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0052B1 - 만능 이어폰 - Google Patents

만능 이어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0052B1
KR100890052B1 KR1020070082849A KR20070082849A KR100890052B1 KR 100890052 B1 KR100890052 B1 KR 100890052B1 KR 1020070082849 A KR1020070082849 A KR 1020070082849A KR 20070082849 A KR20070082849 A KR 20070082849A KR 100890052 B1 KR100890052 B1 KR 1008900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earphone
speaker
reel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2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8416A (ko
Inventor
박이한
박성식
Original Assignee
박이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이한 filed Critical 박이한
Priority to KR1020070082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0052B1/ko
Publication of KR20090018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84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0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00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엠피쓰리(MP3), 휴대폰 등의 음향관련 정보기기와 함께 사용하는 이어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유선 이어폰과 무선이어폰을 제시하고 있다. 여러 종류의 잭을 가진 다수 개의 연결플러그가 정보기기들에 연결되고, 분배모듈에서 취합하여 이를 스피커로 송출한다. 무선 이어폰은 접조기기의 음성신호를 분배모듈에서 취합하여 이를 무선통신방식으로 수신부로 송출하고, 수신부에서는 무선통신 신호를 수신하여 음성신호로 복원하고, 이를 스피커를 통하여 사람이 들을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인 이어폰은 케이블이 케이스의 내부에 감겨있거나 아예 케이블이 없어서 케이블이 서로 엉키는 일이 없어서 사용과 취급이 편리하다. 또한, 이 이어폰은 다수 기종과 다수 모델에 연결될 수 있는 다양한 연결플러그를 구비하여, 다양한 음향관련 정보기기에 사용할 수 있고, 한꺼번에 여러 개의 정보기기들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어폰, 핸드폰, 엠피쓰리, 케이블, 릴, 무선, 유선, 근거리통신

Description

만능 이어폰{Universal Earphone}
본 발명은 엠피쓰리(MP3), 휴대폰 등의 음향관련 정보기기와 함께 사용하는 이어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자세하게는 이어폰의 케이블이 자동으로 감겨 케이스의 내부에 수납되고 엠피쓰리, 휴대폰 등의 정보기기를 다수 대 동시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어폰에 관한 것이다.
이어폰(Earphone)은 엠피쓰리(MP3), 휴대폰, 휴대용 카세트녹음기 등의 음향관련 정보기기에 광범위하게 사용되는데, 통상의 이어폰은 긴 케이블의 양단에 연결플러그와 사람의 귀에 장착할 수 있는 스피커가 각각 부착되어 있는 형상이다.
현재 시판되고 있는 음향관련 정보기기들은 종류와 기종에 따라 이어폰의 연결플러그가 삽입되는 소켓이 아주 다양하여 개별 기기마다 각각 별도의 이어폰이 필요한 실정이다. 그리고 이어폰의 케이블은 약 1미터에 달하는데, 보관 또는 휴대과정에서 엉키는 일이 잦아 사용이 아주 불편하다. 특히 여러 종류의 기기에 사용되는 다수개의 이어폰을 동시에 휴대하고 사용하려면 상기와 같은 불편은 한층더 가중된다.
상기와 같은 이어폰의 사용상의 불편을 해소하는 만능 이어폰은, 다양한 종류와 다양한 모델의 정보기기에 연결될 수 있어야 하고, 평소에는 케이블이 외부로 길게 노출되지 않고 있다가 사용할 때만 신장시켜 사용할 수 있거나, 아예 케이블이 없는 이어폰이어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한 이어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유선 이어폰과 무선이어폰을 제시하고 있다.
유선 이어폰은 다수 기종의 정보기기들에 연결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연결플러그와 사람의 귀에 장착되는 하나의 스피커를 구비하고, 각 연결플러그와 스피커에 연결된 케이블들은 몸체 내부에 구비된 릴(Reel)에 감겨있다가 사용시에만 신장시켜 사용할 수 있게 하였으며, 연결플러그와 스피커의 케이블들은 모두 분배모듈에 연결되는 구성을 취하였다.
무선이어폰은 이어폰을 송신부와 수신부로 분리하고, 송신부에 다양한 종류의 연결플러그를 구비하여 다양한 종류의 정보기기를 다수 개를 연결할 수 있게 하고, 각각의 정보기기에서 송출되는 음성신호를 분배모듈에서 취합하여 이를 무선통신방식으로 수신부로 송출한다, 수신부에서는 상기 송신부에서 송신한 무선통신 신 호를 수신하여 음성신호로 복원하고, 이를 스피커를 통하여 사람이 들을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인 이어폰은 케이블이 케이스의 내부에 감겨있거나 아예 케이블이 없어서 케이블이 서로 엉키는 일이 없어서 사용과 취급이 편리하다.
또한, 이 이어폰은 다수 기종과 다수 모델에 연결될 수 있는 다양한 연결플러그를 구비하여, 다양한 음향관련 정보기기에 사용할 수 있고, 한꺼번에 여러 개의 정보기기들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여러 개의 이어폰을 가지고 다닐 필요가 없고, 하나의 정보기기를 이용하는 중에 간단한 스위치 조작으로 다른 종류의 정보기기를 바로 이용할 수 있어 편리하다.
본 발명인 이어폰은 유선방식과 무선방식이 있는데, 먼저 유선방식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유선방식 이어폰은 도 1의 외형 사시도와 도 2의 구성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10), 스피커(20, 이에 연결된 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칭한다.), 다수 종류의 연결플러그(30, 이에 연결된 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칭한다.), 다수 개의 케이블 릴(40), 분배모듈(50), 그리고 제어모듈(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사용상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표시부(70), 외부스피커(80), 라디오모듈(90) 등 부수 구성품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케이스(10)는 이어폰의 각종 구성품을 내부에 수납하고 있고, 외면에는 조작, 표시, 그리고 사용에 필요한 구성품들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게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스피커(20)는 통상의 이어폰의 스피커와 동일하게 사람의 귀에 꽂거나 귀의 외부에 장착하는 1개 또는 2개의 발성부(21)와, 상기 발성부(21)에 연결되는 스피커케이블(22)로 구성되는데, 스피커케이블(22)의 끝단은 하기 스피커케이블 릴(40)에 고정되어 감겨있다.
연결플러그(30)는 통상의 이어폰의 연결플러그와 동일하게 엠피쓰리, 휴대폰, 휴대용 카세트녹음기 등의 음향관련 정보기기(이하, 이들을 "정보기기"로 약칭한다.)들의 출력단자에 꽂을 수 있는 잭(31)과, 상기 잭(31)에 연결되는 플러그케이블(32)로 구성되는데, 플러그케이블(32)의 끝단은 하기 플러그케이블 릴(40)에 고정되어 감겨있다. 잭(31)이 삽입되어 연결되는 정보기기의 출력단자는 기기의 종류와 모델에 따라서 형상과 크기가 다양한데, 본 연결플러그(30)는 이와 같이 다양한 정보기기의 출력단자에 결합할 수 있도록 형상이 각각 다른 잭(31)을 다수 개 구비한다.
케이블 릴(40)은 스피커케이블(22)과 플러그케이블(32)을 감고 있는 것으로서, 중앙에 케이스(10)에 축구멍이 있어서 회전할 수 있고 양측에 플랜지가 있어서 케이블을 감을 수 있는 릴(41), 릴(41)의 축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는 회전축(42), 상기 릴(41)의 축구멍과 회전축(42)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일 단은 릴(41)에 고정되고 타단은 회전축(42)에 고정되는 태엽스프링(43), 풀림버튼(43), 래칫스토퍼(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릴(41)에 감겨있는 케이블을 당기면 케이블이 릴(41)에서 풀려나오고, 당기기를 중단하면 래칫스토퍼(44)에 의하여 케이블이 풀린 상태에서 고정된다. 그리고 풀림버튼(43)을 작동하면 케이블을 고정하고 있는 래칫스토퍼(44)가 케이블을 놓아주고, 태엽스프링(43)에 의하여 릴(41)이 회전을 하여 케이블(22, 32)을 릴(41)에 자동으로 감아준다. 이와 같은 케이블 릴은 줄자 등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과 구조와 원리가 동일하다.
케이블 릴(40)은 상기와 같이 태엽스프링(43), 풀림버튼(43), 그리고 래칫스토퍼(44)를 구비하여 케이블(22, 32)을 릴(41)에 자동으로 감기게 하는 대신에, 릴(41)의 축에 케이스(10)의 외부로 돌출되는 노브(Knob)노브를 부착하여 수동으로 케이블을 감을 수 있도록 하면 제조비용이 절감된다.
분배모듈(50)은 다수 개의 연결플러그(30)로부터 유입된 정보기기의 음성신호 중 하나를 선택하여 스피커(20)로 송출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입력단은 상기한 다수 개의 연결플러그(30)와 연결되고, 이 분배모듈(50)의 출력단은 제어모듈(60)에 연결된다. 분배모듈(50)은 잭전환스위치(51)의 조작에 의하여 입력단에 연결된 다수 개의 정보기기 중 어느 하나의 음성신호를 선택하여 출력단으로 송출한다. 분배모듈(60)에는 케이스(10)에 부착된 것으로서 공중파 라디오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라디오모듈(90)을 함께 연결할 수도 있다.
제어모듈(60)은 상기 분배모듈(50)에서 선택되어 출력단으로 송출된 음성신 호를 스피커(20) 또는 케이스(10)에 부착된 외부스피커(80)으로 송출한다. 제조비용을 절감하기 위하여 이 제어모듈(60)은 단순히 분배모듈(50)과 스피커(20)를 연결하는 방식으로 구성할 수도 있으나, 내부에 신호증폭기를 구비하고, 부수적으로 배터리(61), 볼륨스위치(62), 전원스위치(63) 등을 구비하여 스피커로 들리는 음의 크기인 볼륨을 조정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전원을 끌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좋다.
상기한 구성만으로 본 발명인 이어폰은 기본적인 기능을 발휘할 수 있으나, 사용의 편의를 위하여 작동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70), 스피커(20)를 사용하지 않고 음을 들을 수 있게 하는 외부스피커(80), FM/AM의 공중파 라디오방송을 수신하여 들을 수 있는 라디오모듈(90)을 부수적으로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표시부(70)와 외부스피커(80)는 제어모듈(60)에 연결되고, 라디오모듈(90)은 분배모듈(50)에 연결하면 된다. 외부스피커(80)은 별도의 스위치를 구비하여 사용하지 않을 때는 외부스피커를 끌 수 있게 하여야 한다.
무선방식 이어폰은 도 3의 구성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보기기와 연결되어 수신한 음성신호를 무선으로 송출하는 송신부(100)와 상기 송신부에서 송출된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들을 수 있게 하는 수신부(200)으로 구성된다.
송신부(100)는 상기 유상방식 이어폰과 동일한 구성이나, 스피커(20)와 스피커케이블(22)을 감는 케이블 릴(40)이 없는 대신에, 제어모듈(60)로부터 받은 음성신호를 무선으로 송출하는 기능을 가진 무선송신부(110)를 구비한 송신부(100)를 추가로 구비한다.
수신부(200)는 유선방식 이어폰의 스피커(20)와 동일한 스피커(20-1)와, 상기 송신부(100)의 무선송신부(110)로부터 송출된 무선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무선수신부(210), 무선수신부(210)에서 수신한 무선신호를 다시 원래의 음성신호로 복구하는 복구모듈(220), 그리고 상기 각 구성품을 내장하고 있는 케이스(230)로 구성된다.
수신부(200)의 복구모듈(220)은 무선신호에서 음성신호를 검파해 내는 검파회로와 음성신호를 증폭하는 증폭회로를 구비하고, 이에 필요한 전기를 공급하는 베터리(221)와 스피커로 들리는 음의 크기를 조정하는 볼륨스위치(222) 그리고 전원스위치(223)를 구비한다.
상기 무선방식의 이어폰은 상기한 바와 같이 무선방식과 동일하게 송신부(100)에 잭전환스위치(51)을 두어 송신부에서 듣기를 원하는 정보기기를 선택할 수 있지만, 잭전환스위치(224)를 수신부(200)에도 설치하여 잭전환신호를 무선으로 송신부로 송출하여 정보기기를 선택할 수 있게 하는 것이 편리하다.
본 무선방식의 이어폰에 사용되는 무선통신은 블루트스, RF 통신,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의 근거리 통신방법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무선통신 기술은 최근에 각종 데이터 통신으로 널리 사용되는 기술로서, 이 분야에서 보통의 기술을 보유한 자가 쉽게 구현할 수 있다.
유선방식 이어폰은 다음과 같이 사용한다.
케이스(10)의 외부로 노출된 연결플러그(30)를 필요한 길이만큼 뽑아 정보기기에 잭(31)을 꽂아 정보기기와 연결한다. 연결플러그(30)를 적당한 힘을 가하여 당기면 케이블 릴(40)에서 케이블(31)이 풀려나오고, 당기기를 중단하면 케이블은 레칫스토퍼(44)에 의하여 그 길이에서 정지한다. 그 다음 스피커(20)를 필요한 길이만큼 뽑아 발성부(21)를 귀에 장착한다. 그 다음 정보기기를 작동하고, 전원스위치(63)를 켜고, 원하는 정보기기를 잭전환스위치(51)로 선팩하고, 볼륨스위치(62)로 귀로 들리는 소리의 크기를 조정한다. 만약 귀에 스피커(20)를 장착하지 않고 소리를 들을 때는 스피커(20)를 뽑지 않고, 외부스피커(80)을 켜고 소리를 듣는다.
본 이어폰의 사용이 끝나면, 전원스위치(63)를 끄고 정보기기에서 잭(31)을 뽑고, 풀림버튼(43)을 작동하여 스피커(20)와 연결플러그(30)의 케이블이 케이스(10) 내부의 케이블 릴(40)에 감기게 한다.
유선방식 이어폰의 경우, 케이스(10)를 정보기기들과 함께 호주머니 또는 가방 속에 넣어두고, 스피커를 길게 뽑아 사용하거나, 케이스를 목에 걸고, 연결플러그(30)를 길게 뽑아 가방 또는 주머니 속의 정보기기들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무선방식 이어폰은 다음과 같이 사용한다.
송신부(100)의 연결플러그(30)를 필요한 길이만큼 뽑아 정보기기에 잭(31)을 꽂아 정보기기와 연결하고, 정보기기를 작동하고, 전원스위치(63)를 켠다. 그 다음 수신부(200)의 스피커(20-1)를 필요한 길이만큼 뽑아 발성부(21)를 귀에 장착하고, 전원스위치(223)을 켜고 볼륨스위치(222)로 귀로 들리는 소리의 크기를 조정한다.
무선방식 이어폰의 경우, 송신부는 정보기기들과 함께 호주머니 또는 가방 속에 넣어두고, 수신부는 목에 걸고 사용하면 편리하다.
본 발명인 만능 이어폰은 엠피쓰리 핸드폰 등의 정보기기를 편리하게 사용하는데 이용된다.
도 1은 유선방식 만능 이어폰의 외형 사시도이다.
도 2는 유선방식 만능 이어폰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무선방식 만능 이어폰의 송신부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무선방식 만능 이어폰의 수신부의 구성도이다.
하기 구성품들을 장착하고 있는 케이스(10);
※ 중요 구성품 번호
10 : 케이스,
20, 20-1 : 스피커, 21 : 발성부, 22 : 스피커케이블,
30 : 연결플러그, 31 : 잭, 32 : 플러그케이블,
40 : 케이블 릴, 41 : 릴, 42 : 회전축, 43 : 태엽스프링,
44 : 래칫스토퍼, 45 : 풀림버튼,
50 : 분배모듈, 51 : 잭전환스위치,
60 : 제어모듈, 61 : 베터리, 62 : 볼륨스위치, 63 : 전원스위치,
70 : 표시부, 80 : 외부스피커, 90 : 라디오모듈,
100 : 송신부, 110 : 무선송신부,
200 : 수신부, 210 : 무선수신부, 211 : 베터리, 222 : 볼륨스위치,
223 : 전원스위치, 224 : 잭전환스위치, 230 : 케이스

Claims (6)

  1. 하기 구성품들을 장착하고 있는 케이스(10);
    통상의 이어폰의 스피커와 동일하고, 사람의 귀에 꽂거나 귀의 외부에 장착하는 1개 또는 2개의 발성부(21)와, 상기 발성부(21)에 연결되는 스피커케이블(22)로 구성되는 스피커(20);
    통상의 이어폰의 연결플러그와 동일하고, 정보기기의 출력단자에 꽂을 수 있는 잭(31)과, 상기 잭(31)에 연결되는 플러그케이블(32)로 구성되는 다수개의 연결플러그(30);
    상기 케이스(10)에 장착되어, 상기 스피커케이블(22)과 플러그케이블(32)가 감기는 것으로서, 양측에 플랜지가 있어서 케이블을 감을 수 있는 릴(41), 상기릴(41)의 축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는 회전축(42), 그리고 상기 릴(41)의 축에 케이스(10)의 외부로 돌출되는 노브(Knob)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수동으로 케이블을 감을 수 있도록 하는 수동방식, 또는 상기 노브(Knob) 대신에 릴(41)의 축구멍과 상기 회전축(42)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일단은 릴(41)에 고정되고 타단은 회전축(42)에 고정되는 태엽스프링(43), 케이블을 풀린 상태로 고정하는 래칫스토퍼(44), 그리고 상기 래칫스토프의 작동을 해제하는 풀림버튼(43)을 구비하여, 자동으로 케이블을 감을 수 있도록 하는 자동방식인, 다수개의 케이블 릴(40);
    입력단은 상기 다수 개의 연결플러그(30)와 연결되고, 출력단은 하기 제어모 듈(60)에 연결되며, 다수 개의 연결플러그(30)로부터 유입된 정보기기의 음성신호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잭전환스위치(51)를 구비한 분배모듈(50);
    그리고, 상기 분배모듈(50)에서 선택되어 출력단으로 송출된 음성신호를 스피커(20) 또는 케이스(10)에 부착된 외부스피커(80)으로 송출하는 기능을 하는 제어모듈(6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유선방식의 만능 이어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60)은, 내부에 신호증폭기를 구비하고, 배터리(61), 볼륨스위치(62), 그리고 전원스위치(63)를 추가로 구비하여, 스피커(20)로 들리는 음의 볼륨을 조정할 수 있고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전원을 끌 수 있는 제어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선방식의 만능 이어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만능 이어폰은,
    제어모듈(60)에 연결되어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70), 제어모듈(60)에 연결되어 스피커(20)를 사용하지 않고 음을 들을 수 있게 하는 외부스피커(80), 그리고 분배모듈(50)에 연결되어 공중파 라디오방송을 수신하여 들을 수 있는 라디오모듈(90)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선방식의 만능 이어폰.
  4. 하기 구성품들을 장착하고 있는 케이스(10);
    통상의 이어폰의 연결플러그와 동일하고, 정보기기의 출력단자에 꽂을 수 있는 잭(31)과, 상기 잭(31)에 연결되는 플러그케이블(32)로 구성되는 다수개의 연결플러그(30);
    상기 케이스(10)에 장착되어, 상기 플러그케이블(32)이 감기는 것으로서, 양측에 플랜지가 있어서 케이블을 감을 수 있는 릴(41), 상기릴(41)의 축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는 회전축(42), 상기 릴(41)의 축구멍과 상기 회전축(42)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일단은 릴(41)에 고정되고 타단은 회전축(42)에 고정되는 태엽스프링(43), 케이블을 풀린 상태로 고정하는 래칫스토퍼(44), 그리고 상기 래칫스토프의 작동을 해제하는 풀림버튼(4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다수개의 케이블 릴(40);
    입력단은 상기 다수 개의 연결플러그(30)와 연결되고, 출력단은 하기 제어모듈(60)에 연결되며, 다수 개의 연결플러그(30)로부터 유입된 정보기기의 음성신호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잭전환스위치(51)를 구비한 분배모듈(50);
    상기 분배모듈(50)에서 선택되어 출력단으로 송출된 음성신호를 하기 무선송신부(110)로 송출하는 제어모듈(60);
    그리고, 상기 제어모듈(60)에서 출력단으로 송출된 음성신호를 무선으로 송출하는 기능을 가진 무선송신부(11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송신부(100)와:
    통상의 이어폰의 스피커와 동일하고, 사람의 귀에 꽂거나 귀의 외부에 장착 하는 1개 또는 2개의 발성부(21)와, 상기 발성부(21)에 연결되는 스피커케이블(22)로 구성되는 스피커(20-1);
    상기 송신부(100)의 무선송신부(110)로부터 송출된 무선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무선수신부(210);
    상기 무선수신부(210)에서 수신한 무선신호를 다시 원래의 음성신호로 복구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베터리(221), 볼륨스위치(222), 그리고 전원스위치(223)를 구비한 복구모듈(220);
    그리고 상기 구성품을 내장하고 있는 케이스(23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수신부(200):
    로 구성되는, 무선방식의 만능 이어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만능 이어폰은,
    제어모듈(60)에 연결되어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70), 제어모듈(60)에 연결되어 직접 음을 들을 수 있게 하는 외부스피커(80), 그리고 상기 분배모듈(50)에 연결되어 공중파 라디오방송을 수신하여 들을 수 있는 라디오모듈(90)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방식의 만능 이어폰.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200)는 잭전환스위치(224)를 추가로 구비하여, 수신부(200)에서 잭전환신호를 무선으로 송신부로 송출하여 듣고자하는 정보기기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방식의 만능 이어폰.
KR1020070082849A 2007-08-17 2007-08-17 만능 이어폰 KR1008900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2849A KR100890052B1 (ko) 2007-08-17 2007-08-17 만능 이어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2849A KR100890052B1 (ko) 2007-08-17 2007-08-17 만능 이어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8416A KR20090018416A (ko) 2009-02-20
KR100890052B1 true KR100890052B1 (ko) 2009-04-09

Family

ID=40686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2849A KR100890052B1 (ko) 2007-08-17 2007-08-17 만능 이어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005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59877A (ja) 1998-07-21 2000-02-25 Cotron Corp イヤホンコード収納ケース
KR20020090449A (ko) * 2001-05-25 2002-12-05 송경조 다용도 이어폰 장치
KR20060061679A (ko) * 2004-12-02 2006-06-0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이동전화 단말기의 다용도 무선 이어폰 장치 및 방법
KR100733485B1 (ko) 2006-11-08 2007-06-28 (주)융스그룹 유에스비 커넥터 내장된 이어폰형 에프엠 트랜스미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59877A (ja) 1998-07-21 2000-02-25 Cotron Corp イヤホンコード収納ケース
KR20020090449A (ko) * 2001-05-25 2002-12-05 송경조 다용도 이어폰 장치
KR20060061679A (ko) * 2004-12-02 2006-06-0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이동전화 단말기의 다용도 무선 이어폰 장치 및 방법
KR100733485B1 (ko) 2006-11-08 2007-06-28 (주)융스그룹 유에스비 커넥터 내장된 이어폰형 에프엠 트랜스미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8416A (ko) 2009-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09064B2 (en) Music reproduction apparatus, audio player, and headphone
KR100659506B1 (ko) 휴대용 전자기기의 외장형 스피커시스템 및 이를 위한 무선수신팩
US20130094660A1 (en) Hands-free mobile audio device for wirelessly connecting an electronic device with headphones for transmitting audio signals therethrough
US20070230735A1 (en) Selective type headset
US20100273421A1 (en) Electrical accessory configured to transmit electrical signals between a first electrical device, a second electrical device and a third electrical device and a method of providing and using the electrical accessory
CN201123116Y (zh) 耳机线自动收放装置
US20030036414A1 (en) Wireless earphone set
CN104796816A (zh) 一种自动开关的wifi智能音箱
US20180270557A1 (en) Wireless hearing-aid circumaural headphone
KR100890052B1 (ko) 만능 이어폰
KR200444074Y1 (ko) 블루투스 통신장치
GB2352710A (en) Cable receptacle for microphone and/or speaker cable
CN201413922Y (zh) 可插拔天线及音频转接装置
KR101826083B1 (ko) 와이어 자동 감김 기능을 갖는 목걸이형 블루투스 이어폰
US2003014878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an external audio system with a communication device
KR100804745B1 (ko) 복합 기능을 갖는 외장형 스피커
CN104811850A (zh) 一种基于wifi的智能音箱
KR20000056051A (ko) 휴대용 디지털오디오데이터 재생기 겸용 휴대폰
JP2006086746A (ja) ヘッドセット装置
CN219395027U (zh) 带外放喇叭的无线音频接收器
JP3173995U (ja) デジタルワイヤレス送受信機
WO2001050630A1 (en) Close range wireless transceiver apparatus
US20070280488A1 (en) Electronic apparatus with earphones also capable of serving as speakers
KR100331133B1 (ko) 귀착탈형 이어폰장치
KR200184857Y1 (ko) 핸드폰 호출기능내장형 이어폰 어댑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