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5458Y1 - 차량용 퓨즈 고정 브래킷 - Google Patents

차량용 퓨즈 고정 브래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5458Y1
KR200185458Y1 KR2019950039771U KR19950039771U KR200185458Y1 KR 200185458 Y1 KR200185458 Y1 KR 200185458Y1 KR 2019950039771 U KR2019950039771 U KR 2019950039771U KR 19950039771 U KR19950039771 U KR 19950039771U KR 200185458 Y1 KR200185458 Y1 KR 2001854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e
base portion
vehicle
mounting member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397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6484U (ko
Inventor
주길부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500397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5458Y1/ko
Publication of KR9700464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64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54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545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Landscapes

  • Fuses (AREA)

Abstract

자동차의 잉여 퓨즈를 보관할 목적으로, 본 고안에서는 차내에 있는 장착부재(1)와, 이 장착부재(1)에 부착되는 베이스부(3)와, 이 베이스부(3)의 양쪽 끝부분에 세워져서 부착되는 지지부(5)와, 상기한 베이스부(3)로부터 세워져서 형성되고 상기한 지지부(5) 사이에 형성되어 있고 안쪽으로 탄성력을 보유하고 있는 클립부(7)를 제공한다.
이러한 브래킷은 정해진 장소에 퓨즈를 보관할 수 있으므로 시간을 절약할 수 있고 효율적이고, 또한 퓨즈 분실의 염려가 없으므로 필요시에 바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능률적이고, 많은 장소에 할해하는 것이 아니므로 더욱 효율적이라는 등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퓨즈 고정 브래킷
제1도는 본 고안의 차량용 퓨즈 고정 브래킷의 사시도.
제2도는 본 도안의 차량용 퓨즈 고정 브래킷이 걸치되는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장착부재 3 : 베이스부
5 : 지지부 7 : 클립부
[산업상 이용분야]
본 고안의 차량용 퓨즈 고정 브래킷에 관한 것으로서, 자동차의 퓨즈를 보관함에 있어서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퓨즈 고정 브래킷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일반적으로, 퓨즈는, 전압을 가한 전선의 절연 피복이 손상되어 속의 전선이 노출하게 되고 이것이 프레임에 접촉하면 부하를 통하지 않고 전원이 연결되므로 대전류가 흐르게 되는 단락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전선의 화재를 방지하기 위하여, 용융점이 낮은 재료를 사용하여 회로 중에 직렬로 연결하여 전선의 온도가 상승하기 전에 융단되어 회로를 끊는 역할을 한다.
또한, 자동차에는 허용 전류에 맞춘 것이 설치되어 있는 퓨즈들을 모아 놓은 퓨즈 박스를 설치하고 있다.
그래서, 과대한 전류에 의하여 퓨즈가 끊어지면, 자동차의 문제점을 점검한 뒤에 여분의 퓨즈를 사용하여 끊어진 퓨즈를 빼고, 같은 허용 전류인 퓨즈로 교체하여 차량을 다시 운행한다.
[본 고안이 해결하려는 문제점]
그러나, 종래의 여분의 퓨즈를 보관할 때에 보관 장소가 정해져 있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에 여분의 퓨즈를 보관할 경우에 수지 봉지에 넣어서 차량 내부의 적당한 장소 즉 콘솔 박스나 글루브 박스에 넣어 두고, 필요시에 꺼내서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필요할 때에 찾기 위하여 시간을 많이 낭비할 뿐만 아니라, 잃어버리는 문제점이 있다.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고안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자동차에 사용되는 여분의 퓨즈를 용이하게 설치하고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브래킷은 차내에 있는 장착부재와, 이 장착부재에 부착되는 베이스부와, 이 베이스부의 양쪽 끝부분에 세워져서 부착되는 지지부와, 상기한 베이스부로부터 세워져서 형성되고 상기한 지지부 사이에 형성되어 있고 안쪽으로 탄성력을 보유하고 있는 클립부로 구성된다.
[작용]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브래킷은 베이스부를 차내의 퓨즈 박스와 가까운 곳에 설치하고, 보관할 수 있는 퓨즈의 양단을 잡고 퓨즈의 가운데 부분이 클립부에 걸리도록 누르면 된다.
이때, 퓨즈는 안전하게 보관되어 지며, 필요시에 상기한 바의 역순으로 분리하여 사용하면 된다.
즉, 퓨즈의 양단을 손으로 잡고 밖으로 빼면 된다.
[실시예]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브래킷은 원통형 퓨즈를 보관할 수 있는 것이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브래킷은 차내에서 손이 쉽게 닿을 수 있는 장소에 위치하고 있는 장착부재(1)와, 이 장착부재(1)에 볼트나 너트나 접착제로 부착할 수 있는 평판을 보유하고 있는 베이스부(3)를 보유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브래킷은 상기한 베이스부(3)의 양쪽 끝부분에서 위면이 일치하도록 세워져서 부착되는 지지부(5)와, 상기한 베이스부(3)로부터 세워져서 형성되고 상기한 지지부(5) 사이에 형성되어 있고 안쪽으로 탄성력을 보유하고 있는 클립부(7)을 포함한다.
더우기, 상기한 클립부(7)는 양쪽에 평판을 세우고, 안쪽으로 구부려서 둥근 면을 잡을 수 있도록 둥근 면이 되도록 하여 탄성력이 안으로 작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클립부(7)가 잡을 수 있는 퓨즈의 길이 방향에 일치하도록 상기한 지지부(5)의 위면을 배치한다.
이러한 브래킷은 운전자가 쉽게 찾을 수 있는 장소에 설치하고, 여분의 퓨즈의 양단을 손으로 잡고 퓨즈의 가운데 부분이 클립부(7)에 위치하도록 하고, 브래킷의 베이스부(3) 방향으로 누르면, 상기한 클립부(7)는 퓨즈가 삽입될 수 있을 만큼 개방되어 퓨즈의 가운데 부분을 탄성력으로 잡게 된다.
이때, 지지부의 위면에 퓨즈의 양단이 접촉되면서 장착이 완료된다.
필요시에, 즉 퓨즈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 끼우는 역순으로 분리하여 사용하면 된다.
즉, 퓨즈의 양단을 손으로 잡고 상기한 베이스부(3)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상기한 클립부(7)는 퓨즈가 나올 수 있을 만큼 개방되고, 이때 퓨즈를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브래킷은 퓨즈 외에도 전구류를 보관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브래킷을 연속적으로 배치할 경우 여러 가지 여분의 퓨즈와 전구를 보관할 수 있다.
[효과]
운전자가 인지하는 장소에 퓨즈를 보관할 수 있으므로 시간을 절약할 수 있고, 시간을 절약할 수 있으므로 효율적이다.
또한, 퓨즈를 잃어버리지 않으므로 필요시에 바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능률적이고, 많은 장소를 할애하는 것이 아니므로 더욱 효율적이다.

Claims (1)

  1. 차내에 있는 장착부재(1)와, 상기한 장착부재(1)에 부착되는 베이스부(3)와, 상기한 베이스부(3)의 양쪽 끝부분에 세워져서 부착되는 지지부(5)와, 상기한 베이스부(3)로부터 세워져서 형성되고, 상기한 지지부(5) 사이에 형성되어 있고 안쪽으로 탄성력을 보유하고 있는 클립부(7)로 구성되는 차량용 퓨즈 고정 브래킷.
KR2019950039771U 1995-12-11 1995-12-11 차량용 퓨즈 고정 브래킷 KR2001854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9771U KR200185458Y1 (ko) 1995-12-11 1995-12-11 차량용 퓨즈 고정 브래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9771U KR200185458Y1 (ko) 1995-12-11 1995-12-11 차량용 퓨즈 고정 브래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6484U KR970046484U (ko) 1997-07-31
KR200185458Y1 true KR200185458Y1 (ko) 2000-07-01

Family

ID=19432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39771U KR200185458Y1 (ko) 1995-12-11 1995-12-11 차량용 퓨즈 고정 브래킷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545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6484U (ko) 199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03129665A (ru) Плавкий предохранитель
KR200185458Y1 (ko) 차량용 퓨즈 고정 브래킷
US20150325934A1 (en) One-piece fusible battery terminal clamp
KR100205906B1 (ko) 이중 밴드 케이블
KR19990006265U (ko) 하니스 고정구 결합구조
KR100205898B1 (ko) 케이블 및 와이어링 고정용 클립 어셈블리
KR0130805Y1 (ko) 자동차용 레터링 취부기
JPH0356997Y2 (ko)
KR910003723Y1 (ko) 자동차용 퓨즈케이스
KR200144181Y1 (ko) 자동차의 루프 랙 마운틴 취부구조
KR100214961B1 (ko) 자동차용 전선홀더
KR200150403Y1 (ko) 자동차용 배터리 트레이
KR0132937Y1 (ko) 자동차용 배터리 터미널구조
JPH09195765A (ja) コンデンサの取付け構造
KR19980016970U (ko) 자동차용 퓨즈박스의 커버체결구조
JPS6224876Y2 (ko)
JPH11344157A (ja) ワイヤーハーネス用固定具
KR0131122Y1 (ko) 차량의 캐리어 박스 장착용 구조물
KR100205901B1 (ko) 케이블 및 와이어링 고정용 더블 클립 어셈블리
KR19980044148A (ko) 차량용 와이어링 고정용 더블 클립
KR970041974A (ko) 자동차 스페어타이어의 격납구조
KR200160023Y1 (ko) 케이블 및 와이어링 고정용 더블 클립 어셈블리
KR19990048186A (ko) 자동차의 와이어 고정용 스터드 클립
KR970035845A (ko) 자동차의 파워트레인 컨트롤 모듈 고정구조
KR970041984A (ko) 자동차의 스페어타이어의 착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