 접속되기 위한 접속구(62a)가 형성되고, 상기 음향기기 연결잭(60)의 측면과 통신단말기연결잭(60a) 측면에 각각 가이드핀(63)(63a)이 돌설되며, 상기 가이드핀(63)(63a)에는 링크부재(200)가 연결된다. 이의 링크부재(200)에는 통신단말기 연결잭(60a)과 음향기기 연결잭(60)의 접속을 위한 운동범위 이상의 길이를 갖추어 상기 가이드핀(63)(63a)이 슬라이딩 결합되는 장홈(201)이 형성되고 이의 장홈(201)에 상기 통신단말기 연결잭(60a)이 음향기기 연결잭(60)의 상면에 안착되는 위치에서 각각의 가이드핀(63)(63a)이 탄성적으로 삽입되기 위한 걸림홈(202)(203)이 형성되며, 상기 음향기기 연결잭(60)에 통신단말기 연결잭(60a)을 접속시킨 위치에서 음향기기 연결잭(60)측의 가이드핀(63)이 탄성적으로 삽입되기 위한 걸림홈(204)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동수단(90)은 마찰판(92) 및 이로부터 연장된 누름부(93)를 갖추어 상기 마찰판(92)이 상기 각 보빈(50)에 마찰 및 마찰해제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된 제동버튼(91)과, 이 제동버튼(91)의 마찰판(92)을 보빈(50)측으로 탄력지지하는 탄력가압부재(10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동버튼(91)은 상기 3개의 보빈(50)들 사이의 공간 중심에서 상기 마찰판(92)이 상기 각 보빈(50)의 상측에 형성된 원통부(55) 하면에 접촉하도록 배치됨과 아울러, 그의 누름부(93)는 상부커버(20)의 슬라이딩공(23)을 통과하여 상부커버(20)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누를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마찰판(92)의 하면으로부터 슬라이딩축(94)이 연장되어 하부커버(10)의 가이더(14)에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탄력가압부재(100)는 바람직하게 압축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마찰판(92)과 하부커버(20)의 가이더(14) 사이에개재되는 상태로 슬라이딩축(94)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마찰판(92)이 보빈(50)에 접촉하는 마찰력은 상기 보빈(50)의 회전을 위한 스파이럴 스프링(4)의 회전력보다 크게 되도록 설정되어, 마찰판(92)이 보빈(50)에 접촉하고 있을 때에는 마찰력이 회전력보다 크게 작용하여 보빈(50)의 임의적 회전을 방지한다. 그리고, 연결잭(60)이나 좌,우 스피커폰(70)(80)을 인출할 경우에는 마찰판(92)이 보빈(50)에 그대로 접촉하고 있는 상태에서 마찰력과 회전력을 합한 힘 보다 큰 힘으로 당겨서 인출하며, 인출한 다음 그대로 놓게 되면 마찰력이 회전력보다 크므로 보빈(50)이 회전되지 않고 멈춰진다. 인출된 연결잭(60)이나 좌,우 스피커폰(70)(80)의 코드선(61)(71)(81)을 다시 권취하기 위하여는 제동버튼(90)을 누르면 마찰판(92)이 상기 보빈(50)들로부터 이격되고 이에따라 스파이럴 스프링(4)이 보빈(50)을 회전시킴으로써 권취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마찰판(92)에 보빈(50)과의 용이한 마찰을 위한 마찰패드(95)가 구비되어, 이의 미찰패드(95)로 하여금 보빈(50)과 접촉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마찰패드(95)는 바람직하기로는 고무 또는 플라스틱으로 구성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서 케이스(2)를 사용자의 의복, 허리벨트 등에 쉽게 착용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2)의 일면에 클립부재(110)가 마련된다. 이의 클립부재(110)는, 첨부도면 도 2 및 도 3에서 보다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지지판(112)의 일측 힌지돌부(114)를 힌지축(116)과 비틀림스프링(118)을 매개로 힌지시킨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다용도 이어폰 장치는, 좌,우측 스피커폰(70)(80) 및 연결잭(60)의 코드선(71)(81)(61) 길이가 별도로 자유롭게 조절되고, 이에따라 케이스(2)의 위치도 자유롭게 조절되며, 나아가 하나의 이어폰으로 카세트 등의 음향기기 청취와 휴대폰 등의 통신단말기 통화가 모두 가능하다.
먼저, 본 발명의 이어폰 장치에서, 연결잭(60)측 코드선(61) 및 좌,우측 스피커폰(70)(80)측 코드선(71)(81)은 최초에 보빈(50)의 권취요홈(52) 둘레에 완전히 감겨지고, 스파이럴 스프링(4)은 보빈(50)의 원통부(55)가 제공하는 설치공간 내에서 최대한 풀린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보빈(50)에 권취방향으로 더 회전되려는 힘이 부여된 상태로 설치된다. 또한 마찰판(92)의 마찰패드(95)가 각각의 보빈(50)에 접촉된 상태로 설치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 장치를 사용하고자 하는 동작으로 연결잭(60)측 코드선(61) 및 좌,우측 스피커폰(70)(80)측 코드선(71)(81)을 각각 당기면, 상기 마찰패드(92)와 보빈(50) 사이의 마찰력과 스파이럴 스프링(4)의 풀림력을 극복하면서 해당 보빈(50)이 회전됨으로써 보빈(50)의 권취요홈(52)에 감겨있던 각 코드선(61)(71)(81)이 풀려 케이스(2)의 측방 구멍(11)으로부터 인출된다.
이때, 보빈(50)의 중심에 있는 도전성 중심축(30)은 하부커버(10)의 고정홈(12)에 각 평면부(12)(31)를 통하여 결합되어 있어 회전하지 못하게 되고, 상기 보빈(50)은 그 상,하단의 원통부(55)(54)가 하부커버(10)와 상부커버(20)의 환형가이더(13)와 원형돌부(21)에 결합되어 있어 이의 안내로 원활하게 회전될 수있으며, 연결잭(60) 및 좌,우측 스피커폰(70)(80)의 코드선(61)(71)(81)들은 그 단부가 상기 중심축(30)의 요홈(32)에 미끄럼회전가능한 상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므로 코드선(61)(71)(81)이 풀러나갈 시 보빈(50)이 회전하는 방향으로 중심축(30)의 요홈(32)을 따라 미끄럼회전함으로써, 보빈(50)이 회전하여도 코드선(61)(71)(81)이 중심축(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꼬이지도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연결잭(60) 및 좌,우측 스피커폰(70)(80)의 코드선(61)(71)(81)들의 길이를 케이스(2)의 설치위치 - 예컨대, 외투 안주머니, 와이셔츠 가슴주머니, 외투 칼라 깃 등 - 에 알맞게 인출한 후, 그대로 놓으면 마찰판(92)상의 마찰패드(95)가 탄력가압부재(100)의 탄발력에 의하여 상기 보빈(50)에 밀착 마찰하게 되고, 또 이의 마찰력은 상기 보빈(50)을 회전시키려고 하는 스파이럴 스프링(4)의 회전력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보빈(50)의 회전은 저지되고 각 코드선(61)(71)(81)들은 일정길이 인출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한 인출동작은 각각의 보빈(50) 및 코드선(61)(71)(81)에서 별도로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소망하는 케이스(2) 착용 위치에 대응하여 각각의 코드선(61)(71)(81)의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 할 수 있는 것이다.
위와 같이 각 코드선(61)(71)(81)들을 인출시킨 상태에서 스파이럴 스프링(4)은 보빈(50)의 회전량 만큼 감겨지게 되는 바, 이어폰 장치를 사용한 후 보관을 위한 동작으로 케이스(2) 일측으로 돌출된 누름부(93)를 누르면,제동버튼(91)을 지지하는 탄력가압부재(100)가 압축되면서 그의 슬라이딩축(94)이 하부커버(10)의 가이더(14)를 따라 슬라이딩 하강됨으로써 마찰패드(95)가 보빈(50)으로부터 이격된다. 마찰패드(95)가 보빈(50)으로부터 이격되면 마찰력이 제거되므로 스파이럴 스프링(4)이 본래의 상태로 복귀하려 하고, 이것에 의하여 보빈(50)이 풀림 반대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인출된 코드선(61)(71)(81)이 각각의 보빈(50)에 다시 권취되는 것이다.
또한, 카세트 등의 음향기기를 청취하던 중 휴대폰 등의 통신단말기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의 연결잭 사용에 있어서는, 첨부도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는데, 도면상 (a)의 상태에서 통신단말기용 연결잭(60a)을 당기면 (b)와 같이 링크부재(200)가 당겨지면서 음향기기용 연결잭(60)의 가이드핀(63)이 최초의 걸림홈(202)을 벗어나서 다음의 걸림홈(204)을 탄성적으로 통과하게 되는데, 이때 통신단말기용 연결잭(60a)을 완전히 당겨 링크부재(200)를 최대한 신장시킨 상태에서, (c)와 같이 통신단말기용 연결잭(60a)을 회전시켜 그의 접속구(62a)를 음향기기용 연결잭(60)의 접속단자(62)에 (d)와 같이 결합시킨다. 이때에는 두 개의 가이드핀(63)(63a)이 각각 링크부재(200)의 걸림홈(204)과 걸림홈(203)에 탄성적으로 구속되어 접속상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통신단말기용 연결잭(60a)을 사용하던 중 음향기기용 연결잭(60)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한 동작의 역순으로 즉, 도 6의 (d)로부터 (a)까지 진행하는 과정중 (b)의 과정에서 멈추고 음향기기용 연결잭(60)을 해당 음향기기에 접속하여사용하거나, 혹은 (b)의 상태에서 통신단말기용 연결잭(60a)을 음향기기용 연결잭(60)의 접속단자(62)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놓고 음향기기에 접속하거나, 혹은 (d)로부터 (a)까지의 동작을 취한 다음 휴대폰용 연결잭(60a)을 음향기기용 연결잭(60)의 접속단자(62) 반대방향으로 적당히 회전시켜 놓는 등의 방법으로 하여 음향기기용 연결잭(60)을 사용할 수 있다.
첨부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용도 이어폰 장치로 카세트를 청취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카세트(300)는 외투의 안주머니에 넣은 상태로 도시한 것이다.
케이스(2)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클립부재(110)가 갖추어져 있는 바, 전술한 동작과정을 통하여 코드선(61)(71)(81)의 길이를 적절한 길이로 인출한 상태에서 상기 클립부재(110)를 외투의 깃이나 와이셔츠의 가슴주머니 등 적절한 위치에 편리하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한편, 코드선(61)(71)(81)의 길이를 각각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카세트 청취시 코드선이 늘어지거나 행동에 방해를 주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여 사용할 수 있다.
첨부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용도 이어폰 장치로 휴대폰 통화를 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휴대폰 통화시에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통신단말기용 연결잭(60a)을 음향기기 연결잭(60)의 접속단자(62)에 결합시켜 사용한다.
이 경우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집게부재(120)를 사용하면 매우 편리하게 통화할 수 있다. 즉, 휴대폰 통화시에는 마이크로폰(82)이 설치된 스피커폰(80)의 코드선(81)을 마이크로폰이 없는 스피커폰(70)의 코드선(71)에 도면과 같이 사용자의 입부분에 위치시킨 다음 집게부재(200)로 고정하면 마이크로폰(82)이 있는 스피커폰(80)을 들지 않고도 편리하게 통화할 수 있다. 휴대폰에 착신되어 벨이 울리면 통화스위치(83)를 누름으로써 마이크로폰(82)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통화가 끝난 후에도 이와 동일한 상태를 계속유지하면서 수신대기를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이어폰 장치는 스피커폰측 코드선과 연결잭측 코드선을 독립적으로 인출할 수 있으므로 통신단말기이나 음향기기의 휴대위치에 따라 편리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고 코드선의 늘어짐도 방지할 수 있으며, 케이스의 위치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 장치는 통신단말기용 연결잭과 음향기기용 연결잭이 같이 구비되면서 이들을 분리/결합할 수 있으므로 통신단말기와 음향기기를 사용전환하는데 매우 편리하다.

Claims (11)

  1. 하부커버(10)와 상부 커버(20)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며, 측면 3곳에 코드선 통과 구멍(11)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10);
    상기 각 코드선 통과 구멍(11)에 대응하여 케이스(10)의 내측에 회전불가하게 고정되는 3개의 도전성 고정축(30);
    상기 3개의 고정축(30)중 하나로부터 나머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내장 코드선(40);
    상기 각 고정축(3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됨과 동시에 스파이럴 스프링(4)에 의하여 일방향으로 회전되려는 힘이 부여되며, 측방으로 상기 케이스(10)의 각 구멍(11)에 대응한 코드선 통과 구멍(53)이 형성되어 있는 보빈(50);
    상기 케이스(10)의 각 구멍(11)과 각 보빈(50)의 구멍(53)을 통과한 코드선(40)의 단부가 해당 도전성 고정축(30)의 외주연에 각각 미끄럼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해당 보빈(50)의 회전에 의하여 권취되거나 인출되는 음향기기 연결잭(60) 및 좌,우 스피커폰(70)(80); 및
    상기 케이스(10)의 중앙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조작함에 따라 상기 보빈(50)의 회전을 단속하는 제동수단(9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이어폰 장치.
  2. 측면 3곳에 코드선 통과 구멍(11)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 구멍(11)에 대응하는 내측 바닥에 고정홈(12)이 형성되고, 이 고정홈(12)의 둘레에 환형 가이더(13)가 돌출된 하부커버(10);
    상기 하부커버(10)에 결합되면서, 그 내측면에 상기 각 환형가이더(13)와 마주보는 원형돌부(21)가 형성되고, 이 원형돌부(21)의 중앙에 상기 하부커버(10)의 고정홈(12)에 대응한 결합홈(22)이 형성된 상부커버(20);
    상기 하부커버(10)의 고정홈(12)과 상부커버(20)의 결합홈(22)에 각각 양단이 회전불가하게 고정되며, 그 중간 원주둘레로 요홈(32)이 형성된 3개의 도전성 고정축(30);
    상기 3개의 도전성 고정축(30)중 하나로부터 나머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내장 코드선(40);
    몸통의 중간에 상기 각 도전성 고정축(30)이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통공(51)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축(30)의 요홈(32)에 대응한 몸통의 외주연에 각 코드선이 권취되는 권취요홈(52)이 형성되며, 이 권취요홈(52)의 일측방으로 코드선 통과용 구멍(53)이 형성되고, 몸통의 하단에 상기 하부커버(10)의 환형가이더(13)에 미끄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원통부(54)가 형성되며, 몸통의 상단에 상기 상부커버(20)의 원형돌부(21)에 미끄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원통부(55)가 형성된 보빈(50);
    상기 보빈(50)의 상측 원통부(55)내에 장입되어서 양단이 각각 원통부(55)와 상기 고정축(30)에 고정되어 상기 보빈(50)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려는 탄력을 제공하는 스파이럴스프링(4);
    상기 케이스(10)의 각 구멍(11)과 각 보빈(50)의 구멍(53)을 통과한 코드선(61)(71)(81)의 단부가 해당 도전성 고정축(30)의 외주연에 각각 미끄럼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해당 보빈(50)의 회전에 의하여 보빈(50)의 권취요홈(52)에 권취되거나 인출되는 음향기기 연결잭(60) 및 좌,우 스피커폰(70)(80); 및
    상기 보빈(50)에 마찰 및 마찰해제가능하게 접촉되어 보빈(50)의 회전을 단속하는 제동수단(9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이어폰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기기 연결잭(60)측에 통신단말기에 연결하기 위한 통신단말기 연결잭(60a)이 병설되고, 상기 좌,우 스피커폰(70)(80)중 하나에는 통신단말기 통화를 위한 마이크로폰(82)과 통화스위치(83)가 병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이어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통신단말기 통화시, 상기 좌,우 스피커폰(70)(80) 중 상기 마이크로폰(82)이 설치된 스피커폰의 코드선을 다른 하나의 스피커폰측 코드선에 임시 고정시키기 위한 집게부재(12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이어폰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단말기 연결잭(60a)은 코드선이 없는 형태를 갖추어 통신단말기 접속단자(61a) 반대측에 상기 음향기기용 연결잭(60)의 접속단자(62)가 접속되기 위한 접속구(62a)가 형성되고,
    상기 음향기기용 연결잭(60)의 측면과 통신단말기 연결잭(60a) 측면에 각각 가이드핀(63)(63a)이 돌설되며,
    상기 가이드핀(63)(63a)에는, 통신단말기용 연결잭(60a)과 음향기기용 연결잭(60)의 접속을 위한 운동범위 이상의 길이를 갖추어 상기 가이드핀(63)(63a)이 슬라이딩 결합되는 장홈(201)이 형성되고 이의 장홈(201)에 상기 통신단말기 연결잭(60a)이 음향기기 연결잭(60)의 상면에 안착되는 위치에서 각각의 가이드핀(63)(63a)이 탄성적으로 삽입되기 위한 걸림홈(202)(203)이 형성되며 상기 음향기기 연결잭(60)에 통신단말기 연결잭(60a)을 접속시킨 위치에서 음향기기 연결잭(60)측의 가이드핀(63)이 탄성적으로 삽입되기 위한 걸림홈(204)이 형성된 링크부재(200)가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이어폰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폰(82) 및 통화스위치(83)는 상기 좌,우측 스피커폰(70)(80)중 하나의 몸체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이어폰 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수단은,
    상기 각 보빈(50)의 일측에 마찰접촉하는 마찰판(92)을 갖추고, 이 마찰판(92)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케이스(2)의 일측으로 노출되는 누름부(93)를 갖추어, 상기 3개의 보빈(50)들 사이의 공간 중심에서 상기 마찰판(92)이 상기 각 보빈(50)에 마찰 및 마찰해제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동버튼(91); 및
    이 제동버튼(91)의 마찰판(92)이 상기 각 보빈(50)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탄발가압하는 탄력가압부재(1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이어폰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판(92)에는 상기 각 보빈(50)과 용이한 마찰을 위한 마찰패드(95)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이어폰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패드(95)는 고무 또는 플라스틱 중 선택된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이어폰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버튼(91)의 마찰판(92)은 상기 각 보빈(50)의 상측에 형성된 원통부(55) 하면에 접촉하도록 배치됨과 아울러 제동버튼(91)의 누름부(93)는 상부커버(20)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마찰판(92)의 하면으로부터 슬라이딩축(94)이 연장되어 하부커버(10)에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탄력가압부재(100)는 압축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상기 마찰판(92)과 하부커버(10) 사이에 개재되는 상태로 상기 슬라이딩축(94)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이어폰 장치.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2)의 일측에는 클립부재(110)가 갖추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이어폰 장치.
KR10-2001-0028999A 2001-05-25 2001-05-25 다용도 이어폰 장치 KR1003779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8999A KR100377977B1 (ko) 2001-05-25 2001-05-25 다용도 이어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8999A KR100377977B1 (ko) 2001-05-25 2001-05-25 다용도 이어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0449A KR20020090449A (ko) 2002-12-05
KR100377977B1 true KR100377977B1 (ko) 2003-03-29

Family

ID=27706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8999A KR100377977B1 (ko) 2001-05-25 2001-05-25 다용도 이어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79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0052B1 (ko) * 2007-08-17 2009-04-09 박이한 만능 이어폰
KR101219250B1 (ko) * 2011-04-15 2013-01-09 조준규 케이스 일체형 이어폰
KR102039926B1 (ko) * 2017-08-09 2019-11-04 이준성 케이블 정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0449A (ko) 2002-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9244B1 (ko) 자동 감김 장치를 적용한 이어셋
US8265324B2 (en) Stereo headset with integrated earpiece mount
KR20060032593A (ko) 헤드셋 와이어
KR100377977B1 (ko) 다용도 이어폰 장치
KR101374349B1 (ko) 휴대용 단말기를 위한 이어폰 수납장치
US20070149264A1 (en) Buckle phone
KR100495468B1 (ko) 이어 마이크 세트에 적용되는 와이어 권취장치
KR100465808B1 (ko) 목걸이형 릴타입 이어 마이크
KR100329217B1 (ko) 휴대폰용 핸즈프리장치
KR100809548B1 (ko) 무선 헤드셋
KR20010025997A (ko) 이어폰이 수납된 핸즈프리장치
KR200181930Y1 (ko) 휴대폰용 권취릴형 핸드프리 이어폰
KR200200254Y1 (ko) 휴대폰용 이어-마이크로폰장치
KR200303872Y1 (ko) 목걸이형 릴타입 이어 마이크 세트
KR101218822B1 (ko) 블루투스 헤드셋
KR200178343Y1 (ko) 이어 마이크 세트
WO2005055642A2 (en) Flat compact-type earphone line case, reel assembly thereof, and method for connecting earphone line to jack line
KR20000024290A (ko) 핸즈프리가 인출가능하게 내장된 핸드폰
CN212177474U (zh) 一款可免提通话的挂脖风扇
KR200277453Y1 (ko) 휴대용 오디오 기기의 거치구조
WO2003043296A1 (en) Cable winder for a telephone set
KR200272060Y1 (ko) 이어마이크폰
KR20060118645A (ko) 이어폰전선 자동감개
GB2351485A (en) Storage device for an electrical cable having an earpiece
KR200202262Y1 (ko) 휴대폰의 가청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