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5105Y1 - 멀티미디어형 경대 - Google Patents

멀티미디어형 경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5105Y1
KR200185105Y1 KR2019990027962U KR19990027962U KR200185105Y1 KR 200185105 Y1 KR200185105 Y1 KR 200185105Y1 KR 2019990027962 U KR2019990027962 U KR 2019990027962U KR 19990027962 U KR19990027962 U KR 19990027962U KR 200185105 Y1 KR200185105 Y1 KR 2001851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mirror
computer
image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79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환
Original Assignee
이병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환 filed Critical 이병환
Priority to KR20199900279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510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51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510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16Ornamental frames, e.g. with illumination, speakers or decorative features
    • A47G1/0622Ornamental frames, e.g. with illumination, speakers or decorative features with illumination

Landscapes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미용 중의 사용자가 티브이, 브이티알 등의 영상매체의 시청을 조작할 수 있고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면서, 디스플레이를 적절한 위치로 구비시킨 멀티미디어형 경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거울(20)을 달아 세운 경대(1)에 있어서, 상기 거울(20)의 후면에 화면이 위치되도록 설치되어 화상을 재현하는 디스플레이(30)를 갖추고, 상기 거울(20) 중 적어도 상기 디스플레이(30)의 화면 크기에 대응하는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30)의 화면광 발생시에 상기 거울(20) 전방에서 상기 디스플레이(30)의 화상을 시야적으로 관찰할 수 있도록 일방향 투사되는 편광거울(20a)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멀티미디어형 경대{mirror stand}
본 고안은 멀티미디어형 경대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미용 중의 사용자가 티브이, 브이티알 등의 영상매체의 시청을 조작할 수 있고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면서, 디스플레이를 적절한 위치로 구비시킨 멀티미디어형 경대에 관한 것이다.
경대는 거울을 달아 세운 화장대를 말하는 것으로서, 이,미용실과 같은 장소에서는 손님이 자신의 모습을 거울에 비춰볼 수 있는 위치로 설치되며, 미용용구를 올려 놓아 정리하는 선반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 미용의자에 앉는 손님의 정면에는 경대의 거울이 위치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미용실에서 컷트나 퍼머 등을 위해 장시간 동안 미용의자에 앉아 있는 손님은 텔레비전을 시청하거나 음악을 청취하면서 무료함을 해소하는 경우가 많은데, 종래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손님의 정면에 경대의 거울이 위치하므로 손님의 측방이나 거울의 뒤쪽에 텔레비전을 배치하게 되는데, 이는 텔레비전을 시청하는 손님을 불편하게 하는 것이 된다.
종래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텔레비전을 적당히 배치할 장소가 마땅치 않았던 것은 물론이고, 그 이외에 무료함을 해소할 수 있는 고객 지향의 서비스가 특별히 없었던 실정이다.
또한, 종래에는 용모를 가꾸기 위해 미용실을 찾은 고객은 미용 도중에 자신의 뒷모습을 확인할 수 없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은 손님의 무료함을 해소할 수 있는 고객 지향적인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형 경대를 제공함에 목적을 두고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손님이 미용의자에 앉은 상태로 자신의 뒷모습을 확인할 수 있는 수단을 상기 멀티미디어형 경대에 접목하는 데에 두고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경대의 전방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경대의 측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경대 및 주변의 배치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경대 12 : 패널부
14 : 선반부 14a : 기록매체 재생기 수납공간
16 : 지지부 20 : 거울
20a : 편광거울 22 : 글래스
24 : 반사막 26 : 편광필름
30 : 디스플레이 42,44 : 기록매체 재생기
46 : 스위치패널 52 : 키보드랙
62 : 키보드 72 : 미용의자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거울을 달아 세운 경대에 있어서, 상기 거울의 후방에는 거울 후면에 화면이 배치되도록 설치되어 화상을 재현하는 디스플레이를 갖추고, 상기 거울 중 적어도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 크기에 대응하는 영역은 화면 광의 발생시에 상기 거울 전방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상을 시야적으로 관찰할 수 있도록 일방향 투사되는 편광거울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CRT, LCD, EL, PDP 중의 하나가 적용된다.
또한, 상기 거울의 하측 전방부의 경대몸체는 상기 디스플레이로 화상신호를 제공하는 기록매체 재생기를 거울 전방의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위치로 장착하기 위한 기록매체 재생기 수납공간과, 하부에 컴퓨터용 키보드 랙을 구비한 선반부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경대의 전방부 소정위치에는 경대 앞의 미용의자에 앉은 사람의 뒷모습을 촬영하기 위한 컴퓨터용 카메라를 설치하고, 상기 카메라로부터 전송된 화상신호가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재현되도록 상기 카메라, 컴퓨터 및 디스플레이를 연계 구성함으로써 경대 앞에 앉은 사람이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자신의 뒷모습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경대의 전방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경대의 측단면도이고, 도 3 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경대 및 주변의 배치도이다.
도 1 내지 도 3 을 참조하면, 도면부호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경대로서, 경대(1)는 거울(20)을 달아 세워 고정하기 위한 패널부(12), 상기 패널부(12) 하단의 일측에 형성된 선반부(14), 및 상기 패널부(12) 및 선반부(14)를 지지하는 지지부(16)로 이루어지며, 상기 패널부(12)는 전방패널(12a)과 후방패널(12b)로 이루어져 내부로 화상재현용 디스플레이(30)가 내설된 구조이다. 상기 전방패널(12a)은 거울(20)을 부착할 수 있도록 사각테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하면 되고, 거울(20)의 뒷면에 상기 디스플레이(30)의 화면을 밀착되게 배치하면 된다.
상기 거울(20) 중, 상기 디스플레이(30)의 화면에 대응하는 영역은 편광거울(20a)로 구성토록 한다. 상기 편광거울(20a)로 이루어진 영역은, 적어도 디스플레이(30)의 화면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로 되게 하며, 상기 디스플레이(30)의 화면위치 및 시야측의 디렉터를 고려하여 적당한 위치로 배치되게 한다. 상기 거울(20)은 전면 글래스(22) 뒷면에 반사막(24)을 적층하되, 상기 편광거울(20a)로 사용할 부분은 글래스(22) 뒷면에 편광필름(26)을 부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30)는 TV 방송의 수신용 또는 컴퓨터 모니터용의 것으로서, 통상적인 CRT, LCD, EL, PDP, FED 등을 적용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LCD로 적용하고 있다.
또, 상기 거울(20)의 하측 전방부의 경대몸체는 상기 디스플레이(30)로 화상신호를 제공하는 기록매체 재생기(42,44)를 거울(20)을 향해 마주 앉은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위치로 장착하기 위한 수납공간(14a)과, 슬라이딩 진입,인출되는 컴퓨터용 키보드 랙(52)이 구비된 선반부(14)로 이루어진다. 상기 기록매체 재생기(42,44)는 VTR, VCR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아울러, 음성재생을 위한 스피커를 별도로 설치할 수 있다.
장기 키보드 랙(52)에는 키보드(62)를 설치하여 도시 안된 컴퓨터 본체에 연결하고, 컴퓨터 본체의 모니터용 디스플레이(30)로서 상기 LCD를 사용한다. LCD 대신에 CRT를 적용하는 경우 민생용 브라운관이 아닌 공업용 브라운관을 적용하여 컴퓨터와 계합시킨다. 본 고안에 컴퓨터를 포함시키지 않는 경우, 상기 키보드 랙(52)은 필요없고 디스플레이(30)에서 TV 방송의 수신 및 기록매체재생기(42,44)의 화상신호만 재생하도록 구성한다. 부호설명 안된 64는 콘센트이다.
컴퓨터 본체는 지지부(16)의 일측에 설치하거나 사용자로부터 원거리에도 설치가능하다. 컴퓨터의 전원스위치 등은 사용자로부터 근거리 설치의 경우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방향으로 노출되게 설치하며, 원거리 설치의 경우 스위치패널(46)을 두어 별도의 스위치로 연결하여 구성한다.
상기 LCD(30) 및 컴퓨터 본체의 온오프 동작을 위한 스위치(S1,S2) 및 LCD(30)의 휘도 조정을 위한 볼륨(S3) 등을 스위치패널(46) 상에 설치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은 도 3 의 도시와 같이, 상기 경대(1)의 전방부 소정위치에 경대 앞의 미용의자(72)에 앉은 사람의 뒷모습을 촬영하기 위한 컴퓨터용 카메라(PC 카메라;CA)를 설치하고, 상기 카메라(CA)로부터 전송된 화상신호가 상기 디스플레이(30)에서 재현되도록 카메라(CA), 컴퓨터 및 디스플레이(30)를 연계 구성함으로써, 경대(1) 앞의 미용의자(72)에 앉은 사람이 디스플레이(30)를 통해 자신의 뒷모습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카메라(CA)는 경대몸체, 혹은 미용의자에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설치하거나, 미용실의 천장에 부착하여 설치하면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디스플레이(30)의 전면에 배치된 거울 영역이 편광거울(20a)로 구성되므로 디스플레이(30)가 오프된 상태에서 이 편광거울(20a) 영역은 미용의자(72)에 앉은 손님의 시야에 거울로 이용된다. 그러나, 디스플레이(30)를 온시킨 상태에서는 시야가 편광거울 부분의 뒤쪽 디스플레이(30)로 투사되어지므로 미용의자(72)에 앉은 손님은 퍼머나 컷트 등을 하는 도중에 시야를 전방을 편하게 한 상태로 TV 등을 시청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 퍼머나 컷트 등을 하는 손님이 미용의자(72)에 앉은 상태로 선반부(14) 전면에 구비된 버튼스위치(S1,S2,S3)들을 직접 조작하여 TV 방송을 시청하거나 비디오테잎 또는 콤팩트디스크에 수록된 영화 등을 감상할 수 있고, 컴퓨터를 이용하여 게임이나 작업을 할 수 있어 무료함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미용의자(72)에 앉은 상태로 카메라(CA)에 의해 촬영되는 자신의 뒷모습을 편광거울(20a)을 투사되는 디스플레이(20a)의 화상으로 확인할 수 있어 자신의 뒷머리를 마음에 드는 형태로 가꿀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미용실의 손님이 미용의자에 앉아 퍼머나 컷트 등을 하는 상태로 TV 및 비디오를 보거나 컴퓨터를 사용하는 등,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므로 손님의 무료함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손님이 미용의자에 앉은 상태로 자신의 뒷모습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고객 지향적인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거울(20)을 달아 세운 경대(1)에 있어서, 상기 거울(20)의 후면에 화면이 위치되도록 설치되어 화상을 재현하는 디스플레이(30)를 갖추고, 상기 거울(20) 중 적어도 상기 디스플레이(30)의 화면 크기에 대응하는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30)의 화면광 발생시에 상기 거울(20) 전방에서 상기 디스플레이(30)의 화상을 시야적으로 관찰할 수 있도록 일방향 투사되는 편광거울(20a)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형 경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30)는 CRT, LCD, EL, PDP, FED 중의 하나가 적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형 경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울(20)의 하측 전방부의 경대 몸체는 상기 디스플레이(30)로 화상신호를 제공하는 기록매체 재생기(42,44)를 거울(20)을 향해 마주앉은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위치로 장착하기 위한 기록매체 재생기 수납공간(14a)과, 컴퓨터 키보드(62)를 올려놓기 위한 키보드 랙(52)을 구비한 선반부(1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형 경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대(1) 앞의 미용의자(72)에 앉은 사람의 뒷모습을 촬영할 수 있는 위치에 컴퓨터용 카메라(CA)를 설치하고, 상기 카메라(CA)로부터 전송된 화상신호가 상기 디스플레이(30)에서 재현되도록 상기 카메라(CA), 컴퓨터 및 디스플레이(30)를 연계 구성함으로써 경대(1) 앞에 앉은 사람이 상기 디스플레이(30)를 통해 자신의 뒷모습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형 경대.
KR2019990027962U 1999-12-13 1999-12-13 멀티미디어형 경대 KR2001851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7962U KR200185105Y1 (ko) 1999-12-13 1999-12-13 멀티미디어형 경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7962U KR200185105Y1 (ko) 1999-12-13 1999-12-13 멀티미디어형 경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5105Y1 true KR200185105Y1 (ko) 2000-06-15

Family

ID=19600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7962U KR200185105Y1 (ko) 1999-12-13 1999-12-13 멀티미디어형 경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510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3510B1 (ko) 2012-08-01 2014-02-05 주식회사 뷰티인포 스마트 기능을 갖는 이미용 경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3510B1 (ko) 2012-08-01 2014-02-05 주식회사 뷰티인포 스마트 기능을 갖는 이미용 경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67190A (en) Modular binocular electronic imaging system
US4516777A (en) Mobile self-contained video game system with instantaneously selectable game cartridges
US6817716B1 (en) Aerial-image display systems
US6643377B1 (en) Audio output system and method therefor
CA2479836A1 (en) Merchandise display case and system
US6850288B2 (en) Apparatus for providing programming
JP2002232810A (ja) 頭部装着型映像音声再生システム
US6964487B2 (en) Image display device
KR200185105Y1 (ko) 멀티미디어형 경대
JPH01133479A (ja) 視覚装置
KR20050049118A (ko) 다목적 거울
JPH1175140A (ja) 頭部装着型映像表示装置および映像表示制御装置
KR200190599Y1 (ko) 경대
US20080291123A1 (en) Space-Dividing Apparatus
JP2000181385A (ja) 動画像用プレゼンテ―ション装置
JP2000138926A5 (ko)
KR200267060Y1 (ko) 영화방 시스템
JPH10304490A (ja) 立体音響再生装置
KR200331359Y1 (ko) 액정 모니터가 부착된 공연장 좌석 구조
JP2902916B2 (ja) 液晶プロジェクタ
JPH10104551A (ja) 体感型立体表示構造物
JPH03105785A (ja) 複合型マイクロホン装置
JP2006122388A (ja) 鏡台
RU2131691C1 (ru) Комплекс со встроенной аудио-видеоаппаратурой
JP2001078118A (ja) 視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3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